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115A -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115A
KR20160051115A KR1020140150567A KR20140150567A KR20160051115A KR 20160051115 A KR20160051115 A KR 20160051115A KR 1020140150567 A KR1020140150567 A KR 1020140150567A KR 20140150567 A KR20140150567 A KR 20140150567A KR 20160051115 A KR20160051115 A KR 20160051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mbrane
treated water
membrane still
reservo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국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1115A/ko
Publication of KR2016005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6Pervaporation; Membrane distillation; Liquid permeation
    • B01D61/364Membrane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6Pervaporation; Membrane distillation; Liquid permeation
    • B01D61/368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membrane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8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concentrate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0Temperature control
    • B01D2311/103Heating
    • B01D2311/1031Heat integration, heat recovery or reuse within a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49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0Specific extra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4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for obtaining ultra-pur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복수 탈염 시스템을 제공한다. 개시된 복수 탈염 시스템은 불순물 성분이 포함된 고온의 복수를 정화 처리하여 최종 처리수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고온의 복수를 저장하는 복수 저장조와, ⅱ)복수 저장조에 저장된 복수를 유입하며 그 복수 중의 입자성 물질 및 오일을 제거한 1차 처리수를 배출하는 전처리 유닛과, ⅲ)전처리 유닛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증기화시키며 그 처리수 중의 이온 성분을 제거하는 막 증류기와, ⅳ)막 증류기에서 이온 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하며 초 순수의 최종 처리수를 배출하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 {CONDENSATE POLISH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막 증류(Membrane Distillation) 방식을 적용하여 이온 성분과 같은 불순물 성분이 포함된 복수를 고순도의 보일러 용수로 정화 처리하기 위한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전소에서의 발전 원리는 보일러에서 발생한 고온, 고압의 과포화증기가 터빈에서 팽창할 때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날개를 회전 운동시키고, 이 회전운동을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고온, 고압의 과포화증기는 보일러에 주입된 순수로부터 생성되며, 터빈과 응축기를 거쳐 다시 물이 되는데 이를 통상 복수라 한다.
이러한 복수 중에는 발전소 계통 내에서 발생한 금속부식 생성물, 순수 중의 용존 고형물, 응축기에서 냉각수로 사용되는 해수가 누설 유입된 불순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복수중의 불순물 성분(이온성분)은 관내부식, 스케일(Scale)등을 유발하고, 증기 중에 포함되면 스케일(Scale)을 형성하여 보일러, 터빈 등에 악영향을 주어 발전 출력을 떨어뜨리고, 설비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복수 탈염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복수 탈염 시스템은 복수를 고순도의 보일러 용수로서 정화하고 그 보일러 용수를 다시 보일러로 공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이온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복수 중의 이온을 포함한 각종 불순물 성분(오염성분)을 제거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복수 탈염 시스템은 이온교환 수지를 통해 복수를 연속적으로 정화 처리하므로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그 오염된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해 주어야 하므로, 이온교환 수지의 재생 및 역세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고, 화학약품에 의해 보일러 용수의 수질을 악화시켜 발전소 설비의 수명 단축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복수 탈염 시스템은 이온교환 수지의 재생 및 역세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연속 운전이 불가능하며, 시스템 운영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온교환 수지 방식 대신 막 증류 방식을 적용하여 복수 중에 포함된 이온 성분 등의 불순물 성분을 제거하여 고 순도의 보일러 용수로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탈염 시스템은, 불순물 성분이 포함된 고온의 복수를 정화 처리하여 최종 처리수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고온의 복수를 저장하는 복수 저장조와, ⅱ)상기 복수 저장조에 저장된 복수를 유입하며 그 복수 중의 입자성 물질 및 오일을 제거한 1차 처리수를 배출하는 전처리 유닛과, ⅲ)상기 전처리 유닛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증기화시키며 그 처리수 중의 이온 성분을 제거하는 막 증류기와, ⅳ)상기 막 증류기에서 이온 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하며 초 순수의 최종 처리수를 배출하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저장조와 막 증류기는 농축수 순환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막 증류기는 불순물 성분이 포함된 농축수를 상기 농축수 순환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 저장조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유닛은 카트리지 필터, 미디어 필터 및 카본 필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와 1차 처리수는 40℃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막 증류기는 상기 1차 처리수의 