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653A -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653A
KR20160056653A KR1020140157245A KR20140157245A KR20160056653A KR 20160056653 A KR20160056653 A KR 20160056653A KR 1020140157245 A KR1020140157245 A KR 1020140157245A KR 20140157245 A KR20140157245 A KR 20140157245A KR 20160056653 A KR20160056653 A KR 20160056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hamber
clamping
clamping mean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일
Original Assignee
엘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653A/ko
Publication of KR2016005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3Placing of components on belts holding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는 일정한 내부온도를 유지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로 작업대상물을 공급하는 작업대상물 공급수단, 상기 작업대상물을 지지하는 안착지지구를 다단으로 구비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클램핑수단의 안착지지구에 지지된 작업대상물을 상부에 위치한 안착지지구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상승이동구를 포함하는 상승이송수단, 상기 작업대상물을 지지하는 안착지지구를 다단으로 구비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클램핑수단의 안착지지구에 지지된 작업대상물을 하부에 위치한 안착지지구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하강이동구를 포함하는 하강이송수단, 상기 상승이송수단과 상기 하강이송수단 간에 상기 작업대상물을 전달시키는 전달수단 및 상기 챔버 외부로 작업대상물을 배출하는 작업대상물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An Oven for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은 각종 전자부품 제조 과정에서 각종 본딩이나 몰딩 또는 코팅 작업을 실시한 후에 해당 작업부분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고온 처리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딩이나 몰딩 또는 코팅과정을 거친 카메라 모듈, 반도체 리드프레임 또는 PCB기판 등의 전자부품이 순차적이고 연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되면서 경화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의 제조 공정 중에는 본딩, 몰딩, 코팅 등의 작업 공정이 흔히 수반되며, 이러한 공정 다음에는 별도의 오븐장치를 통해 상기 본딩, 몰딩 또는 코팅한 부분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단단하게 굳히는 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화 공정에는 통상 오븐장치를 사용하는데, 종래의 오븐장치를 이용한 경화 공정은 열풍이 공급되는 챔버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자부품 자체 또는 다수의 전자부품을 탑재한 지그를 넣고 빼는 방식이거나, 대형 가열실을 구비하고 작업자가 다수의 전자부품이 탑재된 매거진을 직접 들고 상기 가열실에 집어넣고 빼는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업대상물인 전자부품을 넣고 빼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전체 제조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작업자가 작업대상물을 넣고 빼는 시기를 착각하여 챔버나 가열실을 잘못 개방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등록특허 제1099449호에서는, 가열실 내부에 상승컨베이어와 하강 컨베이어를 각각 한 쌍으로 설치하고, 작업대상물이 자동으로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고온의 가열실 내부를 통과하면서 경화 과정을 거친 후, 다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한 컨베이어 방식의 오븐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KR 10-1099449 B1, 2011. 12. 28, 식별번호[0016]~[0024] 및 도3
상기한 종래 컨베이어방식의 오븐장치는 본딩, 몰딩 또는 코팅과정을 거친 작업대상물을 수직으로 한 쌍식 설치된 상승 컨베이어와 하강컨베이어를 차례로 거치면서 연속적으로 가열실을 통과시켜 경화시키는 공정과 그 전후 공정이 자동화된 연속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로 작업대상물을 가열실에 넣고 빼는 수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공정 중에 작업자의 실수로 개방되는 일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컨베이어방식의 오븐장치는 가열실 내부에 수직으로 컨베이어 장치가 상승 및 하강용으로 한 쌍식 설치되어 있어 가열실 내부의 열기의 대류를 방해하므로 작업대상물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대상물을 컨베이어로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동작과 컨베이어 자체가 구동하는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구성이 대단히 복잡하여, 장치의 오작동 또는 셧다운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본딩, 몰딩 또는 코팅과정을 거친 작업대상물을 챔버 내에서 수직으로 상승과 하강을 시키며 연속적으로 챔버를 통과시켜 경화시키는 공정과 그 전후 공정이 자동화된 연속공정을 구현하면서도 챔버 내에 열기의 대류에는 지장이 없도록 한 장치 구조를 제공하고, 또 작업대상물이 챔버 내로 공급, 이송 및 배출의 전 과정을 기계적 신뢰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오작동이나 셧다운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전자제품 제조용 오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는,
