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592A -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592A
KR20160049592A KR1020140146141A KR20140146141A KR20160049592A KR 20160049592 A KR20160049592 A KR 20160049592A KR 1020140146141 A KR1020140146141 A KR 1020140146141A KR 20140146141 A KR20140146141 A KR 20140146141A KR 20160049592 A KR20160049592 A KR 20160049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657B1 (ko
Inventor
최영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6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e.g. to weight or lack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와 통신하여 도어센서 및 시트 중량센서로부터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취득하는 제1 통신부, 미리 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핸즈프리 연결 및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취득한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그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고, 상기 운전자의 차량 하차 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MOBILE HANDSFREE APPARATUS BASED ON DRIVER'S RECOGNI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에는 핸즈프리를 연결하고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에는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는 무선 모듈(예 :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핸즈프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케이블 등 다른 외부 장치의 연결 없이 편리하게 핸즈프리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는 블루투스 연결이 종료된 후에도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었던 이동 통신 단말들의 블루투스 고유 어드레스와, 인증키와, 사용자 이름을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가 새롭게 리셋되거나 전원이 온되면 저장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별도 연결 동작 없이도 블루투스 핸즈프리와 이동 통신 단말이 연결된다.
한편 종래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할 수 없었으며 독립적인 핸즈프리 기능만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 내에 있지 않고 단지 차량 외부의 근처에 있을 경우(즉, 무선 핸즈프리의 통신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도 핸즈프리가 연결되기 때문에 차량 외부에서는 사용자의 전화 통화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예컨대 운전자가 근처의 현금인출기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기 위하여 현금인출기나 편의점 앞에 정차한 후 잠시 차량에서 하차하더라도 차량 내 핸즈프리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예 : 30m 이내)에는 핸즈프리 연결이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 사이에 걸려오는 전화는 차량 내 핸즈프리로 통화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4661호(2008.05.27.등록,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의 이동 통신 단말 자동 연결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에는 핸즈프리를 연결하고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에는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와 통신하여 도어센서 및 시트 중량센서로부터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취득하는 제1 통신부; 미리 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핸즈프리 연결 및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취득한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그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고, 상기 운전자의 차량 하차 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도어와 특정 시트로 한정하여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운전자, 보조 운전자, 및 탑승자 중 선택적으로 차량의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중량을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두고, 임의의 사용자가 차량 운전석에 탑승할 경우 미리 저장된 중량과 새로 입력되는 중량을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중량인지 여부에 따라 운전자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자에 대하여 최종 탑승했을 때의 운전자 중량을 갱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핸즈프리 연결 범위에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있더라도 운전자가 차량을 하차한 상태에서는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을 곧바로 해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계속해서 통화하게 하거나,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을 곧바로 수행하여 핸즈프리를 통해 계속해서 통화하게 하거나,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이 해제되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최종 연결되었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내부 메모리에 등록된 순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제어 방법은, 제1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와 통신하여 도어센서 및 시트 중량센서로부터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취득한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상기 제어부가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의 차량 하차 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도어와 특정 시트로 한정하여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운전자, 보조 운전자, 및 탑승자 중 선택적으로 차량의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중량을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두고, 임의의 사용자가 차량 운전석에 탑승할 경우 미리 저장된 중량과 새로 입력되는 중량을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중량인지 여부에 따라 운전자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해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상기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을 곧바로 해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계속해서 통화하게 하거나,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을 곧바로 수행하여 핸즈프리를 통해 계속해서 통화하게 하거나,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최종 연결되었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내부 메모리에 등록된 순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에는 핸즈프리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에는 핸즈프리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함으로써 사용자의 통화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200)는, 제1 통신부(210), 제2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탑승/하차 판단부(231), 통신장치 관리부(232), 및 통신연결 관리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차량(100)과 통신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차량 내의 전자제어제장치(예 : ECU)(미도시)와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예 : CAN)을 통해 도어센서(110) 및 중량센서(120)의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도어센서(110) 및 중량센서(120)는 각기 운전석 도어의 오픈/클로즈 및 운전석 시트의 중량을 센싱하는 것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2 통신부(220)를 통해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예 : 휴대폰)(300)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해지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2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무선 모듈(예 : BT 모듈)과 통신을 연결하여 핸즈프리 연결 요청 및 핸즈프리 연결에 필요한 정보(예 : 인증코드) 및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탑승/하차 판단부(231)는 상기 도어센서(110) 및 중량센서(120)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탑승/하차를 판단한다.
