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38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386A
KR20160051386A KR1020140151290A KR20140151290A KR20160051386A KR 20160051386 A KR20160051386 A KR 20160051386A KR 1020140151290 A KR1020140151290 A KR 1020140151290A KR 20140151290 A KR20140151290 A KR 20140151290A KR 20160051386 A KR20160051386 A KR 2016005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image frame
image
value
after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970B1 (ko
Inventor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1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970B1/ko
Priority to US14/930,868 priority patent/US9984633B2/en
Publication of KR2016005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잔상 모델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면 전환 시 화면 깜빡임을 저감시켜 시청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체감 속도를 향상시키며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을 자연스럽게 변화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장치나 PDP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대형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이 보급되어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 중 EPD(Electrophoretic Display)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라고 하여 기판 내의 흰색 입자와 검은색 입자를 전기적 원리를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E-PAPER 개념의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수 있다.
이러한 EPD는 동영상 구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눈의 피로가 적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 Digital Paper 뿐만 아니라, 휴대성이 좋은 Wearable Device에도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EPD는 반복된 화면 전환 시 잔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잔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면 전체에 전압을 인가하여 리프레시(refresh)를 수행한 후 화면을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화면이 깜빡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다라, 화면 전화 시 화면의 깜빡임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 전화 시 픽셀 단위로 이전 화면의 잔상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시 기능을 픽셀 단위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잔상 모델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전환 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을 상기 픽셀 단위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에 대해 리프레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 단위로 변경 가능한 계조 변화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단위별로 산출된 잔상에 관한 수치를 모델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및 이전 이미지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상기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한 후 상기 픽셀 단위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을 입력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N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를 획득하는 프레임 계조 획득부 및 상기 N 번째 이미지 프레임 이전의 N-1 개의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및 상기 N-1 개의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상기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이전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 및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불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상기 잔상을 사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상기 잔상에 관한 수치 및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기 저장된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전환 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을 상기 픽셀 단위로 판단하고, 상기 리프레쉬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에 대해 리프레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 단위로 변경 가능한 계조 변화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단위별로 산출된 잔상에 관한 수치를 모델링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및 이전 이미지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상기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레쉬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한 후 상기 픽셀 단위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을 입력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이전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 및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불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상기 잔상을 사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에에 따르면, 화면 전환 시 화면 깜빡임을 저감시켜 시청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체감 속도를 향상시키며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판단하고,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한 후 현재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일어나는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상을 이용하여 표현되는 중간 계조의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셜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전자 칠판, 전자 테이블,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 폰, 태블릿, 데스크탑 PC, 노트북, EPD(Electrophoretic Display), E-PAPER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화면 전환 시 깜박이는 문제점은 EPD 즉,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 영동을 이용한 표시 패널로써, 여기서 전기 영동이란 콜로이드 입자가 전기를 띠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입자의 이동 속도는 입자의 크기나 형태 또는 용액 속에 들어 있는 전해질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다르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안에 물 또는 기타 액체를 넣고 그 속에 물 또는 기타 액체와 혼합되지 않는 다른 액체 또는 고체의 미립자, 액체의 기포 등을 부유시킨 후 전극을 삽입하여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액체 속의 입자는 대전함과 동시에 전극에 이끌려 액체 속을 이동할 수 있다. 물질에 따라 대전 극성이 다르고, 따라서 영동하는 전극도 음극을 향하는 것과 양극을 향하는 것이 있다. 음극을 향하는 것을 cataphoresis, 후자를 anaphoresis라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예를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정할 경우, 디스플레이부 내에 포함된 각 픽셀 단위로 구비된 복수의 흰색 입자와 검은색 입자에 대하여 전압을 인가하여 흰색 입자와 검은색 입자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흰색, 검은색, 그레이 계열의 색등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종류인 E-PAPER는 유리가 아닌 휘어지는 재질을 기판으로 사용하여 종이의 느낌을 느낄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잘 휘어지고 깨질 염려가 없으며, 종이처럼 두께가 얇아 마음대로 구기거나 접을 수 있어 휴대가 가능하고, 액정 대신 전자 잉크를 사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처럼 화면 뒤에서 빛을 비추지 않아도 외부 조명만 있으면 화상을 볼 수 있어 전력 손실도 매우 적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LCD 보다는 화질이 좋지 못하지만, LCD가 전원을 끄면 화면이 바로 없어지는 것과 달리 E-PAPER는 전원이 꺼져도 화면이 그대로 유지된다.
