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437A -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그 제조방법 및 단열패널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그 제조방법 및 단열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4437A KR20160054437A KR1020160049138A KR20160049138A KR20160054437A KR 20160054437 A KR20160054437 A KR 20160054437A KR 1020160049138 A KR1020160049138 A KR 1020160049138A KR 20160049138 A KR20160049138 A KR 20160049138A KR 20160054437 A KR20160054437 A KR 201600544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nofiber
- nanofiber web
- heat
- hybrid
- we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6—Poro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그 제조방법 및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과 나노섬유 웹을 적층하여 전달된 열을 나노섬유 웹에서 차단하여 전달되는 열량을 1차로 감소시키고, 나노섬유 웹에 내장된 상변화 물질에서 열을 흡수하여, 열 차단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그 제조방법 및 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효율적 친환경 산업이 대두되어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문제와 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각종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에 대한 관점에서 냉장고의 소비 전력량을 줄일 수 있고, 건축물의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단열재에 대한 기술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중이다.
냉장고는 가전 제품 중에서 높은 소비 전력량을 소비하는 제품으로, 냉장고의 소비 전력량 절감은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서 필요 불가결한 상황에 있다. 냉장고의 소비 전력은 냉각용 압축기의 효율과 열누설량에 관계되는 단열재의 단열 성능에 의해 대부분 결정된다.
그리고,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단열재는 전통적으로 미네랄울, 폴리우레탄 등의 단열재가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VIP (Vacuum Insulation Panel), 에어로젤이 주목받고 있으며, VIM (Vacuum Insulation Material), DIM (Dynamic Insulation Material) 등이 미래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매우 낮은 열전도율을 지닌 VIP 및 에어로젤은 기존 단열재에 비해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주거면적을 크게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에어로젤은 반투명 및 투명재질로 만들 수 있어 건물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77859호에는 심재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피복하고 있는 외피재를 가지고, 상기 코어부가 감압상태로 형성된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가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가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진공 단열재의 심재는 유리 섬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고 있으나, 유리 섬유 집합체 내부의 기공 사이즈는 공기를 트랩핑하는 데 적합한 크기를 갖지 못하여 단열 효과가 낮으며, 유리 섬유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5326호에는 진공단열재의 외피 내부에 위치하는 코어로서, 상기 코어는 합성수지재 섬유를 열융착하여 서로 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의 코어가 제안되어 있으나, 합성수지재 섬유를 융점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섬유들이 서로 열융착되 있어, 합성수지재 섬유에는 거의 기공이 없는 무기공 상태가 되어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단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단열시트의 구조적인 특징을 도출하여 발명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동시에 친환경적이고, 보다 경제적이고, 활용 가능하고 경쟁력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층된 나노섬유 및 그에 의해 생성된 미세 다기공으로 열을 차단하는 나노섬유 웹을 적용하고,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상변화 물질을 나노섬유 웹에 내장시켜 단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요성이 우수한 나노섬유 웹을 적용하여 다수회 절첩한 구조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단 열 차단 구조와 열 흡수 구조를 적층하여 단열시트를 구현함으로써, 열 차단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 차단 및 열 흡수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열시트를 코어로 적용하여 단열 특성을 개선될 수 있는 단열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머로 이루어진 나노섬유에 의해 집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고, 적층되어 있는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 및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지지체에 미세 다기공 구조를 갖는 제1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지지체에 미세 다기공 구조를 갖는 제2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 사이에 상변화 물질을 개재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외피재; 및 상기 외피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피재를 지지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는,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머로 이루어진 나노섬유에 의해 집적되어 미세 다기공 구조를 구비하고, 적층되어 