일정한 내부온도를 유지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로 작업대상물을 공급하는 작업대상물 공급수단, 경화 과정에서의 제품이 이상 없도록 지그의 평탄성이 좋도록 하며, 상기 작업대상물을 지지하는 안착지지구를 다단으로 구비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클램핑수단의 안착지지구에 지지된 작업대상물을 상부에 위치한 안착지지구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상승이동구를 포함하는 상승이송수단, 상기 작업대상물을 지지하는 안착지지구를 다단으로 구비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클램핑수단의 안착지지구에 지지된 작업대상물을 하부에 위치한 안착지지구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하강이동구를 포함하는 하강이송수단, 상기 상승이송수단과 상기 하강이송수단 간에 상기 작업대상물을 전달시키는 전달수단 및 상기 챔버 외부로 작업대상물을 배출하는 작업대상물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개폐 가능한 개구가 설치되어 작업대상물 공급수단에 의하여 챔버 내부로 작업대상물이 공급되어지며, 상기 작업대상물 공급수단과 작업대상물 배출수단과 상기 챔버 하부 사이에는 작업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작업대상물을 챔버 내부까지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수단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안착지지구 중에는 안착지지구 연장부가 더 형성된 안착지지구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상승이동구와 하강이동구에는 이송지지구을 다단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하 운동 및 전후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작업대상물을 상기 클램핑수단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안착지지구로 이송하여 주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달수단은 LM블록과 상기 LM블록을 전후 이송시키는 직동모터 및 작업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본딩, 몰딩 또는 코팅과정을 거친 작업대상물을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공정, 챔버 내에서 수직으로 상승과 하강을 시키며 연속적으로 챔버를 통과시켜 경화시키는 공정 및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현장에서 물류흐름이 끊기지 않는 직선 제조라인의 구축과 공간을 효과적으로 운용함으로서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공정의 자동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화 도중에 작업자의 실수로 제품이 외기에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챔버 내에서 작업대상물을 상승, 하강 및 수평 이송 시키는 장치의 구조이 개방형 프레임 구조체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챔버 내부의 열기 대류현상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경화 작업 후 제품의 균질성을 확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작업대상물이 챔버 내에서 이송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기계 구조물상에서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신뢰성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장치의 오작동이나 셧다운 가능성을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의 챔버 제거 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의 상승 또는 하강이송수단과 전달수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의 슬라이딩 도어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작업대상물’이란 용어는 본딩, 몰딩 또는 코팅 작업을 거친 전자부품 자체이거나 그 전자부품이 다수 적재된 지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제조용 오븐장치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제품 제조용 오븐장치를 정면에서 본 외관을 보여주는데, 오븐장치(10)는 도어(140)가 구비된 챔버(100)와 챔버 하부에 설치된 하부케이싱(150)이 합쳐져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또한 작업대상물(20)을 외부로부터 챔버(100) 공급하거나 챔버로부터 배출된 작업대상물(20)을 외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챔버의 밑으로 오븐 장치(10)의 몸체, 즉 하부케이싱(150)을 관통하도록 컨베이어(800)를 설치한다.
