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365A -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365A
KR20160056365A KR1020140155490A KR20140155490A KR20160056365A KR 20160056365 A KR20160056365 A KR 20160056365A KR 1020140155490 A KR1020140155490 A KR 1020140155490A KR 20140155490 A KR20140155490 A KR 20140155490A KR 20160056365 A KR20160056365 A KR 20160056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extract
abalone
lps
liv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우
이정준
표한종
김다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365A/ko
Publication of KR2016005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9Lipo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함으로써, 천연소재를 활용하여 부작용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간 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간 질환 개선을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NTAINING HALIOTIS DISCUS HANNAI EXTRACTS}
본 발명은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리포폴리사카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야기되는 간질환 이상을 개선함으로써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간의 신체 장기 중 생체 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기로서, 지방 성분이 포함 된 음식 또는 알코올의 과다 섭취, 바이러스의 감염,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부족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급성 또는 만성의 장애가 일어나며, 지방간, 간염, 황달, 간경화, 간암 등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음식을 통한 과다한 지방의 섭취 또는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간 조직에 지질이 쌓이는 지방간을 유발하며, 이때 혈청 속의 GOT(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 GPT (glutamate-pyruvate transaminase), γ-GTP(γ-glutamyltransferase) 등이 증가하게 된다. 간은 완충능력이 큰 기관으로 질환의 초기단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상당히 악화된 후에야 질환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또한, 간은 인체에서 혈액의 저장 및 순환, 혈류량 조절과 방어 해독작용을 하며 정신적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산업화에 따른 공해물질, 유독 물질에 우리의 몸은 항상 노출되어 있어 우리의 간은 끊임없는 해독작용에 시달리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현대인들은 불규칙한 식사, 스트레스, 과음, 흡연 등으로 간 기능이 손상되거나 인체에 치명적인 만성간염, 간경변 및 간암 등의 간질환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간질환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현재 간염,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로는 우르소데옥시콜린산, 면역자극제, 항바이러스제, 실리마린, 운지다당체, 비타민 B군, 메티오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약제들 중 어느 것도 아직까지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평상시 용이하게 섭취하여 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Ino)은 동아시아에서 주로 서식하는 수중생물로 경제 수종에 중요하다 (Marchant et, al. 2009). 전복은 단백질이 풍부하며 그것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다양하고 인, 철 및 요오드 등 미네랄과 비타민도 풍부하다. 이로 인해, 전복은 예로부터 고급 수산물로 취급되었는데, 피부미용, 자양강장, 산후조리 및 허약체질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고대부터 우수성을 인정받은 우리나라 전복에 대한 효능은 한의학 서적인 명의별람이나 규합총서 등에서는 "몸을 가볍게 하고 눈을 밝게 하는 전복의 효능"을 명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패류는 피로한 신경을 회복시키는 작용이 뛰어나며, 그 중에서도 전복은 눈이 침침하고 빽빽한 시신경 피로 증세를 가라앉히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전복의 껍질은 한방에서도 석결명(石決明)이라 하여 백내장에 요긴하게 쓰이고 있고, 목이 타거나 가슴이 저며 오는 증상을 해소하고 간장 기능을 강화하며, 몸이 허약할 때 전복을 끓여 먹으면 기운이 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전복 중 참전복(학명:Haliotis discus hannai Ino)은 중국에서 전복과(Haliotidea family)에 속하는 가장 경제적으로 중요한 종으로서 이 종은 일본의 연안, 한반도, 및 중국의 리아오닝(Liaoning) 및 산동(Shandong) 지역의 해안에 자연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체외수정을 하는 자웅이체 생물이며 성별은 성성숙도를 개별적으로 확인함으로써(즉, 난소는 암청색이고정소는 유백색을 띤다) 쉽게 구별된다.
특히, 완도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은 완도의 청정 미역, 다시마 등을 주로 먹고 자라며, 타우린, 메티오닌 등 우수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비타민과 미네랄 또한 타 지역에 비해 그 함량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종래 전복 추출물을 활용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42379호(전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10-1360760호(전복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등이 있다.