있는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 및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단열패널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과 나노섬유 웹을 적층하여 전달된 열을 나노섬유 웹에서 차단하여 전달되는 열량을 1차로 감소시키고, 나노섬유 웹에 내장된 열용량(Heat Capacity)가 높은 상변화 물질에서 열을 흡수하여, 열 차단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 방사된 나노섬유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배열된 나노섬유 웹의 단열시트를 채택하여, 열 차단 능력이 큰 나노섬유 웹의 나노 크기의 미세 기공으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섬유 웹/지지체/나노섬유 웹/상변화 물질/나노섬유 웹/지지체/나노섬유 웹의 적층구조의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달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2중의 열 차단과 열 흡수를 수행하여 단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변화 물질이 나노섬유 웹에 내장된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코어로 하는 진공 단열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VIP)을 제공하여 단열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진공 단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섬유 웹을 적용하여 초박막 단열시트 및 단열패널을 제공할 수 있어, 단열특성이 우수하여 냉장고 및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VIP)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에 적용된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VIP)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에 적용된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및 단열패널의 실시예로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과 나노섬유 웹을 적층하여 전달된 열을 나노섬유 웹에서 차단하여 전달되는 열량을 낮추고, 상변화 물질에서 열을 흡수하여, 단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단열시트 및 단열패널은 냉장고 및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도 이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변화 물질과 나노섬유 웹이 결합된 단열시트를 적용하는 것으로,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는 상변화 물질과 나노섬유 웹을 적층한 단열시트로 정의되며, 나노섬유 웹은 상변화 물질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공기를 트랩핑하여 공기의 대류를 억제하여 단열하는 다수의 기공을 구비하여 1차적으로 열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나노섬유 웹에서 상변화 물질로 전달되는 열량은 감소된다. 나노섬유 웹을 통과한 열이 상변화 물질로 전달되는 경우, 이 열은 2차적으로 상변화 물질에서 흡수된다. 결국,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는 2단으로 열을 차단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나노섬유 웹은 전기 방사된 나노섬유가 불규칙하게 적층되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그 나노섬유에 의해 나노섬유 웹에는 불규칙하게 분포된 미세 기공이 형성되고, 미세 기공에 의해 나노섬유 웹의 열 차단 능력이 커지게 되어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게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는 상변화 물질(120)이 나노섬유 웹(151,152)으로 감싸여져 적층된 구조이고,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 외측면에는 외피부로 나노섬유 웹(151,152)이 배치되고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 내부에는 코어로 상변화 물질(120)이 배치된다.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로 전달되는 열은 나노섬유 웹(151,152)에 먼저 접촉 및 전달되는데, 나노섬유 웹(151,152)의 다수의 미세 기공 및 나노섬유에서 열을 차단하게 된다. 나노섬유 웹(151,152)에 전달된 열량은 나노섬유 웹(151,152)에서 차단된 열량만큼 감소되어 상변화 물질(120)로 전달되고, 상변화 물질(120)에서는 열을 흡수함으로써,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의 단열 효율은 실질적으로 증가될 수 밖에 없다.
상변화 물질(120)은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열 차단 성능이 우수하다. 즉, 상변화 물질(120)은 열이 전달되면 흡열반응하여 고상에서 액상으로 변화되면서 열을 흡수한다. 그리고 상변화 물질(120)은 주변 온도가 떨어지면 다시 고상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의 제조방법을 알아보면, 도 1과 같이, 제2 나노섬유 웹(152)에 상변화 물질(120)을 배치하고, 제1 나노섬유 웹(151)으로 상변화 물질(120)을 감싸서 제1 나노섬유 웹(151)을 제2 나노섬유 웹(152)에 고정시키는 간단한 제조방법에 의해, 외피부의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151,152) 내부에 상변화 물질(120)이 코어로 내장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2 나노섬유 웹(152)은 지지부(미도시)에 지지된 상태에서 적층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151,152)은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151,152) 사이에 상변화 물질(120)을 개재한 후,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151,152)의 가장자리를 합지하여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를 구현하는 것이다.
한편, 나노섬유 웹은 전기 방사가 가능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과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만들고, 이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섬유를 형성하고, 이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다수의 기공을 갖는 나노섬유 웹(nano web) 형태로 형성된다.
나노섬유의 직경이 작을수록 나노섬유의 비표면적이 증대되고 다수의 미세 기공을 구비하는 나노섬유 웹의 열 차단 능력이 커지게 되어 단열 성능이 향상된다.