상기 챔버(100)에는 송풍모터(110)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기(120)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120)는 챔버(100)의 벽면에 설치되는 히터(130)로 공기를 불어 넣는 역할을 한다. 히터와 챔버 내부 공간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히터(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 즉 열기가 챔버 내부공간을 향하여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제품 제조용 오븐장치에서 챔버(100)의 케이싱 부분을 제거한 구성을 사시도로, 도 3은 도 2에서 하부 케이싱(150) 및 컨베이어(800) 부분을 제거한 내부 핵심 장치 구성을 사시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작업대상물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챔버 내에서 작업대상물의 상승 및 하강 과정을 수행하는 주요 구성은, 챔버(200) 내부의 상승이송수단(400)으로 작업대상물(20)을 공급하는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 공급된 상기 작업대상물을 클램핑하며 단계적으로 상부로 이동시키는 상승이송수단(400), 상기 상승이송수단(400)의 상부로 이송된 작업대상물을 하강이송수단(500)의 상부로 밀어 전달하는 전달수단(600), 상기 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작업대상물을 클램핑하며 단계적으로 하부로 이동시키는 하강이송수단(500), 그리고 상기 하강이송수단(500)으로부터 작업대상물(20)을 받아 챔버(100) 외부의 배출하는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븐장치(10)의 전단에는 각각 본딩, 몰딩 또는 코팅과정을 거친 작업대상물(20)을 하부 케이싱(15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입구를, 오븐장치(10)의 후단에는 경화된 작업대상물(20)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입구와 출구를 관통하는 컨베이어(800)를 설치하여, 상기 컨베이어(800)에 작업대상물(20)을 적재하여 하부 케이싱(150)의 내부로 이송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베이어는 두 줄의 컨베이어 벨트(81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벨트와 벨트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 및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의 받침판(210, 710)이 상기 공간부를 지나 챔버(100) 내부까지 왕복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케이싱(150)의 내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800)에 의해 인입된 작업대상물(20)을 챔버 내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이송시키는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과 작업대상물(20)을 챔버 내부로부터 하부의 컨베이어 벨트를 향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이 컨베이어 벨트(800)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은 공급실린더(220)와 실린더로드 및 상기 실린더로드의 끝머리에 부착된 받침판(210)으로 구성되고, 상승이송수단(400) 아래쪽 하부케이싱(150) 내에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는 프레임(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은 컨베이어 벨트(800)에 의해 인입된 작업대상물(20)이 상기 받침판(210)의 상부에 위치할 때, 공급실린더(220)를 작동하여 실린더로드를 밀어냄으로써 작업대상물(20)을 상부의 상승이송수단(400) 쪽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부케이싱(150) 내에 상기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과 나란히 배치되는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의 기계적 구성은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과 동일하다. 다만 기능면에서 상기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은 배출실린더(720)를 작동하여 실린더로드(730)를 밀어 올려서, 작업대상물(20)을 챔버(100) 내의 하강이송수단(500) 최하단에 거치된 작업대상물(20)을 받침판(710)을 이용하여 받은 후, 이를 하강시켜 컨베이어 벨트(800) 상에 안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점이 다를 뿐이다.
챔버(100)의 바닥에는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에 의하여 작업대상물이 챔버 내부로 들어오거나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개구(30)를 형성하고, 여기에 액추에이터(50)로 작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40)를 설치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도 6 참조).
이 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40)의 개폐 동작은 상기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 및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과 연동하도록 제어한다.
도3 및 도4를 함께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의 상방 쪽 챔버(100)의 내부에는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받은 작업대상물(20)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면서 가열 경화과정을 수행하는 상승이송수단(400)이 설치된다.
상승이송수단(400)은 작업대상물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하 운동 및 전후 운동을 수행하는 상승이동구(410)와 상기 상승이동구에 의하여 상승된 작업대상물을 클램핑한 후 일정시간 지지하기 위하여 전후 운동을 수행하는 클램핑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클램핑수단(300)은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수단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클램핑수단 작동용 공압액츄에이터들(330)에 의하여 소정 간격만큼 전후이동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하나의 클램핑수단(3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클램핑수단(300)은 전면에 소정 높이차를 가지며 다단으로 돌출된 안착지지구(310)가 형성되어 있는 안착지지구 지지대(320)가 한 쌍이 소정 간격을 두고 후면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지지구 지지대의 후방에는 안착지지구 지지대(320)를 전진 및 후퇴 운동시키는 공압액추에이터(330)가 각각 설치되며, 안착지지구 지지대(320)의 하단에는 전진 및 후퇴 운동시 미끄럼운동 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34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후면이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안착지지구 지지대(320) 사이에는 상승이동구(410)가 배치되는데, 상승이동구(410)는 전면에 상기 안착지지구(310)와 동일한 높이차를 가지는 이송 지지구(420)가 다단으로 돌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승이동구(410)의 후방에는 상승이동구(410)를 전진 및 후퇴 운동시키는 전후작동용 공압액추에이터(430)가 설치되며, 상승이동구(410)의 상부에는 상승이동구를 상하로 운동시키기 위한 상하작동용 공압액추에이터(440)가 별도로 형성된 프레임(60)상에 고정 설치된다.
