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992A - 다기능 분광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분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992A
KR20160052992A KR1020140148936A KR20140148936A KR20160052992A KR 20160052992 A KR20160052992 A KR 20160052992A KR 1020140148936 A KR1020140148936 A KR 1020140148936A KR 20140148936 A KR20140148936 A KR 20140148936A KR 20160052992 A KR20160052992 A KR 20160052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parallel
mirror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594B1 (ko
Inventor
이호재
이상선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594B1/ko
Priority to CN201580058496.0A priority patent/CN107076540B/zh
Priority to PCT/KR2015/010497 priority patent/WO2016068504A1/ko
Priority to US15/518,875 priority patent/US9945656B2/en
Publication of KR2016005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41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imaging or detection techniques
    • G01B9/02044Imaging in the frequency domain, e.g. by using a spectro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coating
    • G01B11/06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coating with measurement of absorption or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44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using interfe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01N21/45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using interferometric methods; using Schlieren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22Investigating thin films, e.g. matrix isolation meth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8Optics, miscellaneous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분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행광 생성부에서 출사되는 평행빔의 출사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평행빔의 광축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의 광을 집속시키는 제1렌즈와, 제1렌즈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1렌즈를 경유하여 확산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제2렌즈와, 제2렌즈를 거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제2렌즈와 대향되게 설치된 기준미러와,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에 설치되며 제1렌즈를 거친 광을 제1렌즈의 광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부 반사시키고 일부는 제2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빔스플릿터와, 빔스플릿터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측정대상체로 집속시키는 제3렌즈와, 측정대상체에서 반사되어 역으로 제3미러 및 빔스플릿터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제4렌즈와, 제4렌즈의 제2초점을 거쳐 확산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제5렌즈와, 제5렌즈의 광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5렌즈를 거쳐 진행되는 평행광을 회절에 의해 분광시키는 회절격자를 구비한다.이러한 다기능 분광장치에 의하면, 통합 광학계를 이용하여 막두께, 표면형상, 굴절율을 원하는 측정방식에 맞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분광장치{spectroscopy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분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막두께와 굴절률 및 표면형상 측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된 다기능 분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박막으로 형성되는 다층막 구조물 예를 들면 반도체의 경우 형성되는 막의 두께, 표면 형상, 굴절률 등 성능과 관련되는 요소를 검사하기 위한 다양한 측정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간섭계를 이용하여 두께 및 형상을 측정하는 방식이 국내 등록특허 제10-0916618호에 게시되어 있다.
한편, 간섭계를 이용하는 방식 이외에도 측정대상체에 수직으로 광을 입사시키고, 측정대상체로부터 반사된 광의 세기를 검출하여 두께와 굴절율을 분석하는 방식이 있고, 측정대상체에 경사지게 광을 입사시키고 측정대상체로부터 반사된 광의 편광 및 세기를 분석하여 두께 및 굴절율을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막두께, 굴절율, 표면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 앞서 설명된 적용방식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측정대상체에 대해 요구되는 정밀도의 수준 등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구조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다양한 측정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다기능 분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분광장치는 평행빔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평행광 생성부와; 상기 평행광 생성부에서 출사되는 평행빔의 출사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평행빔의 광축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의 광을 집속시키는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렌즈의 제1초점을 경유하여 확산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제2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거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렌즈와 