열을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막 증류기는 40~80℃의 온도 범위에서 막 증류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은,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며, 상기 최종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수 저장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는 발전소의 발전 과정에서 생성되며, 상기 최종 처리수는 발전소 보일러의 보일러 용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탈염 방법은, (a) 고온의 복수를 전처리 유닛으로 유입하며 그 전처리 유닛을 통해 복수 중의 입자성 물질 및 오일을 제거하고, (b) 상기 전처리 유닛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막 증류기에서 증기화시키며 그 처리수 중의 이온 성분을 제거하고, (c) 상기 막 증류기에서 이온 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기에서 응축시키며 초 순수의 최종 처리수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방법은, 상기 고온의 복수를 저장하는 복수 저장조와 상기 막 증류기를 연결하는 농축수 순환라인을 통해 상기 막 증류기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를 상기 복수 저장조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이온교환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막 증류(Membrane Distillation) 방식으로서 복수 중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 성분(이온 성분 등)을 제거하여 초 순수의 보일러 용수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이온교환 수지의 재생 및 역세를 위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복수 탈염 공정의 비용 절감 및 화학약품에 의한 최종 처리수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은 이온교환 수지의 역세 및 재생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연속 운전이 가능해지고, 시스템 운용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막 증류기의 경우 40~80℃의 온도 범위에서 운전이 가능하므로 기존 복수 탈염 시스템에서 복수를 얻기 위한 응축기의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온의 복수를 원수로 사용함에 따라 막 증류기에서 필요한 원수 가열장치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탈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탈염 시스템을 이용한 복수 탈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기술적인 사상 또는 특징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이므로, 실제 제품 사양과 다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탈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탈염 시스템(100)은 보일러에서 발생한 고온 고압의 과포화 증기로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100)은 발전 과정에서 생성되며, 입자성 물질 또는 오일 그리고 이온 성분과 같은 각종 불순물 성분이 함유된 복수를 정화 처리하여 고 순도의 최종 처리수를 생산하고 그 최종 처리수를 보일러 용수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복수라 함은 일반적으로 발전소 등의 증기 사이클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고온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로 된 것을 의미하며, 고온(대략 4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100)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재생 및 역세하는 이온교환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막 증류(Membrane Distillation) 방식으로서 복수 중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 성분(이온 성분 등)을 제거하여 초 순수의 보일러 용수를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의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하고, 화학약품에 의해 처리수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 운용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 탈염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탈염 시스템(100)은 기본적인 구성으로 복수 저장조(10), 전처리 유닛(30), 막 증류기(50) 그리고 응축기(7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저장조(10)는 발전 과정에서 고온 고압의 과포화 증기가 응축되어 생긴 복수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발전유닛과 연결된 복수 유입라인(11)을 통해 복수를 유입한다.
이러한 복수는 고온을 유지하며 이온 성분과 같은 각종 불순물 성분, 오염물질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 유입라인(11)에 설치된 복수 펌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펌핑 압력에 의해 복수 저장조(1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 유닛(30)은 복수 저장조(10)에 저장된 복수를 유입하며 그 복수 중의 입자성 물질 및 오일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처리 유닛(30)은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복수 저장조(10)와 연결되는 바, 그 복수 저장조(10)에 저장된 복수는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전처리 유닛(30)으로 유입된다.
상기 전처리 유닛(30)은 필터 등과 같은 막 분리 모듈을 통해 복수 중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이렇게 오염물질을 제거한 1차 처리수를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전처리 유닛(30)은 예를 들면, 카트리지 필터(cartridge filter), 미디어 필터(media filter) 및 카본 필터(carbon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유닛(30)에서 필터링 처리된 1차 처리수는 복수와 마찬가지로 고온(대략 40℃ 이상)을 유지하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막 증류기(50)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막 증류기(50)는 전처리 유닛(3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증기화시키며 그 처리수 중의 이온 성분 등과 같은 불순물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막 증류기(50)는 제2 연결라인(51)을 통해 전처리 유닛(30)과 연결되는 바, 전처리 유닛(30)으로부터 제2 연결라인(51)을 통해 고온의 1차 처리수를 공급 받는다.
