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283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283A
KR20160054283A KR1020140153694A KR20140153694A KR20160054283A KR 20160054283 A KR20160054283 A KR 20160054283A KR 1020140153694 A KR1020140153694 A KR 1020140153694A KR 20140153694 A KR20140153694 A KR 20140153694A KR 20160054283 A KR20160054283 A KR 2016005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polarizer
film
stretch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283A/ko
Publication of KR2016005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 양면에 접합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편광판의 연신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한 Ra가 0.05 내지 0.35㎛ 인 경우 연신 방향 줄무늬 결함의 생성을 최소화하고, 반사상이 선명하며 외관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AND DI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발광(EL)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OLED 등과 같은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콜계(polyvinyl alcohol, PVA) 필름에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이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포함하며, 편광자의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편광자의 다른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 액정셀과 접합되는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편광자는, PVA 필름을 2색성을 갖는 요오드 또는 염료로 염색한 후, 붕산이나 붕사 등으로 가교하여 편광판을 제작한다. 또한, 염색 공정 및 가교 공정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는데, 이 연신은 공정중에 행해도 되고, 그 공정의 전후에 행해도 된다. 염색 공정 및 가교 공정 후, 통상 건조기 등을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등의 보호층과 접합하여 제조된다.
편광자 제조 시에는 여러가지 결함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롤러 등의 도포 기기에 의한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미세한 스크래치(scratch), 휨 또는 뒤틀림과 같은 미세한 변형, 기포의 생성, 운반 또는 가공 공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의 혼입 또는 오염,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줄무늬 결함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함은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적인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특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줄무늬 결함은 편광판의 외관상 문제를 야기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2682호는 편광판 얼룩 자동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세 영역에서 발생하는 얼룩에 의해 편광판 불량을 감지하는 기술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문제와 관련하여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2682호
본 발명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여 연신 방향 줄무늬 결함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판의 연신 방향 줄무늬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반사상이 선명하며 외관상의 문제를 개선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 양면에 접합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Ra가 0.05 내지 0.35㎛인, 편광판.
2. 위 1에 있어서, 상기 Ra는 0.1 내지 0.2㎛인, 편광판.
3. 위 1에 있어서,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Sm은 1.9 내지 3.5mm인, 편광판.
4. 위 3에 있어서, 상기 Sm은 2.2 내지 3.0mm인, 편광판.
5 위 1에 있어서,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Rz[DIN]은 0.1 내지 1.5㎛인, 편광판.
6. 위 5에 있어서, 상기 Rz[DIN]은 0.1 내지 1.0㎛인, 편광판.
7. 위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편광판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여 연신 방향 줄무늬 결함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연신 방향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반사 상이 선명하며 외관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연신 방향 줄무늬가 다소 적은 편광판의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거리에 따른 개략적인 표면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연신 방향 줄무늬가 강하게 나타난 편광판의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거리에 따른 개략적인 표면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연신방향 줄무늬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반사에 의한 비교예 1의 얼룩을 CCD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CCD 카메라를 이용해 관찰된 얼룩 중 비교예 1의 휘도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6은 CCD 카메라를 이용해 관찰된 얼룩 중 실시예 2의 휘도에 관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 양면에 접합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편광판의 연신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한 Ra가 0.05 내지 0.35㎛인 경우 연신 방향 줄무늬 결함의 생성을 최소화하고, 반사로 보아도 반사 상이 선명하며 외관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Ra란 중심선 평균 거칠기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한국산업규격(KS)에 의할 때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그 평균선의 방향에 기준 길이만큼 뽑아내어 그 표본 부분의 평균선 방향을 X축 및 세로 배율 방향을 Y축으로 잡고, 거칠기 곡선을 y = f(x)로 나타내었을 때, 다음 식에 따라 구해지는 값을 말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단, l은 기준길이를 의미함)
본 명세서에서, Sm이란 요철 평균 간격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한국산업규격(KS)에 의할 때 거칠기 곡선에서 그 평균 선의 방향에 기준 길이만큼 뽑아내어 이 부분에서 하나의 산 및 그것에 이웃한 하나의 골에 대응한 평균 선의 길이의 합(이하 요철의 간격이라 한다.)을 구하여 다수의 요철 간격의 산술 평균값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Rz[DIN]이란 측정한 최고점과 최소점의 총평균 높이차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ASME Y14.36M-1996 Surface Texture Symbols에 의한 것이다.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과정 중 연신 방향 줄무늬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편광판의 품질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는바, 본 발명은 편광판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및 요철 평균 간격(Sm)이 특정 범위 내인 경우 연신 방향 줄무늬가 발생 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줄무늬 결함이란, 주변과 휘도 차이가 0.5 이상 나며, 폭이 1 내지 3 mm인, 연신 방향으로의 줄무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 양면에 접합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05 내지 0.35㎛ 이다. 상기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05㎛ 미만인 경우 편광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0.35㎛를 초과하는 경우 연신 방향 줄무늬 결함이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가 0.1 내지 0.2㎛일 수 있다.
