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996A - 공압펌프 - Google Patents

공압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996A
KR20160051996A KR1020140149662A KR20140149662A KR20160051996A KR 20160051996 A KR20160051996 A KR 20160051996A KR 1020140149662 A KR1020140149662 A KR 1020140149662A KR 20140149662 A KR20140149662 A KR 20140149662A KR 20160051996 A KR20160051996 A KR 2016005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housing
master cylinder
piston
switch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코엔지니어링
김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코엔지니어링, 김재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4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1996A/ko
Publication of KR2016005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04B9/1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04B9/1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 F04B9/1207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using a source of partial vacuum or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04B9/1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 F04B9/123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having only one pumping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1/00Pumps using positively or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to be pumped
    • F04F1/02Pumps using positively or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to be pumped using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pressurised fluid medium, e.g. altern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하우징의 상, 하단에 결합되며, 하우징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주입공이 형성된 상, 하부 고정원판과, 하우징 내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 왕복동하며, 하부 고정원판으로 관통삽입되는 피스톤로드의 상단에 축설된 피스톤과, 피스톤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동기시키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에 결합되는 스위칭부재와, 이 스위칭부재의 동기동작에 의해 내측의 관로개폐핀이 승하강하면서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압의 방향을 상, 하부로 전환시키는 마스터실린더를 포함하는 공압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에 결합되며, 내측에 형성되어 파워공압로로부터 마스터실린더로 주공압이 공급되면,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전환된 공압이 상, 하부 고정원판의 주입공 중 어느 하나로 분기되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의 주입공(320)에 각각 연통되게 하는 상, 하부 공압로가 형성된 공압분배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피스톤이 승하강하면서 공압을 압축, 배기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내, 외측의 기압차에 의하여 하우징 외측에서는 이슬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마스터실린더의 전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공압펌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압펌프{Pneumatic pump}
본 발명은 원통형 하우징의 상, 하단에 결합되며, 하우징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주입공이 형성된 상, 하부 고정원판과, 하우징 내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 왕복동하며, 하부 고정원판으로 관통삽입되는 피스톤로드의 상단에 축설된 피스톤과, 피스톤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동기시키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에 결합되는 스위칭부재와, 이 스위칭부재의 동기동작에 의해 내측의 관로개폐핀이 승하강하면서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압의 방향을 상, 하부로 전환시키는 마스터실린더를 포함하는 공압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피스톤이 승하강하면서 공압을 압축, 배기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내, 외측의 기압차에 의하여 하우징 외측에서는 이슬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마스터실린더의 전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공압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차량용 윈도우나 각종 고무재 혹은 프라스틱 재질의 몰딩을 차체에 부착할 때 고점도 접착제(실란트)를 사용하게 되는데, 고점도 접착제는 점성이 강해 일반적인 펌프에 의해서는 펌핑되기 어려우므로 별도로 개발된 고점성 공압펌프가 사용된다.
일 예로, 고점성 공압펌프에 관하여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3-0079025호 "공압펌프"를 참조해 볼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공압펌프는, 내부에 실린더를 갖추고 실린더의 상하측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상하 공압토출구를 갖춘 펌프하우징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하로 작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상하 공압토출구로 유입되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반복 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접착제 탱크에 담긴 접착제를 펌핑하는 외부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압을 공급함에 있어 상기 공압라인을 전환하면서 상기한 상하 공압토출구로 공압을 교대로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는 마스터실린더 및 ; 상기 피스톤의 행정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터실린더로 공급되는 공압을 실린더의 상하측으로 교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의 공압회로를 제어하는 공압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압펌프는 실린더의 내부 상하측에 설치된 공압밸브가 피스톤의 왕복운동(상사점과 하사점)시 피스톤이 공압밸브의 가동부를 가압하여 공압밸브의 공압라인을 개방하여 마스터실린더속으로 공압을 가해 관로개폐용 핀를 이동시킨다.