대향되게 설치된 기준미러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렌즈를 거친 광을 상기 제1렌즈의 광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부 반사시키고 일부는 상기 제2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투과시키도록 배치된 빔스플릿터와; 상기 빔스플릿터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측정대상체로 집속시키는 제3렌즈와; 상기 측정대상체에서 반사되어 역으로 상기 제3미러 및 상기 빔스플릿터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제4렌즈와; 상기 평행광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1렌즈를 벗어난 영역을 향해 진행하면서 상기 제1렌즈를 거치지 않고 상기 빔스플릿터로러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제3렌즈의 광축과 나란하게 진행되는 광을 상기 측정대상체의 표면에 경사지게 입사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제1경사미러와; 상기 제1경사미러로부터 측정대상체를 거친 광을 상기 제3렌즈의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4렌즈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제2경사미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렌즈의 제2초점을 거쳐 확산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제5렌즈와; 상기 제5렌즈의 광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5렌즈를 거쳐 진행되는 평행광을 회절에 의해 분광시키는 회절격자;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절격자를 거쳐 진행되는 0차 회절광을 집속하는 제6렌즈와; 상기 회절격자를 거쳐 진행되는 1차 회절광을 집속하는 제7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렌즈와 상기 제7렌즈 각각을 통해 집속된 광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검출부와; 상기 평행광 생성기와 상기 제1렌즈 사이 내로 입출되면서 상기 평행광 생성기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1렌즈를 벗어난 영역을 향하는 광을 투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제1셔터와; 상기 제2렌즈와 상기 기준미러 사이 내로 입출되면서 상기 제2렌즈를 통과한 광을 상기 기준미러로 향하도록 투과시키거나 흡수시킬 수 있도록 된 제2셔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렌즈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평행광 생성부는 파장을 가변하여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장이 설정된 가변조건에 따라 가변되게 출사되게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분광장치에 의하면, 통합 광학계를 이용하여 막두께, 표면형상, 굴절율을 원하는 측정방식에 맞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분광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분광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분광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분광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분광장치(100)는 평행광 생성부(110), 제1 내지 제7렌즈(121 내지 127), 빔스플릿터(131), 기준미러(141), 회절격자(160), 슬릿(171), 제1 및 제2 경사미러(181)(182)를 구비한다.
평행광 생성부(110)는 평행빔을 생성하여 출사한다.
평행광 생성부(110)는 광원(111)과, 광원(111)에서 출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팅 렌즈(113)로 되어 있다.
광원(111)은 다파장 광을 출사하는 광대역 광원이 적용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평행광 생성부(110)는 평행한 광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렌즈(121)는 평행광 생성부(110)에서 출사되는 평행빔의 광축방향 즉, 콜리메이팅 렌즈(113)의 광축과 자신의 광축이 일치하게 설치되어 평행빔의 광축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의 광을 제1초점(f1)으로 집속시킨다.
여기서 제1렌즈(121)의 외경은 평행빔 생성부(110)에서 생성되는 평행빔의 단면적보다 적은 것이 적용된다.
제2렌즈(122)는 제1렌즈(121)와 동일 광축선상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1렌즈(121)의 제1초점(f1)을 경유하여 확산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시켜 기준미러(141)로 향하는 방향으로 출사한다.
기준미러(141)는 제2렌즈(122)를 거쳐 입사되는 평행광을 다시 제2렌즈(122)를 향하도록 반사시킬 수 있게 제2렌즈(122)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빔스플릿터(131)는 제1렌즈(121)와 제2렌즈(122) 사이에 설치되며 제1렌즈(121)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제1렌즈(121)의 광축과 직교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부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도록 연장방향이 제1렌즈(121)의 광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제3렌즈(122)는 제1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빔스플릿터(131)의 하면 하부에 설치되어 빔스플릿터(131)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측정대상체(10)로 집속시킨다.
제4렌즈(124)는 빔스플릿터(131)를 기준으로 제3미러(123) 반대편에 설치되어 측정대상체(10)에서 반사되어 제3미러(123) 및 빔스플릿터(131)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제2초점(f2)으로 집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4렌즈(124)는 후술되는 제2경사미러(182)를 거쳐 진행되는 광도 집속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적용한다.
제5렌즈(125)는 제4렌즈(124)의 제2초점(f2)을 거쳐 확산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회절격자(160)로 투사한다.
회절격자(160)는 제5렌즈(125)의 광축에 대해 경사지게 예를 들면, 45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5렌즈(125)를 거쳐 진행되는 평행광을 회절에 의해 분광시킨다.
제6렌즈(126)는 회절격자(160)를 거쳐 진행되는 0차 회절광을 집속한다.
제7렌즈(127)는 회절격자를 거쳐 진행되는 1차 회절광을 집속한다.
