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247B1 -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 Google Patents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247B1
KR101072247B1 KR1020090015488A KR20090015488A KR101072247B1 KR 101072247 B1 KR101072247 B1 KR 101072247B1 KR 1020090015488 A KR1020090015488 A KR 1020090015488A KR 20090015488 A KR20090015488 A KR 20090015488A KR 101072247 B1 KR101072247 B1 KR 101072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e
milk thistle
processed
group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566A (ko
Inventor
이선미
조태형
오선택
차지민
신은주
심규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유니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유니베라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2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용도 및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milk thistle)의 배합요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은 급성 간독성, 간염, 지방간 등의 간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이를 밀크씨슬과 배합한 배합제제도 급성 간독성, 간염, 지방간 등의 간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본 발명의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제제는 각종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알로에 베라, 간질환, 밀크씨슬

Description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Processed Aloe vera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hepatic disease and a combination therapy processed Aloe vera with milk thistle}
본 발명은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신규한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밀크씨슬(milk thistle) 배합요법에 관한 것이다.
간은 외부로부터 들어온 독성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고 생체외 물질의 대사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장기로서, 즉, 섭취한 각종 영양소를 생체에 필요한 형태로 전환시키고, 알부민등과 같은 생명유지에 필요한 각종 물질을 합성하며, 생체이물질 (xenobiotics)을 체외로 배설하기 쉬운 상태로 전환 (biotransformation)시키기도 하는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생체 내로 들어온 생체외 물질은 일단 간을 통과하기 때문에, 간은 영양소 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높고 다른 장기보다 손상 받을 가능성이 많다.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에는 충분히 회복된다. 그러나 과도한 스트레스, 흡 연, 환경오염에 의한 화학물질에의 노출, 음주 및 바이러스 감염, 담즙 분비정지 등에 의해 지속적 손상을 받게 되면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간 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고 손상부분은 정상으로 회복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결국 간 섬유화를 거쳐서 치명적인 간 경화를 일으킬 수 있고, 간 경화는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간 질환은 초기단계에서는 통증이나 자각증세가 나타나지 않고, 말기에 이르러서야 발견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불가능하고 그에 따른 사망률도 높은 질환이다. 이처럼, 간 질환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효과적인 간 질환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 질환의 경우에는 항바이러스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최근에는 알코올 및 환경오염으로 늘어나고 있는 독성물질에 의한 간 질환의 경우에는 아직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드물다. 이에, 간 조직의 구조 및 기능을 유지하면서 간 손상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약물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임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간질환 치료제로는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에서 분리한 실리마린, 오미자의 성분인 쉬잔드린(schizandrin)과 유사한 인공합성물질인 디메틸 디메톡시 비페닐레이트(dimethyl dimethoxy biphenylate), 우르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 cholic acid) 및 비타민 B 복합군 등이며 그 질환의 심각성에 비해 치료제의 종류가 많지 않고 부작용도 빈번히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볼 때 천연물의 경우 오래 전부터 임상적 효능이 입증되어 왔고 일반적으 로 화학물질보다 부작용이 적으므로 천연물로부터의 간질환 치료제의 개발은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알로에는 백합과에 속하며, 여러 종이 있으나 그 중 가장 흔하고 널리 알려진 종은 알로에 베라 (Aloe vera)이다. 알로에는 예부터 창상치료, 불면증, 위장병, 변비, 통증, 가려움증, 두통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 여러 지역에서 민간 약초로 사용 되어 오고 있다. 현재까지 여러 종류의 화학적 유효성분들이 밝혀져 왔으며 이와 관련하여 알로에의 약리학적 효능으로서 항궤양효과, 방사선 조사로 인한 병변에 대한 치료효과, 항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소염 작용, 항종양작용, 상처치유 효과, 면역조절작용, 탐식작용의 촉진,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및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작용 등이 보고 되고 있다.
밀크씨슬은 해바라기과의 약용식물로서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이라는 학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밀크씨슬은 간장 내 GSH의 결핍을 방지함으로써 간보호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하며, 담즙의 흐름을 증진시켜 담석을 예방 혹은 치료하는 기능이 있으며, 더 나아가 간경변과 바이러스성 간염 (hepatitis)을 포함한 일련의 간질환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가지고 있다. 또한 비타민 C와 E보다 더욱 강력한 항산화제로 불안정한 자유기 분자들로부터의 조직 손상을 억제한다.
CCl4는 대표적인 급성 간 독성 유발 물질로 현재까지 CCl4의 정확한 작용기 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체내로 흡수된 CCl4가 간장 내 약물대사 효소계에 의해 ·CCl3 (trichloromethyl radical)로 대사되어 세포막의 지질과산화를 초래하여 막의 구조와 기능을 파괴함으로써 간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이 파괴되게 되면 간 세포질 내에 널리 존재하는 효소인 ALT 및 AST가 혈액으로 유출되므로 혈액 내 ALT 및 AST수치는 간손상의 지표로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또한, CCl4에 의한 간 손상의 주된 기전이 ·CCl3에 의한 산화적 손상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므로 지질과산화와 간장 내 GSH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의 산화적 손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볼 수 있다. 지질과산화는 세포막의 투과성을 항진시킬 뿐 아니라 전반적인 세포 독성을 초래하여 세포 기능 저하 및 괴사에 관여하여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질환의 병리 현상을 유발하므로 병적 현상이나 조직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되며,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가 지질과산화의 최종 산물이다.
CCl4에 의한 간세포 손상시 커퍼 세포(Kupffer cell)의 활성화를 통해 강력한 염증 매개 인자인 TNF-α 및 COX-2의 발현이 증가한다. 이 중 TNF-α는 직접적으로 간세포를 손상시키기도 하나, 호중구 및 다른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인터루킨-1(interleukin-1)과 인터루킨-6, 및 포스포리파제 A2 (phospholipase A2)를 활성화시켜 염증 반응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TNF-α는 보체계 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조직 손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COX-2는 사이토카인(cytokine) 및 성장인자(growth factor)와 같은 여러 염증 유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며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과 같은 강력한 염증 매개 인자의 분비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또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대사에 관여하여 강력한 염증 매개 인자인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s) 생성을 촉진하는 효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CCl4투여 시 헴-단백질(heme-protein)인 iNOS에 의해서 과도한 NO가 생성되며, 생성된 NO는 산소와 잔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퍼옥사이드(superoxide)와 반응하여 독성이 매우 강한 ONOO-를 생성하게 되어 NO로 매개되는 세포 손상을 유발한다. 산화적 손상시 발현이 증가되는 HO-1은 헴(heme)의 대사뿐 아니라 광범위한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작용을 나타내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헴(heme)은 HO-1에 의해 일산화 탄소, 유리 철(free iron) 및 빌리버딘 IX(biliverdin IX)로 분해되며, 빌리버딘 IX는 빌리버딘 리덕타제(biliverdin reductase)에 의해 빌리루빈 IX(bilirubin IX)로 전환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생성된 일산화탄소는 세포의 고사를 억제하며 세포 내 항염증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빌리버딘 IX 및 빌리루빈 IX는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어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한다.
