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374B1 - 복합 플라스틱 패널 - Google Patents

복합 플라스틱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374B1
KR102642374B1 KR1020210108566A KR20210108566A KR102642374B1 KR 102642374 B1 KR102642374 B1 KR 102642374B1 KR 1020210108566 A KR1020210108566 A KR 1020210108566A KR 20210108566 A KR20210108566 A KR 20210108566A KR 102642374 B1 KR102642374 B1 KR 10264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ate
reinforcing
heat transfer
composite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677A (ko
Inventor
위인택
허종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3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복합 플라스틱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합 플라스틱 패널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내부에 설치되고, 온도에 따라 상변화 재질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가 중심부보다 두꺼운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층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 재질로 형성된 열전달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플라스틱 패널{Composite plastic panel}
본 발명은 복합 플라스틱 패널에 관한 것으로, 냉 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여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복합 플라스틱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외에서 널리 사용되어온 종래의 건축법에 의해 많은 건물들은 건물 외벽뿐 아니라 내장재로 콘크리트를 택하고 있다. 그러나 내장재 부분에서 미관 문제 그리고 에너지 사용 절약을 요구하는 사회적 배경에 의해 다른 내장재들이 대두되고 있다. 많은 패널들이 현재 금속패널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거에 대한 단점을 보완한 많은 패널들이 발명되고 있다.
그 중 소비가 늘어나고 개발이 활발한 플라스틱 패널이 보편적으로 상용화 되고 있다. 이는 벽면이나 천장 등에 많이 사용되는데, 기존에 쓰이는 금속패널 등에 비해 설치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건설 건축 그리고 설치 등의 시공과정에서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패널은 방음 성능이 뛰어나고, 청소 및 관리도 용이할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라스틱 패널은 플라스틱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 패널을 제작 및 폐기할 때,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 패널은 방열 및 축열 등의 효과는 가지고 있으나, 방열 및 축열 등의 효과가 에너지 소비를 급감시킬 만큼의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난방비 등을 절약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10-0263183호는 에스엠씨로 된 상하판재와 무기질 경량골재, 무기질 분체 또는 분체도료 폐기분말과 열경화성 수지를 주체로 하는 코아층으로 샌드위치 구조의 복합패널을 제조하여 강도가 높고, 경량화되며, 내화성이 우수할 수 있으나, 방열 및 축열의 효과가 뛰어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16916호는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된 건물내장재용 접착 패널을 제작하여 내습성 및 습도조절 기능이 우수하면서 내벽에 접착성, 방음성, 단열성, 난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에너지 절감을 위해 방열 및 축열 등의 성능이 떨어져 에너지 절감이 뛰어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되는 플레이트 간의 열전달율을 향상시키며, 패널의 무게가 경량화되어 냉 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 사용의 최소화가 가능한 상변화 물질이 내재된 복합 플라스틱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내부에 설치되고, 온도에 따라 상변화 재질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가 중심부보다 두꺼운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층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 재질로 형성된 열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층의 외측면에 상기 열전달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층을 밀폐하는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외측면에 상기 방수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수층을 밀폐하는 제1 단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가 상기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내측에 상기 제1 단열층, 상기 방수층, 상기 열전달층 및 상기 보강층을 관통하여 서로 다른 층을 연결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층이 복수 개로 적층되고, 적층되는 상기 보강층 사이에 제2 단열층이 삽입되어,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단열층이 교차하면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단열층의 양측 단부에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단열층이 연결시켜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단열층의 양측 단부의 두께를 중심부보다 두껍게 형성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ㅌ'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층과 양측 단부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기 보강층과 열접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위치한 상기 제2 단열층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밀폐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층과 상기 열전달층은 길이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접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의 외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접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부재가 상기 접착돌기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탈착 가능한 접착몸체를 구비한 방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층은 파라핀 계열 또는 옥타테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은,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형식으로 조립되어, 건축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여 탄소 배출 및 친환경적 기술로 활용 가능하고,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비 비용 소모를 최소화해 경제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VC, PETE 계열의 플라스틱이 아닌 PBT 계열의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온도에 대한 효과적인 영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방음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다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은 천장, 벽면, 바닥 등 건출물의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은 일정 온도를 범위 내의 융점을 가질 수 있어, 건축물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방음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은 건축 등에 설치 시,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며, 시공 과정에서 시공 비용이 저렴할 수 있다. 또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내부에 축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100), 보강층(200), 열전달층(300) 및 방음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는 열전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는 고분자 및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는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00)의 내부에는 축열이 가능하고 외부와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며,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층(200)은 플레이트(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층(200)은 상변화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PC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PCM 재질의 보강층(200)은 파란핀 계열 PCM 또는 옥타데칸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라핀 계열 PCM은 융점온도가 25도 내지 27도의 융점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란핀 계열 PCM은 25도 내지 27도 사이에서 고체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 상변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축적할 수 있다.