특히, E-PAPER가 그레이 스케일의 색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레이 스케일의 색을 표현할 수 있는데, 각 픽셀들에는 복수의 하얀색 입자와 검은색 입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 하얀색 입자와 검은색 입자의 분포가 변경되면서 분포 비율에 따라 그레이 스케일의 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i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는 잔상 모델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잔상 모델링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 단위로 변경 가능한 계조 변화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단위별로 산출된 잔상에 관한 수치를 모델링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제4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각 프레임별로 입력 가능한 모든 계조 값에 기초하여 각 프레임별로 계조 값의 변경 가능한 모든 경우를 고려하여 각 프레임별 잔상 수치를 산출하여 도식화한 데이터를 잔상 모델링 정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의 계조가 128이고, 제2 프레임의 계조가 144이며, 제3 프레임의 계조가 0으로 설정된 경우 제4 프레임에 입력될 계조가 255라면, 제4 프레임에 표시될 잔상을 수치화하여 저장하고, 또한, 제1 프레임의 계조가 0이고, 제2 프레임의 계조가 128이며, 제3 프레임의 계조가 144인 경우 제4 프레임에 입력될 계조가 0이라면, 제4 프레임에 표시될 잔상을 수치화하여 저장하는 형식으로 각 프레임별 설정가능한 모든 계조 값에 근거하여 각 프레임별 표시될 잔상을 수치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수치화된 잔상에 관한 데이터는 잔상 모델링 정보로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잔상 모델링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설계될 때부터 펌웨어 형식으로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으나,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잔상 모델링에 관한 정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refresh)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가 수행하는 리프레쉬 기능은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연속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각 픽셀 단위로 구비된 복수의 흰색 입자와 검은색 입자를 흔들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기존에는 화면 전환시 이미지 프레임 단위로 리프레쉬가 수행되어 화면 전체가 깜빡이고 난 후 다음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이미지 프레임 단위가 아닌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를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에 대해서만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를 수행함으로써, 화면 전체가 깜빡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각 이미지 프레임 전환 시,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을 픽셀 단위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에 대해 리프레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이미지 프레임 및 제2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제1 이미지 프레임에서 제2 이미지 프레임으로 전환 시,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을 픽셀 단위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이미지 프레임에서 표시될 잔상 중 사용자의 눈에 띄게 표시될 가능성이 높은 잔상에 대응되는 픽셀에 대해서는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가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을 픽셀 단위로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및 이전 이미지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픽셀 단위로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
잔상 모델링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 단위로 변경 가능한 계조 변화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단위별로 산출된 잔상에 관한 수치를 모델링한 것이므로, 제어부(130)는 이전 이미지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와 현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에 기초하여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 프레임 상에서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가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현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 프레임 상에서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가 미치는 영향이 사용자의 눈에 띌 정도로 크다면 잔상의 제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현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 프레임 상에서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가 미치는 영향이 사용자의 눈에 띌 정도가 아니라면 잔상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면 사용자의 눈에 띌 정도라고 보아 잔상의 제거가 필요하다고 결정하고,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라면 사용자의 눈에 띌 정도가 아니라고 보아 잔상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이미지 프레임, 제2 이미지 프레임, 제3 이미지 프레임 및 제4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제3 이미지 프레임에서 제4 이미지 프레임으로 전환 시, 제1 이미지 프레임, 제2 이미지 프레임 및 제3 이미지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와 제4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에 기초하여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제3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을 픽셀 단위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4 이미지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잔상 중 사용자의 눈에 띄게 표시될 가능성이 높은 잔상에 대응되는 픽셀에 대해서는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한 후 픽셀 단위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을 입력하여 현재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며, 제어부(130)는 프레임 계조 획득부(131) 및 내부 메모리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 및 저장부(120)에 대해서는 미리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 계조 획득부(131)는 N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를 획득한다. 