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333A -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333A
KR20160051333A KR1020140151159A KR20140151159A KR20160051333A KR 20160051333 A KR20160051333 A KR 20160051333A KR 1020140151159 A KR1020140151159 A KR 1020140151159A KR 20140151159 A KR20140151159 A KR 20140151159A KR 20160051333 A KR20160051333 A KR 20160051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inking water
silicon pin
radiation
radio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500B1 (ko
Inventor
고재준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티랩
Priority to KR102014015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5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4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emiconduct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9Exploration, location of contaminated surface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01T7/02Collecting means for receiving or storing samples to be investigated and possibly directly transporting the samples to the measuring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investigating radioactive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 예는 음용수 내에 수밀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해당 음용수의 방사능 수치를 실시간으로 검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는, 음용수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 음용수의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 음용수의 방사선 량 변화에 따라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로부터 가변되어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방사능 검출기와 상기 방사능 검출기의 방사능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Radioactivity Inspection Apparatus For Potable Wat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음용수 내에 수밀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해당 음용수의 방사능 수치를 실시간으로 검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능 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알파 및 베타 입자 그리고 감마선이 인체에 해롭다는 것은 일반적인 사실이며,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상 생활에서 노출될 수 있는 비교적 적은 량의 방사능에도 주의를 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방사능의 유해성에 대한 경계 및 주의 현상은 높아지는데 반해, 방사능은 시각적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이의 확인을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사람들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 시 음식이나 각종 물품들의 방사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 제품들이 보급되고 있지만, 아직은 그 활용이 미비한 수준이며, 이는 각종 물품 및 음식 등과의 접촉 시마다 해당 물품이나 음식의 방사능을 측정해야 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에도 원인이 있다.
한편 물은 사람이 매일 일정량 이상을 섭취해야 하는바 이렇게 매일 섭취하는 물의 방사능 수치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지만, 이렇게 매일 섭취하는 물의 방사능 수치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람이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경향이 있다. 즉, 사람들은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통상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물을 마시지만, 이렇게 정수기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방사능 수치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으며, 단지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깨끗한 물을 마신다는 생각만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04173호(212.01.12. 공고), “방사선 검출기 및 방사선 검사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0470465호(2005.02.05 공고), “가이거뮬러 튜브(GM-TUBE)·PIN 다이오드를사용한 휴대용 방사능 측정 장치 와 이를 이용한 원격지방사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동시에 음용수에 담긴 상태로 해당 음용수의 방사능 수치를 실시간 검출 및 표시할 수 있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벽을 방사능 차폐재로 차폐하여 음용수가 담긴 방사능 검출 영역 내로 외부의 자연 방사능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해당 음용수의 미세한 자연 방사능까지 측정 가능한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정수기에 사용중인 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에 간단히 적용하여 해당 정수기의 음용수로부터 방출되는 방사능의 수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되는 방사능 수치를 정수기의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는, 음용수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 음용수의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 음용수의 방사선 량 변화에 따라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로부터 가변되어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방사능 검출기와 상기 방사능 검출기의 방사능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능 검출기는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방사능 분석을 위한 신호 파형으로 성형 및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프리앰프부와 상기 프리앰프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사전 설정된 기준의 이득 값에 따른 선형적인 전압 증폭 기능을 수행하여 선형적인 전압 증폭이 이루어진 전압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증폭부와 상기 전압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신호를 상기 표시기에 출력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 프리앰프부, 전압증폭부, 중앙처리부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수밀된 상태로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는 복수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가 연결된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어레이 형태의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가 복수로써 병렬 접속되는 형태이고, 상기 프리앰프부 및 전압증폭부는 각각 어레이 형태의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별로 설치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전압증폭부별로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합산하여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는 복수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가 병렬 배열된 어레이 형태이고, 상기 하우징은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병렬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길이 