KR20160057860A -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860A
KR20160057860A KR1020140159014A KR20140159014A KR20160057860A KR 20160057860 A KR20160057860 A KR 20160057860A KR 1020140159014 A KR1020140159014 A KR 1020140159014A KR 20140159014 A KR20140159014 A KR 20140159014A KR 20160057860 A KR20160057860 A KR 20160057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lling
cid
connection terminal
battery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127B1 (ko
Inventor
민홍석
김익규
최성민
안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127B1/ko
Priority to EP15179917.8A priority patent/EP3021381B1/en
Priority to US14/821,750 priority patent/US9741995B2/en
Priority to CN201510530787.7A priority patent/CN105609698B/zh
Priority to JP2015173797A priority patent/JP6625377B2/ja
Publication of KR2016005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스웰링 CID가 장착된 배터리의 외형을 이루고, CID 스웰링이 내장된 파우치의 팽창을 유도하는 스웰링홀이 형성된 냉각판을 포함하며, 냉각판에 스웰링홀이 형성됨으로써, 파우치 셀의 두께에 따라 작동 신뢰성이 변동되던 종래 배터리 시스템에 비하여 더 향상된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BATTERY SYSTEM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OF SWELLING CID}
본 발명은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파우치 셀의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스웰링 CID가 정상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에서의 파우치셀 내장형 스웰링 CID(전류 차단 장치; CURRENT INTERRUPT DEVICE)의 작동 신뢰성을 분석할 때, 두께 방향으로 냉각판과 밀착된 파우치셀들의 설계 구조로 인하여, 파우치셀의 크기, 좀더 정확히는 파우치셀의 두께에 따라 스웰링 CID의 작동 신뢰성이 좌우됨을 알 수 있다.
즉, 두께가 얇은 파우치셀의 경우에는 스웰링(팽창) 두께가 냉각판에 의해 제약받게 된다. 반면에, 두께가 두꺼운 파우치셀의 경우에는 냉각판 사이의 스웰링 공간이 많아서 스웰링 지체 현상이 발생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2264호(2014.02.03.)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우치 셀의 외부에 장착되는 냉각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파우치 셀의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스웰링 CID가 정상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은,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스웰링 CID가 장착된 배터리의 외형을 이루고, CID 스웰링이 내장된 파우치의 팽창을 유도하는 스웰링홀이 형성된 냉각판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에 따르면, 냉각판에 스웰링홀이 형성됨으로써, 파우치 셀의 두께에 따라 작동 신뢰성이 변동되던 종래 배터리 시스템에 비하여 더 향상된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우치 셀 크기에 관계없이 스웰링 CID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시스템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냉각판의 형상만을 개선하여 스웰링 CID의 작동 성능이 향상되므로, 종래의 배터리 시스템에 적용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스웰링 CID 미작동시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스웰링 CID 작동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은, 전지부(100)와, 전지부(100)와 외부를 연결하는 리드탭(200)과, 전지부(100)와 리드탭(200) 사이에 위치된 스웰링 CID(300; 전류 차단 장치; CURRENT INTERUPT DEVICE) 및, 전지부(100)와 스웰링 CID(300)를 포장하는 파우치(400)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지부(100)를 냉각하도록 파우치(400)에 밀착되는 냉각판(500)을 더 포함하고, 파우치(400)의 팽창이 집중되도록 하는 스웰링홀(510)이 냉각판(50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지부(100)는, 젤리롤로 익히 알려진 와인딩된 젤리 형상으로 제작된다 리드탭(200)은 전지부(100)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된다. 파우치(400)는, 전지부(100)를 덮는 중심부(410) 및, 중심부(410)로부터 연장된 테두리부(420)를 포함한다. 냉각판(500)은 파우치(400)의 넓이와 동일한 판상으로 제작되며, 파우치(400)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1개씩 위치된다.
냉각판(500)은, 테두리부(420)와 접촉하고, 테두리부(420)의 팽창을 억제하도록 냉각판(500)으로부터 테두리부(42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스웰링 억제부(520)를 포함한다. 스웰링 억제부(520)는, 스웰링홀(510) 이외에는 파우치(400)의 스웰(팽창)을 억제하게 된다.
