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982A -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982A
KR20160052982A KR1020140148693A KR20140148693A KR20160052982A KR 20160052982 A KR20160052982 A KR 20160052982A KR 1020140148693 A KR1020140148693 A KR 1020140148693A KR 20140148693 A KR20140148693 A KR 20140148693A KR 20160052982 A KR20160052982 A KR 20160052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mbol
base station
terminal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순
김일규
방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2982A/ko
Priority to US14/804,579 priority patent/US20160128026A1/en
Publication of KR2016005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4Joint weighting using error minimizing algorithms, e.g.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cross-correlation" or matrix i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하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심볼을 생성한다. 그리고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심볼을 감산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획득하고, 변형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심볼을 생성한다.

Description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for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in high-speed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MHN(Mobile Hotspot Network) 시스템은 주로 고속의 그룹 이동체에 대한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LOS(Line of Sight) 환경에서 잘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NHN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앞, 뒤 양쪽 방향의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며, 하나의 안테나로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송수신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MHN 시스템은 양쪽 방향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받는데, 각각의 안테나에서 독립적인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측과 양쪽 안테나와의 거리들이 서로 비슷하여 SNR(signal to noise ratio)이 낮아지면, 임의 안테나를 통하여 다른 쪽 안테나에서 수신되어야 하는 반대쪽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등이 발생하여 수신 성능이 열화되고 디코딩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NLOS (Non-LOS) 환경도 간헐적으로 반드시 존재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수신 성능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은,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하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서, 상기 단말이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심볼을 감산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되는 신호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제1 DCI(downlink control indicator) 정보와, 제2 기지국에 대한 제2 DC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DCI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DCI 정보를 이용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심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검출을 수행하여 심볼을 추정하고, 추정된 심볼을 이용한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LLR 값을 이용하여 해당 심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은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1 DCI 정보와 상기 제2 DCI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한 기지국이며,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방향 뒤에 위치한 기지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수신 장치는,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하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서, 상기 단말이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 또는 입력되는 변형 수신 신호로부터 심볼을 추정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하나의 추정된 심볼을 토대로 디코딩을 수행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심볼을 생성하는 제1 디코더; 상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심볼을 감산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검출기로 제공하는 제1 신호 연산부; 상기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다른 하나의 추정된 심볼을 토대로 디코딩을 수행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심볼을 생성하는 제2 디코더;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제2 심볼을 감산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검출기로 제공하는 제2 신호 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기로 입력되는 상기 수신되는 신호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제1 DCI(downlink control indicator) 정보와, 제2 기지국에 대한 제2 DC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기는 상기 제1 DCI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심볼을 추정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DCI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심볼을 추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추정된 제1 심볼을 이용하여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산출하여 상기 제1 디코더로 출력하는 제1 디매퍼; 및 상기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추정된 제2 심볼을 이용하여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산출하여 상기 제2 디코더로 출력하는 제2 디매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1 DCI 정보와 상기 제2 DCI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한 기지국이며,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방향 뒤에 위치한 기지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은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와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반복 수신 알고리즘을 토대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안테나가 다른 안테나에서 수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복 수신 알고리즘의 개념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복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핫스팟(hotspot)인 무선랜 기지국들(대표 번호 "2"를 부여함)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이동체(3)에 전달한다. 이동체(3)는 두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랜 기지국(2)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안테나 각각은 서로 다른 무선랜 기지국(예를 들어, RRH#2, RRH#3)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 경우, 안테나가 다른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 2는 안테나가 다른 안테나에서 수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안테나 #1이 무선랜 기지국 RRH#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안테나 #2가 무선랜 기지국 RRH#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안테나 #1이 무선랜 기지국 RRH#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RRH #2 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하여 간섭이 발생하여 안테나 #1 에서의 복조 성능이 열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수신 성능의 열화 개선을 위하여, 반복 수신 알고리즘을 토대로 신호 수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반복 수신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멀티 코드워드(codeword)를 전송해야 가능하다. 최근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멀티 코드워드를 지원하는데, 이는 수신단에서 복조 및 디코딩 후에 각 코드워드 별로 간섭을 제거하고 다시 복조 및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좋게 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반복 수신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멀티 코드워드 송수신을 해야 하는데,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MHN (Mobile Hotspot Network) 시스템은 하나의 코드워드 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반복 수신 알고리즘 적용이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MHN (Mobile Hotspot Network) 시스템에서, 수신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반복 수신 알고리즘을 토대로 신호 수신을 수행한다.