상기 관로개폐핀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작동용 공압은 마스터실린더의 출구가 실린더의 상하측으로 연결된 공압라인과 연결되면서 공압이 피스톤의 일측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공압밸브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의 관로개폐핀이 상승하면, 마스터실린더로 유입되는 공압라인이 실린더의 하측으로 연결된 공압라인이 연결되어 공압이 실린더의 하측으로 공급되고, 공압밸브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의 관로개폐핀이 하강하면, 마스터실린더로 유입되는 공압라인이 실린더의 상측으로 연결된 공압라인과 연결되어 공압이 실린더의 상측으로 공급되면서 피스톤은 공압에 의해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터실린더와 피스톤 실린더와 연결된 공압라인을 교대로 전환시키면 피스톤을 왕복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이 피스톤 실린더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승하강함에 따라 에어를 압축하고 배기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피스톤 실린더 내, 외측에는 기압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피스톤 실린더 외측에서는 이슬점이 형성됨으로써, 피스톤 실린더 외측에 물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실린더 외측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에도 물기가 발생하고, 결국, 마스터실린더 내측으로도 습기 또는 물기가 발생하여 마스터실린더 내측의 관로개폐핀이 원활지 못하게 승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주공압의 방향이 완벽하게 전환되지 않게 되어 피스톤의 출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하향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압펌프의 하우징 내, 외측에서 기압차가 발생하더라도 마스터실린더에서는 이슬점에 의한 물기 발생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터실린더의 관로개폐핀이 원활하게 주공압의 방향을 전환시켜 공압펌프의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원통형 하우징(202)의 상, 하단에 결합되며, 하우징(202)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주입공(320)이 형성된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과, 하우징(202) 내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 왕복동하며, 하부 고정원판(312)으로 관통삽입되는 피스톤로드(204)의 상단에 축설된 피스톤(206)과, 피스톤(206)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동기시키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에 결합되는 스위칭부재(700)와, 이 스위칭부재(700)의 동기동작에 의해 내측의 관로개폐핀(526)이 승하강하면서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압의 방향을 상, 하부로 전환시키는 마스터실린더(510)를 포함하는 공압펌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2)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에 결합되며, 내측에 형성되어 파워공압로(420)로부터 마스터실린더(510)로 주공압이 공급되면, 마스터실린더(510)로부터 전환된 공압이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의 주입공(320) 중 어느 하나로 분기되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의 주입공(320)에 각각 연통되게 하는 상, 하부 공압로(422)(424)가 형성된 공압분배부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펌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피스톤의 상사행정과 하사행정이 반복됨에 따라 하우징 내, 외측에서 기압차가 발생하더라도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공압분리부재 및 마스터실린더가 이격설치됨으로써, 하우징 외측에서 발생하는 이슬점에 의해 물기가 발생하더라도 공압분리부재와 마스터실린더측에는 그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됨으로써, 마스터실린더 내측의 관로개폐핀의 전환동작이 정밀하고도 원활하게 이루어져 공압펌프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펌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펌프의 피스톤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하강하는 상태에서 주공압이 공급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펌프의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마스터실린더의 관로개폐판을 동작시키는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제3공압로, 제1, 제2유도로, 에어주입공, 배기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3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펌프의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주공압이 공급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펌프의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마스터실린더의 관로개폐판을 동작시키는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를 확대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D를 확대한 도면.
이하에서는, 고점도 공압펌프(200)를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공압펌프(200)의 스위칭유니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부 프레임(110)에 공압펌프(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10)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110)을 상하로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 공압실린더(120)가 부착되어 공압실린더(120)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상부 프레임(110)에 설치고정된 공압펌프(200)가 상하로 승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공압펌프(200)의 하측에 접착제(130)가 담긴 접착제 용기(132)가 놓여지며, 접착제 용기(132)의 내경에 삽입되어 용기의 내부를 기밀상태로 유지시키는 실링부재(140)가 마련되어 있다.
실링부재(140)의 원주면에는 접착제 용기(132)의 내경에 접해지는 신축성 고무재질의 실링밴드(142)가 부착되어있고, 실링부재(140)의 중앙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펌프(200)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06) 로드가 결합되어 연동하면서 접착제 용기(132)에 담긴 접착제(130)를 흡입하여 실란트 배출구(150)로 배출시킨다
상기한 공압펌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된 원통형 하우징(202)의 상, 하단에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이 결합되며,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에는 주입공(320)이 성형되는 바, 이 주입공(320)은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의 외경면으로 부터 내측 일정깊이까지 일직선으로 성형된 후 그 끝단에서 하우징(202) 내측을 향하여 하향 또는 상향 굴절되는 형태로 주입공(320)이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2)의 내측에는 내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되도록 피스톤(206)이 설치되는 바, 이 피스톤(206)은 하부 고정원판(312)으로 관통삽입되는 피스톤로드(204)의 상단에 축설된다.