이러한 막 증류기(50)는 소수성막(막증류 막)을 통해 1차 처리수 중에 포함된 이온 성분 등의 불순물 성분을 제거하고, 막 기공에서 일어나는 증기상만이 기공을 투과하며 그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막증류 공정에서의 추진 구동력은 고온의 처리수에 의한 온도차이며, 그 온도차와 함께 증기압의 차이가 수반되어 상 분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즉, 막증류 공정에서는 일반적인 가열에 의한 증류(distillation)보다 낮은 온도와 역삼투(reverse osmosis)보다 낮은 압력의 운전 조건을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막 증류기(50)는 40~80℃의 온도 범위에서 막 증류 공정이 이루지는데, 전처리 유닛(30)으로부터 제공받는 1차 처리수의 온도가 40℃ 이상의 고온을 유지하므로, 1차 처리수의 열(복수의 열)을 열원으로 활용하며 막 증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막 증류기(50)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막 증류 모듈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막 증류기(50)는 MD 농축수를 배출하며 그 MD 농축수를 복수 저장조(10)로 공급하는 바, 이를 위해 농축수 순환라인(61)을 통해 복수 저장조(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막 증류기(50)는 불순물 성분이 포함된 MD 농축수를 농축수 순환라인(61)을 통해 복수 저장조(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막 증류기(50)에서 배출되는 MD 농축수는 농축수 순환라인(61)에 설치된 농축수 펌프(63)의 펌핑 압력으로서 농축수 순환라인(61)을 통해 복수 저장조(10)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기(70)는 막 증류기(50)에서 이온 성분 등의 불순물 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하며 초 순수의 최종 처리수를 생산 및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응축기(70)는 제3 연결라인(71)을 통해 막 증류기(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70)는 제3 연결라인(71)을 통해 막 증류기(50)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소정의 냉각수단을 통해 냉각시키며, 이 때 발생하는 응축수(최종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기(70)는 고온의 증기를 냉각수단을 통해 냉각시키며 응축하는 공지 기술의 응축 장치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응축기(70)에서 응축된 초 순수의 최종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조(9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처리수 저장조(90)는 제4 연결라인(91)을 통해 응축기(70)와 연결된다.
상기 처리수 저장조(90)에 저장된 최종 처리수는 배출라인(93)을 통해 배출되는 바, 예를 들면 발전소 보일러로 공급되며 고온 고압의 과포화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 용수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탈염 시스템(100)을 이용한 복수 탈염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탈염 시스템을 이용한 복수 탈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전 과정에서 고온 고압의 과포화 증기가 응축되어 생긴 복수를 복수 유입라인(11)을 통해 복수 저장조(10)에 저장한다.
이 때, 복수는 복수 펌프에 의해 복수 저장조(10)로 유입되는 바, 고온(대략 40℃ 이상)을 유지하며 이온 성분과 같은 각종 불순물 성분, 오염물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후, 상기 복수 저장조(10)로 유입된 복수는 제1 연결라인(31)을 통해 전처리 유닛(30)으로 유입되며, 상기 전처리 유닛(30)에서는 복수 중의 입자성 물질 및 오일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며 1차 처리수를 생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처리 유닛(30)에서 오염 물질이 제거된 1차 처리수를 제2 연결라인(51)을 통해 배출하며 그 1차 처리수를 막 증류기(50)로 배출한다. 이 때, 1차 처리수는 복수와 마찬가지로 대략 40℃ 이상의 고온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상기 막 증류기(50)에서는 1차 처리수의 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며, 막 증류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막 증류기(50)의 막 증류 공정에서는 40~80℃의 온도 범위에서 막증류 막을 통해 1차 처리수를 증기화시키며 그 처리수 중의 이온 성분 등과 같은 불순물 성분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막 증류기(50)를 통해 1차 처리수의 막 증류 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그 막 증류기(50)에서는 불순물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1차 처리수 증기를 제3 연결라인(71)을 통해 배출하며 응축기(70)로 공급한다.
이러는 동안, 상기 막 증류기(50)는 불순물 성분이 포함된 MD 농축수를 배출하며, 그 MD 농축수를 농축수 순환라인(61)을 통해 언급한 바와 있는 복수 저장조(10)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MD 농축수는 농축수 펌프(63)에 의해 농축수 순환라인(61)을 따라 압송되며 복수 저장조(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MD 농축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막 증류기(50)에서 걸러지며 다시 복수 저장조(10)로 순환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70)는 막 증류기(50)에서 이온 성분 등의 불순물 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하며 초 순수의 최종 처리수를 생산하고 그 최종 처리수를 제4 연결라인(91)을 통해 처리수 저장조(90)로 공급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처리수 저장조(90)에 저장된 최종 처리수는 배출라인(93)을 통해 배출되고, 고온 고압의 과포화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로 공급되며 보일러 용수로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탈염 시스템(100)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이온교환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막 증류(Membrane Distillation) 방식으로서 복수 중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 성분(이온 성분 등)을 제거하여 초 순수의 보일러 용수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의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한 복수 탈염 시스템과 비교하여 이온교환 수지의 재생 및 역세를 위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복수 탈염 공정의 비용 절감 및 화학약품에 의한 최종 처리수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은 이온교환 수지의 역세 및 재생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연속 운전이 가능해지고, 시스템 운용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막 증류기(50)의 경우 40~80℃의 온도 범위에서 운전이 가능하므로 기존 복수 탈염 시스템에서 복수를 얻기 위한 응축기의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온의 복수를 원수로 사용함에 따라 막 증류기(50)에서 필요한 원수 가열장치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복수 저장조 11… 복수 유입라인
