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856B1 -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856B1
KR101906856B1 KR1020170073721A KR20170073721A KR101906856B1 KR 101906856 B1 KR101906856 B1 KR 101906856B1 KR 1020170073721 A KR1020170073721 A KR 1020170073721A KR 20170073721 A KR20170073721 A KR 20170073721A KR 101906856 B1 KR101906856 B1 KR 101906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enta
alcohol
liver
extract
resu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완식
박희규
Original Assignee
(주)이뮤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뮤노텍 filed Critical (주)이뮤노텍
Priority to KR102017007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절초 및 태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개선, 억제,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으며, 간보호 또는 항산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Novel composition comprising Chrysanthemum zawadskii}
본 발명은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 간보호,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에 효과적인 신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음주, 과로 등으로 인한 숙취, 간손상,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알코올은 신체대사를 촉진하는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과도한 섭취는 숙취, 간손상,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체에 있어 항산화 작용은 건강유지를 위해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으며, 식품, 의약품 등에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숙취, 간손상,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등 뿐만 아니라, 간보호, 항산화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식품과 의약품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구절초(九折草)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항비만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2926호 참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2926호, (2015.2.4), 명세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억제용, 간보호용, 또는 항산화용 신규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간보호용, 또는 항산화용 신규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구절초(九折草)와 태반이 상승작용에 의해, 숙취, 간손상, 및/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등의 치료, 예방, 억제, 및/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간보호 효과 및/또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구절초 및 태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조성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조성물은 구절초 및 태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억제용, 간보호용, 또는 항산화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조성물은 구절초 및 태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간보호용, 또는 항산화용일 수 있다.
치료는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관련된 증상의 개선, 경감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고, 예방은 질병 이전 단계에서 질병으로 발전되는 것의 억제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구절초(九折草)는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또는 산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Nakai) (국화과 Compositae)를 포함한다. 상기 구절초는 전초 또는 일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상부일 수 있다.
상기 구절초는 생구절초, 구절초건조물 또는 구절초용매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극성용매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저급알코올일 수 있으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일 수 있다.
상기 구절초용매추출물은 일 예로, 구절초열수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절초용매추출물의 일 구체예는 구절초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0중량부를 가하여 열수추출한 추출물을 30BRIX까지 진공농축한 진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형제 10중량부를 가하여 동결건조한 분말 상태의 동결건조물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일 수 있다.
상기 태반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태반으로, 예를 들어 돈(豚)태반일 수 있다.
상기 태반은 발효태반일 수 있다.
상기 발효태반은 바실러스에 의해 발효된 발효태반일 수 있다.
상기 구절초 60 내지 7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태반은 30 내지 40중량부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절초 6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태반은 40중량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 미만이나 초과시 효과가 불충분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구절초는 60 내지 70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태반은 30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중 상기 구절초는 60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태반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 미만 또는 초과시 효과가 불충분할 염려가 있다.
상기 알코올로 인한 약물 중독은 약물중독(drug intoxication) 중 알코올로 인한 것을 의미하며, 과량의 알코올이 체내에 유입되어 일어나는 약물중독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급성알코올중독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알코올로 인한 약물 중독에는 알코올중독(alcholism)은 제외될 수 있다.