나노섬유는 예를 들어, 1um 이하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웹은 다수의 미세 기공을 구비함에 따라 미세 기공 내부에 공기를 트랩핑할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 웹에 형성되는 미세 기공은 4nm 내지 1u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노섬유의 직경을 조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사 방법은 일반적인 전기방사(electrospinning),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전기분사(electrospray), 전기분사방사(electrobrown spinning), 원심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나노섬유 웹의 내열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전도율이 낮음과 동시에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단독, 또는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와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소정량 혼합한 혼합 고분자를 전기 방사하여 얻어진 나노섬유 웹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는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방사가 가능함과 동시에 열전도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방사가 가능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머는 전기방사를 위해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고 융점이 180℃ 이상인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디페녹시포스파젠, 폴리{비스[2-(2-메톡시에톡시)포스파젠]} 같은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의 열전도율은 0.1W/mK 미만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분자 중 폴리우레탄(PU)은 열전도율이 0.016~0.040W/mK이고, 폴리스티렌와 폴리비닐클로라이드는 열전도율이 0.033~0.040W/mK로 알려져 있어, 이를 방사하여 얻어지는 나노섬유 웹 또한, 열전도율이 낮게 된다.
나노섬유 웹의 두께는 5um 내지 50um, 바람직하게는 30um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 웹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된 나노섬유 웹의 단열시트는 초박막 구조로 제작되면서도 높은 단열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용매는 DMA(dimethyl acetamide), DMF(N,N-dimethylformamide), NMP(N-methyl-2-pyrrolidinone), DMSO(dimethyl sulfoxide), THF(tetra-hydrofuran), DMAc(di-methylacetamide), EC(eth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물, 초산(acetic acid),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나노섬유 웹은 전기방사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방사용액의 방사량에 따라 두께가 결정된다. 따라서, 나노섬유 웹의 두께를 원하는 두께로 만들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방사 방법에 의해 나노섬유가 축적된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공정없이 복수의 기공을 갖는 형태로 만들 수 있고, 방사용액의 방사량에 따라 기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기공을 미세하게 다수로 만들 수 있어 열 차단 성능이 뛰어나고 이에 따라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기 위한 방사용액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성 필러인 무기물 입자가 함유될 수 있다. 이 경우, 나노섬유 웹의 나노 웹에는 무기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무기물 입자는 방사된 나노섬유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거나, 나노섬유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어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무기물 입자는 단열성 필러로 나노섬유 웹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물 입자는 SiO2, SiON, Si3N4, HfO2, ZrO2, Al2O3, TiO2, Ta2O5, MgO, Y2O3, BaTiO3, ZrSiO4, Hf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 또는 유리 섬유, 흑연, 암면, 클레이(clay)로 이루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방사 용액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기 위한 방사용액에 흄드 실리카(Fumed Silica)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섬유 웹에 부직포나 직포 등을 적층하여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지지체인 부직포나 직포는 나노섬유 웹과 2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며, 적층 방법으로는 열판 캘린더링, 핫멜트 본딩, 초음파 본딩, 라미네이팅 등 특별한 방법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나노섬유 웹과 기존 소재와의 적층이 가능한 방법이면 좋다.
특히, 사용 가능한 부직포는 상용화된 2층 또는 3층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멤브레인, 예를 들어, PP/PE나 PP/PE/PP 멤브레인 또는 단층 구조의 PP 또는 PE 멤브레인이나, 코어로서 PP 섬유의 외주에 PE가 코팅된 이중 구조의 PP/PE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이루어진 PET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부직포 또는 직포와 같은 지지체(170)를 제2 나노섬유 웹(152)에 적층하여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지지체(170)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제2 나노섬유 웹(15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나노섬유 웹(152)에 상변화 물질(120)을 올려놓고, 제1 나노섬유 웹(151)을 제2 나노섬유 웹(152)에 고정시켜, 상변화 물질(120)이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151,152)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다.
