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086A -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086A
KR20160048086A KR1020167004931A KR20167004931A KR20160048086A KR 20160048086 A KR20160048086 A KR 20160048086A KR 1020167004931 A KR1020167004931 A KR 1020167004931A KR 20167004931 A KR20167004931 A KR 20167004931A KR 20160048086 A KR20160048086 A KR 20160048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s
painted
function
colored portions
col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렌 장
치 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6004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모든 버튼이 하나의 폐쇄 루프를 만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버튼;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버튼들의 바깥쪽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각각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 및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버튼들의 안쪽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각각의 안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을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기능은 대응하는 안쪽 또는 바깥쪽 색칠된 부분에 의해 표시된 일련의 버튼들에 할당된다. 디바이스는 명령을 인식하고 그 명령을 전기 장치로 보내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할당된 기능에 대해 색칠된 부분에 대응하는 버튼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트로크(stroke)될 때, 명령으로서 할당된 기능을 인식한다.

Description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기 장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 특별하게, 본 발명은 셋탑 박스(STB) 또는 다른 임의의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원격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STB 또는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이 개발되고 있고, 그 때문에 원격 제어기의 동작 버튼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보통의 원격 제어기에서, 다양한 버튼들은 STB 또는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상의 모든 동작들을 제어하는 모든 기능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제어 기능들을 추가할 때, 더 많은 버튼들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원격 제어기를 너무 크게 만들고, 특정 기능을 찾으려고 할 때 동작하기 어렵게 만든다. 또한, 많은 양의 버튼들은 비용, 손상 가능성, 가파른 러닝 커브(learning curve), 및 비우호적인 휴먼 인터페이스를 증가시킨다.
상기 언급된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더 적은 버튼을 요구하는 원격 제어기에 대한 더 간단하고 더 쉬운 제어 기술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호적인 휴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관련 기술로서, EP 2339821 A1 및 KR 2009119184 A가 전기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더 적은 버튼을 요구하는 원격 제어기에 대한 더 간단하고 더 쉬운 제어 기술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디바이스는: 모든 버튼이 하나의 폐쇄 루프를 만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버튼;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버튼들의 바깥쪽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각각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 및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버튼들의 안쪽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각각의 안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을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기능은 해당하는 안쪽 또는 바깥쪽 색칠된 부분에 의해 표시된 일련의 버튼들에 할당된다. 디바이스는 명령을 인식하고 그 명령을 전기 장치로 보내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할당된 기능에 대해 색칠된 부분에 대응하는 버튼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트로크(stroke)될 때, 명령으로서 할당된 기능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디바이스는: 역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쌍의 버튼들로서, 쌍의 버튼들 중 하나는 다른 것에 대해 반대되고, 모든 버튼들은 하나의 링(ring)을 만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쌍의 버튼들; 버튼들의 링 바깥쪽에 위치되는 하나의 링을 만드는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수는 모든 버튼의 수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고, 각각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 및 버튼들의 링 안쪽에 위치되는 하나의 링을 만드는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안쪽 색칠된 부분의 수는 모든 버튼의 수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고, 각각의 안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의 안쪽 및 바깥쪽 색칠된 부분은 버튼의 최대 수를 커버(cover)하기 위해 연장되고, 미리 결정된 기능은 각각의 안쪽 및 바깥쪽 색칠된 부분에 할당된다. 디바이스는, 명령을 인식하고 그 명령을 전기 장치로 보내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할당된 기능에 대해 색칠된 부분에 대응하는 버튼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트로크(stroke)될 때, 명령으로서 할당된 기능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더 적은 버튼을 요구하는 원격 제어기에 대한 더 간단하고 더 쉬운 제어 기술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 유닛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 유닛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양상이 기재될 것이다. 설명의 목적으로, 구체적인 구성과 상세설명이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구체적인 상세설명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또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원격 제어기(100)는 STB 및 임의의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와 같은 전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원격 제어기(100)의 제어부(200)를 도시한다. STB의 원격 제어기(100)에서, 볼륨/채널 조정/선택, 켜짐/대기 기능들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동작들이다. "VOL+"라고 기재된 볼륨 조정 버튼(205)은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볼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VOL-"라고 기재된 볼륨 조정 버튼(207)은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볼륨을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CH+"라고 기재된 채널 선택 버튼(209)은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채널 숫자를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CH-"라고 기재된 채널 선택 버튼(211)은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채널 숫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켜짐/대기 버튼(203)은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전기 장치가 제어되도록 깨우기 위해 사용된다. 이 예시에서, 켜짐/대기 버튼(203)이 2초 이상 눌릴 때, 전기 장치는 대기 상태가 된다. 길게 누르는 것은 실수로 누르거나 잘못 동작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술된 것처럼, 원격 제어기(100)는 대응하는 기능에 대해 각각의 버튼을 사용하고, 이것은 사용자가 원격 제어기를 쉽고, 간단하게 직접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켜짐/대기 버튼은 STB 정상 상태 동안 OSD(on-screen display) 상에서 메뉴 콜(Menu call)로서 역할한다. OSD 메뉴는 STB의 모든 다른 제어 액션들을 부르기 위해 사용될 것이고, 이는 읽고 선택하기 쉽다. 이 동안, 4개의 버튼(205, 207, 209, 211)은 OSD 메뉴 상에서 위/아래, 좌/우 제어로서 역할할 것이다.