이 때 상하작동용 공압액추에이터의 작동로드(441) 하단에는 축지지구(442)와 상기 축지지구(442)를 관통하는 연결축(443)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443)의 양단을 마주보는 한 쌍의 상승이동구(410) 상단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축결합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상하작동용 공압액추에이터(440)를 구동하여 마주보는 한 쌍의 상승이동구(410)를 작동오차 없이 동시에 상하 운동시킬 수 있고, 전후작동용 공압액추에이터(430)를 구동하여 상승이동구(410)를 가이드 역할을 하는 연결축(4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승이송수단(400)과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는 하강이송수단(500)은 그 기계적 구성이 앞서 설명한 상승이송수단(400)과 동일하다.
다만 본명세서에서 하강이송수단(500)에서는 상승이동구(410)와 동일한 구성을 하강이동구(510)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차이를 두었는데, 이는 양자의 기계적 구성은 같지만 하강이동구(510)의 경우 기능면에서 작업대상물을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승이송수단(400)과 하강이송수단(500)의 상부에는 작업대상물(20)을 상승이송수단으로부터 하강이송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600)이 설치된다.
상기 전달수단(600)은 LM레일(610)과 LM블록(620)으로 이루어진 LM가이드, 상기 LM블록을 LM레일을 따라 직선운동시키는 직동모터(670)와 이 직동모터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직동모터 안내축(680), 상기 LM블록의 직선운동에 따라 작업대상물에 접촉하여 상승이송수단으로부터 하강이송수단으로 작업대상물을 밀어 이송하는 접촉구(660) 및 상기 접촉구를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공압액추에이터(640)의 작동로드(6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직동모터(670), LM블록(620), 공압액추에이터(640)는 브래킷(630)의 상, 하,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하나의 모듈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LM레일(610)과 직동모터 안내축(680)은 상승이송수단으로부터 하강이송수단의 상부로 길게 연장 형성하여, 상기 접촉구(660)가 상승이송수단으로부터 하강이송수단의 소정 위치까지 작업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구(660)를 본실시예에서는 롤러로 사용하였지만, 회전하지 않는 고정식 부재로 접촉구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전달수단(600)에 의하여 작업대상물(20)을 상승이송수단으로부터 하강이송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클램핑수단(300)에 다단으로 설치된 안착지지구(310) 중에서 작업대상물이 최종적으로 상승하는 위치에 있는 안착지지구(310-d)를 길게 연장하여, 상승이송수단과 하강이송수단 사이에 작업대상물이 이송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도록 안착지지구 연장부(311)를 형성한다.
즉 상승이송수단(400)의 클램핑수단(300) 중에서 하강이송수단(500) 쪽으로 설치된 안착지지구에는 안착지지구 연장부(311)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하강이송수단(500)의 클램핑수단(300) 중에서 상승이송수단(400) 쪽으로 설치된 안착지지구에는 안착지지구 연장부(311)가 형성되므로, 양 안착지지구 연장부(311)가 일직선을 이루게 되고, 결국 네 번째 고정구(310-d) 들은 상승이송수단(400)으로부터 하강 수단까지 이어지는 기다란 가이드 레일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안착지지구(310)를 5단으로 형성하고 아래로부터 4번째 단에 있는 안착지지구(310-d)에 안착지지구 연장부(311)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최상위에 있는 안착지지구(310)의 단을 예비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그런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경화작업시 작업대상물이 아래로부터 4번째 단까지 상승하면 상승이송수단에서 하강이송수단으로 이송시키는 동작이 실시된다. 물론 상기 예비단을 이용할 필요 없는 경우라면 최상위에 있는 안착지지구(310)에 안착지지구 연장부(311)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제조용 오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과 도2를 참고하면, 챔버(100)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130)를 동작시키고 송풍모터(110)로 송풍기를 가동한다. 송풍기(120)에 의해 히터(130)로 공급된 공기는 가열되어 챔버(100)의 내부로 인입되고, 챔버 내의 온도는 가열경화 작업에 필요한 소정온도까지 상승한다.