본 발명자는 에탄올 또는 1,3 BG(1,3 butylene glycol)를 이용한 전복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야기되는 간질환 이상을 개선함으로써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전복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물 또는 1,3 butylene glycol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전복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물 또는 1,3 butylene glycol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함으로써, 천연소재를 활용하여 부작용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간 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간 질환 개선을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에서 간 조직 내 mitochondria 분획의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활성을 측정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산화 효소 활성 조절 효과를 나타낸 결과.
도 2 은 본 발명에 의한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처리에 따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의 혈청 중의 AST와 ALT 측정 비율 조절을 통한 간 보호 및 손상 완화 효과를 나타낸 결과.
도 3 는 본 발명에 의한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처리에 따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의 간 조직 중 malondialdehyde(MDA)의 비율 조절을 통한 간 보호 및 손상 완화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처리에 따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의 간 조직 중 catalase(CAT)의 활성 비율 조절을 통한 간 보호 및 간 손상 완화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
도 5 은 본 발명에 의한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처리에 따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의 간 조직 중 glutathione peroxidase(GPx)의 활성 수치 조절을 통한 간 보호 및 간 손상 완화 효능을 보여주는 결과.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전복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1,3 BG(1,3 butylene glycol)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전복 추출물의 재료인 참전복은 육질 및 내장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복은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가공 없이 날 것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에탄올 추출물은 참전복의 육질과 내장을 발효하지 않고 전복 분말을 에탄올 10배에 해당되는 양에 용해시킨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3시간 동안 80℃에서 가열을 통한 환류추출법에 의해 분리 하였으며, 추출을 3회 반복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 및 침전물에 대하여 8㎛의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그리고 여과된 추출물은 전복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기 위해 6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1,3 BG 추출물은 참전복의 육질을 50%의 1,3 BG에 첨가하여 추출한 뒤 이때의 전복 분말을 증류수 10배에 해당되는 양에 용해시킨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3시간 동안 80℃에서 가열을 통한 환류추출법에 의해 분리 하였으며, 추출을 3회 반복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 및 침전물에 대하여 8㎛의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그리고 여과된 추출물은 전복의 1,3 BG 추출물을 얻기 위해 6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간 질환은 간 손상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방간, 간 섬유화, 간경화, 간암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화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봉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인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인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은 흔희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인 멸균된 주사용액, 외용제, 좌제 등은 비수성용제, 프로필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염증 질환의 진행 정도, 나이, 성별, 신체상태, 투여 기간, 투여 방법, 환자의 체중, 식사, 배출 속도 등에 따라 용량을 달리하여 투여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1 ~ 1000 mg/kg/일의 범위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참전복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HDE1)
참전복의 가식부위인 육질 및 내장을 분리하여 생리식염수로 수차례 세척한 후 균질화한 다음 -80℃의 동결건조기에서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에탄올 추출은 상기에서 준비된 분말시료 중량의 10배에 해당되는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3시간 동안 80℃에서 가열 환류추출법에 의해 분리 하였으며, 추출을 3회 반복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 및 침전물에 대하여 8㎛의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그리고 여과된 추출물은 참전복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기 위해 6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실시예 2. 참전복 1,3 BG 추출물의 제조 (HDE2)
참전복의 가식부위인 육질 및 내장을 분리하여 생리식염수로 수차례 세척한 후 참전복의 육질 부분을 50% 1,3 BG에 첨가하여 추출한 한 다음, 건조하여 준비된 참전복 추출물 분말 중량의 10배에 해당되는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3시간 동안 80℃에서 가열을 통한 환류추출법에 의해 분리하였으며, 추출을 3회 반복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 및 침전물에 대하여 8㎛의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그리고 여과된 추출물은 전복의 1,3 BG 추출물을 얻기 위해 6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실험예 1. 실험 준비
(1) 실험동물
체중 170~180g 내외의 7주령 암컷 흰쥐 (Sprauge-Dawley)를 나라바이토텍 (강남, 한국)에서 구입하여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간 실험환경 (온도 22ㅁ 2℃, 습도 55-66%, 명암주기 12시간으로 자동조절)에서 적응시킨 다음 실험에 착수하였다.