제1경사미러(181)는 평행광 생성부(110)에서 생성되어 제1렌즈(121)를 거치지 않고 진행하여 빔스플릿터(131)로부터 반사되어 제3렌즈(123)의 광축과 나란하게 진행되는 광을 측정대상체(10)의 표면에 경사지게 입사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경사미러(182)는 제1경사미러(181)로부터 측정대상체(10)를 거친 광을 제3렌즈(123)의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반사시켜 제4렌즈(124)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슬릿(171)은 제4렌즈(124)의 제2초점위치(f2)에 설치되며 제2초점(f2)을 중심으로 하여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홀(17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광검출부(191)는 제6렌즈(126)를 통해 집속된 광을 검출한다.
제2광검출부(192)는 제7렌즈(127)를 통해 집속된 광을 검출한다.
제1 및 제2검출부(191)(192)는 CCD카메라 등 입사된 광에 대응되게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광의 세기 또는 파장별 세기를 검출할 수 있는 요소가 적용될 수 있다.
제1셔터(151)는 평행광 생성기(110)와 제1렌즈(121) 사이 영역 내로 입출되면서 평행광 생성기(110)에서 생성되어 제1렌즈(121)를 벗어난 영역을 향하는 광을 투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셔터(151)는 평행광 생성기(110)와 제1렌즈(121) 사이 영역 내로 입출되면서 평행광 생성기(110)에서 생성된 광 중 제1렌즈(121)를 벗어난 영역을 향하는 광만 투과시키고 제1렌즈(121)를 향하는 광은 차단시키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셔터(151)는 제1액츄에이터(A1)(155)에 의해 진퇴되면서 제1경사미러(181)로 광이 진행 또는 차단되게 구축될 수 있다.
제2셔터(153)는 제2렌즈(122)와 기준미러(141) 사이 영역 내로 입출되면서 제2렌즈(122)를 통과한 광을 기준미러(141)로 향하도록 투과시키거나 흡수시켜 광의 진행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셔터(153)도 제2액츄에이터(A2)(157)에 의해 진퇴되면서 기준미러(141)로 광이 진행 또는 차단되게 구축될 수 있다.
참조부호 20은 측정대상체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안착 테이블이다.
이러한 다기능 분광장치(100)는 측정대상체(10)의 막두께가 0.1㎛ 이상의 후막인 경우 측정대상체(10)에 대해 제3렌즈(123)를 통과한 광만으로 측정대상체의 막두께 또는 굴절율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1셔터(151)에 의해 제1경사미러(181)로 향하는 광이 차단되게 하면서 회절격자(160)를 거친 광을 검출하여 측정하면 된다.
또한, 측정대상체(10)의 막두께가 0.1㎛ 미만의 박막인 경우 측정대상체(10)에 대해 제1경사미러(181)를 통해 경사지게 광이 입사되도록 하여 측정하면 된다.
또한, 간섭계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2셔터(153)가 제2렌즈 광투사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간섭계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셔터(153)가 제2렌즈 광투사 영역을 차폐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다기능 분광기(100)는 제4렌즈(124)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170)를 구비한다.
여기서 광검출부(170)는 CCD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평행광 생성부(110)는 파장을 가변하여 출사하는 광원(111)과, 광원(111)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장이 설정된 가변조건에 따라 가변되게 출사되게 광원(111)을 구동하는 광원구동부(115)를 구비한다.