편광판의 요철 평균 간격(Sm)은 당분야의 일반적인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1.9 내지 3.5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0mm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신 방향 줄무늬 결함의 생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연신 방향 줄무늬가 다소 적은 편광판의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거리에 따른 개략적인 표면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는 연신 방향 줄무늬가 강하게 나타난 편광판의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거리에 따른 개략적인 표면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Rz[DIN]은 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연신 방향 줄무늬 결함의 생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편광판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 평균 간격(Sm), Rz[DIN]을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편광자 제조 시 첨가되는 화합물 함량, 약액조 함침 시간, 연신비, 건조 온도, 건조 시간 등을 조절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편광자
편광자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 형성용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는 편광자 형성용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건조하는 등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따라 제조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일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필름은 이색성 물질, 즉 요오드에 의해 염색 가능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면내에서 편광도의 균일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요오드에 대한 염색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편광자 보호필름
편광자 보호필름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시클로올레핀,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폴리노르보르넨,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염화비닐계 필름;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필름; 이미드계 필름; 술폰계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폴리에테르케톤계 필름; 황화 폴리페닐렌계 필름; 비닐알코올계 필름; 염화비닐리덴계 필름; 비닐부티랄계 필름; 알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옥시메틸렌계 필름; 우레탄계 필름; 에폭시계 필름; 실리콘계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자외선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알칼리 등에 의해 비누화(검화)된 표면을 가진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편광특성 또는 내구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필름은 위상차 기능과 같은 광학 보상 기능을 겸비한 것일 수도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은 편광판으로 사용될 때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접합되는데, 편광자와 접합되는 면에 접합력 향상을 위한 접합 용이 처리가 수행된 것일 수 있다.
접합 용이 처리는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프라이머 처리,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의 드라이 처리; 알칼리 처리(비누화 처리) 등의 화학 처리; 저압 UV처리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과 편광자의 접합은 접착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때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접착제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되어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젤라틴계, 비닐 폴리머계 라텍스형,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수계 접착제와 비수계 접착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수계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판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양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접착하여 제조된다. 접착 방식은 접착제의 사용을 포함하여,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화상표시장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통상의 화상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점착제 층이 적층된 편광판을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 외에 당 분야에 공지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1 : 실시예 1
검화도가 99.9% 이상인 투명한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 필름(VF-PS, KURARAY사)을 30℃의 물(탈이온수)에서 2분 동안 침지하여 팽윤시킨 후 요오드 3.5mmol/L와 요오드화칼륨 2중량%가 함유된 30℃의 염색용 수용액에 4분 침지하여 염색하였다. 이때, 팽윤 및 염색단계에서 각각 1.3배, 1.4배의 연신비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요오드화칼륨 10중량%, 붕산 3.7중량% 가 함유된 50℃의 가교용 수용액에 2분 동안 침지하여 가교시켰다. 이때, 가교단계는 총 누적 신비가 5.8배가 되도록 하였다.
가교가 완료된 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70℃의 오븐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건조막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한 후 니프롤을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접합시켰다.
이후에 80℃의 열풍건조기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보호필름은 검화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보호필름, 코로나 처리된 아크릴계 보호필름 사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2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가교 단계의 연신 배율이 5.9배, 붕산 4.0 중량% 가 되도록 하였다
제조예3 :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55℃의 가교용 수용액에 가교 단계의 연신 배율이 6 배, 붕산 4.0 중량%, 가 되도록 하였다.