아울러, 상기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의 외경에는 공압분배부재(410)의 상, 하부 측면이 결합되어 하우징(202)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는 바, 이 공압분배부재(410)의 내측에는 하우징(202) 내측의 피스톤(206)을 승하강시키는 원동력인 주공압이 진입하는 파워공압로(420)가 성형되며, 이 파워공압로(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 정면에서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성형된 후, 다른 측면 즉, 후술하게 될 마스터실린더(510)측을 향하여 절곡된 형태로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압분배부재(410)의 다른 측면, 즉 마스터실린더(510)가 결합되는 측면으로부터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의 주입공(320)을 향하여 상, 하부 공압로(422)(424)가 각각 성형되어 주입공(320)과 연결됨으로써, 파워공압로(420)로 인입된 주공압이 마스터실린더(510)를 통해 전화되어 상, 하부 공압로(422)(424),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의 주입공(320)을 통하여 하우징(202)내측으로 공급되어 피스톤(206)을 하강시키거나 승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공압부재의 다른 측면, 즉 마스터실린더(510)가 결합되는 측면으로부터 또 다른 측면으로는 상, 하부 배출공(426)(428)이 형성되는 바, 상기한 피스톤(206)이 하강하게 되면, 피스톤(206) 하부에 잔류하는 에어는 하부 고정원판(312)의 주입공(320), 하부 공압로(424)를 경유하여 마스터실린더(510)로 유입되었다가 상부 배출공(426)으로 배기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피스톤(206)이 승강하게 되면 피스톤(206) 상부에 잔류하는 에어는 상부 고정원판(310)의 주입공(320), 상부 공압로(422)를 경유하여 마스터실린더(510)로 유입되었다가 하부 하부 배출공(428)으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공압분배부재(4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마스터실린더(5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직으로 길게 개폐공(524)이 성형되어 있으며, 이 개폐공(524)의 측면에는, 상기한 공압분배부재(410)의 파워공압로(420), 상, 하부 공압로(422)(424), 상, 하부 배출공(426)(428)과 대응되게 파워인입구(512), 상, 하부 에어진출구(514)(516), 상, 하부 배기구(520)(522)가 형성되어 각각이 연통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공(524)의 내측에는 대구경(526a)과 소구경(526b)이 반복형성된 관로개폐핀(526)이 삽입되어 승하강하게 되는 바, 이때, 어느 하나의 소구경(526b)이 파워인입구(512)와 상, 하부 에어진출구(514)(516) 중 어느 하나에 걸쳐서 멈춤유지되면, 파워인입구(512)로 공급되는 공압이 상, 하부 에어진출구(514)(516)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는 것이다.
