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061B1 -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061B1
KR101113061B1 KR1020097004651A KR20097004651A KR101113061B1 KR 101113061 B1 KR101113061 B1 KR 101113061B1 KR 1020097004651 A KR1020097004651 A KR 1020097004651A KR 20097004651 A KR20097004651 A KR 20097004651A KR 101113061 B1 KR101113061 B1 KR 101113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user
content
allow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601A (ko
Inventor
엔조스탄카토
Original Assignee
엔조스탄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CS20080016 external-priority patent/ITCS20080016A1/it
Priority claimed from IT000005A external-priority patent/ITCS20090005A1/it
Application filed by 엔조스탄카토 filed Critical 엔조스탄카토
Publication of KR2010008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61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hard disk dr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의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virtual multifunction telecommunication apparatus)를 포함하고, 전세계 모든 사용자들에게 임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인터넷 접속을 통해 자유로운 접근 가능성을 제공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통신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지금까지 얻을 수 없는 빠르고 유용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컴퓨터, 멀티미디어,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Description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Multifunction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본 발명은 가상의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virtual multifunction telecommunication apparatus)를 포함하고, 전세계 모든 사용들에게 임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인터넷 접속을 통해 자유로운 접근 가능성을 제공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통신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지금까지 얻을 수 없는 빠르고 유용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상기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및 웹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중 가장 혁신적인 발명 중 하나로서, DVD, cd 및 가상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장비를 포함한다. 다양한 기계적 및 전기적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매우 진보적인 기술 중 하나이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모든 기능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하기에 정의한 바와 같은 네 가지의 기본적이고 독립적인 물리적 구조를 개발하였다:
a) TV 홈 센터에 통합된 가상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는 이제부터 TV 넷 미디어 홈 센터(TV Net Media Home Center)로 지칭한다;
b) 가상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는 이제부터 미디어 매직 박스(Media Magic Box)로 지칭한다;
c) 모바일 가상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는 이제부터 미디어 매직 박스 모바일(Media Magic Box Mobile)로 지칭한다;
d) 상기 중에 다기능 장치는 주 기능(Master function)과 다른 슬레이브 기능(Slave function)을 가지면, 이제부터 미디어 매직 박스 마스터/슬래이브(Media Magic Box Master/Slave)로 지칭한다;
이 툴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전자 장비, 및 마지막 세대 기술 및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사용자들의 동시접속을 보조하는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다양한 다기능 플랫폼 소프트웨를 기반으로 한다.
가상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는 물리적인 텔레비전 구조, LCD 모니터,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및 신세대 인터넷 케이블을 통한 연결, 무선 브로드밴드 및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통합하여 하나의 단일한 물리적인 확장가능하고 분리가능한 로보틱 구조를 구성하는 시스템이다.
더욱이,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가상 컴퓨터는 이러한 모든 시스템을 독립적인 방식으로 이용하여 이들을 전통적인 형태의 모니터(CRT) 또는 LCD 모니터에 독립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발명은 또한 모바일 상품을 얻기 위하여 고안되어졌고, 실제로 이는 시스템을 장착한 하나의 구조를 구성하는 미니 LCD 패널을 부가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물리적 구조의 동일한 기능을 보유하는 휴대용 PC와 동일하고 그와 일치시켰 으며, 더욱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자동차 여행 등) 동안 사용가능하다.
무선의 전통적 또는 레이저 프로젝트 키보드 또한 상기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가상 컴퓨터에 접속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는, 오디오/비디오 수신을 위해 장착된 상이한 공간에 위치한 다양한 장비로 독립적인 출력으로 개별적인 전송의 결과, 몇몇 상이한 최종 독립적인 오디오/비디오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지금까지, TV, PC, DVD, CD, fax, 전화, 프린터, 스캐너, 화상전화기 및 가상 비서의 통합은 상이한 물리적 구조의 조합 및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형태의 하드웨어의 조합이 아니면 얻을 수 없었다.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가상 컴퓨터는 PC의 기능, 텔레비전, 모니터, 라디오, DVD 및 CD 리더기 및 굽기, 전화, 팩스, 프린터, 스캐너, 화상전화기(화상회의기), 가상 비서 및 비디오 보안 투시 밀폐회로의 기능을 가져서, 하나의 유닛에 물리적으로 위치한 기술들의 동시적이고(이거나) 독립적인 사용을 허용한다.
이는 다양한 장비, 예를 들어, 컴퓨터, 모니터, 라디오, DVD/CD 리더기 및 굽기, 전화, 팩스, 프린터, 스캐너, 화상전화기(화상회의기), 가상 비서 또는 다른 전자 장비 구입 필요성을 없애준다.
이런 모든 것은 하나의 기계적, 디지털 및 가상 구조의 다기능 텔레커뮤니케 이션 가상 컴퓨터로 인해 성취될 수 있다.
이는 커다란 경제적 및 공간적 이득을 가져와서, 부모가 아이들이 접근 가능한 컨텐츠를 모니터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하여 하나의 환경에 가족을 통합시키고, 가족의 하모니를 촉진시키고, 안전한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한다.
더욱이,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가상 컴퓨터는 또한 전통적 텔레비전, 오피스 또는 홈 PC, 콜 센터, 모바일 오피스로서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데이터 전송이 개선되고, 비용이 최소화되며, 민첩성 및 간편성이 증가되고, 특히 이러한 훌륭한 발명을 가족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가상 컴퓨터” 발명의 중요한 부분은 다양한 작용을 수행하는 많은 별개의 전자 장비를 보유할 필요없이 구성원들 각자가 그/그녀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경우에도 가족에게 함께 머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비용, 시간 및 물리적 공간을 절약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가상 컴퓨터”의 중요한 부분은 상이한 작용을 수행하는 몇몇 별개의 전자 도구를 보유하여야 할 필요 없이 가족 각 구성원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가족에게 함께 머물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가족이 함께함으로써, 부모가 그들의 자녀들이 무엇을 하는지 감독할 수 있고, 그들에게 적절치 않은 접근 또는 시청 기능을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전세계의 모든 사회 계급에서 사용할 수 있을 지라고, 이는 PC, DVD, TV, 전화기 모니터, CD, 인터넷 접속을 동시에 사용하는 고가품을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이점은 당신이 장소를 옮길 필요가 없다는 것, 당신의 안락한 팔걸이 의자에서 두 가지 일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움직일 필요조차도 없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능들 중 몇 가지를 블루투스(Bluetoth) 및 와이파이(Wi Fi)로 인해 스크린 앞이 남아있지 않고도 수행할 수 있고, 당신은 집의 다른 곳에서 CD 또는 라디오로부터 음악을 듣거나 당신의 애청 방송국으로부터 뉴스 방송을 들을 수도 있다.
또한 전통적인 스크린에 적용된 이러한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가상 컴퓨터의 신규하고 혁신적인 기술은, 사용자가 단일 모니터를 통해 다중 운영에 접근하기 때문에, 구입 순간에 이미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기능 및 전통적인 PC 기능
본 발명의 장비는 전자 구조 및 독립적 운영을 허용하는 다양한 운영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양자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위한 전자 시스템 및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전통적 PC 분할부로서 작용하여 두 개의 분리된 하드디스크 또는 두 개의 분리된 구획을 갖는 단지 하나의 HD를 유지하며, 이들 중 하나의 하드디스크 또는 구획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시스템(A)용이고, 다른 하드디스크 또는 구획은 전통적인 PC 시스템(B)용이다.
상기 하드디스크 또는 구획은 서로 충돌하지 않으며, 미디어 시스템(A)를 임의의 잠재적인 컴퓨터 바이러스로부터 자유롭게 유지시켜 모든 가능한 권한없는 접근을 차단하고, 시스템의 기능화를 위해 적용된 오픈 소스 플랫폼을 이용한 독립적인 운영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할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스템(A)용 하드디스크 또는 구획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한을 이용한 단일 텔레커뮤니케이션 기능에 독립적인 운영 시스템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가능한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는 사용자 또는 다른 소프트웨어의 자발적 및 비자발적 해방으로부터 보호한다. 하드웨어는 상기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해 기술한 것과 동일한 이유로 하나 이상의 보호 밀봉을 포함하며, 대여만 가능한 비디오 컨텐츠의 경우에서와 같은 독점적 자료(proprietary material)의 복제 및 운반 또는 배포 기회를 차단한다. 다른 하드디스크 및 구획(B)는 전통적인 통합 컴퓨터의 운영하는 기능을 한다.
A에 대한 운영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없으나, 전통적인 PC를 위한 다른 운영 시스템 B는
현재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임의의 운영 시스템 중 하나를 설치하여 적용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B에서 A 또는 A에 B로의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도 A에서 B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다. 오로지 가능한 상호작용은 A로부터 시스템 B를 인용하는 것이다. B에서 A로의 이동은 B가 차단될 때 자동적으로 일어날 것이다. 이는 B가 시스템 A를 호출할 수는 없으나, A는 시스템 B를 호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스템이 시동될 때, A는 리로딩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권한없는 간섭 또는 시스템 A를 손상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가상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혁신은, 하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서 부분적으로 기술한 구성요소의 사용으로 인해 가능하게 되었다.
고성능을 위한 RAM ;
고성능 CPU;
전용 VGA-고성능;
소형의 고성능 마더보드;
확장 포트, 예를 들어, PCI, 파이어와이어(FireWire), 시리얼포트, USB 포트, 비디오 및 오디오 출력단자(아날로그 및 디지털);
DVI 출력단자, D-sub 출력단자 및 S/PDIF, 다채널 고선명 오디오(8 채널 이하), 카드 리더기(CF, MMC, MS, SD); LAN을 통한 연결도, 고용량 Gbit; WI-FI, 블루투스, 혁신적 열 싱크를 갖춘 배터리.
증폭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브릿지로서 출력 주파수를 처리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역너비를 안정화시킨다. 이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해상도 손실없이 보장하고, 데이터 전송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속도를 높인다.
또한 모니터 넷이라 불리는 또다른 장비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제공되고, 상기 모니터는 운영 시스템과 메인보드, 넷 카드(Net card) 및 와이-파이(Wi-Fi) 카드가 장착되어 있고, 이는 메인 박스에 능동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컨텐츠 뷰 요청을 전송하고,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패스워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유된 데이터의 보안을 보장한다.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품질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능에 의해 보장된다(Boosting 및 MPEG 디코로서).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특히 네트워크 및 DVD를 통해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에 최적화되고, 통상적인 DVD 플레이어 중 하나에서 보다 우수한 영상을 증길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소형에 맞도록 자동적으로 시각화함으로써 TV, 개인용 컴퓨터, 판독기, 라디오 등의 특징을 제공한다.
다섯 가지의 기본적이고 독립적인 물리적 구조
넷 TV 홈 미디어 센터
구조 “TV 홈 미디어 센터”는 모던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도 1.1 참조). 이것의 특징 중 하나가 고도의 간편성 및 사용의 용이성이다.
물리적 구조는 모든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및 전체 구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장착한 LCD 타입의 모니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TV, 영화를 시청하고(하거나) 동시에 인터넷에 접속하고(도 1.2 참조), 음악을 듣고 비디오를 보고, 전화통화를 하고(하거나) 구매, 비디오, 주문형 게임, 음악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접근가능한 다른 컨텐츠의 대여할 수 있도록 한다.