"VOL+"(205), "VOL-"(207), "CH+"(209), 및 "CH-"(211) 4개의 버튼들은 빠른 사용 루트가 원격 제어기(100)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빠른 사용 루트에 대해서, 버튼-스트로크-시리즈(button-stroke-series)가 사용된다. 도 3에 기재된 것처럼, 상상하기 위하여, 4개의 반 색칠된 링들(313, 315, 317, 319)은, 4개의 버튼들(305, 311, 307, 309)을 포함하는 4가지 버튼 링의 안쪽 및 바깥쪽에 버튼 스트로크 오더를 나타내기 위하여 프린트된다. 3가지 버튼의 스트로크 오더는 정상적인 이용 동안 잘못된 동작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할당된 기능은, 사용자가 식별하기 더욱 쉽도록, 대응하는 반 색칠된 링에 정확히 프린트된다. 도 3에서, ≪이전 채널로 돌아가기≫는 바깥족 반 하얀색 색칠된 링(315)에 프린트된다.
모든 동작들은 혼란을 피하기 위해 시계방향의 버튼 누름/터치 시퀀스이다. 그러나, 다른 방향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전 채널로 돌아가는 STB가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바깥쪽 반 하얀색 색칠된 링(315)에 프린트된 앞서 말한 즉각적인 단어를 발견할 것이고, 그것은 "CH- → VOL- → CH+"를 의미한다.
4개의 빠른 기능들은 이런 제어 토폴로지(topology)를 통해 적용될 수 있다.
바깥쪽 검정색 색칠된 링(313): 기능 1 "CH+ → VOL+ → CH-";
바깥쪽 하얀색 색칠된 링(315): 기능 2 "CH- → VOL- → CH+";
안쪽 검정색 색칠된 링(317): 기능 3 "VOL- → CH+ → VOL+";
안쪽 검정색 색칠된 링(319): 기능 4 "VOL+ → CH- → VOL-"
사용자는 오더에 따라 대응하는 버튼을 누름/터치함으로써 각각의 색칠된 링을 시계방향으로 스트로크할 수 있다.
이 제어 토폴로지는 STB 또는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의 원격 제어기(100)가 간결하고 직관적이게 한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더욱 쉽다.
상기 실시예에서, 번번하게 사용되는 버튼들이 4개의 동작 즉, "VOL+", "VOL-", "CH+", 및 "CH-"로 구성되기 때문에, 4개의 빠른 기능들은 4가지 반 색칠된 링에 의해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빠른 기능의 수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버튼의 수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빈번하게 사용되는 버튼의 수는 디바이스에 따른다.
디바이스는 역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쌍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쌍 중 하나의 버튼은 다른 것에 대해 반대된다. 모든 버튼은 하나의 링을 만들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링을 만드는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은 버튼의 링 바깥쪽에 위치된다.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수는 모든 버튼의 수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각각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색은 서로 상이하다.
하나의 링을 만드는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은 버튼의 링 안쪽에 위치된다. 안쪽 색칠된 부분의 수는 모든 버튼의 수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각각의 안쪽 색칠된 부분의 색은 서로 상이하다.