방향의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가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능 검출기는,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가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원을 통해 전자 정공 쌍을 수집하고 이로 인한 전류 값의 변화가 상기 프리앰프부 및 전압증폭부를 거쳐 증폭된 전압 펄스 신호로 중앙처리부에 전달됨으로써 방사능을 검사하게 되는 직접 전리 방식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방사선 중 광자 형태인 감마선 등의 투과율이 높은 유리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수용된 음용수에 대한 외부 방사능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표면에 방사능 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능 차폐층은 납(Pb) 또는 세라믹 소재의 차폐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형태 또는 납(Pb) 또는 세라믹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을 정수기용 자외선 살균필터의 하우징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가 측정하는 방사선은 감마선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음용수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음용수의 방사능 수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용수가 담기는 검사장치의 하우징 외면을 방사능 차폐재로 차폐하여 주변으로부터 검사장치 내의 음용수로 자연 방사능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검사장치 내 해당 음용수의 미세한 자연 방사능까지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수기에 사용중인 필터 중 어느 하나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설치된 후 실시간으로 해당 정수기 내 음용수의 방사능 수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새로 제작되는 정수기는 물론 기존 사용 중인 정수기에도 쉽게 적용하여 해당 정수기의 음용수에 대한 방사능 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의 외형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의 방사능 검출기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100)는, 하우징(110), 방사능 검출기(120), 표시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방사능 검출기(120) 및 표시기(13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다시 말해 하우징(110)의 내측에 방사능 검출기(120)가 수용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의 외형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하우징 본체(111)와 하우징 커버(112)로 구성된다.
하우징 본체(111)는 음용수의 방사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음용수와 방사능 검출기(120)를 내측에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음용수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유입구(113)와 유출구(114)가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연결되고, 길이 방향의 일측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방사능 검출기(120)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다.
하우징 커버(112)는 하우징 본체(111)의 개방된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하우징 커버(112)는 하우징 본체(111)의 내부 공간을 개폐한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112)에는 방사능 검출기(120)에 대한 전원 공급용 전선의 삽입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음용수에 포함된 미세한 생활 방사능까지 측정 가능하도록 외부 방사능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10) 외측 표면에 방사능 차폐층(115)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사능 차폐층(115)은 납(Pb) 또는 세라믹 소재 등의 방사능 차폐가 가능한 차폐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차폐재에 따라 방사능 차단이 가능한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방사능 차폐층(115)은 납(Pb) 또는 세라믹 소재의 차폐재가 하우징(110)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형태 또는 납(Pb) 또는 세라믹이 하우징(110)의 외측 표면에 코팅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폐재로 납(Pb) 또른 세라믹 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용수의 방사능을 검사장치의 하우징(110)을 구성함에 있어서 방사능의 차폐가 이루어지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차폐재 및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이 긴 원통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하우징(110)에 대해 더 설명한다.
하우징(110)은 긴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측에 방사능 검출기(120)를 수용하며, 이에 따라 방사능 검출기(120)도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방사능 검출기(120)는 그 전기적 구성들이 하우징(110) 내의 음용수로부터 수밀되기 위한 형태를 가지며, 본 실시 예에서는 방사능 검출기(120)가 케이스(125)를 포함하여 이러한 케이스(125)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에서 해당 하우징(110) 내의 음용수와 차단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부연 설명하면, 케이스(125)는 길이방향의 일단에 확대된 지름의 머리부(125a)를 가지며, 이러한 머리부(125a)가 하우징 커버(112)의 내면에 수밀 상태로 밀착됨으로써, 머리부(125a)와 하우징 커버(112)의 접촉 영역을 시작으로 하우징 커버(112)의 내부 공간이 하우징(110) 내 음용수와 수밀된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수밀 공간에 방사능 검출기(120)의 전기적 구성들이 내장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케이스(125)가 방사선 중 광자 형태인 감마선 등의 투과율이 높은 유리를 소재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25)가 유리로 형성됨에 따라 방사능 검출기(120)의 이상 유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을 긴 원통 형태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하우징(110)은 납작한 원통 형태, 높이와 지름이 비슷한 통상의 원통 형태 등일 수 있고, 또한 하우징(110)은 사각 형태나 다각 형태 등 음용수를 받아 수용 후 배출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하우징(110)으로 정수기의 필터 하우징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한 것이며, 이를 통해 정수기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해당 정수기에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100)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방사능 검출기(120)는 하우징(110) 내 음용수의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이러한 방사능 검출기(120)는 하우징(110) 내 음용수의 방사선 량 변화에 따라 실리콘 핀 다이오드로부터 가변되어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능 측정기(120)를 설명하며,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표시기(1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의 방사능 검출기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능 검출기(120)는 음용수의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 핀 다이오드(121)를 기반으로 하며, 실리콘 핀 다이오드(121)는 내부 정전용량에 따라 감마선 검출 감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센싱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121)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검출 감도를 높인다.