TV 넷 미디어 홈 센터의 물리적 구조
TV 넷 미디어 홈 센터의 물리적 구조는(이미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모든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및 전체 구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가 통합된 LCD 모니터로 이루어짐), 스크린의 하부에, 다양한 CD 및 DVD가 보관된 트레이가 있고(도 1.3 참조), 이들은 자동적인 원격제어 운영으로 청취 및 시청될 수 있다. 금속/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박스의 중심 뒷면에 있어서, TV 스크린에 통합된 요소는 모든 시스템 하드웨어 및 전자부품이며, 텔레비전 및 디코더(도 1.4 참조) 또한 구조의 하부에 배터리를 갖추고 있으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이어서 외부 전력에 연결됨으로써 통합된 UPS로서 기능을 한다. 박스의 왼쪽에 텔레비전 스크린 뒤쪽으로 모든 컴퓨터 브레인(박스) 구성요소 어셈블이 있고, 이는 cd-dvd 디코더의 리더기에 연결되어 있다((도 1.5 참조). 텔레비전 모니터의 하부에는, 두 개의 내부 스피커(도 1.6 참조), 모니터의 양 쪽은 두 개 이상의 스테레오 스피커가 있으며, 이는 180도 회전가능하고, 이들의 움직임은 수동으로 또는 원격 조절기를 통해 전자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모든 이런 형태의 혁신적인 텔레-컴퓨터는 세상에서 유일하다. 간략하게, 모니터의 뒤쪽에 위치한 시스템(박스)(도 1.8 참조)는 실질적으로 모든 기능을 갖는 컴퓨터 및 cd-dvd-레코더, 적외선 센서, 키보드 및 일반 PC의 모든 인풋/아웃풋 장치를 사용가능한 마우스를 갖춘 플레이어이다. 인터페이스(도 1.10 참조)는 모든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볼 수 있고, 궁극적으로 추가의 다른것에 적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다.
상업적인 비디오 엔터테인먼트를 시청하기 위해 상기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연결되는 나라와는 독립적으로 임의의 언어일 수 있다(도 1.11 참조).
이 시스템은 개인 또는 모든 가족에게, 동일한 시스템, 컴퓨터/텔레비젼/케이블 및 무선 인터넷 상에서 많은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사용자와의 간섭 없이 운영 작업 및 다양한 기능을 독립적으로 동시에 수행하도록 디자인되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또한 가상 비서(virtual secretary)라고 지칭되는 전자 장비를 제공하며, 이는 회로에 마운트되어 있고, 이 회로는 하나의 소프트웨어와 관련되며, 그의 기능은 텔레폰 서비스 관리를 제공하고, 텔레폰 응답, 음성 메일, 전화 보조, 상호 음성 응답을 이용한 번역 및 언어 프로그램, 및 많은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는 매직 미디어 박스(Magic Media Box)로 지칭한다.
박스 내에 장착된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는 디코더, 랜 포트, WI-FI 카드, WI MAX, 블루투스가 제공되고, 임의의 다른 형태의 스크린 CRT, LCD 또는 플라즈마에 연결되어 컴퓨터로서 또는 원격으로 제어되는 텔레비전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동일한 TV 모니터(CRT, PLASMA 또는 LCD) 또는 PC 모니터(LCD, CRT) 및 다른 형태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전자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적절하고 손쉽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비디오 카드를 이용하는 다양한 비디오 장비를 관리하는데 동일한 비디오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는 금속/플라스틱 구조이다. 구조(박스)의 앞면(도 1.16 참조)에는 리시버,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와 cd/dvd 리더/라이터가 있는 원격 센서, 및 CD-DVD (블루레이 포맷을 가질 수 있음), 및 디지털 수동 운영을 위한 다른 버튼가 구비되어 있다. 박스의 후면(도 1.17 참조)은 다양한 포트, 예를 들어, Wire-Fire, 시리얼, USB, 릴리스 비디오/오디오(아날로그 및 디지털), 텔레폰 등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의 일 측에는 열 싱크가 장착되어 있고(도 1.18 참조), 이는 박스에 부착되어 혁신적인 냉각 시스템의 일부를 이룬다.박스의 내부는 몇가지 열 싱크로 구성된 혁신적인 자체 냉각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들 몇몇은 박스의 바닥에 위치하고, 다른 것들은 박스 뚜껑 내부에 위치하여, 뚜겅 자체가 열 싱클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열 싱크는, 두 개의 팬과 더불어, 하나는 공기 배출구로서 작용하는 윈도우에 근접하게 위치된 박스의 가장 더운 영역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다른 것은 박스의 후면에 공기를 수직으로 순환(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윈도우는 배출기가 작용하면 자동으로 열리며, 배출기가 정지하면 자동으로 닫힌다.상기 팬은 온도 센서에 의해 제어되고, 특정 온도에 이르면 작동되도록 한다. 이는 박스 내부에서 생성된 열을 분산시키고 최대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용이하다.
모바일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우측(박스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은 보조적으로 연결되고(박스에서 분리할 수 있고) 현저한 성능으로 박스로부터 직접 재충전가능한 보조 배터리로 구성되며, 분리가능하고, 능동 및 수동 열 싱크를 통해 통풍시켜 냉각을 개선시킨다.
이런 모든 것들은 벌키 케이블의 존재를 필요 없게 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가 부족한 경우 또는 박스를 자동차 또는 다른 이동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미디어 매직 박스)는 무엇보다고 진보된 컴퓨터이며, 이는, 텔레비전으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기술적 장비를 지원하기 때문에(예를 들어, TV에 연결된 dvd 플레이어와 더불어 인터넷에 연결된 PC, 라디오 등에서의 에너지 소비) 많은 에너지 소비하는 몇몇 신규한 TV와는 다르게, 그 내에 결과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모든 옵션 및 별도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촉매제인 미디어 매직 박스로서 기능하는 단일 장비를 통해 이용가능하여, 단일 구조에서 다기능 시스템을 제공한다. 분명하게, 하기의 박스에 대한 설명은 혁신적인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는 열거하지 않았고, 본 발명에서 독점적으로 개발한 다른 구성요소, 신규한 소프트웨어, 및 운영 시스템 기술에 대하여 당연히 언급하였다. 이들은 보안, 기밀 및 비개시(non-disclosure)의 이유로 기술하지 않았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의 전자 박스는 디지털 TV, 위성 등과 같은 카드를 포함한다.계속
모바일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를 매직 미디어 박스 모바일(Magic Media Box Mobile)이라 칭한다.
이들을 공간을 절약하여 박스 드라이브의 기능성을 보장하는 신세대 컴퓨터와 통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스템의 물리적 구조, 그의 역학 및 로봇공학을 창시하였다. 상기 시스템은 몇가지 혁신적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혁신저인 통풍 시스템에 의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성능을 증가시키고 기능성을 확장시키는 부가 배터리를 포함한다. 혁신적인 카드의 사용은, 텔레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진보적인 발명인 매직 박스 미디어 모바일을 구성하는 운영 시스템, 소형 통합 모니터의 혁신적인 인터페이스 및 지금까지 절대 알려져 있지 않은 고도 기술의 진보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구조를 기계적 및 전기적 모두를 포함한 임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고성능과 관련된 상기 박스의 간편성 및 실용성은 이 구조를 전체 가족이 조종할 수 있고, 여행 중 어느 때라고 편리한 소형 휴대용 PC의 역할을 하게 한다.
이는 노트북과 유사한 접이식 통합 모니터(folding integrated monitor)를 포함하는 금속/플라스틱 구조물이다.
전자공학, 기계공학 및 로봇공학의 완전한 조합으로, 이 구조물은 컴퓨터의 모든 기능을 갖고, 보다 많은 소프트웨어를 가져서 모든 전자 장비,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 비디오, TV 인터넷 라디오, 인터넷 라디오, 위성 라디오, 인터넷을 통한 TV, 인트라넷 TV, 디지털 TV 사이의 공존을 허용한다(단일 구조이지만 2가지 독립적인 컴퓨터의 기능을 가짐).
그의 실용성 및 이송가능성이 사용자로 하여금 이 훌륭한 발명을 레저 여행 및(또는) 작업 동안 멀티미디어 엔터테인먼트용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미디어 매직 박스 및 미디어 매직 박스 모바일 모두는 미디엄 버전(medium version)일 수 있고, 텔레커뮤니케이션 다기능 장치 소프트웨어로의 접속 속도 및 품질과 관련된 훌륭한 성능을 여전히 갖는 미디어 매직 박스를 포함하지만, 미디어 매직 박스의 모든 장비를 갖추지는 않고, 단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이점에서 필수적인 것만을 갖춘 박스이다.
상기 구조물은 몇몇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미디어 매직 박스 미디엄의 사용에 필요치 않는 차이를 제외하고 동일한 미디어 매직 박스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카드, 위성, tv 튜너가 존재하지 않고, 잔여 구성요소들 보다 덜 강력한 버전의 미디어 매직 박스이다.
하나는 마스터 기능을 갖고 다른 것들은 슬레이브 기능을 갖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시스템을 미디어 매직 박스 마스터/슬레이브(Media Magic Box Master/Slave)로 칭한다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는 마스터/슬레이브 버전(미디어 매직 박스 마스터/슬레이브)으로 형성되고, 이는, 예를 들어, 호텔에 적합하다. 많은 룸을 갖는 호텔은 각 룸을 위하여 슬레이브 박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박스에 비해 보다 낮은 성능을 가지나, 고객이 사용하는데는 만족할 만한 성능을 갖는다. 마스터 박스는 슈퍼 박스로서, 이는 슬레이브 박스의 트랜스액션 및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한다. 마스터는 호텔의 경영 시스템의 박스(서버)이며, 이는 ad hoc 시스템을 이용하고, 고객이 호텔과 맺은 계약의 유형에 따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작동의 커뮤니케이션 및 제어를 허용한다.
마스터 만이 임의의 슬레이브와 마스터 외부로부터의 진행상황 간의 (전체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시스템용 서버를 사용한) 모든 외부 트래픽을 제어한다. 명백하게도, 매우 큰 비트의 관점에서 비디오 스트림 만이 슬레이브로 직접 진행하고(마스터에게 허가를 요청한 후), 이는 슬레이브가 수 백 개일 수 있다는 관점에서 마스터를 과부하시키지 않는다. 평균 슬레이브 매직 박스는 부분적으로 허용되나, 본 발명의 서비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모든 사용자가 단일 비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시청하는 경우, 일반 완전 박스(미디어 매직 박스, 미디어 박스 매직 미디엄)의 경우에서와 같은 다중 비디오 또는 전체 다중 프로세싱으로 처리되지 않고, 깨끗한 TV 시청을 원하는 호텔의 고객을 위해 훌륭하며, 인터넷으로 진행되거나 수요대로 구입한다.
매직 미디어 박스 마스터/슬레이브의 물리적 구조
슬레이브는 매우 저렴한 박스로서, 다른 모델과 같은 많은 장비를 갖지 않고, 불가결한 것들만을 갖추고 있다. 이는 상기에서 열거한 다른 유형의 박스 보다 현저하게 낮은 성능을 갖는 프로세서, 마더보드 및 비디오 카드를 갖추고 있다. 이는 크기를 현저하게 작게하고, 비용을 현저하게 낮춘다.
그러나 특별한 시스템, 예를 들어 호텔의 시스템에서 훌륭한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을 허용한다. 상기 시스템은 슬레이브와 마스터 간의 상호작용을 허용한다. 마스터는 호텔 시스템 예에서 주 서버이다. 마스터는 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이며, 다른 박스 중 하나와 비교하면, 마스터는 슬레이브의 전체적인 작업부하가 아니라 단지 제어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로서의 작업인 슬레이브 박스에 의해 만들어진 구매 데이터와 보고서만을 관리하여 슬레이브의 작동여부를 허가하기 때문에 여전히 비용을 절감하도록 관리하는 장비이다. 마스터의 구조는 평균 매직 박스 구조와 매우 유사하며, 변경된 것은 보다 큰 치수와 보다 높은 하드웨어 성능이다.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판매 시스템 및 다른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는 혁신적인 구매 및 판매 시스템으로 구성될 것이며, 이는 사용가자 집에서 텔레폰 및 웹을 통해 구매를 허용하여, 이 시스템에 포함된 카탈로그로부터 검색 및 선택하거나, 특징에 의해 물건을 검색하여 완전히 혁신적인 방식으로 상품 광고로부터 직접 구입하게 한다. 이러한 능동 광고는 통상적으로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또는 광고 배너(Advertising Banners)로 지칭되는 주 장치의 몇몇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광고 배너와 상호작용을 원한다면, 회사는 상품을 사진 및(또는) 비디오 형식으로 광고할 수 있다.
