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28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288A
KR20160074288A KR1020140183430A KR20140183430A KR20160074288A KR 20160074288 A KR20160074288 A KR 20160074288A KR 1020140183430 A KR1020140183430 A KR 1020140183430A KR 20140183430 A KR20140183430 A KR 20140183430A KR 20160074288 A KR20160074288 A KR 20160074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lor
area
partial imag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4288A/ko
Priority to EP15200234.1A priority patent/EP3035323A1/en
Priority to CN201510954876.4A priority patent/CN105719591A/zh
Priority to PCT/KR2015/013915 priority patent/WO2016099186A1/en
Priority to US14/974,105 priority patent/US20160180558A1/en
Publication of KR20160074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04N21/4402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된 영상 외에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여백 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여백 영역에 입력된 영상과 유사한 컬러를 가지는 부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가 화면 시청에 몰입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된 영상을 화면 비율에 맞게 영상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화면의 사이즈가 다양해지면서 입력된 영상을 화면 비율에 맞게 변환하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입력된 영상을 화면 비율에 맞게 변환하게 되면 이는 원본 영상을 영상 처리해야 하므로 원본의 화질을 유지할 수 없고, 리소스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영상의 크기를 유지하되, 유지하면서 발생한 여백을 좀더 자연스럽게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된 영상 외에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상기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여백 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컬러를 어둡게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영상 외부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1 여백 영역과 인접한 상기 입력된 영상의 제1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1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된 영상 외부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2 여백 영역과 인접한 상기 입력된 영상의 제2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OSD(On Screen Display) 이미지로 생성하여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부분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된 영상 외에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상기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여백 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컬러를 어둡게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외부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1 여백 영역과 인접한 상기 입력된 영상의 제1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1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된 영상 외부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2 여백 영역과 인접한 상기 입력된 영상의 제2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OSD(On Screen Display) 이미지로 생성하여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부분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여백 영역에 입력된 영상과 유사한 컬러를 가지는 부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가 화면 시청에 몰입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처리된 부부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된 영상과 생성된 부분 이미지가 함께 디스플레이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셜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전자 칠판, 전자 테이블,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 폰, 태블릿, 데스크탑 PC, 노트북, EPD(Electrophoretic Display), E-PAPER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영상은 스틸 이미지, 사진, 문서, 동영상 이미지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는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i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영상 외에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여백 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된 영상(210) 외에 여백 영역(220, 230)이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210) 중 여백 영역(220, 230)에 인접한 영역(220-1, 230-1)의 컬러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여백 영역(220, 230)에 인접한 영역(220-1, 230-1)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인접한 영역(220-1, 230-1)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 값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라고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여백 영역(220, 2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여백 영역(220)에 인접한 영역(220-1)의 컬러 정보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가 블루 컬러라고 판단되면, 블루 컬러를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부분 이미지는 여백 영역(220)과 동일한 사이즈가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여백 영역(230)에 인접한 영역(230-1)의 컬러 정보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가 그린 컬러라고 판단되면, 그린 컬러를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부분 이미지는 여백 영역(230)과 동일한 사이즈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블루 컬러를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여백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하고, 생성된 그린 컬러를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여백 영역(2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처리된 부부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영상(310) 외에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310) 중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를 판단하고,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부분 이미지(320, 33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310) 중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가 검은색이라면, 검은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한 부분 이미지(320)를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상(310) 중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가 그린색이라면, 그린색을 그라데이션 처리한 부분 이미지(330)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된 영상(310)에서 멀어질수록 컬러를 어둡게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된 영상(310)에 가까운 부분은 검은색이나 그린색을 엷게 처리하고, 디스플레이된 영상(310)에서 멀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검은색이나 그린색을 진하게 처리하여 부분 이미지(320, 330)를 생성한다.
이는 디스플레이된 영상(310)과 부분 이미지(320, 330)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경우 디스플레이된 영상(310)과 부분 이미지(320, 330) 간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몰입감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여백 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여백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입력된 영상 내에서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산출된 여백 영역의 크기와 동일한 영역을 선택하여 컬러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생성되는 부분 이미지의 사이즈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여백 영역별로 각각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영상 외부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1 여백 영역과 인접한 입력된 영상의 제1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1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1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영상 외부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2 여백 영역과 인접한 입력된 영상의 제2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2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여백 영역과 인접한 입력된 영상의 제1 영역의 분석된 컬러 정보와 제2 여백 영역과 인접한 입력된 영상의 제2 영역의 분석된 컬러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서로 다른 컬러를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여백 영역과 제2 여백 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 프로세서(120)는 서로 다른 크기의 부분 이미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여백 영역과 제2 여백 영역이 입력된 영상의 좌측 및 우측에 존재하는 것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여백 영역과 제2 여백 영역이 존재하는 위치는 좌측 및 우측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 및 하측에 존재할 수도 있고,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부분 이미지를 OSD(On Screen Display) 이미지로 생성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부분 이미지들을 OSD 이미지로 생성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부분 이미지를 OSD 뿐만 아니라 PIP(Picture In Picture) 형식으로 생성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부분 이미지와 입력된 영상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된 영상과 생성된 부분 이미지가 함께 디스플레이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된 영상의 좌측 및 우측에 생성된 부분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입력된 영상과 여백 영역 간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부분 이미지를 OSD 이미지로 생성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부분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프로세서(120)가 생성된 부분 이미지를 OSD 이미지로 생성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여백 영역을 부분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투명도를 조정하여 여백 영역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부분 이미지에 입력된 영상에 관한 정보들을 표시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부분 이미지에 입력된 영상의 재생 시간 또는 남은 재생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으로,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부 등과 혼용될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단일칩 시스템(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입력된 영상 외에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여백 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한다(S510).
그리고, 부분 이미지를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520).
여기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를 판단하고,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멀어질수록 컬러를 어둡게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된 영상 외부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1 여백 영역과 인접한 입력된 영상의 제1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1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1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된 영상 외부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2 여백 영역과 인접한 입력된 영상의 제2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2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부분 이미지를 OSD(On Screen Display) 이미지로 생성하여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부분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된 영상 외에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여백 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프로세서