GalN을 흰쥐에 투여하게 되면 인간에서 나타나는 간염과 유사한 간질환이 유발된다. 아미노당인 GalN은 갈락토즈(galactose)의 대사 장애를 통한 UTP, UDP 및 UMP 등의 농도 감소로 우라실-의존성 RNA 합성(uracil-dependent RNA synthesis)을 저해하여 단백질 및 지질의 합성을 억제하며, 또한 세포막 성분 중 탄수화물의 조성과 세포 내 Ca2+ 농도를 변화시켜 세포막 구조의 변형을 가져오게 되어 바이러스성 간염과 유사한 형태의 세포괴사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alN은 세포막의 지질과산화를 유발하며 GSH 뿐만 아니라 비타민 C,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제(catalase) 등과 같은 산화적 손상에 대해 방어하는 다양한 항산화 효소 등을 과도하게 소비하여 간세포 손상을 일으킨다.
ANIT는 설치류에서 일시적으로 담즙 울체를 유발시키는 물질로 ANIT 투여로 유도된 실험적 담즙 울체 모델은 인간의 담세관 간염(cholangiolitic hepatitis)과 매우 유사하다. ANIT로 유발되는 담즙 울체에 관한 연구는 형태학적, 화학적 및 대사학적 측면에서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지만, 그 기전이 여전히 불분명하나 최근에는 ANIT가 담관 내 타이트 정션(tight junction)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담즙성분을 혈관 내로 역류시킴으로써 담즙 울체를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ANIT유도 담즙 울체의 대표적인 병리로 담관 상피세포의 괴사, 담즙 분비의 감소, 간 실질세포의 손상 및 고빌리루빈혈증이 나타난다. 따라서 ANIT로 유발되는 간 장애 모델에서는 혈청 내 ALT 및 AST 활성뿐 아니라 혈청 중 총 빌리루빈과 담즙 분비량이 모델의 지표로 이용된다.
지방간은 간장에서의 지질 단백질 형성 및 방출의 저해 또는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합성의 항진에 의해 발병된다고 알려져 있다. 에티오닌(Ethionine)은 RNA와 단백질의 합성을 억제하여 간에서 ATP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중성지방의 혈장으로의 배출을 저해하며, 또한 지질단백질의 합성도 저해하여 이차적으로 간으로부터 지질의 방출을 억제하므로 에티오닌 투여시 간조직내 중성지방이 축적되고 혈중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양은 급격히 저하되어 미세수포 지방증 (microvasicular steatosis)을 일으킨다. 따라서 에티오닌으로 유발되는 지방간 모델에서는 간조직 내 중성지방 함량 및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모델의 지표로 이용된다.
간섬유화는 대부분의 만성 간질환시 발생되는 일반적인 병리 현상이며 비가역적인 간손상인 간경변으로 진행하게 되는 중요한 단계로 간 실질세포 내에 과도하게 생성된 세포외 기질 (extracellular matrix)의 축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만성 간질환시 간세포가 손상되면 간성상 세포(hepatic stellate cell)와 커퍼 세포(Kupffer cell)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각종 사이토카인과 활성산소 등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활성화된 간성상 세포에 의해 세포외 기질이 이상 증식되어 간섬유화로 진행하게 된다.
간섬유화시 고도로 생산되는 결합조직단백에는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proteoglycan), 당단백질, 히알유론산(hyaluronic acid)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콜라겐으로 이는 Gly-Xaa-Yaa의 특이한 아미노산 배열을 갖고 있으며 Yaa위치에 프롤린(proline) 또는 히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이 배열되어 있다. 특히 히드록시프롤린은 콜라겐에만 특이적으로 10% 정도 함유되어 있어 간조직 중의 히드록시프롤린을 측정함으로써 간조직 내 콜라겐 양을 예측할 수 있다. In vitro 실험에서 지질과산화는 섬유아세포와 간성상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 생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와 지질과산화 산물인 MDA는 세포변성 변화(cytopathic change)과 콜라겐형성 유전자 전사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만성 간질환시 간성상 세포와 커퍼 세포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TGF-β1은 간성상 세포를 활성화 시키며, 활성화된 간성상 세포에 의해서 TGF-β1 활성이 재발현되어 이로 인해 간세포의 사멸이 유도되는 악순환이 진행된다.
결합조직이 과다 침착하는 현상은 섬유소 생성과 섬유소 용해 간의 균형이 파괴됨으로써 나타난다. 섬유 용해 과정에서 세포외 기질을 분해시키는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는 그 대상기질에 따라 1, 3형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1, 5, 당단백질과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을 주로 분해하는 MMP-3, 10 및 4형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2, 9 등이 있다. 간섬유화시 대부분의 MMPs의 활성이 억제되나 이와는 달리 MMP-2는 콜라겐의 분해뿐 아니라 간성상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간섬유화의 진행을 촉진 시킨다. 또한 다른 MMPs인 MMP-1, MMP-3, 및 MMP-9은 TIMP-1에 의해 활성이 억제되므로 간섬유화시 TIMP-1의 발현 증가는 MMP-2의 발현의 증가와 더불어 간섬유화의 진행의 중요한 인자로 여겨진다.
본 발명자들은 가공된 알로에 N-931의 급성 간독성, 간염모델, 지방간 모델 등 다양한 간 질환 모델에서의 효능을 연구하던 중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이 급성 간독성, 간염 및 지방간 등 간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임을 발견하였고, 또한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밀크씨슬을 배합하여 투여한 경우에도 우수한 간 질환 치료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간 질환에 예방 및 치료효능을 나타내는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밀크씨슬의 배합제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라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밀크씨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밀크씨슬의 중량비는 1:0.1~10,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1.2 내지 2인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간 질환은 자가면역성 간 질환, 약물 유인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감염성 간 질환, 및 선천성 대사성 간 질환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질환, 바람직하게는 급성 간 질환, 간염, 담즙 울체, 지방간, 및 만성 간 질환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을 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되며 추가로 밀크씨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을 0.01 내지 95 중량% 포함하는 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a) 알로에 베라(Aloe vera) 잎을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
(c) 60 내지 100℃에 1 내지 30분간 노출시키는 단계; 및
(d)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단계 (a)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 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단계 (a)에서 용매 추출시 알로에 베라를 2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단계 (a)의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알로에 베라 중량의 3 내지 6배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c)에서 단계 (b)로부터의 농축액을 60 내지 100℃에 1 내지 10 분간 노출시켜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d)에서 -60 내지 -10℃에서 6 내지 50시간 동안 동결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은 세척하여 절단한 알로에 베라(Aloe vera) 잎을 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시켜 60℃~100℃에 단시간동안 노출시킨 후 이를 동결건조시켜 얻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이하 "알로에 N-931"이라 한다.
본 발명의 가공된 알로에 N-931은 바람직하게는 (a) 알로에 베라(Aloe vera) 잎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b)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 (c) 60℃~100℃에 단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분 동안 노출시키는 단계; 및 (d)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거쳐 수득된다.
상기 단계 (a)에서, 추출용매로 물,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극성용매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하거나, 경우에 따라 이를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물, C1-4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a)에서, 알로에 베라는 2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계(a)에서,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 전 알로에 베라로부터 섬유소를 제거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 단계 (b)로부터 수득된 농축액은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8℃에1 내지 30분간, 1 내지 20분간, 또는 1 내지 10분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d)에서, 본 발명의 가공된 알로에 N-931은 -6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에서 6 내지 50시간, 또는 10 내지 48 시간, 또는 20 내지 48시간 동안 동결건조 되어 수득될 수 있다.