또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나노섬유 웹(151)이 적층된 제1 지지체(171)와 제2 나노섬유 웹(152)이 적층된 제2 지지체(172)를 준비하고,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151,152) 사이에 상변화 물질(120)을 개재시킨 후,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151,152)이 고정되도록, 제1 및 제2 지지체(171,172)를 합지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지체(171,172) 각각에 나노섬유를 직접 방사하여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151,15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는 제1 지지체(171) 양면에 제1과 제3 나노섬유 웹(151,153)을 적층하고, 제2 지지체(172) 양면에 제2과 제4 나노섬유 웹(152,154)을 적층한 후,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151,152) 사이에 상변화 물질(120)을 위치시키고 제1 및 제2 지지체(171,172)를 합지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5일례의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는 나노섬유 웹/지지체/나노섬유 웹/상변화 물질/나노섬유 웹/지지체/나노섬유 웹의 적층구조가 되어, 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층 구조의 나노섬유 웹에서 열을 차단하게 되어, 상변화 물질로 전달되는 열량을 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된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에 사용한 나노섬유 웹은 판상형으로 절첩한 구조이거나, 다수 층으로 적층된 나노섬유 웹 적층 구조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VIP)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전술된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는 단열패널 내부에 내장하여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패널(300)은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고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감압 공간을 형성하는 외피재(310) 및 외피재(310) 내부에 배치되어 외피재(310)를 지지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를 포함한다.
진공 단열패널(300)에 코어로 적용된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공기를 트랩핑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 기공을 구비하여, 미세 기공에 트랩된 공기가 스스로 빠져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외피재(310) 내부가 진공 또는 감압공간이 아닌 경우에도 우수한 단열 성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건축용 단열재로 적용하면 이점이 많다.
여기서, 감압 공간은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감압된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패널(300)에서 외피재(310) 내부가 진공 또는 감압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피재(310) 또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의 내부에는 수분이나 가스 등을 흡착하는 게터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게터재는 예를 들어, 분말형태로 이루어진 흡습제와 가스흡착제를 포함하며, PP 또는 PE 부직포로 패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터재는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활성탄, 지르코늄, 바륨 화합물, 리튬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칼슘 화합물 및 생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게터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진공 단열재의 제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피재(310)는 코어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를 피복하고, 그 내부를 감압 또는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피재(310)는 미리 봉투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를 삽입한 후, 진공분위기에서 입구 부분을 열압착하여 실링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피재(310)는 4각 형상의 상부 외피재(310a)와 하부 외피재(320b)의 3변의 외곽 부분을 먼저 실링하여 봉투 형태로 제작된 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외피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진공 단열재의 제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외피재(310)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를 둘러싸고 있는 실링층(sealing layer); 실링층을 둘러싸고 있는 베리어층(barrier layer); 및 베리어층을 둘러싸는 부직포층 또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실링층은 열압착방식으로 실링(압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내장된 하이브리드 단열시트(100)를 피복하고, 코어에 밀착되어 패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링층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열압착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열압착층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초저밀도폴리에틸렌(V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같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수지, 상기 수지 이외에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등과 같은 열압착이 가능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리어층은 실링층을 둘러싸고,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하며, 외부의 가스 및 수증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베리어층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금속박 또는 수지 필름 상에 금속을 증착을 한 적층 필름(증착막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동, 스테인레스 또는 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에서 증착막은 증착법(deposition method) 또는 스퍼터링법(sputtering method) 등에 의하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코발트 또는 니켈 등의 금속,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탄소 등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으로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리어층으로 알루미늄 증착 필름 또는 알루미늄 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부직포층은 베리어층을 둘러싸며, 진공 단열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1차적으로 보호하는 보호층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층은 베리어층의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단열재의 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의 재료는 PP, PTF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층 대신에 베리어층을 보호하는 1층 또는 2층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은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나일론, PET, K-PET 및 에틸렌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에 적용된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기방사장치는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되어 방사가 이루어질 때까지 상분리를 방지하도록 공압을 이용한 믹싱 모터(2a)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교반기(2)를 내장한 믹싱 탱크(Mixing Tank)(1)와, 고전압 발생기가 연결된 다수의 방사노즐(4)을 포함한다. 