그리고, 내부 메모리부(132)는 N 번째 이미지 프레임 이전의 N-1 개의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프레임 계조 획득부(131)를 통해 획득된 N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및 내부 메모리부(132)에 저장된 N 번째 이미지 프레임 이전의 N-1 개의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픽셀 단위로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서는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를 수행하고,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서는 리프레쉬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30)는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한 후, 각 픽셀 별로 N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을 입력하여 N 번째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고, 픽셀 단위로 현재 프레임의 계조 값을 입력하는 과정을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판단하고,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한 후 현재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310)에서 N 번째 이미지 프레임(320)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310)에서 나타나는 화면은 복수의 픽셀(3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부(130)는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310) 및 그 이전의 이미지 프레임들(1 번째 이미지 프레임, 2 번째 이미지 프레임,,,N-2 이미지 프레임)까지의 계조 변화 히스토리 및 현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N 번째 이미지 프레임(320)의 계조에 기초하여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픽셀 단위로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310)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31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중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 픽셀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복수의 픽셀(340) 중 x1-y1 좌표의 픽셀(311), x2-y2 좌표의 픽셀(312), x3-y3 좌표의 픽셀(313), x4-y4 좌표의 픽셀(314) 및 x5-y5 좌표의 픽셀(315)에 대하여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N-1 번째 프레임(310) 및 그 이전 프레임들의 계조 변화 히스토리 및 N 번째 프레임(320)의 계조에 기초하여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N-1 번째 프레임(310)에 표시되는 사람 모양의 오브젝트가 N 번째 프레임(320)에 사람의 눈에 띌 정도의 잔상으로 표시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x1-y1 좌표의 픽셀(311), x2-y2 좌표의 픽셀(312), x3-y3 좌표의 픽셀(313), x4-y4 좌표의 픽셀(314) 및 x5-y5 좌표의 픽셀(315)에 대해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x1-y1 좌표의 픽셀(311), x2-y2 좌표의 픽셀(312), x3-y3 좌표의 픽셀(313), x4-y4 좌표의 픽셀(314) 및 x5-y5 좌표의 픽셀(315)에 대하여 리프레쉬를 수행한 후, 픽셀 단위로 N 번째 이미지 프레임(320)의 계조 값을 입력하여 N 번째 이미지 프레임(3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x1-y1 좌표의 픽셀(311), x2-y2 좌표의 픽셀(312), x3-y3 좌표의 픽셀(313), x4-y4 좌표의 픽셀(314) 및 x5-y5 좌표의 픽셀(315)이 리프레쉬된 후 N 번째 이미지 프레임(320)의 계조 값이 새로 입력됨으로써, 또 다른 사람 모양의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일어나는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전 N-1 개 프레임의 계조 및 현재 N 프레임의 계조가 복수의 프레임 계조 변화 기반의 잔상 모델링 정보에 입력되면, 잔상 모델링 결과가 산출된다.(S410)
그리고, 제어부(130)는 잔상 모델링 결과에 따라 픽셀 별로 리프레쉬 필요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잔상 모델링 결과에 따라 N-1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 리프레쉬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N-1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리프레쉬가 필요하다고 보아, 현재 N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중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 리프레시를 수행하고(S430), 현재 N 프레임에 대해 픽셀 별로 계조 값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S440).
한편, 제어부(130)는 N-1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리프레쉬가 불필요하다고 보아, 현재 N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중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서는 리프레쉬를 수행하지 않고 현재 N 프레임에 대해 픽셀 별로 계조 값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S440).
한편, 제어부(130)는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이전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 및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현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픽셀 별로 계조 값을 업데이트 시, 픽셀 별로 생성된 잔상을 제거하지 않고 잔상을 이용하여 현재 이미지 프레임 내의 픽셀에 대한 계조 값을 변경할 수 있는데, 여기서, 잔상을 이용하여 변경되는 계조 값은 기존의 n 비트로는 표현이 불가능한 중간 계조의 값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기존의 8비트로는 표현 가능한 중간 계조의 값이 128, 144인 경우 8비트로는 136의 계조 값을 표현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원본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이 136이라고 하더라도, 136이 아닌 128 또는 144로 계조 값을 입력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픽셀 별로 생성된 잔상을 이용함으로써, 원본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을 현재 이미지 프레임 내의 픽셀에 대해 입력할 수 있다. 도 6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상을 이용하여 표현되는 중간 계조의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case 1은 이전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중 어느 하나의 픽셀이 리프레쉬된 후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으로 128이 입력되는 경우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입력 계조는 리프레쉬됨으로써 0이고,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계조는 128이며,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가 업데이트 됨으로써, 실제 측정된 휘도 값은 115.2이고, 업데이트 된 계조 값은 128이 됨을 바 그래프(610)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또한, case 2는 이전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중 어느 하나의 픽셀이 리프레쉬된 후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으로 144가 입력되는 경우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입력 계조는 리프레쉬됨으로써 0이고,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계조는 144이며,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가 업데이트 됨으로써, 실체 측정된 휘도 값은 123.5이고, 업데이트 된 계조 값은 144가 됨을 바 그래프(620)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상술한 case 1, case 2는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가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 도 6에서는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양자화된 값(Quantized value)라고 표시하고 있다. 즉, case 1, case 2에서는 계조 수치가 0, 16, 32,,,,128, 144 등의 특정 수치로 밖에 표현될 수 없다.