상기한 온도 범위내에서 추출, 멸균 및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얻어진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경우,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간 질환"에는 자가면역성 간질환, 약물 유인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감염성 간질환, 선천성 대사성 간질환, 및 원인이 불분명한 간질환이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급성 간 질환, 간염, 담즙 울체, 지방간, 및 만성 간 질환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이란 건강한 대상에게 제약 조성물과 같은 제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하여 본원에서 언급한 질병 및 증상의 발병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치료할 질병, 특히 간 질환의 전단계에 있는 대상에게 그러한 제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용어 "치료"란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질병을 낫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제형(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충진제,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 및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염을 비롯한 불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용요법에 사용되는 정제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고형 담체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병용요법에 사용되는 캡슐제는 젤라틴 또는 셀룰로즈 유도체와 같은 임의의 제약상 허용되는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공된 알로에 N-93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 는 의약 조성물은 통상적인 제약 조제 기술에 따른 제약 담체와 조합될 수 있다. 담체는, 예를 들어 경구 또는 (정맥내 투여를 비롯한) 비경구 투여에 바람직한 제조에 따라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를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로에 N-93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은 간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며, 이들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조합 제제는 통상적인 무독성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및 전달체(vehicle)를 포함하는 투여 단위 제형의 형태로 경구적으로, (피하 주사, 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등) 비경구적으로, 또는 직장내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경구용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비롯한 불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제약상 허용된 담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의약 조성물의 활성 물질을 제외한 성분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결합제, 붕해제, 희석제, 충진제, 활택제,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 및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서, 가공된 알로에 N-93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할 수 있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이 하루에 체중 1kg당 0.01 내지 200m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가공된 알로에 N-931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 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된 알로에 N-931 또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의 배합물을 첨가하여, 간 기능 개선용 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가능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각종 드링크제, 차, 음료수,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유효 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방, 증상 완화, 또는 치료보조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간 기능 개선 목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가공된 알로에 N-931 또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을 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은 CCl4 유도 간독성을 현저히 억제하였고, GalN 유도 간염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ANIT 유도 담즙 울체를 억제하였고, 에티오닌 유도 지방간을 억제하였으며, 간섬유화를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은 급성 간독성, 간염, 담즙 울체 및 간섬유화 등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알로에 N-931의 제조
알로에 베라(Aloe vera) 잎을 세척하고 이를 자른 후 섬유소를 제거하였다. 여기에 알로에 베라 시료 무게의 3 내지 6배량의 에탄올을 부어 60℃에서 3~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를 여과하고, 배큠에 넣어 농축한 농축액을 90℃에 3 내지 3.5분간 노출시킨 후 여과하고 -15℃에서 18~48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켜 알로에 N-931을 수득하였다.
실험참조예 1.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실험동물은 체중 200 g 내외의 SD계 웅성 흰쥐 (㈜현대바이오 제공)를, 체중 20-25 g 의 ICR계 웅성 생쥐(대한 바이오링크로 제공)를 온도 23 ± 1℃, 상대습도 55 ± 15% 및 300-500 Lux의 조도로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을 조절하여 7일 이상 순화시킨 후 육안적 증상을 관찰하여 정상적인 동물만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실험동물용 고형 사료 (㈜ 대한바이오 제공) 및 물은 자유롭게 섭취시켰다(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동물실에서 사육).
실험참조예 2. 실험샘플의 제조
실험샘플은 동결건조된 알로에 N-931은 멸균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키고, 밀크씨슬은 0.5% 메틸셀룰로즈(MC)에 현탁시켜 각각 제조하였다.
두 실험샘플을 혼합하여 복합샘플로 하였고, 투여 부피는 투여직전 측정된 체중에 따라 산출하였으며, 대조군 및 사염화탄소(CCl4), D-갈락토사민(galactosamine, GalN), ANIT(α-naphthylisothiocyanate), 에티오닌(ethionine) 단독처치군은 가공된 알로에 N-931를 멸균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용액과 밀크씨슬을 0.5% 메틸셀룰로즈(MC)에 용해시킨 용액을 1:1로 혼합한 샘플을 사용하였다 (음성 대조군).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공된 알로에 N-931 단독제제, 밀크씨슬 단독제제 및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의 배합제제로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각 용량은 하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표 1. 실험샘플
No. 알로에 N-931(mg/kg) 밀크씨슬 (mg/kg) 비고
1 70
2 70 -
3 - 50
4 - 100
5 - 200
6 35 50 배합제제 85
7 70 50 배합제제 120
8 70 100 배합제제 170
9 70 200 배합제제 270
10 140 200 배합제제 340
실험참조예 3. 분석방법
(1) 혈청 내 ALT 및 AST 활성
ALT 및 AST 활성은 IVD Lab kit (아이비디랩, 한국)를 사용하여 분광광도계 (UV-1601, Simadzu, 일본)로 측정하였다.
(2) 지질과산화 측정
오카와 (Ohkawa S, Fukatsu K, Miki S, Hashimoto T, Sakamoto J, Doi T, Nagai Y, Aono T. 5 minocoumarans: dual inhibitors of lipid peroxidation and dopamine release with protective effects against central nervous system trauma and ischemia. J Med Chem 40: 559 (1997))의 방법에 준하여 티오바비튜르산 어세이(thiobarbituric acid assay)를 이용하여 지질과산화의 최종산물인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를 지표로 정량하였다. 즉, 간조직을 10배 용량의 1.15% KCl 용액으로 균질화한 후 균질액 0.2 ml에 8.1% SDS 0.2 ml, 20% 아세트산 (pH 3.5) 1.5 ml, 5%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0.5 ml 및 0.8% 티오바비튜르산 1.5 ml을 가하여 혼합한 후, 100 ℃가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하여 532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GSH 함량 측정
간조직을 1% 피크르산(picric acid)로 균질화한 후, 균질액을 500 x g 에서 3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증류수로 50배 희석하였다. 희석한 상층액 200 μL와 0.3 mM NADPH 700 ml 및 6 mM 2-니트로-6-티오벤조산 100 μL를 가한 후 30oC로 유지되는 항온조에 4분간 방치한 후, 80 units GSH 리덕타제/ml 용액 5 μL를 가하여 412 nm에서 1분 동안 흡광도 증가를 측정하여 총 GSH 함량을 구하였다.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2-비닐피리딘(2-vinylpyridine) 2 μL와 80 units GSH 리덕타제/ml 용액을 20 μL 가한 후 412 nm에서 1분 동안 흡광도 증가를 측정하여 글루타티온 디설피드(glutathione disulfide, GSSG) 함량을 구하였다. GSH의 함량은 다음의 수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GSH = 총 GSH - 2 x GSSG
(4) TNF-α, COX-2, iNOS, HO-1, MMP-2 및 TIMP-1의 유전자 발현
추출된 RNA를 주형으로 올리고 dT-어댑터 프라이머(Oligo dT-adaptor primer) 및 AMV 역전사 효소를 사용하여 RNA의 역전사를 수행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PCR 반응을 통해 증폭하였으며, 총 반응액은 10 μL 로 하였다. 각 반응물의 최종 농도는 프라이머 10 pmol, MgCl2 2.5mM, dNTP 혼합액 1 mM, 1xRNA PCR 완충액 및 Ex Taq®DNA 폴리머라제 0.5 units/reation이었다. 94℃에서 5분간의 첫 번째 변성(denaturation) 과정 및 72℃에서 5분간의 마지막 익스텐션(extension)과정은 모든 PCR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수행하였다. 변성(Denaturation), 어닐링(annealing) 및 익스텐션(extension)에 대한 PCR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으며, β-액틴(β-actin)을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로 사용하였다. TNF-α는 94℃ 30초, 68℃ 30초, 72℃ 60초의 28 사이클, COX-2는 94℃ 30초, 56℃ 45초, 72℃ 45초의 35 사이클, iNOS는 94℃ 45초, 58℃ 45초, 73℃ 60초의 30 사이클, HO-1은 94℃ 45초, 56℃ 30초, 73℃ 60초의 30 사이클, MMP- 2는 94℃ 30초, 54℃ 30초, 72℃ 30초의 30 사이클, TIMP-1은 94℃ 30초, 54℃ 45초, 72℃ 30초의 30 사이클 그리고 β-액틴은 94℃ 30초, 54℃ 30초, 72℃ 60초의 26 사이클로 수행하였다. PCR 반응 후 생성물의 10 μL를 1.5% 아가로즈 겔(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 하였다. 전기 영동이 끝난 후, 겔은 EtBr로 염색하였으며, UV하에서 DC120 줌 디지털 카메라(Eastman Kodak, New Haven, CT, USA)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모든 PCR 반응 결과는 β-액틴의 발현 양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화 하였다.