제조예4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60℃의 가교용 수용액에 가교 단계의 연신 배율이 6.2 배, 붕산 4.0 중량% 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분석 장비로 DAKTAK 6M을 사용하며 베어 글래스 위에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판 샘플을 올린다. Stylus force 1 mg, resolution 2 ㎛가 되도록 설정한 후, 10 mm 를 스캔하였다.
연신방향 줄무늬를 관찰하기 위하여 지평면에 수직인 위치에 광원을 설치한 후, 편광판을 광원의 1m 아래 높이는 목시 확인 위치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고, 편광판을 약 10° 기울였으며, 도 3에 연신방향 줄무늬 측정 방법을 간략히 나타내었다.
편광판 중 연신 방향 줄무늬가 시인되는 샘플의 얼룩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얼룩 부분의 위치를 표기한 후, 각 편광판의 얼룩부위와 정상부위 간의 휘도 편차를 CCD카메라(RISA社)를 통해 측정하였다. 접촉식 분석법으로 Rz[DIN]을 얻었으며,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CCD 카메라를 이용해 반사에 의한 비교예 1의 얼룩 시인을 관찰한 사진을 도 4에 나타내었고, CCD 카메라를 이용해 측정된 얼룩 중 비교예 1 및 실시예 2의 휘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각각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그래프의 가로축은 연신 방향 줄무늬가 시인되는 샘플의 특정 지점을 의미하고, 세로축은 그 지점에서의 휘도를 의미한다.
◎평가기준
강: 휘도 차이가 2 이상인 경우
중: 휘도 차이가 0.5 이상 2 미만인 경우
약: 휘도 차이가 0 이상 0.5 미만인 경우
구분 Ra Sm Rz[DIN] 연신 방향 줄무늬
실시예 1 0.125 2.398 0.399
실시예 2 0.199 2.354 0.600
실시예 3 0.342 2.503 1.063
비교예 1 1.540 2.390 4.686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시예들은 비교예 1에 비해 Ra값 및 Rz[DIN] 값이 작고, 연신 방향 줄무늬도 미약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 양면에 접합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Ra가 0.05 내지 0.35㎛인, 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a는 0.1 내지 0.2㎛인, 편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Sm은 1.9 내지 3.5mm인, 편광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Sm은 2.2 내지 3.0mm인, 편광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Rz[DIN]은 0.1 내지 1.5㎛인, 편광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Rz[DIN]은 0.1 내지 1.0㎛인, 편광판.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40153694A 2014-11-06 2014-11-06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60054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94A KR20160054283A (ko) 2014-11-06 2014-11-06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94A KR20160054283A (ko) 2014-11-06 2014-11-06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83A true KR20160054283A (ko) 2016-05-16

Family

ID=5610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694A KR20160054283A (ko) 2014-11-06 2014-11-06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2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9973B (zh) 偏光膜、含有偏光膜的光學功能薄膜層合體、含有偏光膜的光學薄膜層合體之製造方法、及具有偏光膜之有機電致發光顯示裝置
KR101846105B1 (ko) 편광판
TWI629157B (zh) 偏光板及液晶面板
TWI704369B (zh) 偏光膜之製造方法
TWI556021B (zh) 偏光板、畫像顯示裝置、及畫像顯示裝置之亮處對比之改善方法
KR20180111922A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08351453B (zh) 偏振片及其制造方法
KR102556376B1 (ko)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해당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117126A (ko) 적층 필름,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의 제조 방법
TWI483974B (zh) 聚乙烯醇薄膜、複合薄膜及製造光學構件的方法
KR20140086018A (ko)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
TW201344258A (zh) 偏光板之製造方法
KR101828213B1 (ko)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KR102266085B1 (ko) 편광 필름 롤의 제조 방법
CN107850723B (zh) 偏振板及其制造方法
KR20160054283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80104082A (ko) 투명 수지층 부착 편보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44884A (ko)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TWI693433B (zh) 偏光板及液晶面板
KR102654633B1 (ko)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20140090430A (ko) 빛샘 현상이 개선된 편광판
KR20140083268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KR102133496B1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101783262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TW202328306A (zh) 偏光膜及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