스웰링 CID(300)는, 테두리부(420)에 위치된다. 이를 좀더 정확히 설명하면, 스웰링홀(510)은, 스웰링 억제부(520)에 관통 형성되고, 스웰링홀(510)에 스웰링 CID(300)가 위치된다.
스웰링홀(510)은, 냉각판(500) 내측에서 냉각판(500) 외부를 향해 수직하게 형성된 팽창너비 제한부를 포함한다. 팽창너비 제한부의 폭은 스웰링 CID(300)의 폭 보다 조금 큰 것이 바람직하다.
스웰링 CID(300)는, 전지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부연결단자(310) 및, 전지부연결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지부연결단자(310) 하면에 위치되고, 리드탭(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탭연결단자(320)를 포함한다.
전지부연결단자(310)는, 리드탭연결단자(320)와 접촉하고, 전지부연결단자(310)의 변형을 유도하도록 절곡형성되고, 전지부연결단자(310)의 하면을 향해 돌출된 절곡면부(311) 및, 리드탭연결단자(320) 및 파우치(400)와 비전도성 접착물을 통해 접착된 접착부(312)를 포함한다.
전지부연결단자(310)의 상면은 파우치(400)에 접착되고, 리드탭연결단자(320)의 하면 중 절단부위(321)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322)는 파우치(400)에 부착된다.
절단부위(321)에는 리드탭연결단자(320)의 절단을 유도하는 V노칭(333; V-NOTCHING)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웰링 CID(300)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웰링 CID(300) 미작동시에는, 스웰링홀(510)을 통해 파우치(400)가 외부를 향해 드러난 상태로 유지된다.
과충전 또는 비정상반응에 의한 가스 발생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웰링홀(510)을 통해 파우치(400)는 냉각판(500) 외부로 팽창되며 돌출된다. 이때, 파우치(400)와 연결된 전지부연결단자(310)의 절곡면부(311)와 리드탭연결단자(320)의 하면 중 절단부위(321)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322)는 파우치(400)와 함께 스웰링홀(510)을 관통하며 위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지부연결단자(310)의 절곡면부(311)를 잡아당기는 파우치(400)의 팽창력에 의하여, 리드탭연결단자(320)의 절단부위(321)는 V노칭(333)을 따라 절단되며, 절곡면부(311)에 부착된 상태로 위치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전지부연결단자(310)와 리드탭연결단자(320) 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게 되고, 과충전 또는 비정상반응에 의한 배터리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스웰링홀(510)과 스웰링 억제부(520)가 냉각판(500)에 형성됨으로써, 스웰링 CID(300)를 덮는 파우치(400)의 특정 부위로 파우치(400)의 팽창을 집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파우치 셀의 두께에 상관없이 스웰링 CID(300)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전지부 200: 리드탭
300: 스웰링 CID 310: 전지부연결단자
320: 리드탭연결단자 400: 파우치
410: 중심부 420: 테두리부
500: 냉각판 510: 스웰링홀
520: 스웰링 억제부

Claims (13)

  1. 전지부와, 상기 전지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리드탭과, 상기 전지부와 리드탭 사이에 위치된 스웰링 CID(전류 차단 장치; CURRENT INTERUPT DEVICE) 및, 상기 전지부와 상기 스웰링 CID를 포장하는 파우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지부를 냉각하도록 상기 파우치에 밀착되는 냉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의 팽창이 집중되도록 하는 스웰링홀이 상기 냉각판에 형성된,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웰링 CID는,
    상기 전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부연결단자; 및
    상기 전지부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지부연결단자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탭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부연결단자는,
    상기 리드탭연결단자와 접촉하고, 상기 전지부연결단자의 변형을 유도하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전지부연결단자의 하면을 향해 돌출된 절곡면부; 및
    상기 리드탭연결단자 및 상기 파우치와 접착된 접착부를 포함하는,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부연결단자의 상면은 상기 파우치에 접착되고,
    상기 리드탭연결단자의 하면 중 절단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상기 파우치에 부착된,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위에는 상기 리드탭연결단자의 절단을 유도하는 V노칭(V-NOTCHING)이 형성된,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상기 전지부를 덮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상기 테두리부와 접촉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팽창을 억제하도록 상기 냉각판으로부터 상기 테두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스웰링 억제부를 포함하는,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웰링 CID는,
    상기 테두리부에 위치된,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웰링홀은,
    상기 스웰링 억제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스웰링홀에 상기 스웰링 CID가 위치된,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웰링홀은,
    상기 냉각판 내측에서 상기 냉각판 외부를 향해 수직하게 형성된 팽창너비 제한부를 포함하는,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부는,