다음에는 반복 수신 알고리즘을 토대로 한 신호 수신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과 같은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테나#1 에서 신호를 복조할 때, 안테나#2 로 입력되어야 하는 신호가 안테나 #1 로도 입력되는 경우가 생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안테나 #1로 입력되어야 하는 신호를 "제1 입력 신호"라고 하고, 안테나 #2로 입력되어야 하는 신호를 "제2 입력 신호"라고 한다.
안테나 #1에서 안테나#2 로 입력되어야 하는 신호인 제2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입력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서는 안테나 #2 로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DCI (Downlink Control format Indicator) 정보를 알아야 한다.
안테나 #1 과 안테나 #2 에 해당하는 신호 처리 장치(예, 모뎀)가 동일한 그룹 이동체에 존재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안테나 #2 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DCI 정보를, 안테나 #1 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한다. DCI 정보는 데이터 송신 처리시 사용한 코드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안테나 #2에서 안테나#1 로 입력되어야 하는 신호인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제1 입력 신호에 대한 DCI 정보를 알아야 함으로, 안테나 #1 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입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DCI 정보를, 안테나 #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한다.
위와 같은 경우, 각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2개의 스트림(stream)을 수신하는 것과 같으므로, 이를 토대로 반복 수신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복 수신을 토대로 한 신호 수신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반복 수신 알고리즘 수행시, 간섭 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를 필수 적으로 수행한다. 송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2개의 코드 워드를 포함하는데, 이는 수신측에서 각 코드 워드끼리 간섭을 제거하여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두 개의 코드워드 중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양호(good)"인 코드워드의 디코딩 데이터를 가지고 수신된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심벌을 구성한 다음, 원래 수신된 신호에서 심볼을 빼주면 간섭이 제거된 다른 코드워드의 신호를 재생성할 수 있다. 간섭 제거 방법으로는 연속적인 간섭 제거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와, 병렬 간섭 제거(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방법 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복 수신 알고리즘의 개념을 나타낸 도이다.
공간적 멀티플렉싱(Spatial Multiplexing)을 지원하는 MIMO 송수신 시스템에서 멀티 코드워드를 갖는 경우, 수신단의 성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첫 번째의 복조 및 디코딩 후 다시 한번 반복적으로 간섭을 제거한 후 복조 및 디코딩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도 3은 병렬 간섭 제거(PIC,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앞 단에서 수행된 디코딩 결과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래 송신단에서 수행하는 인코딩, 변조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첫 번째 복조 및 디코딩시, 수신되는 신호에서 심볼을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LLR값을 토대로 디코딩을 수행한다.
두 번째 복조 및 디코딩시에, 앞단 즉, 첫번째 복조 및 디코딩시에 획득한 데이터를 토대로 다시 심볼을 검출하고 LLR 값을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간섭을 제거한 심볼을 가지고 복조 및 디코딩을 함으로써 성능이 더 좋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의 복소수 심볼(complex-valued symbol)을 x(m)이라고 할 경우, 수신 신호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y 는 수신 신호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2
는 채널 상태 행렬을 나타내며, x는 송신 신호를 나타내며, 송신 신호의 복수소 심볼(complex-valued symbol)을 x(m)이라고 할 수 있다. w는 분산이
Figure pat00003
이고, 평균이 0인 가우시안 분포(Gaussian distribution)를 따르는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을 나타낸다.