실험군은 평균체중이 유사하도록 난괴법에 의해 그룹당 3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정상대조군(Control), LPS 대조군(LPS), 참전복 에탄올 추출물을 일정 기간 (20일) 투여 후 21일째에 LPS로 간 손상을 유발시킨 군(LPS+HDE1), 참전복 1,3 BG 추출물을 일정 기간 (20일) 투여 후 21일째에 LPS로 간 손상을 유발시킨 군(DSS+HDE2)으로 분류한 다음 사육하였다.
(2) LPS에 의한 간 손상 유발
간염과 유사한 간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Lipopolysaccharide (LPS)는 내독소 (endotoxin)라고 부르며, 그럼 음성균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국소 염증, 항체 생산, 폐혈증과 같은 다양한 반응을 일으킨다(Kiyoshi Takeda, Tsuneyasu Kaisho and Shizuo Akira. oll-like receptors. Annu Rev Immunol. 21, 335-76. 2003.).
구체적으로, 7주령 암컷 흰쥐 (Sprague-Dawley)에서 전복 추출물을 체중(kg)당 100mg으로 20일간 투여한 후 21일째 되는 날 LPS를 생리식염수로 용해시켜 1.5ml/kg의 용량을 복강내로 투여하여 간 손상을 유발 후 4시간 후에 ether로 마취하고 희생시켜 후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층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였다. 간은 무게 측정 후 액체 질소로 급냉하여 실험전까지 -70℃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실험예 2. superoxide dismutase(SOD) 효소 활성 측정 방법
SOD 효소활성 측정은 Cyman사의 SOD assay kit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희석한 Radical buffer를 20 ㎕를 웰에 분주 후 Standard와 Sample을 각각 10㎕를 추가로 분주하고 여기에 xanthine oxidase 20ul를 분주한다. 그 후 shaker에서 20분간 반응시켜 준 뒤, 440~46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uperoxide anion은 호기적 대사과정에서 여러 가지 생화학적 반응으로 생성되며, 이것으로부터 생성되는 hydroxyl radical은 조직 및 거대분자를 파괴하여 기능을 상실케 한다. 미토콘드리아에서의 MnSOD를 포함하여 세포질의 Cuㅇ Zn SOD는 O2- 불균화 반응을 촉매하여 과산화수소로 빠르게 전환시켜 산소 자유기를 방어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Freeman. B. A and J. D.Crapo. Biology of disease free radicals and tissue injury. Lab. Invest 47412-426. 1982). SOD는 활성산소(ㅇO2-)를 보다 반응성이 약한 H₂O₂로 전환시키는 효소로 생체내 해독 체계중 하나이다(Crapo H. C., M. J. McCord. and I. Fridovich. Preparation and assay of superoxide dismutase., In "Methods in enzymology". New York: Fleischer, S. and Packer, I.(eds). Academic press. 382. 1978).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 조직의 SOD 활성은 LPS 투여 군인 대조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1.6 배 정도 낮게 나타났고, 대조군에 비해 전복 식품 원료 추출물 군 (C, D) 모두 활성에 대해 상승 효과를 나타내어 정상군으로의 회복을 보이며, 대조군에서는 LPS 투여로 인하여 간 염증이 유발됨에 따라 SOD 활성 정도가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대조군보다 시료군인 C, D에서 SOD 활성 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손상되어진 간 조직 기능을 회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3. 혈청 중의 AST와 ALT 측정
상기 실험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 사육이 끝난 실험쥐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70℃에 보관 후 사용하였으며, AST (sGOT)와 ALT (sGPT)의 level은 IDTox™ Aspartate Transaminase (AST) Color Endopoint Assay Kit, IDTox™ Alanine Transaminase (ALT) Color Endopoint Assay kit (ID LABS,Inc)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AST 및 ALT는 세포가 손상되었을 때 유리되어 혈중으로 분비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혈장에 존재하는 이들 효소의 양은 조직 세포 특히, 간 손상의 척도로 빈번하게 사용되어 왔다.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혈청 ALT(U/L) 수치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2.2배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군 중 C에서 51.25ㅁ 0.75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혈청 AST(U/L) 수치는 대조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약 1.4배 높게 나타났으나, 시료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4: 간 조직중 malondialdehyde (MDA)의 측정
간의 MDA 수치는 Ohkawa 의 방법 (Ohkawa H, Ohishi. M and Yagi. K. Assay for lipid peroxidation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tion. Anal. Biochem. 1979: 95;351-358) 을 약간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0.8% TBA (Thiobarbituric acid) 1.5㎖, 8.1% SDS 0.2㎖, 20% Acetic aicd 1.5㎖, 간 조직 0.2㎖ 과 Distilled water 0.6㎖를 혼합하여 준 뒤, 90℃의 water bath에서 한 시간 반응시켜 준다. 그 후 Distilled water 1㎖를 분주한 다음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532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 1,1,4,4-tetraethoxypropane을 사용하였다.