Claims (14)

  1.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된 영상 외에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상기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여백 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컬러를 어둡게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영상 외부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1 여백 영역과 인접한 상기 입력된 영상의 제1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1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된 영상 외부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2 여백 영역과 인접한 상기 입력된 영상의 제2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OSD(On Screen Display) 이미지로 생성하여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부분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입력된 영상 외에 여백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상기 여백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여백 영역과 동일한 사이즈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컬러를 어둡게 그라데이션 처리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외부의 좌측에 존재하는 제1 여백 영역과 인접한 상기 입력된 영상의 제1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1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된 영상 외부의 우측에 존재하는 제2 여백 영역과 인접한 상기 입력된 영상의 제2 영역의 컬러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컬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가장 높은 비중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OSD(On Screen Display) 이미지로 생성하여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여백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부분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83430A 2014-12-18 2014-12-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74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30A KR20160074288A (ko) 2014-12-18 2014-12-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5200234.1A EP3035323A1 (en) 2014-12-18 2015-12-1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CN201510954876.4A CN105719591A (zh) 2014-12-18 2015-12-17 显示装置和控制方法
PCT/KR2015/013915 WO2016099186A1 (en) 2014-12-18 2015-12-18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US14/974,105 US20160180558A1 (en) 2014-12-18 2015-12-18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30A KR20160074288A (ko) 2014-12-18 2014-12-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88A true KR20160074288A (ko) 2016-06-28

Family

ID=5502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430A KR20160074288A (ko) 2014-12-18 2014-12-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80558A1 (ko)
EP (1) EP3035323A1 (ko)
KR (1) KR20160074288A (ko)
CN (1) CN105719591A (ko)
WO (1) WO20160991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34A1 (en) * 2018-08-30 2020-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35373B2 (en) 2016-12-14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735820B2 (en) 2016-10-10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904A (ko)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CN110060203A (zh) * 2019-04-22 2019-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片显示方法、图片显示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435265B (zh) * 2020-11-06 2022-04-12 联宝(合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灯效同步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30079616A (ko) * 2021-11-29 2023-06-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2645A (ja) * 2002-12-27 2004-07-2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表示装置
JP4329475B2 (ja) * 2003-10-02 2009-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飾画像の選択
KR100627048B1 (ko) * 2003-12-15 2006-09-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US20070273791A1 (en) * 2004-06-01 2007-11-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armonic Eleimatin Of Black, Non-Activated Areas In Video Display Devices
WO2005122129A1 (en) * 2004-06-07 2005-12-2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vehicle, display system, display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same
US8098261B2 (en) * 2006-09-05 2012-01-17 Apple Inc. Pillarboxing correction
US8430329B2 (en) * 2008-03-14 2013-04-30 Yutaka Kiuchi Two-dimensional code publishing program and two-dimensional code decoding program
KR101102851B1 (ko) * 2008-11-05 2012-01-10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설정 해상도와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본 해상도의 차이로 인해 생기는 웹 페이지의 여백 영역에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245158B1 (ko) * 2011-01-24 2013-03-19 주식회사 디지털스트림테크놀로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15501B2 (en) * 2013-01-23 2015-12-15 Apple Inc. Contextual matte bars for aspect ratio formatting
KR102173123B1 (ko) * 2013-11-22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이미지 내의 특정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17186B1 (ko) * 2014-04-11 2021-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요약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5820B2 (en) 2016-10-10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10635373B2 (en) 2016-12-14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0045834A1 (en) * 2018-08-30 2020-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39083B2 (en) 2018-08-30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80558A1 (en) 2016-06-23
EP3035323A1 (en) 2016-06-22
WO2016099186A1 (en) 2016-06-23
CN105719591A (zh)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42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8918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1485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279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22235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402040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or optimization with sub-pixel openings
KR201600233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92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079198B (zh) 显示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081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295688A (zh) 图像处理设备、用于处理图像的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20120038656A1 (en) Method for Simulating Image Quality Improvement of Image Display Device and Device Therefor
EP3340015B1 (en)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transparency of indicated object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US2015007873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451669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57633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766530B (zh) 图表边框的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2740319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0304396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alleviating tailing phenomenon and related imaging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KR1020975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319126B2 (en) Ribbon to quick access toolbar icon conversion
US11232739B2 (en) Electronic device, color adjust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60284050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752001B1 (ko) 휴대용표시장치의 가독성 향상방법
CN109308863B (zh) 终端设备及其显示驱动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