상기 항산화는 상기 유효성분의 항산화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간보호는 상기 유효성분에 의한 항산화, 알코올 분해 증가, 알코올 디하이드로게나아제 활성 증가, 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게나아제 활성 증가, 간손상 억제, 또는 활성산소 생성 억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간손상은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선, 억제, 치료 및/또는 예방은 상기 유효성분에 의한 항산화, 알코올 분해 증가, 알코올 디하이드로게나아제 활성 증가, 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게나아제 활성 증가, 간손상 억제, 또는 활성산소 생성 억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선'은 '치료'에 포함되며, 상태 또는 증세가 호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억제'는 '예방'에 포함되며, 상태 또는 증세가 발생하지 않거나 병적 상태로 진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숙취의 치료, 개선, 예방, 또는 억제는 숙취해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유효성분을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95중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음료를 포함하는 식품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고, 음료, 껌, 차, 건강기능식품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대한민국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나트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조성물은 식품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약학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각각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제제화하여 투여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또는 젤라틴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또한, 마그네슘, 탈크 등 윤활제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주사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비강세척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주사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는 물, 비수성용제나 현탁용제와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또는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로 투여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기준으로, 성인의 경우 1일 1 ~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0~500mg/kg의 용량으로 사용가능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투여량 및 투여횟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효성분은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분 및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개선, 억제,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으며, 간보호와 항산화가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예비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세포내 항산화 활성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항산화 활성 분석(ABTS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환원력 측정(FRAP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산소라디칼 흡수능 분석(ORAC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시험관실험에서 ADH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시험관실험에서 ALDH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동물실험에서 혈중 AST 및 ALT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동물실험에서 혈중 활성산소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동물실험에서 간 조직 분석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시약 등은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최상급을 사용하였으며, 시그마사 등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그룹간의 유의적인 통계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p<0.05의 유의수준에서 던칸 다중범위 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하였다.
<실시예 1> 구절초및태반 조성물 준비
구절초추출물은 구절초(세종자치시에서 재배됨) 전초 20kg에 정제수(20배량)를 투입하여 4시간 가압열수추출한 후,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준비하였다. 가압열수추출조건은 121℃, 1.5kg/cm2이었다. 동결건조는 가압열수추출된 추출물을 여과(300메쉬 여과망) 후, 연속식진공농축기로 30BRIX까지 농축하고 살균(90℃이상, 10분)한 후, 여과(150메쉬 여과망)한 농축물(23kg, 고형분함량 30중량%)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2.3kg)을 혼합 후,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생산수율은 89.1%이었다. 생산수율은 실생산량을 이론생산량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는 방식으로 계산하였다. 이론생산량은 9.2kg이었고, 실제생산량은 8.2kg이었다.
발효태반은 세진 바이오텍(한국)에서 입수한 후,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준비하였다. 발효태반은 돈태반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로 발효한 것이었다. 준비된 구절초추출물과 발효태반을 중량기준으로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절초및태반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와 같은 혼합비는 아래의 예비실험결과에 따른 것이었다.
<예비실험>
구절초추출물과 발효태반 혼합비를 결정하기 위한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분석에 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절초추출물과 발효태반의 농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구절초추출물과 발효태반 각각의 시료 100mg, 200mg, 300mg, 400mg, 500mg, 600mg, 700mg, 800mg, 900mg, 1,000mg을 각각 100ml의 에탄올에 녹인 후, 시료와 표준용액 0.1ml을 50μΜ 농도의 DPPH 용액 2.9ml과 교반시켜 어두운 곳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예비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x축은 처리농도를 나타내고, y축은 항산화능(%)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절초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낮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구절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600 mg/100mL의 농도에서, 발효 태반의 항산화 활성은 400 mg/100mL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하의 모든 실험에서는 상기 최대치의 농도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이하의 실험에서, 시료로 구절초 추출물은 600 mg/100mL의 농도의 것을 사용하고, 태반은 400mg/100mL의 농도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은 구절초추출물과 발효태반을 중량기준으로 6:4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1000mg/100mL의 농도로 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시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이 구절초추출물, 태반에 비하여, 상가 효과 이상의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우선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아래와 같이 확인되었다.