상기 탑승/하차 판단부(231)는 운전자의 중량을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해 두고, 임의의 사용자가 차량(특히 운전자 시트)에 탑승할 경우 미리 저장된 중량과 새로 입력되는 중량을 비교하여 오차 범위(예 : ㅁ 1kg) 내에서 동일한 중량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최종 탑승했을 때의 운전자 중량을 갱신 저장한다.
상기 통신장치 관리부(232)는 미리 설정된 차량 통신프로토콜(예 : CAN)의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예 : 도어 센싱정보, 중량 센싱정보)를 요청 및 수신한다.
상기 통신장치 관리부(232)는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300) 및 차량의 상태(즉, 차량과의 통신 연결 상태)를 관리한다.
상기 통신장치 관리부(232)는 상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300) 중 자동 연결 등록 상태(예 : 우선순위 설정 연결, 우선순위 미설정 연결 등)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을 관리한다.
상기 통신연결 관리부(233)는 운전자의 탑승/하차 여부, 차량의 상태(즉, 차량과의 통신 연결 상태), 및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상태(즉,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즉, 핸즈프리의 연결/해제)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연결 관리부(233)는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 :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300)(예 : 휴대폰)에 연결을 요청하고, 통신 연결을 위한 인증 코드를 생성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300)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체크) 관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도어센서(110)와 중량센서(120)의 센싱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차량 하차를 검출하여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한다. 이때 비록 무선 통신 범위(즉, 핸즈프리 연결 범위)에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300)가 있더라도 운전자가 차량을 하차한 상태에서는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다.
물론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 상기 제어부(230)는 자동으로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자(즉, 운전자)가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300)를 이용해 계속해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옵션 설정에 따라서는 통화 중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하차하면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도어센서(110)와 중량센서(120)의 센싱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차량 탑승을 검출하여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한다.
물론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 탑승하더라도 상기 제어부(230)는 자동으로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즉, 운전자)는 차량 내에서 핸즈프리를 통해 계속해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옵션 설정에 따라서는 통화 중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200)는 독립적인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차량 내에 장착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통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통신부(220)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예 : ECU)(미도시)와 통신하여 도어 정보 및 시트 중량 정보를 검출한다(S101).
상기 도어 정보는 도어의 열림(OPEN)과 닫힘(CLOSE) 상태에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시트 중량 정보는 운전자가 운전석 시트에 앉았을 경우의 중량과 운전석에 앉지 않았을 경우의 운전자의 중량 정보이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도어 정보 및 시트 중량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한다(S102).
예컨대 상기 제어부(230)는 도어(예 : 운전석 도어)가 닫혀있고 시트 중량이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중량과 동일하면(즉,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면)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가 닫혀 있더라도 시트 중량이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중량과 다른 경우에는 다른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 중이거나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판단(S102) 결과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102의 예), 상기 제어부(230)는 미리 등록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한다(S103).
그러나 상기 판단(S102) 결과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면(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연결되어 있던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한다(S104).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이 해제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연결되어 있던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이 해제될 경우, 제어부(230)는 추가 등록 폰(즉, 핸즈프리 연결을 위해 미리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이 있는지 판단한다(S201).
상기 판단(S201) 결과에 따라 추가 등록 폰이 있을 경우(S201의 예),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추가 등록 폰에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202).
상기 추가 등록 폰은 적어도 하나 이상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등록된 폰(즉, 이동 통신 단말기)이 5개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5개의 폰 모두에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5개의 폰 중 주로 사용하는 폰(즉, 주로 운전하는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2개에만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등록된 폰의 개수와 우선순위가 설정된 폰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상기 판단(S202) 결과에 따라, 상기 추가 등록 폰에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으면(S202의 예),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의 폰에 대하여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한다(S203).
상기 핸즈프리 연결 시도(S203)가 성공하면 이 과정은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의 폰에 대하여 핸즈프리 연결 시도가 실패하면(S2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230)는 최종 연결되었던 폰에 대하여 다시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한다(S205).