선택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배너는 선택된 상품의 프리페이지 프레젠테이션(pre-page presentation)으로 직접 접속시키는 링크를 포함하고, 웹을 클릭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전화를 클릭하여 전화 통화를 함으로써 선택된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고, 이 방식으로 임의의 순간에 온라인 구매 또는 직접 전화 구매를 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가 이러한 혁신적인 서비를 가능하게 하는 운영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가 비디오 광고에서 본 상품의 구매를 원하고(이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한 광고의 상호작용과 이용성을 허락하는 계약을 한 회사에서 가능함), 달리 말하면, 광고 동안 일반 텔레비전 방송 또는 라디오 전송을 시청하거나 청취하는 경우, 사용자는 광고에 나타난 상품 코드를 간단히 클릭함으로써 어떠한 검색도 필요 없이 직접 스폰서 상품을 구매하여, 이를 즉시 구입할 수 있고,
일반 광고가 보여주지 못하는 부가적인 정보를 브라우징하여 이를 고객이 된 사용자에게 보다 가능성 있게 한다.
더욱이, 사용자는 콜 센터(및 전화기)를 통하거나 상품 광고 웹 프리-페이지를 통해 구입할 수 있는 옵션을 갖는다.
TV 채널이 전송한 상품에 대해 해당 시간에 관심을 기울일 수 없는 경우, 광고 자체가 모니터의 전용 공간(사용자가, 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징을 하는 스크린을 방해하지 않는) 저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가 원할 때, 상품에 대한 몇몇 정보에 접속할 것이다.이 광고 방법은 침입성이지 않으며, 사용자를 더 이상 방해하지 않을 것이어서, 사용자가 진정으로 관심있는 상품을 실제로 선택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구매 시스템이 완성됨으로써, 전화 및 IT 주문 시스템이 배달을 촉진시키도록 디자인되어 사용자와 상품 공급자를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클라이언트에 가장 인접한 상품 공급자 주문을 돌리게 될 것이다.반면에, 이 시스템은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를 전세계를 향하여 제공함으로써 국가 텔레비전 채널이 국제적 시각을 가질 수 있어 보다 많고 큰 대중에서 광고할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고, 이어서 전세계 어디에서도 소비자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상품은 전세계에 알려질 뿐만 아니라 전세계 시작에 직접 판매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조합된다.
그 후, 시스템 구매는 제2이 국면, 즉 소비자와 공장을 직접 연결하는 새로운 방법인 분배 국면을 맞게 된다. 이 방식으로, 제조자는 상품을 그의 분배 네트워크 또는 상점을 통해 직접 분배하여, 최종 사용자에 대한 상품의 분배 속도를 높인다. 이 모든 것이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에 모든 이점을 보유하면서 결합되고 통합되고, 이를 통해 이 장비의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세계 시장에서 유래가 없는 본 발명의 특별함을 만든다. 전화 시스템(각각의 시스템을 통한 고정 또는 모바일)에 의존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에 의해 제공된 가능성은 동일한 장비를 전형시킬 수 있게 하고, 이 경우, 선택된 상품의 이점에 대한 전화 검증을 조사하게 한다. 이 판매 시스템은 또는 저작권 또는 지적재산권에 의해 보호된 설비의 침해 문제점을 회피시킨다.
인터페이스의 기술 - 임플러멘테이션
인터페이스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 개선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고, 모든 소프트웨어는 TV 넷 미디어 시스템의 특별한 요구를 위해 개인화하였고 개선하였다.
운영 시스템
TV 넷 미디어의 전체 소프트웨어 구조는 운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오픈 소스 운영 시스템(OPEN SOURCE OPERATING SYSTEMS)을 현저하게 개선시킨,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위한 최대 안정성 및 성능을 얻기 위해 전문화되고 개인화된 것이다.
TV 넷 미디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구획/하드디스크 A는 TV 넷 미디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와 하나의 팩키지로 구성된 독점 TUO 운영 시스템 상에서 구동된다.
TUO 시스템(TUO SYSTEM)은 또한 사용자에 의한 간섭과 해방(자발적 및 비자발적)으로부터 최대 보안을 보장하고, 모든 혁신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개인 데이터 및 저작권 미디어를 위한 암호화 보안 서비스를 주관한다.
인테페이스의 프레젠테이션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는 운영 시스템이 개시될 때 자동적으로 시작된다. 이는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떠날 필요 없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와 편리함을 제공하고, 이는 상기 인테페이스의 특정 컨텐츠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반 운영 시스템, 예를 들어, 인쇄, 팩스 전송, 텔레폰, 비디오폰, 비디오 스토어, 문서 탐색 및 기록, 넷 서핑, 이메일 체크, 메일 확인, 임의의 멀티미디어 생성 및 전송/수용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완성된다.
인터페이스의 잠재력은, 서버 A에 배치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디자인된 PC 마우스 및(또는) 마우스 시스템을 포함한 원격 제어기와 더불어 완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일반 원격 제어기를 사용하여 운영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스크린을 따라 모든 것을 즉시 움직일 수 있다.
전통 PC로서 박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통 운영 시스템을 독특한 명령을 통해
인터페이스에 로딩시킬 수 있고, 이는 다른 하드디스크 또는 다른 구획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장찰될 수 있는 전통 운영 시스템을 로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두 가지 PC를 단일 물리적 구조에서 사용하도록 허용한다. 사용자는 하나의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시스템으로 손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전통 운영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고 성능 PC와, 새로운 기술의 관점에서 본 발명 박스 게스트의 혁신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가진다.
TV 넷 미디어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인터페이스 및 광고 관리 소프트웨어 상세한 설명
이하 에서는 동적인 인터페이스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는 다양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에 있어, 홈(HOME)이 활성화된 환영 스크린의 모니터 중심부에서 보여지고, 상부에는 이용가능한 광고 배너가 있으며, 상부 좌측 코너에는 TV 넷 미디어 로고가 위치한다. 상기 광고 배너는 동적이며, 고정된 시간 간격으로 변화한다. 이들 배너는 관련된 회사의 웹 프리-페이지에 접속되도록 링크되어 있다.
광고 배너 밑에는, 스크롤가능한 아이콘 바( ICON BAR)가 있어, 인터페이스 자체의 가장 중요한 기능(경찰서, 소방서, 엠불런스, 병원, 이메일, 인터넷 브라우징, 언어 및 국가 선택, 로드 맵, 팩스, 텔레폰 가이드, 일기예보 및 다른 서비스, 및 옵션)에 즉시 접속하게 하며, 인터페이스의 섹션에 따라 사용자는 즉시 접속할 수도 있다.
상부 우측 영역에는, 사용자가 백(back) 또는 홈(home)과 같은 작동 수행을 허용하는 몇몇 버튼이 시각화될 수 있다. 상부 백은 이전에 방문했던 섹션으로 되돌아가게 하고, 홈은 최초 홈 스크림으로 되돌아가게 한다. 스크린의 하부에는, 몇몇 운영 버튼, 예를 들어, 주문형 메뉴, TV 메뉴, 스케줄, 분할, 기록, 도움 TV 가이드 및 다른 서비스를 포함하는 바가 있다.
주문형 스크린
주문형(on demand) 옵션 선택으로, 섹션이 열리고, 여기서 사용자가 스크롤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요청할 컨텐츠의 유형, 즉 오디오, 비디오 또는 다른 것을 선택하여, 카테고리 및 하위 카테고리(예: 필름 카테고리에서 다양한 유형의 영화, 예를 들어, 액션, 카툰, 드라마, 스릴러 등을 포함한 하위 카테고리를 가질 수 있음)를 탐색할 수 있다. 카테고리 및 하위 카테고리의 바에는, 바의 스크롤링에 사용되는 버튼들이 있다. 사용자가 이 스크롤 메뉴를 탐색하는 동안, 인터페이스의 중앙에는 상호작용 텔레비전 광고가 시각화되고, 동시에 반대 측에는 스크롤가능하게 상호작용하는 광고가 있다.
TV 스크린의 중앙 상부에는, 밑에 선호 아이콘 바(FAVORITE ICON BARS)가 위치하고, 위에는 컨텐츠 영역이 있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두 가지 수평 바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를 선택하는 경우, 제1 바는 간략한 정보와 함께 영화 제목이 나타나고, 제2 바에는 선택된 테마에 따른 시간, 요일, 달, 필름의 길이 및 다른 정보가 나타난다. 인터페이스의 중앙 하부에는, 구매, 렌트, 스케줄, 묵음, 정보, 도움, 기록, 가이드와 같은 다양한 명령을 위한 버튼이 위치한다.
녹음 버튼을 누름으로써, 인터페이스는 즉시 또는 프로그램된 방식으로 비 독점적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스템 기록 시간을 프로그램할 수 있고, 기록된 컨텐츠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모든 기록된 컨텐츠의 목록을 보여주는 동일한 기록 메뉴로부터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렌트된 영화의 경우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 모든 구매를 빠르게 시각화시킬 수 있고, 목록에서 이것을 클릭하면, 영화가 즉시 시작될 것이다.
인터페이스의 다른 부분은 쇼핑 카트(SHOPPING CART)로서, 이는 구매된 목록을 보여주고, 인터넷 카드 또는 지불 계좌를 이용하여 단지 1회 지불로 많은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비디오 그래픽의 공유를 위한 새로운 시스템: 분할(SPLIT)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모든 시스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이미지 및 비디오를 프레임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SPLIT)이라 지칭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 분할은 모니터를 개별적이고 동시적인 비디오 비전 및 다양한 혁신적인 다중 오디오 아웃풋을 위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섹션으로 편리하게 분할하여 단일 사용자 및(또는) 전체 가정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디자인되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 시스템에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통해 이들을 개별적으로 및(또는) 동시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혁신적인 시스템은 오디오 아웃풋을 다시 분할하여 다양한 사운드의 분리를 보장할 수 있고, 분할을 보면 하나 이상의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 존재한다.
이 하드웨어를 사용함으로써, 매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아웃풋이 존재하여 이들은 단일 아웃풋과 오버랩되지 않고, 각 라디오 아웃풋에 있어서, 개별적인 오디오 장비(헤드폰, 이어폰, 스피커)가 존재한다.이러한 방식의 본 발명의 장비는 다중 사용자들이, 영화 감상, 광고 감상 및 상호작용, 비디오, 음악 감상, 인터넷 서핑, 비디오-회의 수행 등, 폰-비디오폰 전화를 포함하는 이용가능한 많은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기능을 운영할 동일한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항상 다른 사용자가 다른 운영을 필요로 할지라도 현행 운영을 멈추지 않는 기회를 제공한다. 분할(SPLIT) 시스템으로 인해,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상이한 운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직관적이고 빠른 방식으로 다중 이용자 및 다중 기능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축구 경기를 시청하면서 동시에 또 다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전 것의 방해 없이 이를 수행하여 동일한 모니터에 많은 것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사용자는 분할 중 매 프레임의 기능을 선택하여,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비디오 또는 기능을 그들이 (교환하기를)원하는 임의의 다른 프레임으로 옮길 수 있는 특정 프레임에서 독립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상세 설명
이하에서, 박스가 수행하는 운영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컨텐츠 목록에의 접속
a. 박스는 회사와 SSL 연결을 이루어고, 이로 인해 연결되고 인증된다; b. 인증이 성공적인 경우, 박스는 컨텐츠 프레젠테이션 페이지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c. 회사는 SSL 연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버 관리자에 쿼리를 만들어 컨텐츠 데이터를 얻고 제안 페이지를 제작한다;d. 컨텐츠의 프레젠테이션 페이지는 박스로 환송된다.