생체 내 지질 과산화물은 분자 내에 peroxide 결합을 갖는 지질의 총칭으로 hydroperoxide가 일반적이며, 그 외에 epoperoxide, polperoxide, cyclic peroxide등 지질과산화에 의한 최종산물을 MDA라고한다.
본 발명에서는 시료군인 C, D에 해당되는 추출물을 20일 동안 전 처리 한 후 21일 째 되는 날 LPS로 간 독성을 유도한 후 MDA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LPS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약 1.7배 정도 높게 나타났고 시료군중 C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MDA의 함량이 감소되어 짐으로써 참전복 에탄올 추출물이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높아진 간 조직 과산화지질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간기능 개선 효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도 3 참조).
실험예 5: 간 조직 중 catalase (CAT)의 활성 측정
간조직에서의 catalase의 활성은 catalase assay kit (cyman사, NO 70700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간 조직 20㎕에 30㎕ methanol, 100㎕ assay buffer, 20㎕ Hydrogen peroxide를 분주 한 후, 호일 처리하여 2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30㎕ potassium hydroxide, 30㎕ catalasepurpald를 혼합하여 준 뒤 호일 처리하여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여기에 추가로 10㎕ catalase potassium periodate를 분주 후 상온에서 5분간 반응 시켜 준 뒤 540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atalase는 과산화수소를 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로서 SOD와 함께 체내 항산화효소 system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에 의해 각종대사가 증진되어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SOD의 활성이 증가될 경우 catalase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Vergmeyer, H.U. (eds.) Aebi, H. Catalse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New York: Academic press, 2: 673-684, 1974.). Catalase는 세포내 peroxidesomes에 주로 분포 되어있고 H2O2 농도가 높을때 주로 작용 한다 (Bergmeyer, H.U., Bergmeyer, J., Grabl, M. (eds.). Abei, H. Catalase.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Verlag chemie 3: 273, 1983.).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간 조직에서 catalase 활성 정도는 LPS를 투여한 대조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약 1.1배 낮게 나타났고, 시료군 중 C군은 대조군에 비해 약 1.45배 상승된 효과를 보임으로써, LPS로 인한 간 염증 유발에 대해 참전복 에탄올 추출물이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생체 내 대사 과정 중 생성되는 과산화물로부터 생체의 조직을 보호하여 간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6: 간 조직 중 glutathione peroxidase (GPx)의 활성 측정
간의 glutathione peroxidase (GPx)의 활성 측정은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 (Biovisio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간 조직 50㎕와 reaction control 40㎕를 96 웰에 분주하여 준 뒤, 15분간 37℃에서 incubation 후 10㎕ 씩 cumene hydroperoxide를 추가 분주하였다. 그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을 T1으로 하고, 그 후 5분간 25℃에서 incubation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을 T2로 하여 GPx 활성을 측정였다. 표준시약은 NADPH (lyopphilized)를 사용하였으며 GPx 활성 측정값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B: T1과 T2의 NADPH 감소량
V: 간 조직의 총 볼륨
Glutathione은 glutamate, cysteine, glycine으로 구성된 tripeptide로서 세포 기능에 있어 항산화제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며, uric acid, Vitamin C 등과 함께 생체 내 주요 수용성 항산화제 중 하나이다. 세포 내 단백질 또는 peptide의 생리적, 화학적 조절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와 xenobiotics의 무독화에 관여한다. 이때 Glutathione은 체내에서 환원형(GSH)과 산화(GSSG)으로 존재하는데, 무독화에 참여한 GSH는 GSSG로 산화된 후glutathione reductase에 의해 다시 GSH로 환원된다. 그러므로 GSH와 GSSG는 체내에 얼마만큼의 산화적 손상이 있었는지의 척도가 될 수 있다(Johns, D.V., Brown, L.A., Sternberg, P. Variability in glutathione dependent detoxication in vivo and its relevance to detoxication of chemical mixtures. Toxicology 105: 267-274, 1995.).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났듯이 간 조직에서 GPx 활성 정도는 LPS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약 2.2배 정도 낮게 나타났고, 시료군중 C군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GPx 활성이 높았으며, 정상군과 비슷한 수치로서 참전복 에탄올 추출물이 활성산소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LPS의 투여로 인한 효소 불활성을 예방하여 간 조직의 손상에 대하여 회복 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1,3 butylene glycol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