(5) 담즙 분비량 측정
복부 정중선을 따라 개복하여 담관에 카테터를 삽입시켜 미리 무게를 측정해 놓은 마이크로 튜브에 취하였으며, 이 양을 담즙 분비량으로 하였다.
(6) 혈청 내 TG 및 TC 함량 측정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IVD 랩 키트(아이비디랩, 한국)를 사용하여 분광 광도계 (UV-1601, Simadzu, 일본)로 측정하였다.
(7) 혈청 내 총 빌리루빈(bilirubin) 함량 측정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IVD 랩 키트 (아이비디랩, 한국)를 사용하여 분광 광도계 (UV-1601, Simadzu, 일본)로 측정하였다.
(8) 혈청 내 TGF-β1 함량 측정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ELISA 키트(enzyme linked immunoadsordent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9) 혈청 내 히드록시프롤린 함량 측정
Jamall (약품식물학연구회 저. 신약품식물학 학창사 P. 261 (1996))의 방법에 준하여 간장 내 콜라겐의 함량을 나타내는 히드록시프롤린의 양을 측정하였다. 간조직을 6N HCl로 균질화 한 후 12시간 동안 110℃에서 가수 분해 시켰다. 실온에서 식힌 후 클로라민 T(chloramine T)를 가하고 10분 후 p-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p-dimethylaminobenzaldehyde)를 첨가한 후 그 혼합물을 60℃에 90분간 배양한 후 배양액의 흡광도를 560 nm에서 분광 광도계 (UV-1601, Simadzu, 일본)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1. CCl 4 유도 급성 간독성 실험
18 시간 절식시킨 생쥐에 CCl4 : 올리브 오일 혼합액 (0.5 : 49.5, v/v)을 체중 10 g 당 0.05 ml씩 복강 내 투여하고 24시간 후 에테르로 마취한 뒤 복부 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취한 후, 간조직을 채취하였다.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취한 혈청으로부터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LT) 및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ST)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간조직내 지질과산화 및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 함량도 측정하였다. 또한 간조직의 일부를 10%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고정시킨 후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약물의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RT-PCR(Reverse-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염증관련 매개인자인 종양괴사인자-α (tumor necrosis factor-α), 시클로옥시게나제-2 (COX-2),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ase) 및 세포 내 산화손상의 방어인자인 헴 옥시게나제-1(HO-1)의 유전자 발현 변동을 알아보았다.
실험물질은 CCl4 투여 2일 전부터 1일 1회 동일한 시각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CCl4 투여 당일에는 CCl4 투여 전 2시간 및 투여 후 6시간째에, 알로에 N-931 70 mg/kg 및 알로에 N-931과 다양한 용량의 밀크씨슬과의 배합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ALT 및 AST 활성은 IVD 랩 키트 (아이비디랩, 한국)를 사용하여 분광광도계 (UV-1601, Simadzu, 일본)로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는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내며 이에 대한 통계학적인 분석은 one-way ANOVA를 시행하여 p<0.0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는 경우 Dunnett's test로 시험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표 2.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CCl 4 ) 유도 급성 간독성
No. 실험군
투여용량 (mg/kg b. wt.) ALT(U/L) AST(U/L)
알로에 N-931 밀크씨슬
1 대조군 비히클 30.1±0.5 115.2±11.3
2 CCl4 비히클 2256.1±236.4 1311.9±203.9
3 알로에 N-931 + CCl4 70 - 1221.3±217.5 618.2±95.6
4 밀크씨슬+ CCl4 - 50 1434.2±103.3 689.2±65.5
5 밀크씨슬 + CCl4 - 100 1148.7±273.9 523.1±128.5
6 밀크씨슬 + CCl4 - 200 1365.0±176.5 670.6±99.2
7 알로에 N-931 +
밀크씨슬 + CCl4
70 50 1060.1±182.0 52.3±107.74
8 70 100 458.7±66.5 215.4±25.9
9 70 200 1246.6±96.1 463.4±96.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혈액 내 ALT 및 AST 활성은 각각 30.1 ± 0.5 U/L와 115.2 ± 11.3 U/L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CCl4 처치로 ALT 및 AST 활성이 각각 2256.1 ± 236.4 U/L와 1311.9 ± 203.9 U/L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1) CCl 4 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서 ALT 활성
ALT 활성의 경우 알로에 N-931 70 mg/kg 투여군은 1221.3 ± 217.5 U/L로 CCl4 처치군에 비해 ALT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밀크씨슬 50, 100 및 200 mg/kg 투여군에서도 각각 1434.2 ± 103.3 U/L, 1148.7 ± 273.9 U/L 및 1365.0 ± 176.5 U/L로 CCl4 처치군에 비해 ALT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또한 알로에 N-931 + 밀크씨슬 복합 투여군의 경우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50 mg/kg 및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200 mg/kg 투여군에서 ALT활성은 각각 1060.1 ± 182.0 U/L 및 1246.6 ± 96.1 U/L로 CCl4 처치군에 비해 ALT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나 알로에 N-931 70 mg/kg 투여군과는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100 mg/kg 복합 투여군에서는 458.7 ± 66.5 U/L으로 CCl4 처치군 뿐만 아니라 알로에 N-931 70 mg/kg 투여군에 비해서도 ALT활성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도 1 내지 3).
(2) CCl 4 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서 AST 활성
AST 활성의 경우 알로에 N-931 70 mg/kg 투여군은 618.2 ± 95.6 U/L로 CCl4 처치군 1311.9 ± 203.9 U/L에 비해 AST 활성이 억제되었다. 밀크씨슬 50 mg/kg 투여군에서는 689.2 ± 65.5 U/L로 CCl4 처치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밀크씨슬 100 mg/kg 및 2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523.1 ± 128.5 U/L 및 670.6 ± 99.2 U/L로 대조군에 비해 AST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또한 알로에 N-931 + 밀크씨슬 복합 투여군의 경우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50 mg/kg 및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200 mg/kg에서 각각 520.3 ± 107.74 U/L 및 463.4 ± 96.1 U/L로 CCl4 에 의한 AST 활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나 알로에 N-931 70 mg/kg 투여군과는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100 mg/kg 복합 투여군에서는 215.4 ± 25.9 U/L으로 CCl4 처치군에 비해서도 AST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도 4 내지 6).
이와 같이 CCl4 처치로 인한 ALT 및 AST활성 증가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단 독 투여군 및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모든 투여군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3) CCl 4 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서 간 조직 검사결과
약물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은 정상 간 소엽구조와 간 세포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나, CCl4 단독처치군에서는 문맥 주위의 광범위한 염증, 간세포 괴사 및 간장 대식세포인 커퍼 세포의 비대 및 림프구의 침윤 증가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투여군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도 7).