이러한 실리콘 핀 다이오드(121)는 실리콘 핀 다이오드(121)의 내부 정전용량을 고려하여 복수개가 연결된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되 병렬 접속되는 형태이고, 이러한 실리콘 핀 다이오드(121)의 어레이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 어레이 별로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에 대하여 프리앰프부(122)와 전압증폭부(123)를 거쳐 중앙처리부(124)에서 분석 가능한 전압 펄스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중앙처리부(124)에서 합산하여 분석한다.
프리앰프부(122)는 어레이 형태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12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에 대하여 방사능 분석을 위한 신호 파형으로 성형 및 증폭하는 것으로 어레이 형태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12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에 인입되는 노이즈 등 방사능 분석에 불필요한 전압 펄스 신호를 일차적으로 식별하여 추후 증폭 및 분석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실리콘 핀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펄스의 입력 전하에 비례하는 전압 펄스 신호의 파형을 얻기 위하여 전하 감응형 전치 증폭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앰프부(122)는 실리콘 핀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펄스의 입력 전하를 포집하기 위해 RC 피드백 전치 증폭기(RC Feedback Preamplifier), 펄스 광 리셋 전치 증폭기(Pulsed Optical Reset Preamplifier), 및 트랜지스터 전치 증폭기(Transistor Reset Preamplifier)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리앰프부(122)는 프리앰프부(122)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회로로서 적어도 하나의 증폭 루프(Amplifying Loop)회로, 파형 성형 회로, 가변 감쇄기(Variable Attenuator), 펄스 중첩(Pulse Pile Up)을 방지하는 기능과 폴 제로 보상(Pole-Zero Cancellation) 회로 및 베이스라인 리스토어러(Baseline Restorer)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압증폭부(123)는 프리앰프(122)부로부터 입력되는 증폭된 전압 펄스 신호를 사전 설정된 기준의 이득 값에 따른 선형적인 전압 증폭 기능을 수행하여 선형적인 전압 증폭이 이루어진 전압 펄스 신호를 중앙처리부(124)에 전달한다.