박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 시스템의 상이한 서버 간의 모든 단계는 SSL-기반 프로토콜 연결로 이루어진다.
비디오 채널 전송 프로토콜 단독캐스트 및 다중캐스트
전송 채널은 RTP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거나, 다른 것들은 단일캐스트 또는 다중캐스트로 수행될 수 있다. 단일캐스트 비디오는 서버로부터 직접 모든 클라이언트에 전송되고, 이는 채널을 요청하고, 서버가 모든 요청에 충분한 대역폭 아웃풋을 갖도록 요청한다.
다중캐스트 모드에 있어, 중복 패킷의 부담이 네트워크 자체에 전가된다. 채널 보기를 원하는 클라이언트는 멀티캐스트 주소에 참가하여(물론 인증 후 등록이 수용되어야 함), 서버가 개별 클라이언트에게 플로우를 전송하지 않고, 다중캐스트에 전송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네트워크는 다중캐스트 라우터에 준비되어 제공되어야 하고, 다중캐스트는 참가한 클라이언트에 비디오 스트림을 복사한다. 이러한 두 번째 옵션은 서버 부하를 낮춘다(서버가많은 클라이언트로서 수십 개의 채널을 동시적이고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경우에도, 전체 네트워크는 견딜 수 있음).
또한 일절한 간격에서 동적으로 변하여 안전성을 증진시킬 경우에 조차도 비디오를 해독하기 위한 키는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동일하다.
RTSP 프로토콜
주문형 비디오는, 사용자에 의해 매우 진보되게 관리되거나 중단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직접 채널과는 반대로, 앞 또는 뒤로 전송되고, 이 모두는 지역 시스템에서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통상의 플레이어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비디오 스트림과 상호작용하는 특징은 RTSP 프로토콜(Real Time Streaming Protocol)의 사용에 의해 보증된다.
박스에 운영 시스템 소프트웨의 보안 및 설치
하드웨어가 모델에 따른 모든 박스에서 동일하게 때문에, 원형 박스 하드디스크를 인쇄하고, 사용자는 모든 박스를 일련으로 사용한다.
박스는 다양한 암호 박스의 구성 파일이 있는 SSL(Secure Sockets Lay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영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이점은 이 방식에 의하면 그들의 코드를 수동으로 맞출 필요가 없고, 단지 CD 표준(구조)를 삽입하여 모든 박스가 초기부터 동일한 ID를 갖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으로 박스의 구성 파일에 포함된 코드를 구성하는 특정 서버에 박스를 처음부터 네트워킹시켜 해결될 것이다(10.1). 따라서 본 발명 시스템이 인증되지 않은 전자 장비로 접속할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고도, 모든 박스는 안전 승인을 위해 독특한 맞춤 코드를 가질 것이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박스 암호는 특정한 초기 암호에서 서버에서 제공된 것으로 변경되어 박스의 어셈블러/인스탈러가 동일한 경로의 암호를 인지할 것이다.
예로, 박스가 원래부터 동일한 경로의 암호였다면(CD 설치가 모든 박스에 대해 동일하므로), 우선 박스의 서버로의 연결이 변경된다.
이는 누군가가 박스의 루트 암호를 발견한다면 손쉽게 전파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로부터 다른 박스에 접근하여 교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보안
박스는 보안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 시스템의 일부가 되는 모든 서버가 “프록시 소프트웨어”의 사용의 결과 시스템을 통과하는 모든 정보의 암호화를 특정 하드웨어의 사용에 시스템 소프트웨의 사용을 강제한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는, 운영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에 제한이 부과되기 때문에, 중단되지 않을 수 있고, 즉 일반 PC 관리 모든 허가를 받을 수는 없다. 오직 특정 원격 서버만이 서버 A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변경할 권한을 가질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예를 들어, 암호) 뿐만 아니라 컨텐트(예를 들어, 영화) 및 시스템을 적절하고 안전하게 운영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어떠한 고려에서도 최대 보안을 얻었다. 모든 미디어는 매직 미디어 박스 암호와 시스템(도 D1)을 통해 암호화/해독화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록시 이외에, 서버 측에 자유 인터넷 탐색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프록시 또한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모든 인풋/아웃풋의 제어을 허용하여 서버에 의해 보증되지 않았으나 미검증된 장소에 위치해 있는 컨텐츠의 보기 및 다운로드와 관련한 법률적 관점에서 모든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주문형 작업의 수행 방법
본 발명에서는 최종 분배 시까지 요청의 전체 사이클을 다룰 수 있는 주문형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클라이언트(사용자-장비)가 요청할 당시에 컨텐츠 서버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는 이용가능하지 않습니다(Content not available)”라는 문구를 제공하고, 동시에 사용자에게 컨텐츠 주문을 원하는지 여부를 질의할 것이다.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주문에 동의하는 경우, 관리 서버는 제조자(도 D1)에게 컨텐츠를 요청할 것이다. 제조자는 일정한 기간 내에 긍정적이거나 그렇지 않은 답변을 할 것이고, 컨텐츠는 궁극적으로 사용자에게 급송될 것이다.
이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실제 시장 요청 및 사용자로부터 직접 얻은 유용한 실시간 통계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기회를 제공한다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예정된 컨텐츠의 선주문에 이용할 수 있다[커밍순(Coming soon) 기능].
주문형 기능의 구매 보호를 위하여 보안 시스템이 작동한다(TV 넷 미디어 보안 시스템 참조).
주문성 구매의 예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해 카탈로그 중의 주문형 영화 또는 컨텐츠의 목록을 보고 그의 트레일러 또는 프레젠테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화 또는 컨텐츠가 이미 컨텐츠 서버에 로딩된 경우, 사용자는 이를 구입할 수 있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지불 조건은 세 가지, 즉 신용카드, 직불 카드(선불) 청구일 수 있다. 제1 방식은 온라인 구매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클라이언트가 그/그녀의 은행 웹사이트를 통해 지불이 이루어질 것을 필요로 한다.
선불 카드는 각 클라이언트의 계좌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로서, 재충전가능하다.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청구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미리 정한 한도까지 수행되는 비용이 고려되고, 이어서 청구서가 고정된 기간 만료 시에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이들 두 가지 지불 모드는 각 사용자에 의해 할당된 암호로 보호되고, 사용자는 이를 변경할 수 있다.
지불 방식을 선택하면, 박스는 시스템에 요청하고, 이는 영화(또는 다른 컨텐츠)의 이용가능성을 검증하고, 지불 방법이 활성/유효(충분한 신용 또는 신용카드에 의해 성공적으로 결재됨)하면 서버는 영화를 박스 어플리컨트로 전송할 것이다.
영화의 이용가능성은 서버가 컨텐츠를 가질 뿐만 아니라 동일한 서버가 소비자의 한계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렌트 박스가 컨텐츠용 서버에 위치함으로써 소비자가 비디오를 볼 수 있는 기간을 설정한다.
콘트롤 ADS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각 배너에 최적화된 페이지 광고에의 링크를 갖는 업데이트가능 비디오 광고 및 배너 광고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다양한 종류의 광고 배너를 갖고, 이는 프리셋 시간 간격에 따른 변화를 브라우징하면 항상 보이고, 배너 측은 사용자가 관련된 동일한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때문에 카테고리에 따라 변하며, 비디오-광고 문제 및 아닌것은 인터페이스의 중심에서 브라우징할 때 나타난다. 배너 및 비디오는 서버에 업로드 되고, 모든 박스에서 즉시 볼 수 있으며, 또한 배너의 회전이 보장됨으로서 이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볼 수 있다.
VIDEO 암호화
영화 채널, 및 소비자에게 왕복한 다른 모든 정보는 분명하게 네트워크를 통해 돌아다니지 않지만, 암호화되어 컨텐츠를 보기 위해 지불한 소비자만이 볼 수 있게 한다(도 D1 참조). 이러한 과정은 네트워크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는다.
사용자 구매 패널사용자 구매 패널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을 통해 행해진 사용자의 모든 구매를 모니터링하는 영역이다. 이 패널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아직 이용가능한 고용된 영화가 무엇인지 및 만료 시까지 남은 시간이 얼마만큼 인지 식별하거나, 이미 만료된 것들을 감시하거나, 발생된 월 지출을 갖거나, 배치된 주문의 상태를 체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운영 시스템의 전환 및 차단(도 D7)
사용자는 TV 넷 미디어 인터페이스의 나가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TUO/TV 넷 미디어를 포함한 시스템 (A)를 시스템 (B)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차단/재시작 시스템, TUO 재시작, 윈도우 시작, 차단, 대기의 다양한 옵션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 경우, 구획/하드디스크 B 상의 운영 시스템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상표명)일 수 있다. 사용자가 구획 B에 장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무엇이든, 운영 시스템을 이용한 시스템의 재시작을 위한 옵션이 나타날 것이다. 이는 시스템 간에 완벽한 전환을 허용한다.
중추의 명세 및 개관시스템은 네 개의 메인 논리 드라이브로 구성된다. 이는 서비스의 사용자 또는 박스 및 3 가지 유형의 서버로, 상기 서버는 컨텐츠 카탈로그의 페이지를 역동적으로 제작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서버 회사, 박스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관리자, 컨텐츠 자체를 저장하는 컨텐츠 서버이다(도 6.1 참조). 상기 시스템의 업무는 오직 권한 있는 박스만이 회사에 연결하여 보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되기로 선택되면, 박스의 컨텐츠는, 그들의 녹화 키를 대신하여, 컨텐츠 서버에 위치한 컨텐츠 자체에 접속하고 스트리밍을 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각각의 구매는 박스 내의 모든 움직임 트랙을 유지하는 서버 관리자에 의해 구동될 것이다. 보안의 관점에서, 박스들은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독특하게 구별되어야 하고, 이것 없이는 그들의 패스키 능력이 복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른 고객을 인증하여 그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이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PC들에 의해 방해받지 않을 것이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도 D3 참조) 간의 계획된 상호작용의 개관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베이스 관리가가 인증 및 SSL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읽기는 안전하고, 패스키의 요청은 그 대신에 서버에 의해 제어되어야(확인되어야) 하며, 동시에 박스의 요구는, 등록된 경우, 박스의 인증 후 허용되어야(확인되어야) 한다. 시스템 내 서버의 작업부하가 시스템이 수행하여야 하는 업무인 데이터 접속 박스 및 컨텐츠의 저장, 컨텐츠 분배 및 컨텐츠 자체의 동적인 페이지 프레젠테이션 생성에 따라 방해받게 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컨텐츠가 포함된 모든 처리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데이터는 보호되어야 한다. 매 단일 데이터에 대한 제어를 보장하기 위하여,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임의로 간섭받지 않는 기록이 읽기 전용으로 접근가능하다.
테크 콘트롤 시스템 무선 어댑터시스템은 또한 테크 콘트롤(tech control)이라 불리는 장비, 하이테크 원격 제어기 및 마우스가 통합된 키보드를 갖추고 있다(도 1.9 참조). 테크 콘트롤은 사용자가 다중 도구를 이용하지 않지만 마우스, 키보드 및 원격 제어기의 세 가지 도구를 하나로 통합하여(세 가지의 도구의 개별적 사용을 막는 것은 아님) 고도 일반 TV의 통상의 업무와 키보드 PC를 이용한 공동 작업을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터치 스크린 및 신기술 무빙 스크린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되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기는 또한 PC 마우스 포인터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롤링 모니터가 인터페이스 및 모든 가능한 방향으로 교차할 수 있다.