아울러, 다른 하나의 소구경(526b)이 하, 상부 에어진출구(516)(514) 중 어느 하나와 하, 상부 배기구(522)(520) 중 어느 하나에 멈춤유지되어 하, 상부 에어진출구(516)(514) 중 어느 하나와 하, 상부 배기구(522)(52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키면서 개방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 하부 공압로(422)(424) 및 상, 하부 에어진출구(514)(516)로 배기되는 하우징(202) 내측의 에어가 하, 상부 배기구(522)(520)를 통해 하, 상부 배출공(426)으로 배기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206)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도달하면, 스위칭부재(700)에 의하여 마스터실린더(510)의 관로개폐핀(526)이 하강하거나 승강하게 하여 파워인입구(512)와 상, 하부 에어진출구(514)(516) 중 어느 하나 및 하, 상부 에어진출구(516)(514) 중 어느 하나와 하, 상부 배기구(522)(520)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202) 내측의 피스톤(206)이 반복적으로 승하강함에 따라 하우징(202) 내측에서 공압이 압축되고 배기되는 과정이 반복되며, 이에 따라, 기압차에 의한 이슬점 형성이 용이해지며, 결국, 하우징(202) 외측면에는 이슬점형성에 의한 이슬이 맺혀 물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공압분배부재(410)는 하우징(202)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하우징(202) 측면에서 발생하는 이슬점 현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공압분배부재(4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마스터실린더(510)에도 그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됨으로써, 마스터실린더(510) 내측의 관로개폐핀(526)의 승하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관로개폐핀(526)의 왕복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공압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10 : 상부 프레임 120 : 공압실린더
130 : 접착제 132 : 접착제 용기
140 : 실링부재 142 : 실링밴드
150 : 실란트 배출공 200 : 공압펌프
202 : 하우징 204, 206 : 피스톤, 피스톤로드
310, 312 : 상, 하부 고정원판 320 : 주입공
410 : 공압분배부재
420 : 파워공압로 422, 424 : 상, 하부 공압로
510 : 마스터실린더 512 : 파워인입구
526 : 관로개폐핀

Claims (1)

  1. 원통형 하우징(202)의 상, 하단에 결합되며, 하우징(202)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주입공(320)이 형성된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과, 하우징(202) 내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 왕복동하며, 하부 고정원판(312)으로 관통삽입되는 피스톤로드(204)의 상단에 축설된 피스톤(206)과, 피스톤(206)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동기시키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에 결합되는 스위칭부재(700)와, 이 스위칭부재(700)의 동기동작에 의해 내측의 관로개폐핀(526)이 승하강하면서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압의 방향을 상, 하부로 전환시키는 마스터실린더(510)를 포함하는 공압펌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2)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에 결합되며, 내측에 형성되어 파워공압로(420)로부터 마스터실린더(510)로 주공압이 공급되면, 마스터실린더(510)로부터 전환된 공압이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의 주입공(320) 중 어느 하나로 분기되도록 상, 하부 고정원판(310)(312)의 주입공(320)에 각각 연통되게 하는 상, 하부 공압로(422)(424)가 형성된 공압분배부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펌프.
KR1020140149662A 2014-10-29 2014-10-29 공압펌프 KR20160051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662A KR20160051996A (ko) 2014-10-29 2014-10-29 공압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662A KR20160051996A (ko) 2014-10-29 2014-10-29 공압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996A true KR20160051996A (ko) 2016-05-12

Family

ID=5602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662A KR20160051996A (ko) 2014-10-29 2014-10-29 공압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9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956A (ko) * 2016-09-28 2018-04-05 (주)예림도장기 페인트 펌핑용 에어리스 펌프의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956A (ko) * 2016-09-28 2018-04-05 (주)예림도장기 페인트 펌핑용 에어리스 펌프의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2603B2 (en) Flushing mechanism
CN103925391A (zh) 带有气控端的二位三通阀
KR101662583B1 (ko) 고점성 공압펌프의 스위칭유니트
KR100917070B1 (ko) 부스터가 구비된 증압장치
KR20130139019A (ko) 진공 차단 장치
KR20160051996A (ko) 공압펌프
KR101113142B1 (ko) 고점성 공압펌프 구동장치
US8167604B2 (en) Fluid spring and molding apparatus
KR101830166B1 (ko) 밸브용 다이아프램식 액추에이터
CN105439064A (zh) 用于清洗灌装阀的假杯的驱动装置
US20130098238A1 (en) Oil-gas separated pressure cylinder
KR101358801B1 (ko) 게이트 밸브
CN203051843U (zh) 一种真空三通阀
KR101923313B1 (ko) 진공 밀폐용 캡
KR101071244B1 (ko) 풀-푸쉬 어세이
CN105090559A (zh) 截止式二位五通电磁阀
CN204824120U (zh) 灌装阀清洗用的假杯装置
JP2017109744A (ja) 液体充填ノズル装置
CN209278229U (zh) 一种增压缸
CN203286053U (zh) 直通式快速排气阀
CN207935190U (zh) 双排气管路的快速排气结构
JPH0732400A (ja) 真空加硫成形機
CN108450020B (zh) 推动器装置
KR20130079916A (ko) 진공 차단 장치
KR20090008907A (ko) 프레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