전압증폭부(123)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전압증폭부(123)는 프리앰프부(122)로부터 입력 받은 증폭된 전압 펄스 신호의 빠른 상승시간과 느린 하강시간의 신호의 파형 정형을 수행하고, 신호 대 잡음비(S/N비)를 개선시키기 위한 선형적인 전압 증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압증폭부(123)는 프리앰프부(122)로부터 입력 받은 증폭된 전압 펄스 신호의 파형 중 서로 중첩되는 파형들이 있거나 날카로운 엣지를 갖는 파형들을 대상으로 파형 정형(Pulse Shaping)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124)는 각각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에 대하여 프리앰프부(122)와 전압증폭부(123)를 거쳐 중앙처리부(124)에서 분석 가능하도록 처리된 전압 펄스 신호를 제공받아 합산하여 음용수의 방사능 수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입력받은 선형적인 전압 증폭이 수행된 전압 펄스 신호를 대상으로 구비된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산출된 음용수의 방사능 수치를 표시부(130)에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방사능 검출기(120)의 케이스(125)는 실리콘 핀 다이오드 어레이의 병렬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태이며, 이러한 케이스(125)는 광자 형태인 감마선 등의 검사에 용이하도록 음용수에 포함된 방사능이 케이스(125)를 투과함에 있어서 투과율이 높은 투명한 소재인 유리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바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표시기(130)는 방사능 검출기(120)에서 산출된 해당 음용수에 대한 방사능 수치 정보를 바탕으로 텍스트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음용수에 대한 방사능 수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음용수에 대한 방사능 수치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외부에서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해당 음용수를 제공하는 사물 겉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음용수의 방사능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표시 방법에 대하여 수치로 제공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텍스트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래프나 도형 등 사용자가 음용수의 방사능 정보를 확인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 및 표시 방법과 이에 따른 표시기(130)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는,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해당 음용수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해당 음용수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벽을 차폐재로 차폐하여 주변으로부터 자연 방사능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당 음용수의 미세한 자연 방사능까지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정수기에 사용중인 타 필터중 하나와 동일한 구조를 사용하여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정수기 등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설치가 용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110 : 하우징
111 : 하우징 본체 112 : 하우징 커버
113 : 유입구 114 : 유출구
115 : 차폐층 120 : 방사능 검출기
121 : 실리콘 핀 다이오드 122 : 프리앰프부
123 : 전압증폭부 124 : 중앙처리부
125 : 케이스 130 : 표시기
140 : 전원부

Claims (11)

  1. 음용수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음용수의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 음용수의 방사선 량 변화에 따라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로부터 가변되어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방사능 검출기;
    상기 방사능 검출기의 방사능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 검출기는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방사능 분석을 위한 신호 파형으로 성형 및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프리앰프부;
    상기 프리앰프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사전 설정된 기준의 이득 값에 따른 선형적인 전압 증폭 기능을 수행하여 선형적인 전압 증폭이 이루어진 전압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증폭부;
    상기 전압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신호를 상기 표시기에 출력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 프리앰프부, 전압증폭부, 중앙처리부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수밀된 상태로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는 복수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가 연결된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어레이 형태의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가 복수로써 병렬 접속되는 형태이고,
    상기 프리앰프부 및 전압증폭부는 각각 어레이 형태의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별로 설치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전압증폭부별로 출력되는 전압 펄스 신호를 합산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는 복수의 실리콘 핀 다이오드가 병렬 배열된 어레이 형태이고,