<효과 확인 1> 항산화 효과 확인
1-1. 세포내 항산화 활성 분석 실험
DCFH-DA(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는 세포 내로 들어가면서 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cellular esterase)에 의하여 디아세테이트(diacetate)가 잘려나가 더욱 극성을 띄는 DCFH(2',7'-dichlorofluorescin)로 된다. ABAP[2, 2′-azobis-(2-Amidino propane) di-Hydro Chloride]를 처리하게 되면 세포 내로 들어가서 자발적으로 페록시 라디칼(peroxyl radical)을 형성하는데, 이들은 더 많은 라디칼 생성을 위해 세포막을 공격하고, 세포 내의 DCFH를 형광을 띄는 DCF(2',7'-dichlorofluorescein)로 산화시킨다. 세포막을 투과해 세포 내로 들어간 항산화물질은 DCFH와 막지질의 산화를 막고 DCF의 형성을 줄여서 항산화 효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일련의 기작을 이용, 형광도 측정을 하여 시료의 세포 내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간암세포주(HepG2)를 24시간동안 배양 후,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척한 다음 25uM의 DCFH-DA와 각각의 시료(구절초 추출물, 태반, 실시예 1)를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배양 후 600uM ABAP를 처리하였다. 이를 485nm/538nm에서 60분간 형광도의 변화 측정하여 곡선하면적 값(Area Under Curve; AUC)을 구함으로써 항산화능을 검증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처리를 제외하고, 실험군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세포내 항산화 활성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실험군을 나타내고, y축은 DCF형성비(%)를 나타낸다. DCF형성비는 대조군의 AUC를 100으로 하여, 각 실험군의 AUC를 대조군에 대한 상대비율로 구한 값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태반의 세포내 항산화 활성이 구절초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세포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은 발효태반이 나타내는 효과와 구절초 추출물이 나타내는 효과의 단순한 합에 해당하는 상가 효과 이상의 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2. ABTS 분석
산화를 띈 물질인 ABTS(매우 안정된 산화 자유라디칼)에 대한 시료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보고, 항산화능을 측정 및 계산하였다. 각각의 시료(구절초 추출물, 태반, 실시예 1)의 농도별 항산화 능력을 테스트하고 항산화제로 효과를 인정받은 Vitamin C와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0mM의 AAPH [2,2'-azobis-(2-amidinopropane) HCl]와 2.5mM의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를 100mL의 PBS에 녹여서 ABTS가 라디칼 활성을 띄도록 하였다. 이를 70℃ 수조에서 30분 간 가열해주며 매 5분마다 교반하였다. 가열한 라디칼을 실온에서 식힌 후, Acrodisc LC13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0.45um의 주사기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면서 녹지 않은 부유물을 제거하였다. 여과된 라디칼을 734nm에서 PBS를 이용하여 0.63~0.67 사이로 흡광도 값을 보정하였다. 20ul의 시료와 980ul의 라디칼을 혼합하여 37℃에서 16분간 반응시킨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하는 동안 라디칼의 온도를 항상 37℃로 유지하였다. 결과값을 비타민 C를 이용한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Vitamin C Equivalents Antioxidant Capacity (VCEAC)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항산화 활성 분석(ABTS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실험군을 나타내고, y축은 Vitamin C Equivalents Antioxidant Capacity (VCEAC)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태반의 항산화 활성이 구절초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1-3. 환원력 측정
각각의 시료(구절초 추출물, 태반, 실시예 1)의 환원력 측정은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에 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를 1mL의 증류수에 희석하여 0.2M 인산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6.6) 1mL와 1% 페리시안화 칼륨(potassium ferricyanide) 1mL을 첨가하여 50℃에서 20~30분간 반응시킨 후, 10%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1mL을 첨가한 다음, 3000 rpm에서 10~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 1mL에 증류수 1mL, 0.1% 염화제이철(ferric chloride) 0.1mL을 첨가하여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값을 비타민 C를 이용한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Vitamin C Equivalents Antioxidant Capacity(VCEAC)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환원력 측정(FRAP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실험군을 나타내고, y축은 Vitamin C Equivalents Antioxidant Capacity (VCEAC)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태반의 환원력이 구절초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1-4. 산소라디칼 흡수능 분석