송신 신호의 심볼에 대한 MSEE(mean-squared estimation error)를 최소화하는 선형 변환(linera trasform)
Figure pat00004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5
이러한 변환에 대한 필요 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된다.
Figure pat00006
채널 상태 행렬 H는 풀 컬럼 랭크(full-column rank)를 가지므로 MMSE(minumum mean squard error) 가중치 행렬
Figure pat00007
는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수학식 4에서, 역연산(inverse operation)의 피연산자인
Figure pat00009
는 NumLyr-dimensional 에르미트 행렬(Hermitian matrix)이므로 변경된 가우시간 제거(modified Gaussian elimination)에 ?레스키(Cholesky) 변환을 하여 비교적 쉽게 3개 행렬의 L·D·L* 으로 분해할 수 있다. 여기서 L은 동일 차원의 복소수 하삼각 행렬(lower triangular matrix)이고 대각선 원소(diagonal elements)가 모두 1인 행렬이다. 그리고 D는 실수 대각선 행렬(real-valued diagonal matrix)을 나타낸다.
다음 수식에 따라 한 행(row)씩 순차적으로 분해(decomposi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에르미트 행렬에 대한 LDU 분해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0
MMSE 가중치 행렬
Figure pat00011
는 다음 연립 방정식의 해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Figure pat00013
이라고 두면, 다음 수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MMSE 가중치 행렬의 원소들을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14
MMSE 가중치 행렬을 토대로 추정된 심볼
Figure pat00015
과, 잡음 분산(noise variance)의 함수를 토대로 출력 신호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6
여기서 열벡터(column vector) c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7
이와 같이, 수신 신호를 디코딩된 결과를 가지고 심볼을 생성한다. 즉, 디코딩한 결과를 인코딩을 하고, 스크램블링 레이트 매칭 심볼 매핑 등의 인코더, 변조기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한 후 심볼을 생성한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간섭이 전혀 없는 깨끗한 코드워드에 대해서 만들어 지는 것 즉, CRC 가 "양호"라는 전제를 둔다. 이 경우, 깨끗한 신호를 원래 수신한 신호에서 빼면 다른 코드워드의 성분이 없는 순수하게 자신의 코드워드에 대한 신호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이 데이터를 가지고 다시 MMSE 검출을 하고 디코딩을 수행하면 수신 성능이 개선된다.
이를 위해, 버퍼 등에 저장해 둔 수신 신호에서 획득한 심볼을 빼주면 간섭이 제거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간섭이 제거된 신호에 대하여 앞에서 수행한 MMSE 검출 동작을 다시 적용하여 심볼을 추정하고, 이와 같이 추정된 심볼과 SNR 값을 이용하여 LLR 값을 계산하고, LLR 값을 토대로 디코딩을 수행하여, 간섭이 제거된 다른 코드워드의 신호를 재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위와 같은 반복 수신 처리를 위하여, 무선랜 기지국들이 신호 송신시에 자신의 DCI 정보 이외에도 인접한 무선랜 기지국의 DCI 정보를 함께 송부한다. 즉, 도 2와 같은 환경에서, 무선랜 기지국 RRH #1은 자신의 DCI 정보 이외에 인접한 기지국인 RRH #2에 대한 DCI 정보를 동시에 송신한다. 또한 RRF#2는 자신의 DCI 정보와 인접한 기지국 RRH #3에 대한 DCI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랜 기지국은 인접한 기지국 특히, 고속 이동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바로 이전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대한 DCI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NHN 특성상 전진하는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바로 이전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설명의 편의상 이전 기지국이라고 명명함)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전 기지국의 DCI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따라서, 이동체는 신호 수신시,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DCI 정보를 토대로 반복 수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동체 즉, 단말은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반복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는 안테나 #1을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신호는 제1 기지국(예를 들어, RRH#1)의 제1 DCI 정보와, 제2 기지국(예를 들어, RRH#2)의 제2 DCI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단말은 안테나(예를 들어, 안테나 #1)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MMSE 검출을 수행하여 디코딩한 결과를 토대로 심볼을 추정한다(S100, S110). MMSE 검출을 토대로 한 디코딩 과정은 위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디코딩 과정을 통하여 예를 들어, 제1 DCI 정보를 토대로 하는 신호에 대한 심볼이 생성하였다고 하면, 입력 신호인 수신 신호로부터 추정한 심볼을 빼주는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은 제1 DCI 정보를 토대로 추정한 심볼을 수신 신호로부터 감산하여 제1 DCI 정보를 토대로 한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획득한다. 수신 신호로부터 제1 DCI 정보를 토대로 한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변형 수신 신호라고 명명한다(S120).