테크 콘트롤(Tech Control)(도 4.2 참조)로 불리는 이러한 고안품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단일 다기능 장비를 갖출 기회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마우스와 다른 부설된 옵섭 악세서리를 갖춘 PC 키보드를 지니고, 다른 측면에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상의 모든 처리를 가능하도록 디자인된 마우스를 포함한 다기능 원격 제어기를 지닌다.
다목적 텔레폰, 경보 시스템
이러한 물리적 구조를 기반으로,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발명을 확장시키고 많은 다른 장비의 실행을 허용하나, 기본적으로 본 발명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만족시키며, 경보 운영이 장비의 실행 및 다양한 기능을 만족시키는 그의 주 비디오폰(텔레폰 라인, 모바일 폰, 또는 비디오 인터콤으로서 및 위치한 곳에서 환경을 보호하는 경보 기능을 갖춘 장비로서 작용하는 보다 혁신적으로 배치된 이러한 장비)을 통해 구성되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갖추게 될 새로운 통합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 장비는 또한 사무실 또는 아파트가 방치되어 있는 곳의 중앙 경찰서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장비는 그 내부에 있는 중요한 보안 시스템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중요하다. 마그네틱 센서로 구성되어, 시장에서 손실되거나 제거된 경우 작동하는 센서 시스템에 포함된 텔레폰 더블(Telephone Double)을 이용함으로써, 폰의 주인이 이 장비를 완전히 제어하도록 한다. 이 센서의 기능은, 사용자가 특정 거리 까지 듀얼 폰 유즈(Dual Phone Use)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 경보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센서는 듀얼 폰 유즈에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의 수중에서 마그네틱 장비까지의 거리를 제어하며, 이는 다향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정된 거리를 벗어나면, 센서는 경보를 가동하여 폰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고, 주인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우발적인 분실 또는 도난의 경우, 사용자는 폰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고, 그것을 사용할 권리가 없게 된다. 폰의 모든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키 또는 보안 핀을 도입하여야 하고, 오직 이 경우에만 장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텔레폰 및 가상 콘트롤러 키보드텔레폰/비디오폰 기능
TV NET MEDIA의 가장 혁신적인 기능 중 하나는 통합된 보이스 오버 IP(VOICE OVER IP) 텔레폰으로, 이는 홈 스크린(109)의 하부 바 또는 선호 아이콘 바(FAVORITES ICON BAR)(108.2)의 폰 버튼(PHONE BUTTON) 또는
인터페이스에 나타난 임의의 폰 버튼(예를 들어 TVFS 기능으로서)에 있는 텔레폰 버튼(TELEPHONE BUTTON)을 클릭함으로써 접속할 수 있다.
스크린의 우측 가까이에, 폰/비디오폰(PHONE/VIDEOPHONE)이 사람 이미지로 나타나 있고, 혁신적인 TV 넷 미디어(TV NET MEDIA) 오디오 인풋, 아웃풋 블루투스, 무선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TV 넷 미디어(TV NET MEDIA)의 다른 기능의 교란 없이 다른 사람과 통화할 수 있고, 하나의 간단한 통합된 시스템에서 TV 시청, 넷 서핑 또는 작업과 동시에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상의 가상 폰은 없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다른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며, 폰 인터페이스를 보지 않고 통화를 지속할 수 있고, 만약 비디오폰 전화가 아니라면, 이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 상에 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중 사용자가 동시에, 예를 들어 회담 통화의 경우, 스크린 기능 중에 다양한 폰 통화 배치를 허용하는 기능이 있고, 또한 동일한 섹션에서 회당 통화가 있는 경우, 상호작용 비디오폰이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인터넷 기능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서핑을 하고 있는 경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고, 웹사이트에 자문하는 동시에 회사의 고객 서비스와 통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사 직원과 티켓 예약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동시에 개인적으로 넷 상에 주문을 기록하거나 스케줄을 자문하고, 또는 웹 페이지에 대한 도움을 요구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폰 전화가 스크린 상부 우측 섹션에 수용되면 이미지가 사라지도록 작용한다. 폰에 응답하거나, 이를 묵음으로 하거나, 거부할 수도 있다. 들어오는 전화가 비디오폰인 경우, 비디오가 폰 상에서 사라질 것이다. 폰의 비디오 스크린을 클릭하면,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주문형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문형 컨텐츠는 수행하려는 기능이 무엇인지에 따라 계속 플레이되거나 멈춰질 것이다. 비디오폰의 이미지를 클릭함으로써, 이것을 전체화면을 볼 수 있다. 다른 비디오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비디오 폰 전화를 받는 다면, 인터페이스가 TV 전체화면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되고, 폰 전화는 전체화면으로 확대되는 동시에, 시청중이던 비디오 컨텐츠는 미리보기 윈도의 하부 우측으로 옮겨진다. 통화하면서 비디오 닫기, 중지 또는 시청 지속을 선택할 수 있다(도 121).
본 발명의 시스템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가상 텔레폰을 구비하여, 사용자는 물리적 폰을 갖지 않고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가상 장비는 상호작용 멀티미디어 운영 시스템의 프레임 모드에서 [마우스 버트 또는 물리적 테크 콘트롤(TECH CONTROL)을 통해 전화하면]자동적으로 그래프가 삽입된 페널로 구성된다. 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송/수용의 기술은 유선 일반 폰, 무선 및 VOIP이다. 상기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테크 가상 조절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물리적 제어부를 갖지 않고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가상 장비는 상호작용 멀티미디어 운영 시스템의 프레임 모드에서 [마우스 버트 또는 물리적 테크 콘트롤(TECH CONTROL)을 통해 전화하면]자동적으로 그래프가 삽입된 페널로 구성된다. 또한 이는 터치 스크린 마우스 등으로서 임의의 컨트롤러 인풋에 의해 이용가능하다.
서버 패키지의 콘텐츠 분배
회사 관리자는 복사본이 보관된 몇 개의 서버를 보유하고, 회사에서 제공된 컨텐츠 팩키지는 회사에서 최종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케이블 회사를 위해 구입된 컨텐츠의 모든 복사본을 갖는 메인 서버는 컨텐츠 팩키지의 복사본을 메인 서버를 통해 상호 연결된 다른 서버에 제공한다. 이어 케이블 회사의 모든 컨텐츠 팩키지는 모두 동일한 정보를 갖고 있을지라도 지리적으로 분배된다. 이유는 많지만, 1. 각 서버는 지리적 영역을 가질 것이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몇몇 사용자가 인가를 제공하고자 하며, 등록된 사용자의 데이터에 대한 기준으로 갖고 클라이언트에게 비디오 스트림을 제공한다. 2. 이 방식으로, 특정 지리적 공간의 사용자는 빠르고 효율적으로 공급받는다. 3.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가깝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시간 지연이 감소된다. 4. 클라이언트가 지리적으로 근접한 서버 또는 보다 덜 떨어진 다른 서버에 의해 공급받을 수 있고, 서버가 임의의 다른 서버 경로가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정보만을 위해 이들 사이에 완전하게 연락하기 때문에 공급받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보증이 보다 우수하다. 예를 들어, 서버의 특정 영역이 클라이언트에 의해 너무 과부하되면, 요청이 서버 부하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한 완전한 커뮤니케이션 분배를 위한 보다 적은 부하를 갖고 가장 근접한 서버에 전송될 것이다. 5. 각 서버는 손상을 입은 경우 기본 보증의 동일한 컨텐츠 팩키지 백업을 보유하고, 해당 영역의 사용자는 인접한 다음 서버에 의해 요구를 충족시킬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디자인(도 D4 참조)은 서버 컨텐츠 팩키지를 위한 약한 도전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이는, 보유한 컨텐츠가 사용자가 이미 지불한 팩키지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보안을 요구하는 것이될 것이다.
TVFS (TV 전체화면)
선호 아이콘 스크롤에 위치한 TV 넷 미디어 인터페이스 또는 TV 아이콘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하부 바 상의 TV FS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사용자는 TV FS 섹션(도 112)에 접속할 수 있다.
이 섹션에서는, 전체화면 TV 채널이 가시화될 수 있고, 스크린의 하부 우측에 위치한 TV 넷 미디어 로고를 클릭함으로써 TVFS 바(도 112.1)에 접속할 수 있다.
채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원격 제어기로 수행할 수 있다.
마우스를 하부에 지시토록 함으로써, 볼륨, 채널 교환, 전방, 되감기, 녹화, 정지, 전체화면 및 TV 넷 미디어의 이전 섹션으로 되돌리는 되돌림 버튼을 갖춘 바가 나타난다.
TV 넷 미디어 로고를 클릭한 후, 이용가능한 많은 유용한 기능 및 많은 탐색 명령어가 있는 TVFS 바가 나타난다.
개시 시에, TVFS는 이용 가능한 채널 중 최종적으로 본 TV 채널이 배치될 것이다.
채널(CHANNELS) 패널 (112.2), 우측 화살표(112.3) 또는 좌측 화살표(112.4)로부터 선택된 채널을 채널 목록에서 앞 또는 뒤로 빠르게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탐색 화살표 중 하나는 클릭하면, 즉시 두 개의 화살표 중간의 문자가 현재 보고있는 채널(112.5)의 제목과 이 채널의 현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112.6)를 표시하고, TVFS는 새로운 비디오 채널을 즉시 시각화시킬 것이다.
상기 바에서 이용가능한 다른 버튼은 인터넷 즉시 접속 버튼(INTERNET QUICK ACCESS BUTTON)(112.7)으로, 이는 인터넷 섹션을 즉시 열게 한다. 텔레폰 버튼(TELEPHONE BUTTON)(112.8)은 텔레폰 기능을 열게 한다. 프로그램 가이드(PROGRAM GUIDE)(112.9)는 비디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정보가 있는 스크린이 열리도록 한다.
또한 녹화 버튼인 존재하고, 이는 예를 들어, 무료 TV, 기 지불된 이벤트, 뮤직 비디오 및 많은 다른 것들과 같이 녹화가 허용될 때, 활성화된다. 또한 바의 좌측에는,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보기 기능(WATCH FUNCTION)과 달력 기능(CALENDAR FUNCTION)(112.10)이 있다. 이 영역을 클릭하면, 사용자는 항상 개인적인 오거나이저, 아젠다, 달력, 시간 관리 기능 및 국제 시간 기능에 접속할 수 있고, 동일한 방식으로 선호 아이콘 바에 위치한 보기를 클릭함으로써 온도 및 일기예보, 및 교통 정보뿐만 아니라 별자리운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보기 다음에, 인터페이스에서 즉시 나가기 위한 나가기(EXIT) 버튼(112.11) 및 TV 넷 미디어의 홈 스크린으로 복귀하기 위한 홈(HOME) 버튼을 찾을 수 있다.
TV 전체화면 미리보기 기능(TV FULLSCREEN PREVIEW FUNCTION)
TV NET MEDI의 가장 흥미롭고 아주 혁신적인 기능 중 하나가 미리보기(PREVIEW )(113.1)로서, 이는 채널 패널의 우측에 위치한 패널에 의해 제어된다. 이는 채널(CHANNEL) 패널과 유사한 모양이지만 완전히 상이한 기능을 한다.
TVFS 기능이 시작되면, 미리보기 패널이 그의 중심에 미리보기(PREVIEW)라는 단어를 나타내어 현재 미리보여지는 채널이 없음을 지시한다. 우측 또는 좌측 화살표(113.3 및 113.4)를 클릭함으로써 미리보기 채널에서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미리 볼 채널이 선택된다.