(4) CCl 4 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서 간조직 내 지질과산화 및 GSH 함량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지질과산화 양은 0.32 ± 0.01 (nmol/mg protein)이었으나, CCl4 처치 시 0.52 ± 0.03 (nmol/mg protein)으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모든 투여군의 지질과산화 함량은 CCl4 처치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8). 간조직 내 GSH 함량은 대조군의 경우 11.0 ± 0.4 (mol/g liver)이었으나, CCl4 처치군의 GSH 함량은 5.5 ± 0.4 (mol/g liver)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 씨슬 배합물 85 (35+50) 및 170 (70+100) mg/kg 투여군에서는 CCl4 처치로 인한 GSH 함량 감소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즉, 세포질 내에 존재하여 세포의 산화적 손상 시 세포의 일차적 방어 (first-line defense)에 주된 역할을 하는 GSH는 CCl4 처치로 인해 정상군의 약 49%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GSH 함량 감소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및 170 mg/kg 투여군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로써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은 간조직 내 GSH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CCl4로 인한 간장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5) CCl 4 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서 간조직 내 TNF-α, COX-2, iNOS HO-1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생쥐의 CCl4 유도 간독성 모델에서 간조직의 mRNA를 추출하여 염증매개인자인 TNF-α,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과 산화질소(nitric oxide)를 생성하는 효소인 COX-2 iNOS, 산화적 손상 방어 유전자인 HO-1의 발현량에 대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NF-α 유전자의 발현량은 CCl4 처치 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및 170 mg/kg 투여군에서 현저히 억제되었고 (도 10), COX-2 유전자의 발현량은 CCl4 처치 시 대조군에 비해 현 저히 증가하였으나,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및 340 mg/kg 투여군에서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도 11), iNOS 유전자의 발현량은 CCl4 단독처치 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및 170 mg/kg 투여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고 (도 12), HO-1 유전자의 발현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13).
즉, 본 실험의 결과에서 CCl4 처치 시 TNF-α, COX-2iNOS의 mRNA유전자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투여 시 발현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세포내 산화적 손상 방어유전자인 HO-1 유전자의 발현량은 모든 투여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은 염증매개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CCl4로 인한 급성 간독성 유발 시 간 보호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가공된 알로에 N-931 단독 투여군 및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은 CCl4로 유도된 급성 간 독성에 대해 간 보호 작용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D-GalN 유도 간염
18시간 절식시킨 흰쥐에 GalN (700 mg/kg, PBS)을 복강 내 투여하고 24 시간 경과 후 혈액 및 간조직을 채취한 후 혈청 내 ALT 및 AST 활성, TG(triglyceride), TC(total cholesterol) 함량 및 간조직내 지질과산화 및 GSH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간조직의 일부를 10%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고정시킨 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 하에서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물질은 GalN 투여 2일 전부터 1일 1회 동일한 시각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GalN 투여 당일에는 GalN 투여 전 2시간 및 투여 후 6시간째에, 알로에 N-931 70 mg/kg 및 알로에 N-931과 다양한 용량의 밀크씨슬과의 배합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ALT 및 AST 활성은 IVD 랩 키트 (아이비디랩, 한국)를 사용하여 분광광도계 (UV-1601, Simadzu, 일본)로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는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내며 이에 대한 통계학적인 분석은 원-웨이 아노바 (one-way ANOVA)를 시행하여 p<0.0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는 경우 Dunnett's test로 시험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그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표 3. D-갈락토사민 (D-Galactosamine, GalN) 유도 간염
No. 실험군
투여용량 (mg/kg b. wt.) ALT(U/L) AST(U/L)
알로에 N-931 밀크씨슬
1 대조군 비히클 30.8±0.4 90.2±4.0
2 GalN 비히클 153.3±8.5 408.2±23.9
3 알로에 N-931 + GalN 70 - 122.1±7.4 292.8±4.7
4 밀크씨슬+ GalN - 50 128.2±5.9 370.2±21.9
5 밀크씨슬 + GalN - 100 117.5±5.8 339.9±11.4
6 밀크씨슬 + GalN - 200 128.1±9.6 284.3±25.2
7 알로에 N-931 +
밀크씨슬 + GalN
70 50 121.9±10.5 273.2±35.7
8 70 100 102.3±7.7 231.4±15.4
9 70 200 136.2±10.8 329.3±7.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혈액 내 ALT 및 AST 활성은 각각 30.8 ± 0.4 U/L와 90.2 ± 4.0 U/L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GalN 처치로 ALT 및 AST 활성이 각각 153.3 ± 8.5 U/L와 408.2 ± 23.9 U/L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1) GalN 유도 간염 모델에서 ALT 활성
ALT의 경우, 알로에 N-931 70 mg/kg 투여군에서 122.1 ± 7.4 U/L로 대조군에 비해 ALT 활성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밀크씨슬 50 및 2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128.2 ± 5.9 U/L 및 128.1 ± 9.6 U/L으로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밀크씨슬 100 mg/kg 투여군에서 117.5 ± 5.8 U/L로 ALT 활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도 14). 또한 알로에 N-931 + 밀크씨슬 복합 투여군의 경우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50 mg/kg 및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200 mg/kg에서 각각 121.9 ± 10.5 U/L 및 136.2 ± 10.8 U/L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100 mg/kg에서는 102.3 ± 7.7 U/L로 GalN 처치군 뿐만 아니라 알로에 N-931 70 mg/kg에 비해서도 ALT 활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도 15). 또한,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100 mg/kg 배합물도 GalN에 의한 ALT활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도 16).
(2) GalN 유도 간염 모델에서 AST 활성
GalN 처치로 인한 AST 활성 증가는 알로에 N-931 70 mg/kg 투여군에서 292.8 ± 4.7 U/L로 대조군에 비해 AST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밀크씨슬 5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370.2 ± 21.9 U/L 및 339.9 ± 11.4 U/L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밀크씨슬 200 mg/kg 투여군에서 284.3 ± 25.2 U/L로 대조군에 비해 AST 활성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도 17). 또한 알로에 N-931 + 밀크씨슬 복합 투여군의 경우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200 mg/kg에서 329.3 ± 7.3 U/L로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50 mg/kg 및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100 mg/kg에서 각각 273.2 ± 35.7 U/L, 및 231.4 ± 15.4 U/L로 AST 활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특히 알로에 N-931 70 mg/kg + 밀크씨슬 100 mg/kg 복합투여군에서는 알로에 N-931 70 mg/kg 단독 투여군보다 AST 활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도 18). 또한, GalN 처치로 인한 AST 활성 증가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170 및 340 mg/kg 모든 투여군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도 19).
(3) GalN 유도 간염 모델에서 간 조직학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약물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은 정상 간 소엽구조와 간 세포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나 GalN 단독처치군은 문맥 주위의 광범위한 염증 및 간세포의 괴사가 나타났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이러한 변화가 억제되었다 (도 20).
(4) GalN 유도 간염 모델에서 혈청 중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GalN 유도 간염 모델에서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에 대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의 혈청 중 중성지방 양은 74.5 ± 1.8 mg/dl이었으나, GalN 처치 시 23.6 ± 2.9 mg/dl으로 대조군에 비해 중성지방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감소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54.6 ± 11.7 mg/dl로 GalN 단독처치군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및 340 mg/kg 투여군과는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21).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의 경우 56.6 ± 2.7 mg/dl이었으나 이는 GalN 처치시 27.0 ± 1.3 mg/dl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170 및 340 mg/kg 투여군에서 GalN 단독처치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22).