그리고 변형 수신 신호에 대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시 MMSE 검출 및 디코딩을 수행하여 변형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심볼을 획득한다(S130).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안테나 #1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제1 기지국(예를 들어, RRH#1)의 제1 DCI 정보를 토대로 송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송신 데이터를 수신 신호로부터 감산하여 획득한 신호에 대하여 다시 MMSE 검출 및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제2 기지국(예를 들어, RRH#2)의 제2 DCI 정보를 토대로 송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 신호로부터 제1 DCI 정보를 토대로 송신된 송신 데이터 및 제2 DCI 정보를 토대로 송신된 송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100)는 MMSE 검출기(10), 디매퍼(21, 22), 디코더(31, 32), 신호 연산부(41, 42)를 포함한다.
MMSE 검출기(10)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심볼을 추정한다.
디매퍼(21, 22)는 추정된 심볼을 이용하여 LLR 값을 획득하며, 디코더(31, 32)는 LLR 값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심볼을 획득한다.
신호 연산부(41, 42) 디코더(31, 32)로부터 획득한 심볼을 수신되는 신호에서 감산하는 연산 처리를 수행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생성하여 MMSE 검출기(11)로 제공한다. 특히, 신호 연산부(41, 42)는 획득한 심볼에 대하여 채널값을 곱한 신호를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감산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MSE 검출기(11)로부터 제1 DCI 정보를 토대로 하는 신호에 대하여 추정된 심볼을 토대로 디매퍼(21)는 대응하는 LLR 값을 산출하고, 디코더(31)는 LLR 값을 이용하여 제1 DCI 정보를 토대로 하는 신호에 대한 제1 심볼을 생성한다. 신호 연산부(41)는 수신 신호에서 제1 심볼을 빼서 획득한 변형 수신 신호를 MMSE 검출기(10)로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첫번째 디코딩 과정이 완료되어, 수신 신호로부터 예를 들어, 제1 DCI 정보를 토대로 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심볼이 생성되고 또한 수신 신호로부터 제1 심볼이 제거된 변형 수신 신호가 획득한다.
이후, 변형 수신 신호를 토대로 하여 두번째 디코딩 과정이 수행된다. MMSE검출기(10)로부터 변형 수신 신호로부터 획득한 추정한 심볼을 디매퍼(22)로 출력하고, 디매퍼(22)는 대응하는 LLR 값을 산출하여 디코더(32)로 제공한다. 디코더(32)는 이러한 LLR 값을 이용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변형 수신 신호 즉, 제 2 DCI 정보를 토대로 하는 신호에 대한 제2 심볼을 생성한다.
이러한 신호 수신 처리는 안테나 #1 및 안테나 #2를 통하여 각각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하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서,
    상기 단말이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심볼을 감산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신호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제1 DCI(downlink control indicator) 정보와, 제2 기지국에 대한 제2 DCI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DCI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DCI 정보를 이용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심볼을 생성하는, 신호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검출을 수행하여 심볼을 추정하고, 추정된 심볼을 이용한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LLR 값을 이용하여 해당 심볼을 생성하는, 신호 수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1 DCI 정보와 상기 제2 DCI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한 기지국이며,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방향 뒤에 위치한 기지국인, 신호 수신 방법.