이 경우 평행광 생성부(110)에서 파장이 가변되면서 출사되는 광에 따라 광검출부(170)에서는 가변되는 파장에 대응되어 측정대상체(10)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할 수 있어 회절격자에 대응되는 분광효과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다기능 분광장치(100)는 측정하고자 하는 방식을 다양하게 지원함으로써 막두께, 표면형상, 굴절율을 원하는 측정방식에 맞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평행광 생성부 121 내지 127: 제1 내지 제7렌즈
131: 빔스플릿터 141: 기준미러(141)
160: 회절격자 181, 182: 제1 및 제2 경사미러

Claims (7)

  1. 평행빔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평행광 생성부와;
    상기 평행광 생성부에서 출사되는 평행빔의 출사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평행빔의 광축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의 광을 집속시키는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렌즈의 제1초점을 경유하여 확산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제2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거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렌즈와 대향되게 설치된 기준미러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렌즈를 거친 광을 상기 제1렌즈의 광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부 반사시키고 일부는 상기 제2렌즈를 향하는 방향으로 투과시키도록 배치된 빔스플릿터와;
    상기 빔스플릿터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측정대상체로 집속시키는 제3렌즈와;
    상기 측정대상체에서 반사되어 역으로 상기 제3미러 및 상기 빔스플릿터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제4렌즈와;
    상기 평행광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1렌즈를 벗어난 영역을 향해 진행하면서 상기 제1렌즈를 거치지 않고 상기 빔스플릿터로러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제3렌즈의 광축과 나란하게 진행되는 광을 상기 측정대상체의 표면에 경사지게 입사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제1경사미러와;
    상기 제1경사미러로부터 측정대상체를 거친 광을 상기 제3렌즈의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4렌즈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제2경사미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분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의 제2초점을 거쳐 확산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제5렌즈와;
    상기 제5렌즈의 광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5렌즈를 거쳐 진행되는 평행광을 회절에 의해 분광시키는 회절격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분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의 제2초점위치에는 제2초점을 중심으로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홀이 형성된 슬릿;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분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격자를 거쳐 진행되는 0차 회절광을 집속하는 제6렌즈와;
    상기 회절격자를 거쳐 진행되는 1차 회절광을 집속하는 제7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분광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6렌즈와 상기 제7렌즈 각각을 통해 집속된 광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분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광 생성기와 상기 제1렌즈 사이 내로 입출되면서 상기 평행광 생성기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1렌즈를 벗어난 영역을 향하는 광을 투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제1셔터와;
    상기 제2렌즈와 상기 기준미러 사이 내로 입출되면서 상기 제2렌즈를 통과한 광을 상기 기준미러로 향하도록 투과시키거나 흡수시킬 수 있도록 된 제2셔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분광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평행광 생성부는
    파장을 가변하여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장이 설정된 가변조건에 따라 가변되게 출사되게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분광기.
KR1020140148936A 2014-10-30 2014-10-30 다기능 분광장치 KR10162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36A KR101620594B1 (ko) 2014-10-30 2014-10-30 다기능 분광장치
CN201580058496.0A CN107076540B (zh) 2014-10-30 2015-10-05 多功能分光装置
PCT/KR2015/010497 WO2016068504A1 (ko) 2014-10-30 2015-10-05 다기능 분광장치
US15/518,875 US9945656B2 (en) 2014-10-30 2015-10-05 Multi-function spectroscop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36A KR101620594B1 (ko) 2014-10-30 2014-10-30 다기능 분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992A true KR20160052992A (ko) 2016-05-13
KR101620594B1 KR101620594B1 (ko) 2016-05-24

Family

ID=5585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936A KR101620594B1 (ko) 2014-10-30 2014-10-30 다기능 분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45656B2 (ko)
KR (1) KR101620594B1 (ko)
CN (1) CN107076540B (ko)
WO (1) WO201606850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576A (ko) 2018-07-04 2020-01-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일 오차 보상 분광기
US10648860B2 (en) 2017-11-01 2020-05-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pectroscopic device