또한, 파란핀 계열 PCM은 상전이 온도 범위가 넓고 잠열이 다른 계열의 PCM보다 클 수 있어, 축열 및 방열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강층(200)은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옥타데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옥타데칸은 상변화 온도일 수 있는 녹는 점이 28.2도로 형성될 수 있고 열 저장 용량은 242KI/kg의 열량을 가질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보강층(200)은 양측 단부가 플레이트(100)의 중심부에 형성된 두꼐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어, 복합 플라스틱 패널(1) 간의 연결 시 양측 단부에 연장되는 복합 플라스틱 패널(1) 간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은 복수 개가 양측 단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플레이트(100)가 설치되는 면마다 플레이트(100) 내측으로 전달되는 열량 또는 온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한 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보강층(200)이 상호 간에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연결된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의 평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보강층(200)과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열전달층(300)이 형성되어 플레이트(100)와 보강층(200) 사이에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열전달층(300)은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전달층(300)은 보강층(200)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열전달층(300)의 재질일 수 있는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은 금속보다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어,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플레이트(100)로 전달되는 열을 보강층(200)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은 금속보다 1/10의 저열 팽창성이 있어, 열에 대해 안정성을 가지고 잇고, 금속보다 1/2의 고열전도성으로 뛰어난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의 중량을 가볍게 제작할 수 있어,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즉, PCM으로 형성되는 보강층(200)을 플레이트(100) 내부에 설치하고 보강층(200)과 플레이트(100) 사이를 열전달층(300)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을 제작함으로써, 축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고온 발생 시 외부에서 내부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냉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하고, 패널의 설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층(200)은 건물이 붕괴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 PCM 재질의 보강층(200)과 CFRP 재질의 열전달층(300) 및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100)로 제작됨으로써, 철강 등의 금속 재질보다 인장력이 형성될 수 있어, 순간적인 붕괴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 건축물 등의 내부에 위치한 인원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갖을 수 있다.
이때, 제작된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이 건축물 등과 접착으로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소음의 전달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방음부(800)가 결합될 수 있다.
방음부(800)는 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접착홈(810) 및 접착몸체(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홈(810)은 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홈(810)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또한, 접착홈(81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어, 접착홈(810)에 대응되는 접착돌기(831)가 삽입 또는 분리되어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접착홈(810)의 하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사각 단면으로 돌출된 결합홈(810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810a)는 접착돌기(831)가 접착홈(810)에 인입되면 탄성력을 가진 접착돌기(831)가 결합홈(810a)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결합시켜 결합시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접착몸체(83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몸체(830)는 플레이트(1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몸체(8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몸체(830)는 플레이트(10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는 하방으로 접착돌기(8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돌기(831)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돌기(831)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돌기(831)는 좌우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831a)가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831a)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831a)는 접착돌기(831)가 결합홈(810a) 내측으로 인입되면 탄성력으로 눌리면서 결합홈(810a)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돌기(831a)가 위치하여 결합홈(810a)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홈(810a)에 결합돌기(831a)가 걸리면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음부(800)는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플레이트(100)에 탈착이 용이하고, 결합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기로 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보강층(200)은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보강층(200)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보강층(200)의 사이에는 제1 단열층(510)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층(200)과 제1 단열층(510)은 서로 교차하면서 적층되어 형성됨으로써, 보강층(200)으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달된 열을 최대한 축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층(200)과 제1 단열층(510)의 축열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어, 축열 효과 및 단열 효과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강층(200)과 제1 단열층(510)으로 적층된 양측 단부에는 연결부(600)가 형성되어 보강층(200)과 제1 단열층(510)의 양측 단부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재(610) 및 결합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610)는 보강층(200)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는 PC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610)는 'ㅌ'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610)의 돌출된 부분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제1 단열층(510)과 동일한 개수로 제1 단열층(510)의 양측 단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된 부분의 단부는 제1 단열층(510)의 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610)는 열이 가해지게 되어 액체로 상이 변화하면 보강층(200)과 일체화될 수 있어, 보강층(200)의 연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단부 및 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단열층(510)이 내재될 수 있다. 