채널을 선택하면 즉시 채널의 명칭과 현재 작동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명칭이 패널의 중앙에 나타나고, 주 TVFS 채널(main TVFS CHANNEL)(114.2) 영상의 교란 없이, 보다 작은 미리보기 윈도우(PREVIEW WINDOW)(114.1)가 스크린의 하부 우측에 나타난다. 각각의 영상은 함께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 프로그램 시청을 지속하면서 다른 채널의 미리보기 윈도우를 탐색하거나 두 가지 채널을 동시에 시청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TV 넥 미디어 버튼(114.3)을 클릭함으로써, 바를 단지 주 TV 전체화면 영상에서 사라지게 하고, 미리보기 윈도우만 보이게 할 수 있다(115). 이를 재차 클릭하면, TVFS 바를 다시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미리보기 윈도우의 하부 우측 코너에 위치한 X 버튼(115.1)을 클릭함으로써 미리보기 윈도우를 닫도록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클릭할 경우, 미리보기 윈도우가 닫히고, 시스템이 단지 메인 채널(112)만 보이도록 되돌릴 것이다.
교환 기능(SWAP FUNCTION)은 채널(CHANNELS) 패널과 미리보기 패널(preview PANEL) 사이에 위치한 교환 버튼(112.12)을 클릭하여 접속할 수 있다. 교환 버튼을 누름으로써 메인 채널이 미리보기 채널로 전환되어 사용자가 미리보기를 전체화면으로 보고, 미리보기 윈도우에 전체화면 전에 있던 비디오를 적용되도록 한다.
시계/시간 관리 기능
시계는 선호 아이콘 스크롤 바(108.1)의 왼쪽에 위치한다. 이 여역을 클릭하면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시계 기능(WATCH FUNCTION) 및 달력 기능(CALENDAR FUNCTION)(112.10)에 접속할 수 있다. 이 영역을 클릭하면, 사용자는 항상 그의 개인적인 오거나이저, 아젠다, 달력, 시간 관리 기능 및 국제 시간 기능에 접속할 수 있다.
넷 폰 가이드
넷 폰 가이드(Net phone guide)는 혁명적이고 완전한 검색 엔진으로, 사용자에게 그가 원하는 것을 찾도록 해주며, 가장 중요하게는 그가 찾은 전화번호 및 주소에 즉시적으로 접속하거나 커뮤니케이션하도록 하여 TV 넷 미디어 텔레폰 기능(TV NET MEDIA TELEPHONE FUNCTION)과 통합되게 한다.
선호 아이콘바(108.3)에 위치한 넷 폰 가이드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넷 폰 가이드가 나타난 인터페이스 중 어느 곳을 클릭하면, 넷 폰 가이드 검색 엔진 인터페이스(109)에 접속할 수 있다.
스크린의 상부 좌측 코너에 위치한 로고 TV 넷 미디어(LOGO TV NET MEDIA)을 넷 폰 가이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109.1). 다양한 버튼을 보여주는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접속 기능을 나타내고, 이 기능 중 하나가 웹 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클릭하면, 검색(SEARCH) 스크린이 나타날 것이다(109.2). 사용자는 전 세계에서 이름, 주소, 성 및 다른 많은 파라미터로 검색할 수 있고, 이 기능은 개인 또는 회사 email에 접속하게 한다. 다른 기능은 전세계에 걸쳐 전화번호에 접속하는 것이다.
상기 버튼 중 어느 것을 클릭함으로써, 윈도우가 검색 폼으로 나타나고, 찾고자 하는 모든 정보, 개인 또는 회사의 모든 정보, 전화 또는 웹페이지를 삽입할 수 있다. 동일한 스크린에, 검색버튼이 있고, 이 검색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페이지 당 특정한 수의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번호 또는 이름을 클릭함으로써 완전한 주소를 볼 수 있어 요청한 개인 또는 회사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검색은 상품, 전화, 웹 검색을 위해 수행되어 광범위한 가능한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찾고자 하지만 주소만 알고 있는 경우, 주소만으로도 검색이 가능하다. 또는 이름 만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가능한 확실한 정보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은 추후 보다 많은 검색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보충할 수 있다.
TV 넷 미디어 보안 미디어 시스템 및 서버 시스템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되어 인터페이스에서 접근가능한 모든 컨텐츠를 전달, 디코딩, 점증 및 업데이트하기 위한 강력한 네트워크 보안을 갖는다. 가장 중요하게는, 저작권으로 보호된 컨텐츠 배포 방법에 대하여 특별한 주의가 준비되었다.
네트워크 암호화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에게 절대적인 보안 보증을 제공하고, 이는 저작권있는 미디어를 시스템 내에 신뢰성 있게 삽입되어, 현재의 산업에서 제공되는 최고 수준의 보호가 제공됨을 알릴 수 있다.
하기 단락에서, 박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보안 메카니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 보안 작업의 적용(도 d1)
D1.1 사용자/박스가 컨텐츠 분배 관리 서버인 밀레니엄 서버(서버 A)에 컨텐츠를 요청하면, 서버는 사용자를 검증한다.
D1.2 밀레니엄 서버가 지역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의 “접속 키(Access Key)"로 지칭되는 제1 키를 요청한다. 전용 지역 미디어 컨텐츠 서버(서버 B)는 밀레니엄 서버와 동일한 위치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컨텐츠 제공자가 소유한 서버이다. 이는 사용자에게 최고 속도 및 품질의 서비스를 보장하는 반면, 컨텐츠 제공자에게는 최고의 보안을 보장하며, 이 서버는 단지 자료를 암호화하고, 밀레니엄 서버 A는 컨텐츠 제공자의 허가 또는 권한부여 없이는 상기 컴튜터 상의 어떤것도 복사, 접속, 이용 또는 해독하지 못한다.
D1.3 서버 B는 요청된 컨텐츠가 있는 경우, 독특한 접근 키를 서버 A로 되돌려 보낸다.
D1.3b 지역 서버 상의 컨텐츠 이용가능성을 확인 및 검증한 후, 지불 과정이 시작되고, 밀레니엄 서버는 그가 채택한 재정 제도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계좌에 과금한다.
D1.4 제2 키인 “해독 키”가 컨텐츠 제공자의 구내에 위치한 중앙 컨텐츠 라이브러리(서버 C)에 요청되고, 상기 서버는 밀레니엄 서버 위치와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어서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단지 간단한 키 요청이며 실제로 커다란 양의 데이터 전송은 아니다.
D1.5 해독 키는 밀레니엄 서버로 되돌려 보내진다.
D1.6 해독 키 및 접속 키는 컨텐츠 없이 클라이언트에게 되돌려 보내진다.
D1.7 클라이언트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접속 키”를 이용하여 서버 B에 요청한다.
D1.8 서버 B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이제 박스는 해독을 위한 해독 키를 이용할 것이다.
해독은 최종 단계에서 컨텐츠의 재생산 동안 단지 박스에서 수행될 수 있고, 컨텐츠 자체는 여전히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미디어를 보고, 듣고 또는 시청할 결정을 하는 즉시 해독될 수 있다.
모든 서버는 보안 증명을 갖고 있으며, 모든 커뮤니케이션은 최근의 SSL 표준을 통해 보호된다.
몇가지 이유로 컨텐츠가 서버 B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을 경우, 컨텐츠 제공자 소유의 서버 C에 요청과 예약이 만들어진다. 서버 C는 일정한 시간 후, 암호화된 컨텐츠를 서버 B로 전송한다. 컨텐츠의 삽입, 암호화 및 관리는 완전히 투명하며, 사용이 용이하다. 이는 미디어 관리 시스템(MEDIA MANAGEMENT SYSTEM; MMS)으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서 개발된 웹 어플리케이션 덕분에 미디어 제공자에 의해 총괄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MMS는 컨텐츠 제공자가 안전하게 이용하여 그들의 암호화된 컨텐츠를 밀레니엄 구내 내부의 지역 전용 서버에 삽입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다.
TV 넷 미디어 관리 시스템(TV NET MEDIA MANAGEMENT SYSTEM ; MMS)-어플리케이션
이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제공자가 그들의 암호화된 미디어를 밀레니엄 서버 내에 포함하고 있는 서버를 직접 조절하고, 컨텐츠를 추가하고, 변경하며, 전송 및 보다 중요하게는 그들의 지역 전용 서버로 전송될 파일의 전환 및 암호화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삭제할 수 있게 한다(도 D1).
컨텐츠 회사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들의 컨텐츠가 얼마나 많이 시청되고 사용자들로부터 컨텐츠의 요청 어느 정도 있는지에 대한 일정한 통계적 흐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3가지 부분, 관리, 통계 및 요청 통계 부분으로 나뉜다.
영역 1 “관리”에서, 컨텐츠 제공자는 그의 전용 서버 B에 저장된 컨텐츠를, 그로부터 그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보고, 추가하고, 수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TV NET MEDIA 클라이언트를 갖는 모든 가정의 인터페이스는 새로운 정보로 즉시 업데이트 될 것이다.
모든 관리 운영은 전용 서버상의 컨텐츠 리스트를 보여주는 이 영역에서 수행된다.
컨텐츠 제공자가 파일을 추가하는 경우, 그의 중앙 서버로부터 추가하려는 파일을 삽입하고, “추가(ADD)” 버튼을 누르면, 소프트웨어가 자동적으로 본 발명의 포맷으로 압축하고, 컨텐츠 제공자 서버(서버 C) 만이 알고 있는 키로 암호화하고, 이를 자동적으로 서버 B에 전송함으로써 모든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첨가된다.
MMS의 모든 관리 페이지는 실시간으로 명료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의 스트리밍 및 전달을 쉽게하고, 보호하며, 이것이 현재 기술 보다 독특하고 차별화되는 이유이다.
영역 2 통계에서, 컨텐츠 제공자는 그의 컨텐츠가 어떤 시간 및 어떤 가격으로 얼마만큼 요청되었지에 대한 모든 통계를 받아 시스템의 이용 수준을 즉시 모니터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에 추가할 미래 컨텐츠에 대한 통계적 결정, 소비자 만족 최대화 및 전체 수입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중요하다.
영역 3 요청 분석에서는, 컨텐츠 제공자는 지역 밀레니엄 서버 B가 아닌 중앙 라이브러리(서버 C)에 존재하는 그의 컨텐츠 서버에 도착한 모든 요청을 볼 수 있고, 필요할 때 관리 영역에 접속하여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서버 C에서 서버 B로의 새로운 컨텐츠의 전송은 IP, 위성 또는 전용 서버,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 명의 고용인 만으로도, 전체 시스템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컨텐츠를 추가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요청 몇 번의 클릭만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TV NET MEDIA 광고 시스템- 상세사항
비디오폰, 상호작용 능력, 안전 결제 및 가상 비서의 기능을 함께 TV NET MEDIA의 기능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광고를 실현할 수 있다. TV NET MEDIA 내의 모든 상품은 선택가능하다. 상기 상품이 선택되면, 즉시 주문하거나, 가상 비서를 이용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에게 흥미있는 상품을 체크하려고 결정하면, 이들은 FAVORITE ADVERTISMENTS ACCUMULATION BAR로 지칭되는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도 118). 모든 관심사항이 일정 시간 동안 여기에 등장하고, 이후 자동적으로 삭제될 것이다. 사용자가 이 광고와 상호작용하려고 결정하면, 그는 TV NETMEDIA SELLING SYSTEM을 활성화한다(도 D6). 콜 센터는 전화한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제조자에게 직접 주문하고, 사용자는 가정에서 주문 상품을 받아보게 될 것이다(도 D6).
개인화된 주문형 메뉴 인터페이스
모든 카테고리는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되고 변경될 수 있으며, 개인 멀티미디어 제공자들은 그들 이름의 자체 개인 영역을 보유할 수 있다. 스크롤링 메뉴는 첨가를 원하는 많은 목록을 첨가하게 한다. 멀티미디어 제공자가 그 자신의 섹션을 가지면, 사용자가 해당 섹션에 접속할 때 TV NET MEDIA 시스템이 전체 모양은 제공자 얼굴로 테마가 변하여 TV NET MEDIA를 개인화된 인터페이스가 되게한다.