(5) GalN 유도 간염 모델에서 간 조직 내 지질과산화 및 GSH함량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GalN 유도 간염 모델에서 간장 내 지질과산화 및 GSH함량 변화에 대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의 간 조직 내 지질과산화 양은 0.34 ± 0.02 (nmol/mg protein)이었으나, GalN 처치시 0.51 ± 0.04 (nmol/mg protein)으로 대조군에 비해 지질과산화 양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증가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170 및 340 mg/kg 투여군에서 GalN 단독처치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23).
간장 내 GSH 함량은 대조군의 경우 8.5 ± 0.4 (μmol/g liver)이었으나 이는 GalN 처치 시 6.4 ± 0.1 (μmol/g liver)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mg/kg 투여군은 GalN 단독 처치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및 340mg/kg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GalN 처치로 인한 GSH 함량 감소를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24).
본 실험예 2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GalN으로 인해 ALT와 AST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조직학적으로도 염증 반응 및 세포괴사가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GalN으로 인해 간 손상이 유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GalN으로 인한 ALT 활성이 현저히 억제 되었고, AST의 경우에는 모든 투여군에서 활성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이 GalN 유도 간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는 더욱 탁월한 ALT 및 AST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생체 내 지질 함량과 관련하여 볼 때 GalN 처치로 유발된 간장 내 흰쥐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약 68%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현저한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GalN처치로 인한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을 뿐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도 GalN 처치로 인해 GSH 함량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질과산화가 현저하게 증가된 것으로 보아 GalN 처치로 인해 간장 내 산화적 손상이 일 어남을 알 수 있었으나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은 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아마도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간염억제 효과는 GSH 이외의 다른 산화적 손상의 방어인자가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3. ANIT 유도 담즙 울체
18시간 절식시킨 흰쥐에 올리브 오일에 용해시킨 ANIT (40 mg/kg)를 복강 내로 투여하였다. ANIT 투여 48시간 후에 개복하여 담관(bile duct)에 카테터를 삽입시켜 1시간 동안 담즙을 채취하여 담즙 분비량을 측정한 후,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취하여 혈청 내 ALT, AST 활성 및 총 빌리루빈치를 측정하였다. 실험물질은 ANIT 투여 2일 전부터 1일 1회 동일한 시각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ANIT 투여 당일에는 ANIT 투여 전 2시간 및 투여 후 6시간째에 경구로 투여하였다.
(1) ANIT 유도 답즙 울체 모델에서 혈청 중 ALT 및 AST 활성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ANIT 유발 담즙 울체 모델에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하여 간 보호 효과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의 ALT 및 AST 활성은 각각 30.8 ± 10.4 U/L 및 100.1 ± 10.4 U/L 이었으나 ANIT 단독 처치 시 각각 1201.5 ± 116.6 U/L 및 2044.0 ± 207.2 U/L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ALT 활성이 820.9 ± 59.7 mg/dl, AST 활성이 1252.2 ± 107.8 mg/dl로 ANIT 단독 처치군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340 mg/kg 투여군 에서는 ALT 활성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ANIT 처치로 인한 ALT 활성 증가를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ST 활성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AST 활성 증가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5 및 도 26).
(2) ANIT 유도 답즙 울체 모델에서 담즙 분비량 및 총 빌리루빈 함량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ANIT 유발 담즙 울체 모델에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하여 담즙 분비량 및 총 빌리루빈 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의 담즙 분비량은 1.26 ± 0.02 (ml/min/g liver)이었으나, ANIT 단독 처치 군의 담즙 분비량은 0.18 ± 0.04 (ml/min/g liver)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0.42 ± 0.08 (ml/min/g liver)로 ANIT 단독 처치군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340 mg/kg 투여군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담즙 분비량 감소를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27).
혈액 내 총 빌리루빈 양은 대조군의 경우 0.17 ± 0.01 mg/dl이었으나, ANIT 단독 처치군은 0.71 ± 0.05 mg/dl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담즙 분비량 결과와 유사하게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0.37 ± 0.05 mg/dl로 현저히 억제 되었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및 340 mg/kg 투여군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총 빌리루빈 양의 증가를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28).
실험예 4. 에티오닌 유도 지방간
18시간 절식시킨 흰쥐에 에티오닌 (500 mg/kg, PBS)을 복강 내 투여하고 24시간 경과 후 혈액 및 간조직을 채취한 후 간장 내 TG 및 혈청 중 TC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간조직의 일부를 10%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고정시킨 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 하에서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물질은 에티오닌 투여 2일 전부터 1일 1회 동일한 시각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에티오닌 투여 당일에는 에티오닌 투여 전 2시간 및 투여 후 6시간째에 경구 투여하였다.
(1) 에티오닌 유도 지방간 모델에서 간장 내 중성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에티오닌 유도 지방간 모델에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하여 간장 내 중성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의 간장 내 중성지방 함량은 3.30 ± 0.33 (mg/g liver)이었으나 에티오닌 단독 처치 시 6.87 ± 0.32 mg/g 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및 34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3.70 ± 0.44 mg/g 및 3.83 ± 0.60 (mg/ g liver)로 에티오닌 단독 처치군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도 29).
(2) 에티오닌 유도 지방간 모델에서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에티오닌 유발 지방간 모델에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하여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의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55.91 ± 2.06 mg/dl이었으나, 에티오닌 단독처치 시 12.77 ± 3.10 mg/dl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85, 170 및 340 투여군의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에티오닌 단독 처치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30).
(3) 에티오닌 유도 지방간 모델에서 간조직학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약물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은 정상 간 소엽구조와 간 세포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나 에티오닌 단독 처치군은 세포주위에 지방변성이나 미세수포성 지방증(microvesicular steatosis)이 나타났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이러한 변화가 일부 억제되었다 (도 31).
본 실험예3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ANIT 처치로 인해 혈청 내 ALT, AST 활성 및 총 빌리루빈 양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담즙 분비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혈청 내 ALT 및 AST활성 및 총 빌리루빈 양의 증가가 억제된 것으로 보아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은 ANIT로 인한 담즙 울체에 우수한 간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총 빌리루빈의 함량 증가를 억제하는 정도는 양성 대조군보다 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저용량군인 가공된 알로에 N- 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mg/kg 투여군에서는 ANIT 단독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은 혈청 내 ALT, AST 활성과 총 빌리루빈 억제 및 담즙 분비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예 4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조직 내 중성지방양이 정상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고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양이 감소하였으므로 에티오닌에 의해 지방간이 유도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및 340 mg/kg 투여군에서 간장 내 중성지방의 함량 증가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반면에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든 용량에서 에티오닌 단독 처치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에티오닌 단독 처치군은 세포주위에 지방변성이나 미세수포성 지방증(microvesicular steatosis)이 현저히 나타났으나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 및 양성대조군인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이러한 변화가 일부 억제되었다. 따라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은 에티오닌으로 인한 지방간을 일부 억제 한다고 사료된다.