각각의 안쪽 및 바깥쪽 색칠된 부분은 버튼의 최대 수를 커버하기 위해 연장된다. 미리 결정된 기능은 각각의 안쪽 및 바깥쪽 색칠된 부분에 할당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모든 버튼이 하나의 폐쇄 루프를 만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버튼;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버튼들의 바깥쪽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각각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 및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버튼들의 안쪽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각각의 안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을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기능은 해당하는 안쪽 또는 바깥쪽 색칠된 부분에 의해 표시된 일련의 버튼들에 할당된다. 디바이스는 명령을 인식하고 그 명령을 전기 장치로 보내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할당된 기능에 대해 색칠된 부분에 대응하는 버튼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트로크(stroke)될 때, 명령으로서 할당된 기능을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서, 버튼들은 하나의 폐쇄 루프를 만들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버튼들은 링/서클을 만들 필요가 없다. 폐쇄 루프의 모양은 임의의 특정 모양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안쪽 및 바깥쪽 색칠된 부분은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버튼들의 안쪽 및 바깥쪽을 따라 연장된다. 각각의 복수의 안쪽 및 바깥쪽 색칠된 부분들은 하나의 폐쇄 루프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폐쇄 루프를 만들 필요는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4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400)는 원격 제어기, 또는 모든 ESD 보호 RF 모듈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디바이스(400)는 CPU(중앙 처리 장치)(403), 동작 유닛(409), 저장 장치(405), 전원(411) 및 통신 장치(413)를 포함한다.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과 같은 메모리(407)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CPU(403)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 장치(405)는, CPU(403)가 STB 또는 임의의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사용자에 의한 명령 입력을 보내는 프로세스를 구동하고 동작시키기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413)는 STB 또는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사용자에 의한 명령 입력을 보내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413)는 적외선 통신 장치(413)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413)는 모든 가전 제품을 제어하는 중앙 시스템에 명령을 보낼 수 있다.
디바이스(400)는 STB, TV 세트 등 임의의 기기를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본 명세서의 가르침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르침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서, 특수 목적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조합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가르침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된다. 더욱이,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저장 유닛 상에 명백히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포함하는 기계에 업로드될 수 있고, 기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계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와 같은 하드웨어를 갖는 컴퓨터 플랫폼 상에 구현된다. 컴퓨터 플랫폼은 또한 동작 시스템 및 마이크로 명령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프로세스와 기능은 마이크로 명령어 코드의 부분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부분일 수 있고, 또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것은 C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다른 주변 유닛은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유닛과 같은 컴퓨터 플랫폼에 연결될 수 있다.
첨부 도면에서 도시된 몇몇 구성 시스템 요소와 방법이 소프트웨어에서 바람직하게 구현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 요소 또는 프로세스 기능도 사이의 실제 연결은 본 발명이 프로그래밍되는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가르침을 고려해볼 때, 당업자는 본 원리의 이들 및 유사한 구현 또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도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지만, 본 원리가 그들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본 원리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질 것이다. 모든 이러한 변화와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것처럼, 본 원리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403 : CPU 409 : 동작 유닛
405 : 저장 장치 411 : 전원
407 : 메모리 413 : 통신 장치

Claims (7)

  1.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로서, 디바이스는:
    모든 버튼이 하나의 폐쇄 루프를 만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버튼;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버튼들의 바깥쪽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각각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 및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버튼들의 안쪽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각각의 안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을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기능은 대응하는 안쪽 또는 바깥쪽 색칠된 부분에 의해 표시된 일련의 버튼들에 할당되며,
    디바이스는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명령을 전기 장치로 보내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할당된 기능에 대해 색칠된 부분에 대응하는 버튼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트로크(stroke)될 때, 명령으로서 할당된 기능을 인식하는,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할당된 기능은 대응하는 색칠된 부분에 프린트되는,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3.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로서, 디바이스는:
    역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쌍의 버튼들로서, 쌍의 버튼들 중 하나는 다른 것에 대해 반대되고, 모든 버튼들은 하나의 링(ring)을 만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쌍의 버튼들;
    버튼들의 링 바깥쪽에 위치되는 하나의 링을 만드는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수는 모든 버튼의 수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고, 각각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바깥쪽 색칠된 부분; 및
    버튼들의 링 안쪽에 위치되는 하나의 링을 만드는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으로서, 안쪽 색칠된 부분의 수는 모든 버튼의 수의 절반보다 작거나 같고, 각각의 안쪽 색칠된 부분의 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쪽 색칠된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의 안쪽 및 바깥쪽 색칠된 부분은 버튼의 최대 수를 커버(cover)하기 위해 연장되고, 미리 결정된 기능은 대응하는 안쪽 또는 바깥쪽 색칠된 부분에 의해 표시된 일련의 버튼들에 할당되며,
    디바이스는,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명령을 전기 장치로 보내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할당된 기능에 대해 색칠된 부분에 대응하는 버튼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트로크(stroke)될 때, 명령으로서 할당된 기능을 인식하는,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할당된 기능은 대응하는 색칠된 부분에 프린트되는,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쌍들의 수는 두개이고, 네개의 버튼들의 각 기능은 볼륨을 크고 작게 조절하고, 채널 번호를 감소하는 방향과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안쪽 색칠된 부분에 의해 만들어진 링의 안쪽에 켜짐/대기 버튼을 더 포함하고, 켜짐/대기 버튼은 OSD(온-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해 메뉴 콜로서 역할하는, 시스템.