부모 통제(PARENTAL CONTROL)
이러한 구성 패널의 영역에서, 사용자는 TV NET MEDIA 부모 통제 시스템을 활성확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활성화되는 경우, 모든 부분에 있는 TV NET MEDIA가 자동적으로 어린이들에게 적합하지 않은 임의의 컨텐츠를 보지 못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중요한 옵션은 TV NET MEDIA를 어린이에게 안전한 시스템으로서 제한하며 일반 TV가 제공할 수 없는 보증성을 제공한다.
호텔 및 모든 게이티드 커뮤니티(gated communities) 분배 시스템
게이티드 커뮤니티, 예를 들어, 호텔, 크루즈선, 병원 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많은 사용자가 주문형 기능 및 TV NET MEDIA 서비스에 손쉽게 접속하도록 하는 분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커뮤니티 네트워크는 3 개의 주요 장치로 구성된다(도 D4 참조).
1. 커뮤니티 서버
2. 라우터
3. 슬레이브 박스
상기 커뮤니티 서버는 국부적으로 저장된 특징 수의 암호화된 컨텐츠를 갖고, 이는 중앙 서버에 항상 접속 및 확인이 요구될 수 있다. 커뮤니티가 이러한 국부 서버를 가져야 하는 이유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많은 슬레이브들 모든 요구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전체 커뮤니티는 슈퍼-클라이언트로서 중앙 TV NET MEDIA 서버에 나타날 것이고, 로컬 서버에서 시청된 컨텐츠의 청구는 커뮤니티의 계좌에서 자동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암호화/해독 과정은 사용자의 미디어 매직 박스 또는 TV NET MEDIA가 갖춘 일반 암호화/해독 방법과 유사하다(도 D1).
혁신적인 채널 분배 시스템
매직 미디어 박스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요청된 컨텐츠를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많은 혁신적인 디지털 신호의 전송 및 압축 방식을 갖고 있다(도 D2)
채널을 전송하기 위하여, 서버는 다양한 공급원(안테너, 위성, 케이블)으로부터 채널을 획득하고, 이를 TV NET MEDIA로 시청하기 위해 정확한 포맷으로 변형시킨다. 이어서 채널들은 다중화되어 클라이언트에게로 전송된다.
반면에, 모든 주문형 서비스 및 모든 다른 서비스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전용 서버에 이해 관리될 것이며, 이는 이용가능한 연결((wimax, broadband 등)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라이브 채널은 본 명세서에 기술한 매직 라우터(MAGIC ROUTER)에 의해 탈다중화될 것이다.
매직 라우터(MAGIC ROUTER)(도 D3)
매직 라우터는 라우터의 일반 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에 많은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모든 채널 및 대역폭을 균일하게 분배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일반 Wimax 또는 광대역 인풋과, 아웃풋이 있는 내부 라우터로 구성되어 가정 내의 모든 슬레이브 박스와 연결되게 한다(도 D2 참조). 그러나 이는 또한 독특한 위성 디코딩 성능을 갖는다. 이는 TV NET MEDIA 서버로부터 다중화된 신호 수용하고, 이를 그의 6 개의 내부 디코더에 6 배로 다중화시킨다. 이러한 디코더는 슬레이브 박스에 의해 IP를 통하여 명령됨으로써 임의의 주어진 채널 요청을 수용할 수 있다. 이렇게 매직 라우터가 미디어 분포에 보다 중심에 있고, 여기서 박스가 광대역 인터넷 서비에 접속하거나 다양한 다중화 채널 중 하나에 접속하여 MR의 내부 디코더 중 하나에 명령할 수 있다(도 D3). 매직 라우터는 또한 6 개 이상의 채널로 구성되어 고각의 디코더 및 하드웨어 각각을 설치할 필요 없이 가정 내에 보다 많은 박스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D1은 TV 넷 미디어 백엔드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D2는 분배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D3는 매직 미디어 라우터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D4는 호텔/게이트 커뮤니티 마스터/슬래이브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D5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지리적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도 D6는 TV 넷 미디어 판매 시스템 및 콜 센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은 TV 넷 미디어의 물리적 구조를 그 전체로서 나타낸 도로서, 임의의 회전 형태를 허용하는 전자적, 기계적 및 로봇식 이동식 미디어를 지지한다.
도 2는 TV 넷 미디어의 몇 가지 물리적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로서,
2.1은 설비 측면에서 오디오 출력 상자(coffer)를 나타내며, 이 박스는 이동가능하고(하거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가능하며, 원격제어를 통해 로봇식 또는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고,
2.2는 TV 넷 미디어의 LCD 모니터를 나타내며,
2.3은 TV 넷 미디어의 물리적 구조 내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용 스피커를 나타내고,
2.4는 180도 회전하는 혁신적 인터넷 카메라를 나타내고, 이는 TV 넷 미디어의 통합되어 있거나, 매직 미디어 박스로부터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동가능하다. 이 카메라는 웹캠 또는 적외선 장비로 인해 침입 감지장치로서 작용하고, 그의 기능은 아파트가 비는 시간에 맞추어 작동하여 임의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침입 방지는 원격으로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TV 넷 미디어에 부속된 악세사리를 나타낸 도로서,
3.1은 무코드 폰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고,
3.2는 오디오 비디오 조절 패널이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며,
3.3은 CD/DVD 오디오/비디오가 저장된 서랍을 나타내고, 이 구조는 또한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역할을 하고,
3.4는 테크 콘트롤(TECH CONTROL) 장비에 저장된 숫자판을 나타내며,
3.5는 TV 넷 미디어의 구조적 지지물을 나타내고,
도 4는 로봇식 조절 또는 수동식 기술로 조절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로서, 이는 TV 넷 미디어에 구비되어 있으며,
4.1은 TV 넷 미디어의 구조내에 구비된 CD/DVD 내부 디코더의 개구를 나타내고,
3.3은 CD/DVD를 저장한 트래이의 개구를 나타낸다.
도 5는 TV 넷 미디어의 구조적 지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로서,
5.1은 물리적 구조 NET을 차단하여 TV가 지지 구조에 잘 정착되도록 하는 수직 링크를 나타내고,
5.2는 물리적 구조의 회전을 차단하여 TV 넷 미디어가 지지 구조에 잘 정착되도록 하는 수평 링크를 나타낸다.
도 6은 구조가 수평 및 수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지지 TV 넷 미디어의 어소노메트릭(assonometric)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로서,
6.1은 구조 지지체가 수직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내고,
6.2는 TV 넷 미디어의 물리적 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평판을 나타내며,
6.3은 구조 지지체가 수평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은 TV 넷 미디어의 내부를 나타낸 도로서,
7.1은 시스템을 통한 TV 넷 미디어 대(cradle)의 내부를 나타내며, 이는 모니터를 기계적, 전자적 및 로봇식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도 8은 임의 형태의 회전을 허용하는 안전하게 지지된 TV 넷 미디어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도로서,
8.1은 선택적이며, TV 넷 미디어으로부터 이동가능한 확성기의 개관을 나타 낸다.
도 9는 TV 넷 미디어의 위에서 본 모양을 나타낸 도로서,
9.1은 TV 넷 미디어의 뒤편에 위치한 확성기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TV 넷 미디어의 위에서 본 모양을 나타낸 도로서,
10.1은 테크 컨트롤을 통해 조절된 로봇식 확성기 움직임을 나타낸다.
도 11은 확성기를 로봇식 및(또는) 수동으로 개방시킨 TV 넷 미디어의 위에서 본 모양을 나타낸 도로서,
11.1은 박스 오디오를 180도 각도까지 회전시키는 힌지 시스템의 수를 나타낸다.
도 12는 확성기를 총 180도로 개방시킨 TV 넷 미디어의 위에서 본 모양을 나타낸 도로서,.
8.1은 개방된 확성기의 수를 나타낸다.
도 13은 모든 숏컷 및 하드웨어가 장착된 TV 넷 미디어의 뒷면을 나타낸 도로서,
13.1은 TV 넷 미디어에서 분리된 복수의 확성기를 나타낸다.
13.2는 TV 넷 미디어의 내에 위치한 확성기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4는 모든 회로 및 하드웨어가 장착된 TV 넷 미디어의 뒷면을 나타낸 도이다.
14.1은 TV 넷 미디어에 연결된 확성기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5는 TV 넷 미디어 뒷면에 장착된 하드웨어의 확장을 나타낸 도이다.
15.1은 TV 넷 미디어의 혁신적인 통합 재충전가능 배터리 사용을 나타낸다.
도 16은 TV 넷 미디어의 뒷면 상의 기계적, 전자적 및 로봇식의 개별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이다.
16.1은 칸이 위쪽으로 열린 CD-DVD 버너를 디스플레이한 플레이어를 나타낸다.
16.2는 냉각 팬을 나타낸다.
16.3은 장비를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와이-파이 및 와이-맥스를 나타낸다.
16.4는 데이터 저장 미디어 “하드 디스크”를 나타낸다.
16.5는 메인보드 LCD를 나타낸다.
16.6은 마이크로프로세서(CPU), 메모리 램, IDE 및 SATA 컨트롤러, PCI 버스, 비디오 카드용 PCI 익스프레스 버스, 키보드 컨트롤러, 마우스 컨트롤러, 병렬 단자, USB를 수용하는 메인보드 PC, 인쇄 회로 기판을 나타낸다.
16.7은 무선 장비로 연결된 통합 웹캠 TV 넷 미디어의 위치를 나타낸다.
16.8은 칸이 위쪽으로 열린 CD-DVD 버너를 나타낸다.
16.9는 위성 및 디지털 지상 튜너를 나타낸다.
16.10은 파워 서플라이 위치를 나타낸다.
13.1은 TV 넷 미디어에서 분리된 확성기를 나타낸다.
13.2는 TV 넷 미디어 내에 위치한 확성기의 배치를 나타낸다.
15.1은 통합 재충전가능 배터리 및 풀- TV 넷 미디어의 사용을 나타낸다.
도 16A는 메인 LCD 패널에서 분리된 TV 넷 미디어의 하부의 중요 패널을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표준 위치로 지지된 TV 넷 미디어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17.1은 LCD 모니터를 나타낸다.
도 18은 TV 넷 미디어 상부 아래의 지지체를 나타낸 도로서, 이 위치는 회전을 허용하는 가시적 메카니즘이다.
18.1은 TV 넷 미디어의 지지 구조의 전체 기계적 회전부 내에 위치한 실린더형 구조물을 나타낸다.
18.2는 특정 수직 이동을 허용하는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18.3은 특정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도 19는 볼 상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주어진 기계적 회적을 나타낸 도이다.
19.1은 TV 넷 미디어의 바닥 내부에서 기계적 회전 단면을 나타낸다.
19.2는 TV 넷 미디어 바닥 내부의 예상되는 회전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도 20은 혁신적 구조 지지체로 인하여 TV 넷 미디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수직 운동을 나타낸 도이다.
도 21은 혁신적 구조 지지체로 인하여 TV 넷 미디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수평 운동을 나타낸 도이다.
도 22는 벽에 고정된 이동식 물리적 스크린 텔레스코픽 시스템이 돌출되어 있는 TV 넷 미디어를 나타낸 도이다.
22.1은 TV 넷 미디어 구조의 아웃라인을 나타낸다.
도 23은 TV 넷 미디어의 물리적 구조가 벽에 수직하여 움직일 수 있는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이다.
23.1은 TV 넷 미디어가 따라 이동하는 기계적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24는 TV 넷 미디어의 물리적 구조의 이동을 통해 삼차원 이동을 허용하는 기계적 장비를 나타낸 도로서, 이 시스템은 TV 넷 미디어의 뒷면에 고정되어 있다.
24.1은 TV 넷 미디어 이동 시스템의 삼차원 평면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25는 TV 넷 미디어 기계 기어의 잠금 시스템을 나타낸다.