    와인딩된 젤리 형상인,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12.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스웰링 CID가 장착된 배터리의 외형을 이루고, 상기 CID 스웰링이 내장된 파우치의 팽창을 유도하는 스웰링홀이 형성된 냉각판을 포함하는,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상기 파우치의 팽창을 제한하는 스웰링 억제부가 형성된,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KR1020140159014A 2014-11-14 2014-11-14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KR10170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014A KR101704127B1 (ko) 2014-11-14 2014-11-14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EP15179917.8A EP3021381B1 (en) 2014-11-14 2015-08-06 Battery system improving operation reliability of swelling cid
US14/821,750 US9741995B2 (en) 2014-11-14 2015-08-09 Battery system improving operation reliability of swelling CID
CN201510530787.7A CN105609698B (zh) 2014-11-14 2015-08-26 提高膨胀cid的操作可靠性的电池系统
JP2015173797A JP6625377B2 (ja) 2014-11-14 2015-09-03 スウェリングcidの作動信頼性が向上されるバッテリー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014A KR101704127B1 (ko) 2014-11-14 2014-11-14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860A true KR20160057860A (ko) 2016-05-24
KR101704127B1 KR101704127B1 (ko) 2017-02-07

Family

ID=5387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014A KR101704127B1 (ko) 2014-11-14 2014-11-14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41995B2 (ko)
EP (1) EP3021381B1 (ko)
JP (1) JP6625377B2 (ko)
KR (1) KR101704127B1 (ko)
CN (1) CN1056096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0503B2 (en) 2017-07-06 2019-07-02 Lg Chem, Ltd.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lead having notch formed there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9842B2 (en) * 2015-10-16 2018-10-23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cell
KR101755861B1 (ko) * 2015-10-16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WO2018144707A1 (en) * 2017-02-01 2018-08-09 24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afety features in electrochemical cells
WO2018183828A1 (en) 2017-03-31 2018-10-04 24M Technologies, Inc. Overcharge protection of batteries using current interrupt devices
KR102320114B1 (ko) * 2017-06-21 2021-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류 차단구조
WO2019027901A1 (en) 2017-07-31 2019-02-07 24M Technologies, Inc. CURRENT INTERRUPTING DEVICES USING SHAPE MEMORY MATERIALS
KR102364159B1 (ko) 2017-08-01 2022-02-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탭 절단 장치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US10854869B2 (en) 2017-08-17 2020-12-01 24M Technologies, Inc. Short-circuit protection of battery cells using fuses
CN108520925A (zh) * 2018-04-16 2018-09-11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高寿命动力电池组及动力电池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047A (ja) * 1998-10-19 2004-11-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ポリマー電池及びポリマー電池パック
KR20080024108A (ko) * 2005-05-23 2008-03-1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라미네이트 전지의 안전기구
JP2012069408A (ja) * 2010-09-24 2012-04-05 Hitachi Maxell Energy Ltd 電気化学素子モジュール
JP2012209204A (ja) * 2011-03-30 2012-10-25 Nec Energy Devices Ltd 二次電池
KR20140012264A (ko) 2012-07-19 2014-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id 구조를 갖는 배터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8539A (en) * 1992-10-29 1994-10-25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 for making a battery assembly
GB9625464D0 (en) * 1996-12-07 1997-01-22 Central Research Lab Ltd Gas sensor
EP0863559A1 (fr) * 1997-02-18 1998-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f du type accumulateur plat comprenant une cellule electrochimique et des moyens de contact electrique"
CN1157808C (zh) * 1998-02-05 2004-07-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盒形成片和电池组件
FI980962A (fi) * 1998-04-30 1999-10-31 Nokia Mobile Phones Ltd Järjestely suojauksen toteuttamiseksi akussa ja akku
JP4354028B2 (ja) * 1998-08-20 2009-10-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安全弁付き電池ケース