즉, 보강층(20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단열층(510)이 보강층(200)의 내부로 내재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610)의 외측면에는 연결부재(610)를 감싸면서 결합부재(63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63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630)는 제1 단열층(5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630)는 열을 가함으로써, 제1 단열층(510)의 단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보강층(200), 연결부재(610) 및 내부에 적층되는 제1 단열층(510)을 내재시킨 상태로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층(200)과 제1 단열층(510)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내측으로 공기, 수분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변화가 일어날 때, 내부에 보강층(200)의 온도의 변화 시간을 연장시켜 상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이때, 제1 단열층(510) 및 제1 단열층(510)과 연장된 결합부재(630)의 외측면에는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열전달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전달층(300)과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방수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방수층(400)은 열전달층(300)을 내부에 밀폐시킴과 동시에 온도의 변화에 따라 플레이트(100)와 열전달층(3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슬 등의 수분을 방지할 수 있어, 복합 플라스틱 패널(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제3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기로 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플레이트(100)와 플레이트(100) 내부에 위치하는 보강층(200) 및 열전달층(300) 사이에는 방수층(400), 제2 단열층(530) 및 고정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방수층(400)은 열전달층(300)의 외측면에서 열전달층(300)을 밀폐함과 동시에 이물질, 수분 등이 방수층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변화에 따라 플레이트(100)와 열전달층(300) 사이에 수분 등이 발생하여 플레이트(100)와 열전달층(300)을 이격시키고,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열층(530)은 방수층(400)의 외측면에 방수층(400)을 감싸면서 형성될 수 있고, 방수층(400)의 온도 변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방수층(400) 내측으로 발생하는 수분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보강층(200), 열전달층(300)¸방수층(400) 및 제2 단열층(530)은 고정부(700)를 통해 밀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700)의 고정머리(710)는 제2 단열층(53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머리(71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재(730)는 고정머리(71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위치하는 보강층(200)의 중심까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00)는 제2 단열층(530)까지 제작된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밀도 또는 부피에 의해 내측에 복수 개로 적층된 층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70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부에 2개의 고정부(700)가 삽입될 수 있고, 보강층(200)의 두께가 두꺼운 양측 단부에도 설치될 수 있어, 상변화에 따라 변하는 복수 개의 층의 분리를 방지함과 동시에 고체 상태의 상변화가 발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층들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다른 복합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제4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기로 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보강층(200) 및 열전달층(300)은 복수 개로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층(200)과 열전달층(300)이 복수 개의 굴곡진 부분을 갖으면서 형성됨으로써, 보강층(200)과 열전달층(300)이 고체화 시, 충격에 의한 파손 또는 무거운 중량의 무게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내구성을 강화하여 견고해질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복합 플라스틱 패널
100: 플레이트 200: 보강층
300: 열전달층 400: 방수층
500: 단열층 510: 제1 단열층
530: 제2 단열층 600: 연결부
610: 연결부재 630: 결합부재
700: 고정부 710: 고정머리
730: 고정부재 800: 방음부
810: 접착홈 810a: 결합홈
830: 접착몸체 831: 접착돌기
831a: 결합돌기

Claims (9)

  1.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내부에 설치되고, 온도에 따라 상변화 재질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가 중심부보다 두꺼운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층;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 재질로 형성된 열전달층;
    상기 열전달층의 외측면에 상기 열전달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층을 밀폐하는 방수층;
    상기 방수층의 외측면에 상기 방수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수층을 밀폐하는 제1 단열층; 및
    상기 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열층, 상기 방수층, 상기 열전달층 및 상기 보강층을 관통하여 서로 다른 층을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이 복수 개로 적층되고, 적층되는 상기 보강층 사이에 제2 단열층이 삽입되어,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단열층이 교차하면서 적층되는 복합 플라스틱 패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단열층의 양측 단부에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단열층이 연결시켜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단열층의 양측 단부의 두께를 중심부보다 두껍게 형성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 패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ㅌ'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층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층과 양측 단부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기 보강층과 열접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위치한 상기 제2 단열층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밀폐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 패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과 상기 열전달층은 길이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된 복합 플라스틱 패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접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의 외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접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부재가 상기 접착돌기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탈착 가능한 접착몸체를 구비한 방음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플레이트 패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파라핀 계열 또는 옥타테칸 재질로 형성된 복합 플라스틱 패널.