실험예 5. CCl 4 유도 간섬유화 (만성 간질환)
흰쥐에 CCl4 : 올리브 오일혼합액 (10 : 30, v/v)을 체중 10 g 당 0.02 ml씩 일주일에 2회 복강 내 투여하고 8주 후 에테르로 마취한 뒤 복부 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취한 후, 간조직을 채취하였다.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취한 혈청으로부터 ALT, AST 및 TGF-β1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간조직내 지질과산화 및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간조직의 일부를 10%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고정시킨 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 하에서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간조직내 콜라겐 함량 지표인 히드록시프롤린을 측정하였으며 젤라티나제(gelatinase) 유전자 발현을 알아보기 위해 RT-PCR 방법으로 MMP-2(matrix metalloproteinase-2)와 TIMP-1(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의 유전자 발현변동을 측정하였다. 실험물질은 8주 동안 1일 1회 동일한 시각에 경구 투여하였다.
(1) CCl 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혈청 중 ALT 및 AST 활성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CCl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하여 간 보호 효과를 관찰한 결과, 약물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ALT 및 AST활성은 각각 52.2 ± 9.3 U/L와 112.0 ± 4.6 U/L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이는 CCl4 처치로 인하여 각각 1469.5 ± 189.4 U/L와 2188.1 ± 270.2 U/L로 대조군에 비해 ALT와 AST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ALT 활성의 경우에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모든 투여군에서 CCl4 단독 처치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도 32), AST 활성의 경우에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170 및 340 mg/kg 모든 투여군에서 AST 활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 하였다 (도 33).
(2) CCl 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간 조직학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약물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은 정상 간 소엽구조와 간 세포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나 CCl4 단독 처치군 에서는 문맥 주위의 광범위한 염증, 간세포 괴사 및 과도한 지방변성이 나타났으며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mg/kg 투여군에서 이러한 변화가 억제되었다 (도 34).
(3) CCl 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간 조직 내 지질과산화 및 GSH 함량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CCl4 만성 유도 간질환 모델에서 간장 내 지질과산화 및 GSH 함량 변화에 대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의 지질과산화양은 0.30 ± 0.03 nmol/mg protein이었으나, CCl4 처치시 0.60 ± 0.09 nmol/mg protein으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및 340 mg/kg 투여군에서 지질과산화 함량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도 35). 간조직 내 GSH 함량은 대조군의 경우 7.3 ± 0.8 μmol/g liver 이었으나, CCl4 단독 처치 군의 GSH 함량은 5.2 ± 0.2 μmol/g liver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mg/kg 투여군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CCl4로 인한 GSH 함량 감소를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36).
(4) CCl 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간 조직 내 히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CCl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간 조직 내 히드록시프롤린 함량 변화에 대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의 히드록시프롤린 함량은 520.9 ± 112.7 μg/g liver이었으나, CCl4 처치 시 869.6 ± 112.7 μg/g liver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및 170 mg/kg 투여군에서는 CCl4 처치로 인한 히드록시프롤린 함량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도 37).
(5) CCl 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혈청 중 TGF-β1 활성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CCl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혈청 중 TGF-β1 활성의 변화에 대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의 TGF-β1활성은 10.2±1.4 ng/ml 이었으나, CCl4 처치 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340 mg/kg 투여군은 CCl4 단독처치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및 170 mg/kg 투여군에서 혈청 중 TGF-β1의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도 38).
(6) CCl 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간 조직 내 MMP-2, TIMP-1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흰쥐의 CCl4 유도 만성 간질환 모델에서 간 조직의 mRNA를 추출하여 젤라틴(gelatine)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2와 MMPs의 생체 내 저해제인 TIMP-1의 유전자 발현량에 대한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의 MMP-2 발현은 CCl4 처치 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340 mg/kg 투여군에서 MMP-2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투여군 간의 별다른 차이점은 없었다 (도 39). TIMP-1 유전자의 발현량은 CCl4 처치 시 대조군에 비하여 10배 증가하였고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및 340 mg/kg 투여군에서 TIMP-1유전자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40).
본 실험예 5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CCl4투여로 인해 ALT 및 AST활성이 현저히 증가하고 조직학적으로도 염증반응이 광범위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CCl4 투여 로 간섬유화가 유발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ST의 경우에는 모든 용량군 에서 활성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이 CCl4유도 간섬유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CCl4 처치로 인해 증가되었던 간 조직 내 지질과산화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및 34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GSH 함량의 경우, CCl4 단독군과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투여군에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Cl4에 의해 유도된 콜라겐의 증가는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340 mg/kg 용량을 제외한 모든 투여군에서 탁월한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TGF-β의 발현량은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85 및 170 mg/kg 투여군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MMP-2의 발현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CCl4로 인해 증가한 TIMP-1 발현량은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합물 170 및 340 mg/kg 투여군에서 현저히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예 1 내지 5의 결과로 보아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가공된 알로에 N-931와 밀크씨슬의 배합물은 급성 간독성, 간염, 담즙 울체 및 간섬유화 억제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향후 간기능 개선제, 더 나아가 간질환 치료제나 예방제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을 투여한 경우의 AL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CCl4: 사염화탄소
N-931: 가공된 알로에 N-931 (알로에 베라 200:1 파우더 70mg/kg)
M5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50 mg/kg
M1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100 mg/kg
M2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200 mg/kg
도 2는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L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 N-931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 가공된 알로에 N-931 (알로에 베라 200:1 파우더 70mg/kg)
M5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50 mg/kg
M1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100 mg/kg
M2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200 mg/kg
도 3은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L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N-931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4는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 배 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S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CCl4: 사염화탄소
N-931: 가공된 알로에 N-931 (알로에 베라 200:1 파우더 70mg/kg)
M5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50 mg/kg
M1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100 mg/kg
M2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200 mg/kg
도 5는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S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 N-931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CCl4: 사염화탄소
N-931: 가공된 알로에 N-931 (알로에 베라 200:1 파우더 70mg/kg)
M5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50 mg/kg
M1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100 mg/kg
M2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200 mg/kg
도 6은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S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7은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간 조직검사 사진으로서, (A)는 대조군, 정상 간 구조; (B) CCl4 투여군, 문맥 주위의 광범위한 염증과 함께 과도한 간세포 손상, 간세포 괴사 및 커퍼 세포의 과도한 증식; (C)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처치군, CCl4 투여군에 비해 현저한 향상을 보이며, 모든 사진은 100배 확대한 것이다.
도 8은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간 조직내 지질과산화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9는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10은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TNF-α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11은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COX-2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12는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iNOS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 CCl4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13은 CCl4-유도 급성 간독성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 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HO-1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9 내지 11마리의 마우스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14는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을 투여한 경우의 AL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GalN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GalN: D-갈락토사민
N-931: 가공된 알로에 N-931 (알로에 베라 200:1 파우더 70mg/kg)
M5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50 mg/kg
M1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100 mg/kg
M2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200 mg/kg
도 15는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가공된 알로에 N- 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L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 GalN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 N-931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GalN: D-갈락토사민
N-931: 가공된 알로에 N-931 (알로에 베라 200:1 파우더 70mg/kg)
M5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50 mg/kg
M1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100 mg/kg
M2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200 mg/kg
도 16은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L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 GalN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GalN: D-갈락토사민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17은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밀크씨슬을 투여한 경우의 AS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GalN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GalN: D-갈락토사민
N-931: 가공된 알로에 N-931 (알로에 베라 200:1 파우더 70mg/kg)
M5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50 mg/kg
M1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100 mg/kg
M2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200 mg/kg
도 18는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 및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S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GalN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N-931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GalN: D-갈락토사민
N-931: 가공된 알로에 N-931 (알로에 베라 200:1 파우더 70mg/kg)
M5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50 mg/kg
M1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100 mg/kg
M200: 밀크씨슬 (Silybum marianum) 200 mg/kg
도 19는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ST 활성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 ## GalN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GalN: D-갈락토사민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20은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간 조직검사 사진으로서, (A)는 대조군, 정상 간 구조; (B) GalN 투여군, 림프구(lymphocytes) 및 커퍼 세포의 감염, 문맥 주위 히알린(hyanline) 변 성; (C)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처치군, GalN 투여군에 비해 현저한 향상을 보이며, 모든 사진은 100배 확대한 것이다.