KR20220036531A (ko) 2020-09-16 2022-03-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면적 스캔 기능을 구비한 복합 영상 분광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226B1 (ko) 1996-07-09 1999-12-01 이시다 아키라 분광 반사광량 측정용 광학시스템
KR0140664Y1 (ko) 1996-08-05 1999-04-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JPH11230829A (ja) 1998-02-09 1999-08-2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顕微分光装置および顕微分光装置による分光データ測定方法
JP2002286408A (ja) 2001-03-23 2002-10-03 Fuji Photo Optical Co Ltd 斜入射干渉計用光学系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US6583876B2 (en) * 2001-05-24 2003-06-24 Therma-Wave, Inc. Apparatus for optical measurements of nitrogen concentration in thin films
US7369233B2 (en) * 2002-11-26 2008-05-06 Kla-Tencor Technologies Corporation Optical system for measuring samples using short wavelength radiation
US20050254065A1 (en) * 2004-05-12 2005-11-17 Stokowski Stanley 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urface characteristics on a mask blank
US7349079B2 (en) * 2004-05-14 2008-03-25 Kla-Tencor Technologies Corp. Methods for measurement or analysis of a nitrogen concentration of a specimen
US7359052B2 (en) * 2004-05-14 2008-04-15 Kla-Tencor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ement of a specimen with vacuum ultraviolet light
GB0510497D0 (en) * 2004-08-04 2005-06-29 Horiba Ltd Substrate examining device
CN2788123Y (zh) * 2005-01-26 2006-06-14 闫宏 双光路自准直镀膜厚度光学监控装置
KR100916618B1 (ko) 2007-06-19 2009-09-14 한국과학기술원 반사광측정법에 근거한 분산 백색광 간섭법을 이용한박막두께 및 형상측정방법
KR100947464B1 (ko) 2008-02-13 2010-03-17 에스엔유 프리시젼 주식회사 두께 측정장치
CN101608904B (zh) * 2009-07-21 2011-09-14 清华大学 多功能三维位移和形貌激光干涉测量系统
CN101922919B (zh) * 2010-09-07 2013-06-19 西安工业大学 一种光学零件几何参数非接触测量方法及其测量装置
US8873596B2 (en) * 2011-07-22 2014-10-28 Kla-Tencor Corporation Laser with high quality, stable output beam, and long life high conversion efficiency non-linear crystal
CN102426027B (zh) * 2011-09-05 2013-10-02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激光测距仪内光路控制切换装置
KR20130039005A (ko) * 2011-10-11 2013-04-19 (주)미래컴퍼니 3차원 형상 및 두께 측정 장치
US20130163003A1 (en) * 2011-12-21 2013-06-27 Ole Massow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swept-source coherence tomography
CN103033488B (zh) * 2012-12-13 2015-02-18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可实时观察监测z扫描光学非线性测量装置和方法
CN103822587B (zh) * 2014-02-25 2017-05-17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微结构三维形变和位移测试的干涉测量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8860B2 (en) 2017-11-01 2020-05-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pectroscopic device
KR20200004576A (ko) 2018-07-04 2020-01-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일 오차 보상 분광기
KR20220036531A (ko) 2020-09-16 2022-03-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면적 스캔 기능을 구비한 복합 영상 분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594B1 (ko) 2016-05-24
US9945656B2 (en) 2018-04-17
WO2016068504A1 (ko) 2016-05-06
US20170234674A1 (en) 2017-08-17
CN107076540A (zh) 2017-08-18
CN107076540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3200B (zh) 用於最佳化以成像為基礎之疊對度量之聚焦的系統及方法
KR100964251B1 (ko) 빔 스캐닝 방식의 크로마틱 공초점 현미경
US20070229842A1 (en) Optical Interferometer
WO2017150062A1 (ja) 分光測定装置
JP2011237272A (ja) 光距離計及び距離測定方法
KR101620594B1 (ko) 다기능 분광장치
JP2012181060A (ja) 分光特性測定装置及びその校正方法
JP4721685B2 (ja) 形状測定方法及び形状測定装置
WO2019187422A1 (ja) 測距ユニット及び光照射装置
US10082456B2 (en) Photothermal conversion spectroscopic analyzer
WO2011004692A1 (ja) 光干渉計を用いた変位計測装置
US11092727B2 (en) High-resolution single photodiode spectrometer using a narrowband optical filter
KR101326204B1 (ko) 박막 두께 측정장치 및 방법
JP2005017127A (ja) 干渉計および形状測定装置
JP2006300661A (ja) 干渉計,フーリエ分光装置
JP5454942B2 (ja) 分光装置とそれを用いた顕微鏡
JP7486178B2 (ja) 分光分析装置
JP2017181182A (ja) 分光測定装置
US20140300904A1 (en) Measurement apparatus
WO2019119274A1 (zh) 一种光谱仪及光谱检测设备
JPH0843717A (ja) 焦点検出装置
CN112539705A (zh) 一种发光装置及其聚焦方法、检测设备
JP2005030933A (ja) 分光装置
US8422027B2 (en) Imaging optical system for producing control information regarding lateral movement of an image plane or an object plane
JP2021051074A (ja) 分光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