챔버(100) 내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전공정으로서 본딩, 몰딩 또는 코팅 공정을 거친 작업대상물(20)들이 컨베이어(800)에 의해 하부케이싱(150)에 형성된 입구로 인입되기 시작한다.
도2 및 3을 참조하면, 컨베이어(800)에 탑재된 최초 작업대상물(20)이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의 상부에 도달하면, 슬라이딩도어(40)가 작동하여 챔버(100) 바닥면의 개구(30)가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의 공급실린더(220)도 작동하기 시작하여 실린더로드를 상부로 전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의 끝머리에 부착된 받침판(210)이 작업대상물(20)의 하부면에 닿아 밀어올림으로써 작업대상물(20)을 상기 개구(30)를 통해 챔버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챔버 내의 한 쌍의 상승이동구(410)는 하강 및 후퇴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도 5와 같이 상승이동구(410)의 전면 최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이송지지구(420-a)는 최저점에서 작업대상물(20)의 폭보다 벌어진 채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개구(30)를 통과해 올라온 작업대상물(20)이 한 쌍의 이송지지구(420-a)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상승이동구(410)가 서로를 향하여 전진하고, 이에 따라 작업대상물(20)은 상기 최하단의 이송지지구(420-a) 상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작업대상물(20)이 최하단의 이송지지구(420-a) 상에 안착되면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의 실린더로드의 끝머리에 부착된 받침판(210)은 개구(30)를 통해 하부케이스(150)로 후퇴하여 원위치 되고, 슬라이딩도어(40)가 작동하여 챔버(100) 바닥면의 개구(30)는 폐쇄된다.
한편 작업대상물(20)이 최하단의 이송지지구(420-a) 상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마주보는 한 쌍의 클램핑수단(300)은 서로 후퇴하여 간격을 벌리게 되고, 상하작동용 공압액추에이터(440)가 작동하여 상승이동구(41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의 결과, 상승이동구(410)의 한 쌍의 최하단 이송지지구(420-a)와 클램핑수단(300)의 안착지지구지지대(320) 전면에 최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안착지지구(310-a)는 수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클램핑수단(300)을 서로를 향하여 전진시켜 상기 최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안착지지구(310-a)에 작업대상물(20)의 양 측면이 접촉하면서 지지되도록 한다.
그 후 상승이동구(410)는 서로 후퇴하여 최하단의 이송지지구(420-a)들이 작업대상물(20)로부터 분리된 다음, 상승이동구(410)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이송지지구(420-a)들은 최초로 위치하였던 최저점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클램핑수단(300)의 최하단 안착지지구(310-a)들이 작업대상물(2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되면, 소정시간 동안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 경화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과정이 되풀이 하여, 컨베이어(800)에 대기하고 있던 두 번째 작업대상물(20)을 챔버(100) 내로 인입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한 처음 과정과 마찬가지로, 개구(30)를 통과해 올라온 두 번째 작업대상물(20)이 한 쌍의 이송지지구(420-a)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상승이동구(410)가 서로를 향하여 전진하여 두 번째 작업대상물(20)이 상기 최하단의 이송지지구(420-a) 상에 안착하게 된다.
이 때 앞서 최하단 안착지지구(310-a)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던 첫 번째 작업대상물(20)은 상기 최하단의 이송지지구(420-a)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있는 두 번째 이송지지구(420-b)(도 4 참조)들에도 동시에 안착되어진다.
이 후 과정은 앞서 설명한 최초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단지 2개의 작업대상물이 동시에 작업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상기 과정이 반복되어 최초로 인입된 작업대상물(20)이 네 번째 안착지지구(310-d)에 지지된 상태에서 소정시간 동안 경화 과정을 수행하고 나면, 전달수단(600)이 작동하여 상기 작업대상물(20)을 하강이송수단(500)으로 이송한다.
전달수단(60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달수단의 접촉구(660)는 작업대상물(20)을 하강이송수단(500) 쪽으로 밀어 줄 수 있도록, 상승이송수단(400)의 한쪽 끝부분에 위치한다.