  7.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하는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서,
    상기 단말이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 또는 입력되는 변형 수신 신호로부터 심볼을 추정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하나의 추정된 심볼을 토대로 디코딩을 수행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심볼을 생성하는 제1 디코더;
    상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심볼을 감산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검출기로 제공하는 제1 신호 연산부;
    상기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다른 하나의 추정된 심볼을 토대로 디코딩을 수행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심볼을 생성하는 제2 디코더;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제2 심볼을 감산하여 변형 수신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검출기로 제공하는 제2 신호 연산부
    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로 입력되는 상기 수신되는 신호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제1 DCI(downlink control indicator) 정보와, 제2 기지국에 대한 제2 DCI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제1 DCI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심볼을 추정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DCI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심볼을 추정하여 출력하는,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추정된 제1 심볼을 이용하여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산출하여 상기 제1 디코더로 출력하는 제1 디매퍼; 및
    상기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추정된 제2 심볼을 이용하여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산출하여 상기 제2 디코더로 출력하는 제2 디매퍼
    를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1 DCI 정보와 상기 제2 DCI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한 기지국이며,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이동하는 방향 뒤에 위치한 기지국인, 수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와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KR1020140148693A 2014-10-29 2014-10-29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52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93A KR20160052982A (ko) 2014-10-29 2014-10-29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14/804,579 US20160128026A1 (en) 2014-10-29 2015-07-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in high-speed mobil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93A KR20160052982A (ko) 2014-10-29 2014-10-29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982A true KR20160052982A (ko) 2016-05-13

Family

ID=5585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693A KR20160052982A (ko) 2014-10-29 2014-10-29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28026A1 (ko)
KR (1) KR20160052982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9672B2 (en) * 2002-02-06 2006-08-29 Duke University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traffic channel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8185798B2 (en) * 2008-06-30 2012-05-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Techniques for reducing joint detection complexity in a channel-cod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
KR101803015B1 (ko) * 2010-02-10 2017-12-01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5587824B2 (ja) * 2011-05-02 2014-09-10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873467B2 (en) * 2011-12-05 2014-10-28 Ofinno Technologies, Llc Control channel detection
KR102039286B1 (ko) * 2012-08-23 2019-10-3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물리 계층 자원들을 상이한 서빙 사이트들에 제공하는 방법
US9351312B2 (en) * 2013-09-19 2016-05-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using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s signature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307517B2 (en) * 2014-03-24 2016-04-05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multi-band roa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8026A1 (en) 2016-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8238B2 (en) Apparatus, method and receiving terminal for LDPC decoding
KR100690873B1 (ko) Mimo시스템의 복호장치 및 방법
KR20080048584A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080090066A (ko) 다중 안테나 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US20160254939A1 (en) Demodulator apparatus and demodulation method
CN106982106B (zh) 递归子块解码
US8139669B2 (en) Space domain filter detecting method in a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376941B2 (ja) 受信装置
JP5170535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llr算出装置及び方法
JP5288622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6889468B2 (ja) 通信資源の同時共用が可能なセンサデバイス用通信システム
KR100934170B1 (ko) 다중 안테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CN102983933B (zh) 信号发送方法、信号解码方法、装置和系统
KR100926563B1 (ko) 로그우도비 산출 방법, 송신 신호 검출 방법 및 수신기
KR20160052982A (ko)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8223876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s in OFDM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ple antennas and method thereof
JP2009130516A (ja) 受信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JP4683478B2 (ja) 多入力多出通信方法、多入力多出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10045422A (ja) 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方法
KR101060530B1 (ko) 연판정 검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호 방법
KR101463532B1 (ko)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57408A (ko) 무빙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타이밍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0933053B1 (ko)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검출 방법
KR200901053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210058654A (ko) 무빙 네트워크에서 반복 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