JP2000235872A (ja) * 1999-02-16 2000-08-29 Alps Electric Co Ltd 電池の感圧電路遮断機構
JP3698925B2 (ja) * 1999-08-23 2005-09-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池用感圧ブレーカー
US6524741B1 (en) * 2000-08-24 2003-02-25 Valence Technology, Inc. Battery package with integral disconnect mechanism
JP4173674B2 (ja) * 2002-03-28 2008-10-29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モジュール
US6900616B2 (en) * 2003-05-21 2005-05-31 Motorola, Inc. Current interrupt device for rechargeable cells
WO2007029941A1 (en) * 2005-09-07 2007-03-15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employing safety device
US8105708B2 (en) 2006-04-19 2012-01-31 Temic Automotive Electric Motors Gmbh Heat exchanger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KR20090131573A (ko) * 2008-06-18 2009-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시 전원차단장치
US20110104520A1 (en) * 2009-11-02 2011-05-05 Changbum Ah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1546545B1 (ko) 2010-12-09 2015-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JP2012138315A (ja) * 2010-12-28 2012-07-19 Hitachi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モジュール
FR2974249B1 (fr) * 2011-04-12 2015-03-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modulaire de transport de la temperature pour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procede de montage de ce dispositif et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CN104094448B (zh) * 2012-02-29 2016-08-17 株式会社Lg化学 具有增强的安全性的电池单体组件和包括该电池单体组件的电池模块
KR101520148B1 (ko) 2012-05-25 2015-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JP6260095B2 (ja) * 2013-03-25 2018-01-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および二次電池
CN203301191U (zh) * 2013-06-06 2013-11-20 杭州万好万家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断路保护功能的锂离子电池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047A (ja) * 1998-10-19 2004-11-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ポリマー電池及びポリマー電池パック
KR20080024108A (ko) * 2005-05-23 2008-03-1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라미네이트 전지의 안전기구
JP2012069408A (ja) * 2010-09-24 2012-04-05 Hitachi Maxell Energy Ltd 電気化学素子モジュール
JP2012209204A (ja) * 2011-03-30 2012-10-25 Nec Energy Devices Ltd 二次電池
KR20140012264A (ko) 2012-07-19 2014-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id 구조를 갖는 배터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0503B2 (en) 2017-07-06 2019-07-02 Lg Chem, Ltd.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de lead having notch form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09698B (zh) 2019-12-27
JP2016096130A (ja) 2016-05-26
US9741995B2 (en) 2017-08-22
EP3021381A1 (en) 2016-05-18
JP6625377B2 (ja) 2019-12-25
US20160141593A1 (en) 2016-05-19
CN105609698A (zh) 2016-05-25
KR101704127B1 (ko) 2017-02-07
EP3021381B1 (en)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127B1 (ko) 스웰링 cid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시스템
JP4238228B2 (ja) キャップ組立体及びこれを備えた二次電池
JP6218900B1 (ja) 動力電池のヘッドカバー及び動力電池
JP6195654B1 (ja) 動力電池のヘッドカバー及び動力電池
KR101744090B1 (ko) 단락부재는 갖는 이차 전지
WO2014040678A3 (de) Einzelzelle und batterie aus einer mehrzahl von einzelzellen
WO2018090175A1 (zh) 二次电池及电池模组
KR20160060510A (ko) 스웰링 cid
JP6260095B2 (ja) 蓄電装置および二次電池
WO2012063733A1 (ja) 電池モジュール
JP5151715B2 (ja) 燃料電池
JP6323327B2 (ja) 電池監視装置
JP6111856B2 (ja) 蓄電装置
WO2018090176A1 (zh) 二次电池及电池模组
JP2014063686A (ja) 電池
JP6194822B2 (ja) 電流遮断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蓄電装置
EP3490035B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37678A (ko) 배터리 팩
JP6394894B2 (ja) 蓄電装置
JP6202127B2 (ja) 電池
JP2015164111A (ja) 蓄電装置
KR101500233B1 (ko)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JP6905068B2 (ja) 電流遮断装置及び蓄電装置
JP6735840B2 (ja) 二次電池
JP6323326B2 (ja) 電池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