상기 최종 연결되었던 폰에 대한 핸즈프리 연결 시도(S204)가 성공하면 이 과정은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최종 연결되었던 폰에 대한 핸즈프리 연결 시도가 실패하면(S206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등록된 순서대로 다시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한다(S207).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정보와 운전석 시트의 중량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에 따라 핸즈프리의 연결/해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하지 않고 보조석 시트 및 뒷좌석 시트까지 확장하여 차량 내에 탑승자(이동 통신 단말기가 미리 등록된 탑승자)가 있을 경우에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 110 : 도어센서
120 : 중량센서 200 : 핸즈프리 장치
210 : 제1 통신부 220 : 제2 통신부
230 : 제어부 231 : 탑승/하차 판단부
232 : 통신장치 관리부 233 : 통신연결 관리부
300 : 휴대폰

Claims (13)

  1.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와 통신하여 도어센서 및 시트 중량센서로부터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취득하는 제1 통신부;
    미리 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핸즈프리 연결 및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취득한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그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고, 상기 운전자의 차량 하차 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도어와 특정 시트로 한정하여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운전자, 보조 운전자, 및 탑승자 중 선택적으로 차량의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중량을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두고, 임의의 사용자가 차량 운전석에 탑승할 경우 미리 저장된 중량과 새로 입력되는 중량을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중량인지 여부에 따라 운전자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자에 대하여 최종 탑승했을 때의 운전자 중량을 갱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핸즈프리 연결 범위에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있더라도 운전자가 차량을 하차한 상태에서는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을 곧바로 해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계속해서 통화하게 하거나,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을 곧바로 수행하여 핸즈프리를 통해 계속해서 통화하게 하거나,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이 해제되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최종 연결되었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내부 메모리에 등록된 순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8. 제1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와 통신하여 도어센서 및 시트 중량센서로부터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취득한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운전자의 차량 탑승/하차 여부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차량 탑승 시 상기 제어부가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의 차량 하차 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도어와 특정 시트로 한정하여 도어 열림/닫힘 정보와 시트 중량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운전자, 보조 운전자, 및 탑승자 중 선택적으로 차량의 탑승/하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중량을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두고, 임의의 사용자가 차량 운전석에 탑승할 경우 미리 저장된 중량과 새로 입력되는 중량을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중량인지 여부에 따라 운전자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해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상기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을 곧바로 해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계속해서 통화하게 하거나,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를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통화 중 상태에 있다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핸즈프리 연결을 곧바로 수행하여 핸즈프리를 통해 계속해서 통화하게 하거나, 현재 통화가 종료된 후에 핸즈프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핸즈프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최종 연결되었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내부 메모리에 등록된 순서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핸즈프리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46141A 2014-10-27 2014-10-27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4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41A KR102334657B1 (ko) 2014-10-27 2014-10-27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41A KR102334657B1 (ko) 2014-10-27 2014-10-27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592A true KR20160049592A (ko) 2016-05-10
KR102334657B1 KR102334657B1 (ko) 2021-12-06

Family

ID=5602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141A KR102334657B1 (ko) 2014-10-27 2014-10-27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6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7266A (ja) * 2007-07-05 2009-01-22 Mazda Motor Corp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JP2010130531A (ja) * 2008-11-28 2010-06-10 Nissan Motor Co Ltd 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装置と携帯端末との無線接続方法。
KR20130017693A (ko) * 2011-08-11 2013-02-20 조영기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7266A (ja) * 2007-07-05 2009-01-22 Mazda Motor Corp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JP2010130531A (ja) * 2008-11-28 2010-06-10 Nissan Motor Co Ltd 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装置と携帯端末との無線接続方法。
KR20130017693A (ko) * 2011-08-11 2013-02-20 조영기 컨텐츠 제공용 비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657B1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2512B2 (en) Sharing account information and a phone number between personal mobile phone and an in-vehicle embedded phone
US10419906B2 (en) Self-learning bluetooth infotainment connectivity
US6993367B2 (en) In-car telephone system, hands-free unit and portable telephone unit
US10341481B2 (en) Bluetooth apparatus of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connection of vehicle
US7742792B2 (en) In-vehicle handsfree telephone system
US20100210212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341703B2 (ja) 電波発信規制機能付き車載装置及び電波発信規制システム
US20110224870A1 (en) Position detection for activation of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20060224305A1 (en) Vehicle uni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vehicle and a wireless device
JP5343870B2 (ja) 無線通信装置
JP5121430B2 (ja) 監視システム
US9037130B2 (en) Vehicle-mounted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mounted apparatus, and program
CN102857275A (zh) 短程无线通信装置
CN105484608A (zh) 汽车车窗的操控方法、车窗控制设备及移动终端
KR20150047277A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장치의 휴대용 단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CN108886557B (zh) 紧急通报装置及紧急通报系统
US8126514B2 (en) In-vehicle apparatus, cellular phon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herebetween
WO2014129111A1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JP2007036720A (ja) 車載通信装置、携帯端末および通信方法
US9271219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in-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078607A (ja) 車載用電話システム、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
KR20160049592A (ko) 운전자 인식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17703B2 (ja) ハンズフリー式通話装置、および妨害電波制御方法
JP2008271255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70353846A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center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emergency notifcation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