30… 전처리 유닛 31… 제1 연결라인
50… 막 증류기 51… 제2 연결라인
61… 농축수 순환라인 63… 농축수 펌프
70… 응축기 71… 제3 연결라인
90… 처리수 저장조 91… 제4 연결라인
93… 배출라인

Claims (10)

  1. 불순물 성분이 포함된 고온의 복수를 정화 처리하여 최종 처리수를 생산하는 복수 탈염 시스템으로서,
    상기 고온의 복수를 저장하는 복수 저장조;
    상기 복수 저장조에 저장된 복수를 유입하며 그 복수 중의 입자성 물질 및 오일을 제거한 1차 처리수를 배출하는 전처리 유닛;
    상기 전처리 유닛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증기화시키며 그 처리수 중의 이온 성분을 제거하는 막 증류기; 및
    상기 막 증류기에서 이온 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하며 초 순수의 최종 처리수를 배출하는 응축기;
    를 포함하는 복수 탈염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저장조와 막 증류기는 농축수 순환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막 증류기는 불순물 성분이 포함된 농축수를 상기 농축수 순환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 저장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복수 탈염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유닛은 카트리지 필터, 미디어 필터 및 카본 필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탈염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와 1차 처리수는 4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탈염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막 증류기는 상기 1차 처리수의 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탈염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막 증류기는 40~80℃의 온도 범위에서 막 증류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탈염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며, 상기 최종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수 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탈염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는 발전소의 발전 과정에서 생성되며, 상기 최종 처리수는 발전소 보일러의 보일러 용수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탈염 시스템.
  9. 불순물 성분이 포함된 고온의 복수를 정화 처리하여 최종 처리수를 생산하기 위한 청구항 1의 복수 탈염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고온의 복수를 전처리 유닛으로 유입하며 그 전처리 유닛을 통해 복수 중의 입자성 물질 및 오일을 제거하고;
    상기 전처리 유닛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막 증류기에서 증기화시키며 그 처리수 중의 이온 성분을 제거하고;
    상기 막 증류기에서 이온 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기에서 응축시키며 초 순수의 최종 처리수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복수 탈염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의 복수를 저장하는 복수 저장조와 상기 막 증류기를 연결하는 농축수 순환라인을 통해 상기 막 증류기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를 상기 복수 저장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탈염 방법.
KR1020140150567A 2014-10-31 2014-10-31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1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67A KR20160051115A (ko) 2014-10-31 2014-10-31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67A KR20160051115A (ko) 2014-10-31 2014-10-31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15A true KR20160051115A (ko) 2016-05-11

Family

ID=5602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567A KR20160051115A (ko) 2014-10-31 2014-10-31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1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78A (ko) * 2017-11-15 2019-05-2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막증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78A (ko) * 2017-11-15 2019-05-2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막증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6606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waste water
US8029671B2 (en) Combined membrane-distillation-forward-osmosis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101757525B1 (ko) 암모니아 처리 시스템
JP5082661B2 (ja) 水処理システム
JP6298464B2 (ja) 原油および天然ガス処理施設において生成された水の処理プロセス
KR20150082927A (ko) 적층 구조를 갖는 강하 경막 증발 장치, 이를 포함하는 폐수 무방류 설비 및 이를 이용한 폐수 무방류 처리 방법
KR101459702B1 (ko)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JP5359031B2 (ja) 水処理装置
WO2016106049A1 (en) Enhanced brine concentration with osmotically driven membrane systems and processes
US202002701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salinating and removing pollutants from produced water
WO2017066534A1 (en) Hybrid cooling and desalination system
KR101816340B1 (ko) 다중분리막에 의한 방사능물질 처리장치
JP2008025922A (ja) タービン設備及びタービン設備からのヒータドレイン水の水処理方法
JP2004108240A (ja) 発電プラントおよび発電方法
CN111386147A (zh) 膜式水处理系统及其方法
KR20160051115A (ko) 복수 탈염 시스템 및 방법
KR101603785B1 (ko) 역삼투 방식을 이용한 과산화수소 정제 시스템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과산화수소
KR101672852B1 (ko) 2중 열원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스템
US10669178B2 (en) Method for treating industrial water by physical separation, adsorption on resin and reverse osmosis, and corresponding plant
JP4970064B2 (ja) 水処理装置
JP2009162514A (ja) 加圧水型原子力発電所の2次系系統水浄化システム
KR101806144B1 (ko) 제어-삼투 및 역삼투를 이용한 담수화 시스템
KR102038324B1 (ko) 물과 유기용매 혼합액으로부터 물을 탈수하기 위한 탈수 시스템
KR20160006914A (ko) 하이브리드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방법
WO2019181253A1 (ja) 純水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