이에 비해, case 3은 이전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중 어느 하나의 픽셀이 리프레쉬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으로 128이 입력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입력 계조는 리프레쉬 되지 않음으로써 144이고,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계조는 128이며,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입력 계조인 144에 대해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인 128이 입력됨으로써, 실제 측정된 휘도 값은 118.8이고, 업데이트 된 계조 값은 136임이 됨을 바 그래프(630)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case 1과 case 3을 비교할 때, case 1은 이전 프레임의 입력 계조가 리프레쉬되어 0인 상태에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인 128이 입력되고, case 3은 이전 프레임의 입력 계조가 리프레쉬되지 않아 144인 상태에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인 128이 입력되는 것으로서, 그 결과 case 1에서는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인 128이 입력될 수밖에 없지만, case 3에서는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이 아닌 136이 입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각 이미지 프레임에서 발생한 잔상을 제거하지 않고 이용함으로써,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이 아닌 값으로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고,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불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잔상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잔상에 관한 수치 및 현재 프레임의 계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기존의 잔상에 관한 수치와 현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을 합성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중간 계조의 값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이전 N-1 개 프레임의 계조 및 현재 N 프레임의 계조가 복수의 프레임 계조 변화 기반의 잔상 모델링 정보에 입력하여, 잔상 모델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S510).
그리고, 제어부(130)는 산출된 잔상 모델링 결과에 기초하여 픽셀 별로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여기서, 픽셀 별로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30)는 산출된 잔상 모델링 결과에 따라 픽셀 별로 리프레쉬 필요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53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잔상 모델링 결과에 따라 N-1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 리프레쉬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N-1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리프레쉬가 필요하다고 보아, 현재 N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중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 리프레시를 수행하고(S540), 현재 N 프레임에 대해 픽셀 별로 계조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550).
한편, 제어부(130)는 N-1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리프레쉬가 불필요하다고 보아, 현재 N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중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서는 리프레쉬를 수행하지 않고 현재 N 프레임에 대해 픽셀 별로 계조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550).
한편, 픽셀 별로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불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30)는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잔상에 관한 수치 및 현재 프레임의 계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픽셀 별 업데이트 시 사용할 값을 결정할 수 있다(S560).
그리고, 제어부(130)는 결정된 값으로 현재 N 프레임에 대해 픽셀 별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S550).
이러한 과정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깜빡임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를 수행하여 화면 전환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고, 기존에 사용하는 N 비트로 표현할 수 없는 계조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GRAY 계열의 색을 표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R, G, B 컬러를 표현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각 픽셀 내에 흰색 입자 및 검은색 입자뿐만 아니라, R, G, B 컬러를 각각 표현하는 입자들을 삽입하여 구현하거나, GRAY 계열의 색 및 R, G, B 컬러를 함께 표현할 수 있는 입자를 삽입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각 픽셀 단위로 R, G, B 컬러 필터를 부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들에서의 제어부의 동작이나, 제어부에 포함된 프레임 계조 획득부 및 내부 메모리부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제어부 내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기 저장된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판단한다(S710).
그리고,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한다(S720).
여기서,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각 이미지 프레임 전환 시,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을 픽셀 단위로 판단하고, 리프레쉬하는 단계는, 판단 결과에 따라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에 대해 리프레쉬할 수 있다.
또한, 잔상 모델링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 단위로 변경 가능한 계조 변화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단위별로 산출된 잔상에 관한 수치를 모델링할 수 있다.