믹싱 탱크(1)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정량 펌프와 이송관(3)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방사노즐(4)로 토출되는 고분자 용액은 고전압 발생기에 의하여 하전된 방사노즐(4)을 통과하면서 나노섬유(5)로 방출되고,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콜렉터(6) 위에 나노섬유(5)가 축적되어 다공성 나노섬유 웹(7)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대량생산을 위해 멀티-홀(multi-hole) 방사팩(예를 들어, 245mm/61홀)을 적용하면 멀티홀간의 상호 간섭이 발생하여 섬유가 날려 다니면서 포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멀티-홀(multi-hole) 방사팩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분리막은 너무 벌키(bulky)해짐에 따라 분리막 형성이 어려워지며, 방사의 트러블(trouble)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홀(multi-hole) 방사팩을 사용하여 각 방사노즐(4)마다 에어(4a)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에어 전기방사 방법으로 다공성 나노섬유 웹(7)을 제작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에어 전기방사에 의해 전기방사가 이루어질 때 방사노즐의 외주로부터 에어(Air) 분사가 이루어져서 휘발성이 빠른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를 에어가 포집하고 집적시키는 데 지배적인 역할을 해 줌으로써 보다 강성이 높은 나노섬유 웹을 생산할 수 있으며, 섬유(fiber)가 날아다니면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 트러블(trouble)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과 내열성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방사하는 경우 2성분계 용매에 첨가하여 혼합방사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얻어진 다공성 나노섬유 웹(7)은 그 후 캘린더 장치(9)에서 고분자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캘린더링하면 코어재로 사용되는 박막의 나노섬유 웹(10)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이 얻어진 다공성 나노섬유 웹(7)을 프리히터(8)에 의한 선 건조구간(Pre-air Dry Zone)을 통과하면서 나노섬유 웹(7)의 표면에 잔존해 있는 용매와 수분의 양을 조절하는 공정을 거친 후 캘린더링 공정을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히터(8)에 의한 선 건조구간(Pre-Air Dry Zone)은 20~40℃의 에어를 팬(fan)을 이용하여 웹에 인가하여 나노섬유 웹(7)의 표면에 잔존해 있는 용매와 수분의 양을 조절함에 의해 나노섬유 웹(7)이 벌키(bulky)해지는 것을 조절하여 분리막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역할과 동시에 다공성(Porosity)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용매의 휘발이 지나치게 된 상태에서 캘린더링이 이루어지면 다공성은 증가하나 나노섬유 웹의 강도가 약해지고, 반대로 용매의 휘발이 적게 되면 나노섬유 웹이 녹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도 10의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다공성 나노섬유 웹(10)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 단독,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과 내열성 고분자 물질의 혼합물을 용매에 용해시켜서 방사용액을 준비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내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소정량의 무기물 입자를 방사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율이 낮으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물질,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을 사용하여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경우 단열 특성과 내열 특성을 동시에 갖게 된다.
그 후, 방사용액을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콜렉터(6)에 직접 방사하거나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기재(11)에 방사하여 단층 구조의 다공성 나노섬유 웹(10) 또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10)과 다공성 기재(11)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의 나노섬유 웹 시트를 제작한다.
이어서, 얻어진 나노섬유 웹 시트가 광폭인 경우 원하는 폭으로 제단한 후, 이를 원하는 두께를 갖도록 판형상으로 다수회 절첩하거나 권선기에 의해 판형상으로 권선하거나, 원하는 형상으로 다수의 코어용 시트를 절단한 후 이를 다수층 적층한다. 또한, 다수층으로 적층한 후,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적층된 다수의 나노섬유 웹 시트를 열간 또는 냉간 압착하여 적층 밀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대면적의 나노섬유 웹 시트를 제작한 후, 건축용 또는 냉장고용 단열재와 같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제단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나노섬유 웹을 형성할 때 종이, 방사용액에 포함된 용매에 의해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 폴리올레핀계 필름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트랜스퍼 시트 위에 방사용액을 방사하여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형성한 후, 나노섬유 웹을 트랜스퍼 시트와 분리하면서 부직포와 합지하는 방식으로 나노섬유 웹 시트를 제작하고, 얻어진 시트를 다단 적층할 수 있다. 상기한 트랜스퍼 시트를 사용하여 나노섬유 웹을 생산함에 따라 양산공정에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하이브리드 단열시트 120:상변화 물질
151,152:나노섬유 웹 170,171,172:지지체
300:진공 단열패널 310:외피제
151,152:나노섬유 웹 170,171,172:지지체
300:진공 단열패널 310:외피제
Claims (13)
-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의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직경 1um 이하의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이루어지고, 4㎚ ~ 1um 크기의 다수의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제1 나노섬유 웹;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의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직경 1um 이하의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이루어지고, 4㎚ ~ 1um 크기의 다수의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제2 나노섬유 웹; 및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의 가장자리가 합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섬유 웹과 상기 제2 나노섬유 웹 중 적어도 하나와 적층되어 있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섬유 웹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 제3 나노섬유 웹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나노섬유 웹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 제4 나노섬유 웹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부직포 또는 직포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에는 무기물 입자가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SiO2, SiON, Si3N4, HfO2, ZrO2, Al2O3, TiO2, Ta2O5, MgO, Y2O3, BaTiO3, ZrSiO4, Hf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 또는 유리 섬유, 흑연, 암면, 클레이(cla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인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상기 나노섬유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나노섬유의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의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직경 1um 이하의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이루어지고, 4㎚ ~ 1um 크기의 다수의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제1 나노섬유 웹을 제1 지지체에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의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직경 1um 이하의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이루어지고, 4㎚ ~ 1um 크기의 다수의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제2 나노섬유 웹을 제2 지지체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 사이에 상변화 물질이 개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의 가장자리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용액에는 흄드 실리카(Fumed Silica)가 더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의 제조방법.