각각의 시료(구절초 추출물, 태반, 실시예 1)에 대하여, 산소라디칼 흡수능 분석(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74uM의 PBS(pH 7.4)에 희석한 시료 20uL를 플루오레세인 (fluorescein) 160uL와 혼합한 후 37℃에서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AAPH 100uL을 첨가 후 60분 동안 형광도를 측정하고(485/528nm), 각각의 곡선하면적(Area Under Curve; AUC)을 구하여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산소라디칼 흡수능 분석(ORAC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실험군을 나타내고, y축은 AUC(Area Under Curve)를 나타낸다. AUC값이 클수록 항산화능이 큰 것을 나타낸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태반의 항산화능이 구절초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실시예 1이 월등하게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이 발효태반과 구절초추출물이 각각 나타내는 항산화효과에 비해, 우수한 상승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우수한 항산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예 1의 간보호 효과, 숙취, 간손상, 및/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의 치료, 예방, 개선 및/또는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효과 확인 2> 시험관실험
2-1. ADH 분석
각각의 시료(구절초 추출물, 태반, 실시예 1)에 대하여,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5ml 튜브에 50mM Sodium Pyrophosphate Buffer 1.2ml, 95% 에탄올 0.1ml, ß-NAD(β-Nicotinamide-adenine dinucleotide) 1.5ml, 시료 0.1ml, ADH 효소용액 0.1ml을 넣어 30초 간 교반한 후, 6분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에 대해서는 시료를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시료투여군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실험군에 대한 ADH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측정값을 100%로 하여, 그에 대한 상대값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ADH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실험군을 나타내고, y축은 ADH활성(%)을 나타낸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태반의 ADH활성(알코올분해능)이 구절초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ADH활성(알코올분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은 발효태반과 구절초 추출물의 상가효과 이상의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2. ALDH 분석
각각의 시료(구절초 추출물, 태반, 실시예 1)에 대하여, ALDH(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5ml 튜브에 탈이온수(Deionized Water) 2.22ml, 1M Tris-Hydrochloride Buffer 0.3ml, ß-NAD 0.1ml, 3M Potassium Chloride Solution 0.1ml, 100mM Acetaldehyde Solution 0.05ml, 1M 2-Mercaptoethanol Solution 0.03ml, 시료 0.1ml, ALDH 효소용액 0.1ml을 넣어 30초 간 교반한 후, 5분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에 대해서는 시료를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시료투여군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실험군에 대한 ALDH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측정값을 100%로 하여, 그에 대한 상대값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ALDH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실험군을 나타내고, y축은 ALDH활성(%)을 나타낸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태반의 ALDH활성(알코올분해능)이 구절초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ALDH활성(알코올분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은 발효태반과 구절초 추출물의 상가효과 이상의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이 체내 알코올 대사 특히 숙취와 관련된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ADH, ALDH 활성 증가 등에 의해, 간손상,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 및/또는 숙취의 치료, 예방, 억제, 및/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월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간보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효과 확인 3> 동물실험
알코올 유도된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간보호 효과, 및/또는 간손상의 치료, 예방, 개선 및/또는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3-1. 동물 준비 및 처리
총 40마리의 6주령 수컷 SD 랫츠(rats)를 사용하였으며, 1주간의 적응기간 동안 일반사료를 급여하면서 랫츠를 대조군(control group)과 4개의 실험군(test group) 등 모두 5개 그룹으로 8마리씩 그룹화한 후 4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알코올 유도를 위해 발효 에탄올(주정; ethyl alcohol)을 이용하여 대조군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군에 4주간 매일 100% 주정을 물에 25%로 희석하여 1.75 mL씩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군(test group)의 4개 그룹 중 3개 그룹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정을 투여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의 시료(에탄올에 용해한 구절초 추출물 600 mg/100mL, 에탄올에 용해한 태반 400 mg/100mL, 에탄올에 용해한 실시예 1 1000 mg/100mL)를 각각 1mL씩 물에 희석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4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ALT(Alanine aminotransferase), AST(Asparatate aminotransferase), 혈중 활성산소를 측정함으로써 간 손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해부 후에 수집된 혈액은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취득한 후 분석 전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또한, 간 조직을 적출하여 간을 염색한 후, 촬영하여 손상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었다.