또한, 판단하는 단계는, 혀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및 이전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픽셀 단위로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리프레쉬하는 단계는,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이전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 및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는 단계 및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불사용하는 경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잔상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기 저장된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판단하는 단계 및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
    잔상 모델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전환 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을 상기 픽셀 단위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에 대해 리프레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 단위로 변경 가능한 계조 변화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단위별로 산출된 잔상에 관한 수치를 모델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및 이전 이미지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상기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한 후 상기 픽셀 단위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을 입력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를 획득하는 프레임 계조 획득부; 및
    상기 N 번째 이미지 프레임 이전의 N-1 개의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및 상기 N-1 개의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상기 N-1 번째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이전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 및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불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상기 잔상을 사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상기 잔상에 관한 수치 및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복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기 저장된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전환 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을 상기 픽셀 단위로 판단하고,
    상기 리프레쉬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에 대해 리프레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 단위로 변경 가능한 계조 변화에 기초하여 각 이미지 프레임 단위별로 산출된 잔상에 관한 수치를 모델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및 이전 이미지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상기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쉬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이미지 프레임의 잔상에 관한 수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픽셀에 대해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한 후 상기 픽셀 단위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값을 입력하여 상기 현재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현재 이미지 프레임의 계조, 이전 프레임들 각각의 계조에 관한 히스토리 및 상기 잔상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 제거가 필요한 픽셀을 상기 픽셀 단위로 리프레쉬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 단위로 입력되는 계조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값을 불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 이미지 프레임 중 잔상이 발생한 픽셀에 대해 상기 잔상을 사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51290A 2014-11-03 2014-11-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7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90A KR102127970B1 (ko) 2014-11-03 2014-11-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930,868 US9984633B2 (en) 2014-11-03 2015-11-0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90A KR102127970B1 (ko) 2014-11-03 2014-11-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386A true KR20160051386A (ko) 2016-05-11
KR102127970B1 KR102127970B1 (ko) 2020-06-29

Family

ID=5585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290A KR102127970B1 (ko) 2014-11-03 2014-11-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84633B2 (ko)
KR (1) KR1021279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189A (ko) * 2016-07-28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
CN110782847A (zh) * 2018-01-22 2020-02-1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墨水屏的页面刷新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6320B (zh) * 2019-01-24 2020-05-1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11783771B2 (en) * 2019-10-30 2023-10-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2542124B (zh) * 2020-12-04 2022-08-0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亮度补偿方法、亮度补偿装置及显示装置
CN113838428B (zh) * 2021-09-18 2022-07-08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墨水屏的刷新方法及终端设备
CN115083355B (zh) * 2022-05-27 2023-03-24 京东方数字科技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电子纸显示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6665602B (zh) * 2023-05-29 2024-01-09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墨水屏的残影清除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142A (ko) * 2004-01-16 2006-12-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장치, 그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액정 표시 제어 방법
KR20070025077A (ko) * 2005-08-3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잔상제거방법
KR20080002131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12159786A (ja) * 2011-02-02 2012-08-23 Seiko Epson Corp 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1547B2 (ja) 2008-02-27 2013-0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書き換え制御装置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5556201B2 (ja) 2010-02-01 2014-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5712534B2 (ja) 2010-09-15 2015-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8862906B2 (en) 2011-04-01 2014-10-14 Intel Corporation Control of platform power consumption using coordination of platform power management and display power management
JP2013186427A (ja) 2012-03-09 2013-09-19 Ricoh Co Ltd 映像処理装置
JP5964113B2 (ja) 2012-04-02 2016-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表示駆動方法、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駆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142A (ko) * 2004-01-16 2006-12-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장치, 그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액정 표시 제어 방법
KR20070025077A (ko) * 2005-08-3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잔상제거방법
KR20080002131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12159786A (ja) * 2011-02-02 2012-08-23 Seiko Epson Corp 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189A (ko) * 2016-07-28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
CN110782847A (zh) * 2018-01-22 2020-02-1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墨水屏的页面刷新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970B1 (ko) 2020-06-29
US20160125813A1 (en) 2016-05-05
US9984633B2 (en)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9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1153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컴퓨터
WO2017193631A1 (zh) 用于图像处理的系统、方法及显示装置
KR20160044166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TWI397886B (zh) 電泳顯示裝置與其驅動方法
KR20160072370A (ko) 표시 장치
KR2011006673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44104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20160098962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2185313A (zh) 一种像素结构驱动方法及显示装置
TW201503089A (zh) 顯示控制設備,顯示控制方法,及電子資訊顯示設備
KR101746616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337829B1 (ko) 로고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600742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076720A1 (en) Pixel guard lines and multi-gate line configuration
JP2005115066A (ja) 電気泳動表示装置
US1021082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WO2023039945A1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20100231604A1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7210993A1 (zh) 一种液晶面板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CN109256098B (zh) 驱动方法、驱动装置和显示装置
JP2008107653A (ja) ガンマ補正機能を備えた駆動装置
KR10162155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3006216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20056361A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화질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