    상기 하우징은 실리콘 핀 다이오드를 병렬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 방향의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가 내부와 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 검출기는, 상기 실리콘 핀 다이오드가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원을 통해 전자 정공 쌍을 수집하고 이로 인한 전류 값의 변화가 상기 프리앰프부 및 전압증폭부를 거쳐 증폭된 전압 펄스 신호로 중앙처리부에 전달됨으로써 방사능을 검사하게 되는 직접 전리 방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방사선 중 광자 형태인 감마선 등의 투과율이 높은 유리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수용된 음용수에 대한 외부 방사능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표면에 방사능 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 차폐층은 납(Pb) 또는 세라믹 소재의 차폐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형태 또는 납(Pb) 또는 세라믹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정수기용 자외선 살균필터의 하우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 검출기가 측정하는 방사선은 감마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KR1020140151159A 2014-11-03 2014-11-03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KR10163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159A KR101635500B1 (ko) 2014-11-03 2014-11-03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159A KR101635500B1 (ko) 2014-11-03 2014-11-03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333A true KR20160051333A (ko) 2016-05-11
KR101635500B1 KR101635500B1 (ko) 2016-07-01

Family

ID=5602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159A KR101635500B1 (ko) 2014-11-03 2014-11-03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1880A4 (en) * 2018-10-08 2021-10-27 Norihiro Nangou IMAG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NOT EASILY AFFECTED BY RADI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65B1 (ko) 2004-05-19 2005-02-05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가이거뮬러 튜브(gm-tube)·pin 다이오드를사용한 휴대용 방사능 측정 장치 와 이를 이용한 원격지방사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80075321A (ko) * 2007-02-12 2008-08-18 미래방사선엔지니어링주식회사 통합형 방사선 및 방사능 측정기
KR101104173B1 (ko) 2006-04-28 2012-01-12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방사선 검출기 및 방사선 검사장치
JP2013170985A (ja) * 2012-02-22 2013-09-02 Hosiden Corp 放射線線量計
JP2013174463A (ja) * 2012-02-23 2013-09-05 Sharp Corp 放射線計測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話端末
KR20140115778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방사능 자동 측정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65B1 (ko) 2004-05-19 2005-02-05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가이거뮬러 튜브(gm-tube)·pin 다이오드를사용한 휴대용 방사능 측정 장치 와 이를 이용한 원격지방사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104173B1 (ko) 2006-04-28 2012-01-12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방사선 검출기 및 방사선 검사장치
KR20080075321A (ko) * 2007-02-12 2008-08-18 미래방사선엔지니어링주식회사 통합형 방사선 및 방사능 측정기
JP2013170985A (ja) * 2012-02-22 2013-09-02 Hosiden Corp 放射線線量計
JP2013174463A (ja) * 2012-02-23 2013-09-05 Sharp Corp 放射線計測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話端末
KR20140115778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방사능 자동 측정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1880A4 (en) * 2018-10-08 2021-10-27 Norihiro Nangou IMAG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NOT EASILY AFFECTED BY RADIATION
US11726194B2 (en) 2018-10-08 2023-08-15 Norihiro NANGOU Imaging apparatus not easily affected by radiat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500B1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6405B1 (en) Portable radiation monitor methods and apparatus
KR101730891B1 (ko) 실시간 연속 라돈 검출장치
EP1917541B1 (en) Combined radiation dosimeter and rate meter
US10132936B2 (en) Alpha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using dual probe structured ionization chamber and differential amplifier
US20050121618A1 (en) Neutron/gamma ray survey instrument with directional gamma ray sensitivity
US8039810B2 (en) Scintillation-based continuous monitor for beta-emitting radionuclides in a liquid medium
JP2005512064A (ja) 放射性同位元素の放射能を計測する方法と装置の改良
KR101431709B1 (ko) 측정대상 방사능핵종을 선택측정하는 이동식 방사능핵종 측정기
KR101635500B1 (ko) 음용수용 방사능 검사장치
JP5089568B2 (ja) 放射性ガスモニタ
CN204705719U (zh) 一种便携式放射性污染测量仪
JP2013152121A (ja) 食品用の簡易型高感度放射能測定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測定方法
JP6029054B2 (ja) 放射性セシウム簡易測定方法及び可搬式放射性セシウム簡易測定装置
KR101964099B1 (ko) 수도관 내 방사선 검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하는 수도관 내 방사선 검출 방법
JP2001194460A (ja) 放射線モニタ
JP2825580B2 (ja) 放射性流体の放射能特性および容積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3602027B2 (ja) 放射線測定装置
RU2817317C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контроля радиоактивного облучения человека
Nodari et al. Radon fast detectio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with a portable wireless system
RU82346U1 (ru) Индикатор радиоактивности
RU144697U1 (ru) Гамма-локатор для локализации источника ионизирующего из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JP6136777B2 (ja) 非破壊放射能測定装置、およびその放射能測定方法
JPH0644043B2 (ja) 半導体放射線検出装置
KR101192175B1 (ko) 감마선 섬광 계수기의 에너지 교정 방법
Yunus Imaging Of Solid Flow In a Gravity Flow Rig Using Infra-Red Tom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