네 번째 안착지지구(310-d)에서 작업대상물(20)의 경화 작업시간이 경과하면, 도 4에 도시된 상기 전달수단의 공압액추에이터(640)가 작동로드(650)를 하방으로 전진시켜서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로드(650)의 끝머리에 설치된 접촉구(660)를 작업대상물(20)과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만든다.
이후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전달수단(600)의 직동모터(670)를 작동하여 직동모터가 안내축(680)을 따라 하강이송수단(500) 쪽으로 직선운동시키면, LM 가이드의 LM블록(620)이 LM 레일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이에 따라 브래킷(630)으로 모듈화되어 있는 접촉구(660) 역시 작업대상물(20)의 측면에 접촉하여 하강이송수단 쪽으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LM가이드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소정 거리만큼 밀어주게 된다.
이때 상승이송수단(400)과 하강이송수단(500)의 클램핑수단(300) 중에서 네 번째 안착지지구(310-d)들이 안착지지구 연장부(311)에 의하여 기다란 가이드레일을 이루고 있으므로, 작업대상물(20)은 이를 따라 상승이송수단(400)과 하강이송수단(500)으로 이송되어진다.
만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강이송수단(500)의 안착지지구(310-d)에 이미 작업대상물(20)들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라면, 하강이송수단(500)에서 작업대상물을 한단씩 하강 시키는 작업을 먼저 실시한 후에 상기 전달수단의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상승이송수단(400)으로부터 하강이송수단(500)으로 작업대상물의 이송이 완료되면, 전달수단(600)의 직동모터(670)는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다시 소정시간 동안 경화작업이 진행된다.
이후 작업대상물은 하강이송수단(500)에서 한단씩 아래로 이송되며, 계속 경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하강이송수단(500)의 작동 과정은 하강이동구(510)가 작업대상물을 잡아 하강시키는 운동을 하는 점만 앞서 설명한 상승이동수단의 상승이동구(410) 운동과 차이가 있을 뿐이고, 나머지 작동 과정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작업대상물(20)이 하강이송수단(500)의 클램핑수단(300)에 형성된 최하단 안착지지구(310)에서 소정시간 경화 과정을 마치게 되면, 하강이동구(510)의 이송지지구(420)가 작업대상물을 잡아 배출용 슬라이딩 도어(40) 바로 위까지 내려주게 된다. 이후 슬라이딩도어(40)가 작동하여 개구(30)를 개방하면,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이 작동하여 받침판(210)으로 작업대상물(20)을 하부를 지지하면서 챔버 하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받침판(210)이 계속 하강하게 되면 작업대상물(20)은 하강 도중에 컨베이어 벨트(810) 상에 양단이 걸리게 되므로,. 컨베이어에 적재가 이루어진다.
이후 작업대상물(20)은 컨베이어의 구동에 따라 하부케이싱(150)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후공정 라인으로 이송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승이송수단, 하강이송수단 등의 구성요소가 1회작동할 때 마다 작업대상물이 1개씩 이송되는 특징적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요소의 1회 작동시간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설정 제어하면, 작업대삼물을 챔버 내에서 가열경화시키는 시간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1회 작동시간을 1분 간격으로 설정하면, 본 발명은 작업대상물이 상승이송수단에서 4회, 하강이송수단에서 4회, 도합 8회의 이송 동작을 거치게 되므로, 정확하게 8분의 경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1회 작동시간을 자유롭게 변경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작업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경화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 또는 그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오븐장치 20 : 작업대상물
30 : 개구 40 : 슬라이딩 도어
100: 챔버 150: 하부 케이싱
200: 작업대상물 공급수단 210, 710: 받침판
300: 클램핑수단 310: 안착지지구
320: 안착지지구 지지대 400: 상승이송수단
410: 상승이동구 420: 이송지지구
443: 연결축 500: 하강이송수단
510 : 하강이동구 600: 전달수단
610 : LM레일 620: LM블록
630 : 브래킷 660: 접촉구
670 : 직동모터 680: 안내축
700 : 작업대상물 배출수단 800 : 컨베이어

Claims (6)

  1. 일정한 내부온도를 유지하는 챔버(100);
    상기 챔버 내부로 작업대상물을 공급하는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
    상기 작업대상물을 지지하는 안착지지구(310)를 다단으로 구비하는 클램핑수단(300)과 상기 클램핑수단(300)의 안착지지구에 지지된 작업대상물을 상부에 위치한 안착지지구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상승이동구(410)를 포함하는 상승이송수단(400);
    상기 작업대상물을 지지하는 안착지지구(310)를 다단으로 구비하는 클램핑수단(300)과 상기 클램핑수단(300)의 안착지지구에 지지된 작업대상물을 하부에 위치한 안착지지구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하강이동구(510)를 포함하는 하강이송수단(500);