- 내부 공간이 구비된 외피재; 및
상기 외피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피재를 지지하는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단열시트는,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의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직경 1um 이하의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이루어지고, 4㎚ ~ 1um 크기의 다수의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제1 나노섬유 웹;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의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직경 1um 이하의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이루어지고, 4㎚ ~ 1um 크기의 다수의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제2 나노섬유 웹; 및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나노섬유 웹의 가장자리가 합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 열전도율이 0.1W/mK 미만인 고분자로 이루어진 단열패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금속 물질로 구성하는 단열패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내부 공간은 진공 또는 감압되어 있는 단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7860 | 2013-08-19 | ||
KR1020130097860 | 2013-08-19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06941A Division KR20150021459A (ko) | 2013-08-19 | 2014-08-18 |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4437A true KR20160054437A (ko) | 2016-05-16 |
Family
ID=530198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06941A KR20150021459A (ko) | 2013-08-19 | 2014-08-18 |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
KR1020160049138A KR20160054437A (ko) | 2013-08-19 | 2016-04-22 |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그 제조방법 및 단열패널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06941A KR20150021459A (ko) | 2013-08-19 | 2014-08-18 |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5002145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5089A (ko) * | 2017-04-12 | 2018-10-22 | 국방과학연구소 | 이중 구조 열 방호 시트 및 방호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2374B1 (ko) * | 2021-08-18 | 2024-02-28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합 플라스틱 패널 |
-
2014
- 2014-08-18 KR KR20140106941A patent/KR2015002145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6
- 2016-04-22 KR KR1020160049138A patent/KR201600544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5089A (ko) * | 2017-04-12 | 2018-10-22 | 국방과학연구소 | 이중 구조 열 방호 시트 및 방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1459A (ko) | 2015-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358893B (zh) | 隔热片、混合型隔热片及隔热面板 | |
KR101601170B1 (ko) | 단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 패널 | |
KR101583651B1 (ko) | 단열재용 코어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슬림형 단열재 | |
JP2013508652A (ja) |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 |
JP2015043318A (ja) |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これから形成された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含む電気化学素子の製造方法 | |
KR101619225B1 (ko) |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 |
KR101576158B1 (ko) |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 |
JP5111331B2 (ja) | 真空断熱材およびこの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箱 | |
KR20150047760A (ko) |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2109722B1 (ko) |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160054437A (ko) |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그 제조방법 및 단열패널 | |
WO2011152610A1 (ko) | 진공 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43942B1 (ko) | 단열 방열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 |
JP2009228886A (ja) | 真空断熱材及びこれを用いた断熱箱 | |
WO2015002505A1 (ko) |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단열 패널 | |
KR102135445B1 (ko) | 단열 패널 및 그를 구비한 냉각 장치 | |
WO2015026116A1 (ko) | 단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 패널 | |
KR101990106B1 (ko) |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150047758A (ko) |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 |
KR101774078B1 (ko) | 유기합성섬유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 |
JP5216510B2 (ja) | 真空断熱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器 | |
KR20130088922A (ko) | 부직포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240106721A (ko) | 흡음 및 단열 복합원단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흡음 및 단열 복합원단 | |
JP2017129237A (ja) |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機器並びに芯材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