  7. 제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방향은 시계 방향인, 시스템.

KR1020167004931A 2013-08-27 2013-08-27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KR201600480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82381 WO2015027398A1 (en) 2013-08-27 2013-08-27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ic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086A true KR20160048086A (ko) 2016-05-03

Family

ID=5258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931A KR20160048086A (ko) 2013-08-27 2013-08-27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67508B2 (ko)
EP (1) EP3039951A4 (ko)
JP (1) JP2016531369A (ko)
KR (1) KR20160048086A (ko)
CN (1) CN105474764A (ko)
WO (1) WO2015027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8009S1 (en) 2016-06-03 2019-11-26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Illuminated control device
USD868010S1 (en) * 2016-06-30 2019-11-26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Illuminated control device
USD951211S1 (en) * 2017-03-16 2022-05-10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Illuminated control device
USD935422S1 (en) 2019-05-01 2021-11-09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Control device having illumination applied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7486B2 (ja) 2000-03-10 2007-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送受信システム
US20030030573A1 (en) 2001-04-09 2003-02-13 Ure Michael J. Morphology-based text entry system
US6757388B2 (en) * 2001-08-31 2004-06-29 Ching-Hsing Luo Alphabetic telephone
WO2007055048A1 (ja) 2005-11-08 2007-05-18 Shin-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015059Y (zh) * 2006-10-04 2008-01-30 青岛有线宽带数字电视发展有限公司 具有电视、网络电话、游戏和鼠标控制功能的遥控器
CN101256443A (zh) 2007-02-27 2008-09-03 黄金富 适合游戏机和手持设备的输入装置和相应输入方法
CN101981903A (zh) 2008-03-31 2011-02-23 吉元逸郎 12键qwerty文本输入方法
KR20090119184A (ko) 2008-05-15 2009-11-19 김기주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CN101615079A (zh) 2008-06-24 2009-12-30 杜力 键间交错小键盘
KR101113061B1 (ko) * 2008-06-25 2012-04-12 엔조스탄카토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CN101621609B (zh) * 2008-07-03 2012-06-2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在机顶盒中进行操作的方法、系统及机顶盒
KR20110055962A (ko) 2009-11-20 201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74764A (zh) 2016-04-06
EP3039951A4 (en) 2017-04-26
JP2016531369A (ja) 2016-10-06
US20160212368A1 (en) 2016-07-21
US9967508B2 (en) 2018-05-08
EP3039951A1 (en) 2016-07-06
WO2015027398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3462B2 (ja) マルチモーダル及びジェスチャー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EP271180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194190B2 (en) Adapting user interface of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remote control device
US20130043986A1 (en)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same having two control modes for controlling at least two different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CN101853568A (zh) 手势遥控装置
US20140253483A1 (en) Wall-Mounted Multi-Touch Electronic Lighting- Control Device with Capability to Control Additional Networked Devices
CN103918279B (zh) 设备控制系统以及遥控器
KR20130048533A (ko)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20100095423A (ko) 이동 감지 리모트 컨트롤
KR20160048086A (ko)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CN103957319A (zh) 一种使用用户设备遥控目标设备的方法及用户设备
CN104484038A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US20110181386A1 (en) Providing Guidance During Operation of a Universal Remote Control
JP2014123878A (ja) 遠隔操作装置
WO2016062039A1 (zh) 信息快速查找方法、显示控制系统及输入设备
KR101864276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US9734707B2 (en) Features for use with a multi-sided controlling device
CN107529057B (zh) 电视机煲机测试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2638182B1 (ko) 영상표시장치
US20190196703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slider track and slid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16531369A5 (ko)
CN105357567A (zh) 一种多信道播放系统
US2014036316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s
KR101805204B1 (ko) 통합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JP2007043254A (ja) リモコン装置及びリモコン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