3-2. AST 및 ALT분석
AST, ALT 수치는 Cobas C111 analyz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혈중 AST 및 ALT 분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실험군을 나타내고, y축은 혈중 AST 및 ALT(IU/L)를 나타낸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코올 투여군에서 AST와 ALT 수치가 대조군 대비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주정에 의해 간손상이 유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T와 ALT는 간세포에서 발현되는 효소로 간이 자극에 의해 손상되었을 때, 혈액 내로 방출되어 간손상을 알리는 지표가 되기 때문이다. 알코올 투여군에 비하여, 구절초추출물 투여군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태반투여군은 구절초추출물 투여군에 비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의 경우는 태반투여군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며, 이와 같은 효과는 실시예 1이 발효태반과 구절초 추출물의 상가효과 이상의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3. 활성산소 측정
혈중 활성산소는 FORM analyz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는 혈중 활성산소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실험군을 나타내고, y축은 활성산소수치{Fort(free oxygen radicals test) Unit}를 나타낸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정에 의해 알코올 투여군에서 활성산소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활성산소 억제면에서, 구절초추출물 투여군은 알코올 투여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태반투여군은 구절초추출물 투여군에 비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의 경우는 태반투여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나며, 이와 같은 효과는 실시예 1이 발효태반과 구절초 추출물의 상가효과 이상의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4. 간 조직 분석
쥐의 간 조직을 채취한 후, 면도날을 사용하여 wax panel에 놓고 모양을 다듬은 다음, 각각 1cm 정도의 정육면체 형태로 잘라준다. 다듬은 조직을 cassette에 넣고 10% 포르말린에서 약 6~12시간 넣어 고정한다. 수돗물로 약 2~4시간 세척해준 후, 70% 에탄올로 45분 동안 침지, 95% 에탄올로 45분 동안 침지 후, 다시 새로운 95% 에탄올로 45분 동안 침지, 100% 에탄올로 45분 동안 침지, 다시 새로운 100% 에탄올로 45분 동안 침지시켜준다. 자일렌(xylene)으로 30분 동안 반응 후, 새로운 자일렌으로 30분 동안 반응시켜준다. 60℃ 오븐에서 액체 파라핀 용기에 조직을 넣고 잘 흔들어 기포를 제거한 후, 약 1시간 정도 넣어 둔다. 틀에 원하는 조직 부위가 바닥을 향하게 심는다. 파라핀이 중간에 굳지 않도록 빠르게 진행하고, 4℃ 냉각판에 놓고 잘 식힌다.
조직은 회전식 박절기 (rotary microtome HM 340E; Microm Co., Walldorf, Germany)를 사용하여 절개면 중앙부위에서 수직방향으로 4㎛의 두께로 박절하여 50% 알코올을 묻힌 slide glass에 올려 부유온수조에 옮긴다. 부유온수조(43℃)에 띄워 파라핀 절편의 주름을 펴고, 이를 새 slide glass에 붙인 후, 실온에서 말린다. 말린 slide glass를 60℃ 오븐에 넣어 약 하루 동안 탈파라핀을 행한 후, 실온으로 식힌 다음, 자일렌에 약 5분 간 넣어둔다(2회). 다시 100% 에탄올에서 2분 동안 침지(2회), 95% 에탄올에서 2분 동안 침지(2회), 70% 에탄올에서 2분 동안 침지, 마지막으로 수돗물에서 10분 동안 세척해준다. Harris hematoxylin으로 30초 동안 반응시켜준 후, 10분간 세척한 다음, 에오신(eosin)으로 1분 간 반응시켜준다. 다시 95% 에탄올로 10초 간 침지(2회), 100% 에탄올로 10초 간 침지(2회), 마지막으로 자일렌으로 2분 간 반응시켜준다. Canada balsam 용액을 자일렌에 섞어 slide glass위에 한 방울 떨어뜨리고 덮개유리(cover glass)를 덮어 실온에서 2일 간 말린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며, 간조직의 핵은 파란색으로, 세포질은 핑크색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은 간 조직 분석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조직에 있어서 대조군(control)은 가장 정상적인 간의 세포 상태를 나타내었고, 알코올 처리군은 알코올 유도에 의해 간 조직의 괴사흔적을 볼 수 있었다. 구절초 추출물에 의한 간손상 보호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던 반면, 발효태반에 의한 간보호 효과는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1 처리군(구절초 + 발효태반)에서 간 조직의 손상정도가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간을 보호해주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간보호 효과, 및/또는 간손상의 치료, 예방, 개선 및/또는 억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개선, 억제,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으며, 간보호와 항산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식품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구절초및태반 조성물을 에탄올에 1000mg/100mL 농도로 녹인 용액(10중량 %), 액상과당(0.5중량%), 올리고당(2중량%), 설탕(2중량%), 및 식염(0.5중량%)에 물을 추가하여 잔량을 맞춘 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약학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구절초및태반 조성물 100mg, 옥수수 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구절초 및 발효돈태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억제용, 간보호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절초는 생구절초, 구절초건조물 또는 구절초용매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식품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식품조성물.