도 21은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 GalN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GalN: D-갈락토사민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22는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총 콜레스테롤 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GalN: D-갈락토사민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23은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GalN: D-갈락토사민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24는 GalN-유도 간염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GalN: D-갈락토사민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25는 ANIT-유도 담즙 울체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LT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ANIT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ANIT: α-나프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26은 ANIT-유도 담즙 울체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ST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ANIT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ANIT: α-나프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27은 ANIT-유도 담즙 울체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담즙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ANIT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ANIT: α-나프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28은 ANIT-유도 담즙 울체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총 빌리루빈 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ANIT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ANIT: α-나프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29는 에티오닌-유도 지방간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간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 에티오닌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30은 에티오닌-유도 지방간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 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31은 에티오닌-유도 간 장애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간 조직검사 사진으로서, (A) 대조군, 정상 간 실질조 직(parenchyma); (B) 에티오닌 처치군, 세포 주변에서 과도한 지방변성 및 미세수포성 지방증이 관찰됨; (C) 가공된 알로에 N-931 처치군, 에티오닌 처치군에 비해 현저한 향상을 보이며, 모든 사진은 100배 확대한 것이다.
도 32는 CCl4-유도 간섬유화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LT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33은 CCl4-유도 간섬유화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AST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CCl4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34는 CCl4-유도 간섬유화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간 조직검사 사진으로서, (A) 대조군, 정상 간 실질조직(parenchyma); (B) CCl4 처치군, 세포 주변에서 과도한 지방변성 및 괴사, 림프구의 침윤이 관찰됨; (C) 가공된 알로에 N-931 처치군, CCl4 처치군에 비해 현저한 향상을 보이며, 모든 사진은 100배 확대한 것이다.
도 35는 CCl4-유도 간섬유화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지질과산화 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CCl4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36은 CCl4-유도 간섬유화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37은 CCl4-유도 간섬유화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간 조직 내 히드록시프롤린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1)
# CCl4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38은 CCl4-유도 간섬유화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혈청 TGF-β1 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CCl4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39는 CCl4-유도 간섬유화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MMP-2 mRNA 발현 정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도 40은 CCl4-유도 간섬유화 모델에 가공된 알로에 N-931과 밀크씨슬 배합물을 투여한 경우의 TIMP-1 mRNA 발현 정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치는 그룹당 7 내지 8마리의 래트로 실험한 측정치의 평균값 ± SEM을 나타낸다.
**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 CCl4 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CCl4: 사염화탄소
N-931·C85: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85 mg/kg
N-931·C17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170 mg/kg
N-931·C340: 가공된 알로에 N-931 배합물 340 mg/kg

Claims (17)

  1. 알로에 베라(Aloe vera) 잎을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농축하고, 농축액을 60 내지 100℃에 노출한 후 이를 동결건조하여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밀크씨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밀크씨슬의 중량비가 1:1.2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간 질환은 자가면역성 간 질환, 약물 유인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감염성 간 질환, 및 선천성 대사성 간 질환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간 질환은 급성 간 질환, 간염, 담즙 울체, 지방간 및 만성 간 질환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을 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9. 알로에 베라(Aloe vera) 잎을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농축하고, 농축액을 60 내지 100℃에 노출한 후 이를 동결건조하여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밀크씨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밀크씨슬의 중량비가 1:1.2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을 0.01 내지 9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12. 제1항에 있어서, 농축액을 60 내지 100℃에 1 내지 30분간 노출하는 것인 의약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의약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용매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의약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용매로 20 내지 9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 의약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농축액을 60 내지 90℃에 1 내지 10 분간 노출하는 의약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60 내지 -10℃에서 6 내지 50시간 동안 동결건조시키는 의약조성물.
KR1020090015488A 2009-02-24 2009-02-24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KR101072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88A KR101072247B1 (ko) 2009-02-24 2009-02-24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88A KR101072247B1 (ko) 2009-02-24 2009-02-24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566A KR20100096566A (ko) 2010-09-02
KR101072247B1 true KR101072247B1 (ko) 2011-10-12

Family

ID=4300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488A KR101072247B1 (ko) 2009-02-24 2009-02-24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2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60B1 (ko) * 2015-07-15 2018-06-07 주식회사 유니베라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
KR20200102180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노바케이메드 동충하초균사체로 고상발효된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2254B (zh) * 2020-09-28 2024-01-26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甘草次酸和芍药苷的组合在治疗肝损伤、肝纤维化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J Clin Gastroenterol.*
논문:J. Fd Hyg. Safe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60B1 (ko) * 2015-07-15 2018-06-07 주식회사 유니베라 간 치료 및 간 건강 유지를 위한 조성물과 의학 조성물
KR20200102180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노바케이메드 동충하초균사체로 고상발효된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566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 et al. Protective effect of Chlorogenic acid against methotrexate induced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rat liver: An experimental approach
JP2011516543A (ja) 朝鮮人参多糖体抽出物を含む肝疾患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US20160051608A1 (en) Anti-cancer extract and compounds
KR101072247B1 (ko)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Ng et al. Protective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on bleomycin-induced pulmonary fibrosis in rats
Al-Radahe et al. Anti-ulcer activity of Swietenia mahagoni leaf extract in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in rats
Wagh et al.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Tridax Procumbens Linn, against paracetamol-induced hepatotoxicity in male albino rats
KR102086598B1 (ko) 흑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adhim et al. Potential protective effect of quercetin against cisplatin-induced acute nephrotoxicity in male rats
Al-Refai et al.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methotrexate-induced oral mucositis in albino rats
Abdel-Hamid et al. Jerusalem artichoke attenuates experimental hepatic fibrosis via modulation of apoptotic signaling and fibrogenic activity
KR100912735B1 (ko) 루틴 함유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조성물
WO2020248964A1 (zh) 盐肤木果实在制备治疗或预防肝纤维化的药物中的应用
KR20080101344A (ko) 탄닌 함유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조성물
KR100592792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 예방 및 치료제
EP2182963A2 (en) Herbal composition on the basis of extracts of foeniculum vulgare, murraya koenigii and triphala
KR100529991B1 (ko)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보호제로 유용한 섬오갈피추출물
Azuara et al. Role of nitric oxide in apoptosis and cell necrosis for intestinal transplantation
Bhattacharjee et al. Protective effect of ellagic acid against lead induced hepatotoxicity
JP4621855B2 (ja) 肝臓保護剤、肝がん発症抑制剤、及びそれらの医薬組成物
KR102559349B1 (ko)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im et al. Aster tataricus Linn., Suppresses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and Protects Against Thioacetamide-induced Liver Fibrosis in Rats.
KR101721094B1 (ko)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오심 및 구토 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Emarha et al. Biochemical and Molecular Effects of Colchicine and Moringa Olifera on Thioacetamide Induced Liver Fibrosis in Rats.
Alalkam Hibiscus sabdariffa aqueous extract ameliorates thioacetamide-induced hepatic encephalopathy in guinea pigs: Role of ammonia ext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