    상기 상승이송수단과 상기 하강이송수단 간에 상기 작업대상물을 전달시키는 전달수단(600); 및
    상기 챔버 외부로 작업대상물을 배출하는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의 바닥면에는 개폐 가능한 개구(30)가 설치되어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에 의하여 챔버(100) 내부로 작업대상물(20)이 공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상물 공급수단(200)과 작업대상물 배출수단(700)과 상기 챔버(100) 하부 사이에는 작업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8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300)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안착지지구(310) 중에는 안착지지구 연장부(311)가 더 형성된 안착지지구(31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상승이동구(410)와 하강이동구(510)에는 이송지지구(420)을 다단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하 운동 및 전후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작업대상물(20)을 상기 클램핑수단(300)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안착지지구(310)로 이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600)은 LM블록(620)과 상기 LM블록을 전후 이송시키는 직동모터(670) 및 작업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구(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KR1020140157245A 2014-11-12 2014-11-12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KR20160056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245A KR20160056653A (ko) 2014-11-12 2014-11-12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245A KR20160056653A (ko) 2014-11-12 2014-11-12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653A true KR20160056653A (ko) 2016-05-20

Family

ID=5610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245A KR20160056653A (ko) 2014-11-12 2014-11-12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6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07212A (ja) * 2018-12-28 2022-01-18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ポリエチレンマルチフィラメント交絡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530529A (ja) * 2019-12-27 2022-06-29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ポリエチレン原糸、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冷感性生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07212A (ja) * 2018-12-28 2022-01-18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ポリエチレンマルチフィラメント交絡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530529A (ja) * 2019-12-27 2022-06-29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ポリエチレン原糸、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冷感性生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336B1 (ko) 단조소재 이송공급 장치
CN104576454B (zh) 一种半导体器件隧道式硬化炉
US8245833B2 (en)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port method
JP2015217425A (ja) アンダードライブ式プレス機のワーク搬送装置
JPH0230194B2 (ja) Handotaiseizosochi
KR20160056653A (ko) 전자부품 제조용 오븐장치
KR101098906B1 (ko) 너트삽입장치
KR101207078B1 (ko) 자동화 장비용 트레이 로딩장치
CN104097927A (zh) 一种吹瓶机的瓶坯装卸装置
KR101620393B1 (ko) 세라믹 전자부품 소성로용 투입 및 배출장치
KR101068221B1 (ko) 고속 트랜스퍼 원자재 공급시스템
CN109093924A (zh) 一种自动化双料射出双模交换橡胶硫化机
KR101533616B1 (ko) Cnc용 소재 자동 공급 배출 장치
KR200151055Y1 (ko) Lcd모듈 에이징장치
KR102256803B1 (ko) 주방용기 제조용 자동 이송장치
KR200427167Y1 (ko) 카세트 자동 순환 장치
KR101156646B1 (ko) 수직형 경화 오븐
TWM510911U (zh) 電子料件多流道載料設備
KR102430242B1 (ko) 인 라인 카세트 랙 이송 자동화 장치
JP2009068975A (ja) 環境試験装置および環境試験装置のワーク搬送方法
KR100277539B1 (ko) 모듈 아이씨 핸들러의 챔버
CN109047979A (zh) 一种led灯座的自动上料机构
KR100601210B1 (ko) 경화장치
JP3616378B2 (ja) 熱処理装置
CN109215512B (zh) 制造设备、顶针及定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