  4. 삭제
  5. 구절초 및 발효돈태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간손상, 또는 알코올로 인한 약물중독(intoxicati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간보호용, 또는 항산화용 약학조성물.
KR1020170073721A 2017-06-13 2017-06-13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KR101906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21A KR101906856B1 (ko) 2017-06-13 2017-06-13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21A KR101906856B1 (ko) 2017-06-13 2017-06-13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856B1 true KR101906856B1 (ko) 2018-10-12

Family

ID=6387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721A KR101906856B1 (ko) 2017-06-13 2017-06-13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113A (ko) 2019-02-19 2020-08-27 정읍시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2955B1 (ko) * 2019-12-13 2021-05-17 유바이오주식회사 돈태반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 간 보호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66B1 (ko) * 2006-04-17 2007-09-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구절초 추출물
KR100901138B1 (ko) * 2008-03-18 2009-06-0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돼지 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돼지 태반 추출물을포함하는 건강식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66B1 (ko) * 2006-04-17 2007-09-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구절초 추출물
KR100901138B1 (ko) * 2008-03-18 2009-06-0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돼지 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돼지 태반 추출물을포함하는 건강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113A (ko) 2019-02-19 2020-08-27 정읍시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2955B1 (ko) * 2019-12-13 2021-05-17 유바이오주식회사 돈태반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 간 보호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ha et al. Acute and subacute toxicity of methanol extract of Syzygium guineense leaves on the histology of the liver and kidney and biochemical compositions of blood in rats
KR101316806B1 (ko) 글루타치온과 실리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간보호용 조성물
Park et al. Olive leaf down-regulates the oxidative stress and immune dysregul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Yurkiv et al. Antioxidant effects of medicinal mushrooms Agaricus brasiliensis and Ganoderma lucidum (higher Basidiomycetes): evidence from animal studies
KR101906856B1 (ko) 구절초를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
WO2013010489A1 (zh) 杜仲提取物、其制备方法和应用
Pyun et al. Protective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and Aronia melanocarpa extracts on alcoholic liver disease (in vitro and in vivo study)
El-Khayat et al. Potential effects of bee honey and propolis against the toxicity of ochratoxin A in rats.
CN104093411B (zh) 含有小球藻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肝脏疾病的组合物
Ajilore et al. Protective effects of Moringa oleifera Lam. on cadmium-induced liver and kidney damage in male Wistar rats
JP6638161B2 (ja) 脂肪蓄積抑制用飲食品組成物、脂肪肝の予防又は治療用飲食品組成物及び脂肪酸合成酵素抑制用飲食品組成物
US20140271942A1 (en) Botanical extract from the aqueous stream of the palm oil milling process for the prevention and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 and haemolysis in human red blood cells
Seven et al. The ameliorative effects of propolis against Cyclosporine A induced hepatotoxicity and nephrotoxicity in rats.
KR20150051597A (ko)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WO2020248964A1 (zh) 盐肤木果实在制备治疗或预防肝纤维化的药物中的应用
KR101072247B1 (ko)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Mirzaei et al. Hepatoprotective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queous cherry extract on rats
Daryoush et al. Brassica rapa L. extract alleviate early hepatic injury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Khani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Eryngos on Plasma Concentration of Blood Glucose, Blood Cells and Pancreatic Tissue in Diabetic Rats.
DASH et al. Evaluation of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the aerial parts of Phyllanthus reticulates against paracetamol induced hepatic damage in rats
Dewanti et al. Steeping from green and black robusta coffee beans increase viability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and salivary leukocytes which is induced by streptococcus mutans
KR101734909B1 (ko) 갯질경의 신규 용도
KR20180111479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기능성 조성물
TWI510244B (zh) 龍葵萃取物用於降低體脂肪、體重及治療脂肪肝炎
KR101436214B1 (ko) 대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 분해 촉진 및 숙취 해소용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