KR1020210108566A 2021-08-18 2021-08-18 복합 플라스틱 패널 KR102642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566A KR102642374B1 (ko) 2021-08-18 2021-08-18 복합 플라스틱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566A KR102642374B1 (ko) 2021-08-18 2021-08-18 복합 플라스틱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677A KR20230026677A (ko) 2023-02-27
KR102642374B1 true KR102642374B1 (ko) 2024-02-28

Family

ID=8532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566A KR102642374B1 (ko) 2021-08-18 2021-08-18 복합 플라스틱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3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08B1 (ko) * 2009-05-28 2009-09-07 메리츠산업주식회사 퍼즐형 방음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방음벽
JP5331240B2 (ja) * 2010-02-26 2013-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建築物用断熱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1240B1 (ko) * 1971-05-11 1978-09-01
JPH1037336A (ja) * 1996-07-25 1998-02-10 Kubota Corp 蓄熱カプセル
JPH1054092A (ja) * 1996-08-09 1998-02-24 Kubota Corp 蓄熱カプセル設置構造
KR20150021459A (ko) * 2013-08-19 2015-03-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KR20180113129A (ko) * 2017-04-05 2018-10-15 주식회사 파인씨앤에스 결로 방지용 복합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08B1 (ko) * 2009-05-28 2009-09-07 메리츠산업주식회사 퍼즐형 방음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방음벽
JP5331240B2 (ja) * 2010-02-26 2013-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建築物用断熱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677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727791U (zh) 一种新型无机复合保温板
KR101304763B1 (ko) 단열효율이 우수한 건축패널
KR101309735B1 (ko) 친환경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KR102642374B1 (ko) 복합 플라스틱 패널
CN215211643U (zh) 一种碳纤维布复合板
CN202324240U (zh) 一种建筑用结构真空绝热板
CN209924166U (zh) 一种建筑用复合型保温板
CN202248313U (zh) 一种新型耐酸碱阻燃隔热材料
CN206707058U (zh) 环保混凝土砌块
CN208023732U (zh) 一种用于预制夹心保温墙体钢芯纤维复合连接件
EP1639300B1 (en) Heating panel for a heating system of floating structure
CN105064532A (zh) 一种具有保温效果的预制外墙结构及其制作方法
CN215169218U (zh) 一种断桥铝门窗用防收缩变形尼龙隔热条
CN209703828U (zh) 玄武岩纤维混凝土装配式外墙
CN211622049U (zh) 保温板及保温墙
CN207959678U (zh) 一种轻骨料混凝土复合保温砌砖
KR102512249B1 (ko) Sol-Gel 코팅 세라믹 타일 모듈 및 제조 방법
KR101007757B1 (ko) 슬림형 단열 복합패널
CN210767300U (zh) 一种免拆复合保温板
CN221298382U (zh) 一种防火隔热硅酸钙板墙板
CN212224256U (zh) 一种阻燃性好的保温砂浆复合保温板
CN213087276U (zh) 一种无机蜂窝阻燃墙体
CN220666540U (zh) 一种防腐保温板
CN210127551U (zh) 一种耐高温预铺防水卷材
CN210508156U (zh) 一种保温装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