  3.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1,3 butylene glycol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40155490A 2014-11-10 2014-11-10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6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490A KR20160056365A (ko) 2014-11-10 2014-11-10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490A KR20160056365A (ko) 2014-11-10 2014-11-10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365A true KR20160056365A (ko) 2016-05-20

Family

ID=5610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490A KR20160056365A (ko) 2014-11-10 2014-11-10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954A (ko) 2019-12-02 2021-06-10 에이치유원 주식회사 전복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식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954A (ko) 2019-12-02 2021-06-10 에이치유원 주식회사 전복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식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aeni et al. Review for application and medicine effects of Spirulina, microalgae
Zulaikhah Health benefits of tender coconut water (TCW)
Okolie et al. Seaweeds as a source of proteins for use in pharmaceuticals and high‐value applications
Xiao et al. The effect of boletus polysaccharides on diabetic hepatopathy in rats
Guo et al. Antihepatotoxic effect of corn peptides against Bacillus Calmette-Guerin/lipopolysaccharid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JP5154964B2 (ja) ローヤルゼリー分解酵素含有物
KR100999429B1 (ko) 비만 치료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효모 가수분해물
Subhani et al. Efficacy of Chlorella pyrenoidosa to Ameliorate the Hepatotoxic Effects of Aflatoxin B 1 in Broiler Chickens.
KR20160056365A (ko) 전복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06856B1 (ko)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KR101478196B1 (ko) 꾸지뽕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당뇨병 예방용 조성물
Bell et al.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of bark extract of Bixa orellana L.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oxidative stress
US20180015132A1 (en) Method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kidney diseases with lotus seedpod extract
Abozahra et al. Effect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Peel Methanolic Extract Dietary Supplementation on Oreochromis Niloticus Performance, Blood Health, Intestine Morphometry and Immunity
KR20180042920A (ko)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70065956A (ko)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20180013204A (ko) 메뚜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Elnaggar et al. Impact Of Ginseng (Panax Ginseng)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And Antioxidative Status Of Japanese Quail
Shehata et al. Effect of mushroom fungus feeding on induced hepatotoxicity rats
KR100498809B1 (ko)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효과, 강장효과,알코올해독,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34909B1 (ko) 갯질경의 신규 용도
KR20090068960A (ko) 흑마늘 및 홍삼 혼합추출액 함유 항산화용 건강보조식품조성물
JP2012056935A (ja) 酸化ストレスに起因する疾病の予防改善用組成物及びその用途
CN112587647B (zh) 鱼卵糖蛋白在保肝护肝制品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