25.1은 시스템의 급격한 이동을 붙잡는 구체를 방출하고 압축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장착한 톱니형 디스크를 통한 특정 잠금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6은 수직 및 수평 축을 따른 회전 이동을 허용하는 시스템의 예상을 나타낸 도이다.
18.2는 특정 수직 병진 운동을 허용하는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18.3은 특정 수평 병진 운동을 허용하는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도 27은 TV 넷 미디어 및 다양한 TV의 회전을 허용하는 지지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27.1은 TV가 거치된 평면을 나타낸다.
27.2는 내부 기계들의 배치를 나타낸다.
7.1은 기계적 시스템을 통해 로봇식 및 전자적 회전을 허용하는 TV 넷 미디어 바닥 내부를 나타낸다.
3.5는 TV 넷 미디어의 구조 지지체를 나타낸다.
도 28은 특정 기계적 회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28.1은 기계적 구성요소인 스프링을 나타낸다.
28.2는 구형 측면 배출구를 갖춘 핀을 나타낸다.
28.3은 핀의 회전을 허용하는 내부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18.2는 TV 넷 미디어의 구조 지지체의 수직 운동을 허용하는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도 29는 회전 바의 저면도이다.
29.1은 TV 넷 미디어의 구조 지지체의 수평 회전을 허용하는 핀-스프링-센터기어의 저면도이다.
도 30은 수평 구조체의 회전을 허용하는 특정 기계적 힌지를 나타낸 도이다.
30.1은 TV 넷 미디어의 바닥에 위치한 내부 지퍼를 나타낸다.
7.1은 모니터의 기계적 회전을 허용하는 TV 넷 미디어 바닥 내부를 나타낸다.
도 31은 지지체의 기계적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31.1은 TV 넷 미디어 바닥의 고정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2는 미디어 매직 박스의 물리적 구조의 단면도이다.
32.1은 냉각 팬(측면)을 나타낸다.
32.2는 열 소산 시스템(냉각기)을 나타낸다.
32.3은 메인보드를 나타낸다.
32.4는 LCD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32.5는 적외선 센서를 나타낸다.
32.6은 미디어 매직 박스를 켜고 끄는 버튼을 나타낸다.
32.7은 CD/DVD 리더기를 나타낸다.
32.8은 하드 미스크, 데이터 저장 매체를 나타낸다.
32.9는 유입 밴드의 양을 유지시키는데 이용되는 부스터를 나타낸다.
32.10은 파워 서플라이의 위치를 나타낸다.
32.11은 비디오 카드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3은 미디어 매직 박스 근처에 위치한 입출력 포트를 나타낸 도이다.
33.1은 시리얼 포트를 나타낸다.
33.2는 USB 포트를 나타낸다.
33.3은 비디오 아웃풋(VGA)을 나타낸다.
33.4는 오디오 아웃풋을 나타낸다.
33.5는 SD, MMC 및 모든 다른 표준 마켓 포맷의 매체를 판독하는 카드/플래쉬 슬롯을 나타낸다.
33.6은 방화벽 포트를 나타낸다.
33.7은 이더넷 포트를 나타낸다.
33.8은 PS2 포트를 나타낸다.
33.9는 DVI 포트를 나타낸다.
33.10은 냉각 시스템의 예상 날개를 나타낸다.
33.11은 S-비디오를 나타낸다.
33.12는 Wi-Max의 아웃풋을 나타낸다.
33.13은 위성 카드 인풋을 나타낸다.
33.14는 디지털 지상 카드 인풋을 나타낸다.
33.15는 복합 비디오 아웃풋을 나타낸다.
도 34는 미디어 매직 박스 구성요소의 어소노메트릭 도이다.
34.1은 미디어 매직 박스의 전면이 사입되는 슬롯을 나타낸다.
34.2는 Wi-Fi 칩의 위치를 나타낸다.
34.3은 Wi-Max 칩의 위치를 나타낸다.
34.4는 파워 서플라이르를 나타낸다.
34.5는 USB 포트를 나타낸다.
34.6은 위성 칩의 위치를 나타낸다.
34.7은 냉각 취급 칩의 위치를 나타낸다.
34.8은 미디어 매직 박스의 통합부인 열 싱크를 나타낸다.
32.4는 LCD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32.5는 적외선 센서를 나타낸다.
32.6은 미디어 매직 박스를 크고 끄는 버튼을 나타낸다.
32.7은 CD/DVD 리더기를 나타낸다.
32.8은 하드 디스크, 데이터 저장 매체를 나타낸다.
32.9는 부스터를 나타낸다.
32.11은 디지털 지상 위치 탭을 나타낸다.
32.12는 비디오 카드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4A는 밀폐된 매직 박스를 나타낸 도이다(34A.1).
도 34A는 개방된 매직 박스를 나타낸 도이다(34B.1).
도 35는 유입 밴드폭을 안정하게 유지하는데 이용되는 부스터의 상세도이다(35.1)
도 36은 비디오 카드를 나타낸 도이다(36.1).
도 37은 위성 수신기의 상세도이다(37.1).
도 38은 고온 공기를 미디어 매직 박스 외부로 내보내는 소산 냉각기의 상세도이다(38.1).
도 39는 하드디스크의 상세도(32.8)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TV 넷 미디어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사용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구획된 하나 이상의 하드 디스크가 장착된다.
도 40은 CD/DVD 플레이어의 상세도이다(32.7).
도 41은 마이크로프로세서(CPU), 메모리 램, IDE 및 SATA 컨트롤러, PCI 버스, 비디오 카드용 PCI 익스프레스 버스, 키보드 컨트롤러, 마우스 컨트롤러, 병렬 단자, USB를 수용하는 인쇄 회로인 PC 메인보드를 나타낸다(32.3).
도 42는 미디어 매직 박스 내부의 냉각 팬의 상세도이다(32.1).
도 43는 USO 및 방화벽 포트의 상세도이다(43.1).
도 44는 오디오/비디오 포트를 나타낸 도이다(44.1).
도 45는 TV 튜너를 나타낸 도이다(45.1).
도 46은 적외선 포트의 상세도이다(32.5).
도 47은 LCD 모니터를 나타낸 도이다(32.4).
도 48은 미디어 매직 박스의 통합 열 싱크의 상세도이다(34.10).
도 49에서 34.9는 미디어 매직 박스의 배터리의 상세도이고,
49.1은 미디어 매직 박스에 적합시킨 배터리를 나타내고,
49.2는 배터리용 파워 서플라이 장비를 나타낸다.
도 50은 테크 콘트롤(듀얼 시스템)의 일측을 나타낸 도이다.
50.1은 테크 콘트롤의 키패드를 나타낸다.
50.2는 테크 콘트롤에 통합된 마우스를 나타낸다.
50.3은 인터페이스 내의 네비게이션용 버튼을 나타낸다.
50.4는 볼륨 조절을 위한 키를 나타낸다.
50.5는 상이한 채널을 통한 스크롤링을 위한 버튼을 나타낸다.
도 51 테크 콘트롤(듀얼 시스템)의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이다(51.1).
도 52는 테크 콘트롤(듀얼 시스템)의 다른 측을 나타낸 도이다.
52.1은 오디오/비디오 CD/DVD 커맨드를 나타낸다.
52.2는 PC 키보드와 유사한, 인터넷 서핑 또는 문서 작성용 키보드를 나타낸다.
50.1은 테크 콘트롤(듀얼 시스템)의 키패드를 나타낸다.
50.2는 테크 콘트롤(듀얼 시스템)에 통합된 마우스를 나타낸다.
50.3은 인터페이스 내의 네비게이션용 버튼을 나타낸다.
50.4는 볼륨 조절을 위한 키를 나타낸다.
50.5는 상이한 채널을 통한 스크롤링을 위한 버튼을 나타낸다.
도 53에서 53.1은 이동가능한 폰과 통합된 TV 넷 미디어를 나타낸 도로서, 양 플랫폼은 통상의 폰 보다는 고정된 폰의 기능을 수행한다(53.1).
도 54에서 54.1은 이동가능하고 통합된 TV 넷 미디어를 갖춘 플립폰의 혁신적인 슬라이딩 시스템을 이용한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54.2는 적외선 센서 시스템을 나타낸다.
54.3은 폰 디자인을 나타낸다.
도 55에서 55.1은 신축자재의 폰 뒷면을 나타낸다.
도 56에서 56.1은 배터릴를 덮는 쉘을 나타낸다.
도 57에서 57.1은 TV 넷 미디어의 내부 공간의 재충전가능 배터리를 나타낸다.
도 58에서 58.1은 이중 수용을 허용하는 이중 카드에 의한 수용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9에서 59.1은 가상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환영 시스템의 스크린샷을 나타낸다.
도 60은 특히 가상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환영 시스템의 모든 조절부를 나타낸 도이다.
60.1은 배너 광고(다이나믹 바)를 나타낸다.
60.2는 사용자가 홈페이지 또는 환영 인터페이스로 돌아가도록 허용하는 “HOME"을 나타낸다.
60.3은 사용자가 초기 섹션 페이지로 돌아가도록 허용하는 “MAIN"을 나타낸다.
60.4는 사용자가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도록 허용하는 “BACK" 나타낸다.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키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60.7은 전통적인 TV 시청을 즉시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8은 라디오 채널을 보게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9는 즉시적인 인터넷 브라우징을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0은 웹 서치를 허용하는 운영 시스템에 통합되어 이용되는 “넷 폰 가이드”라고 지칭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1은 e-mail 주소 박스를 직접 볼 수 있게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2는 의사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그와 통화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3은 시스템 자원을 보도록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4는 인포메이션을 보도록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5는 긴급 전화번호, 예를 들어 경찰서, 소방서 등의 전화번호를 보도록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6은 아무 때나 날씨를 보도록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7은 비디오 호출을 활성화시키고(시키거나) 멀티미디어 파일에의 접근을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8은 게임을 통한 오락을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19는 언어 선택용 메뉴를 보도록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20은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보도록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60.21은 태스크 바를 따른 SCROLL 아이콘 나타낸다.
60.22는 수평 스크롤을 사용하는 BAR MENU를 나타낸다.
60.23은 언어 선택을 허용하는 “LANGUAGE" 버튼을 나타낸다.
60.24는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요구대로)보도록 허용하는 “ MENU OR" 버튼을 나타낸다.
60.25는 정보에 의해 TV 시청을 허용하는 “TV MENU"를 나타낸다.
60.26은 동일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6개 이하의 TV 채널에 대해 상이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보여지도록 허용하는 “SPLIT" 버튼을 나타낸다.
60.27은 사용자가 시스템 상의 일반적인 정보, 예를 들어 전송된 업데이트 정보를 보도록 허용하는 인포(INFO) 버튼을 나타내며,
60.28은 사용자가 시스템 내에서 네비게이션 중 가이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HELP" 버튼을 나타낸다.
60.29는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도록 허용하는 인터넷(Internet) 버튼을 나타내고,
60.30은 전세계에서 어떠한 채널이 프로그램되고 있는지 볼 수 있는 "TV GUIDE" 버튼을 나타낸다.
60.31은 다중처리를 허용하는 인터넷(Interact) 버튼을 나타내며,
60.32는 “TV 넷 미디어" 로고를 나타낸다.
59.1은 가상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환영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61은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바 메뉴(BAR MENU)에서 누른 언어(LANGUAGE) 버튼에 의한 초기 선택을 나타낸 도로서,
61.1은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열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선택한 키 언어(key LANGUAGE)를 나타내고,
60.6은 전체화면 스크린을 제외하고 거의 항상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수평 스크롤에 의해 기능에 즉시 접속시키는 바 아이콘(BAR ICONS)을 나타내며,
60.22은 수평 스크롤되는 바 메뉴(BAR MENU)를 나타낸다.
도 62는 특정 카테고리 언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62.1은 사용자가 보고자하는 해당 국가의 컨텐츠 및 채널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국가를 선택하기 위한 패널을 나타내고,
62.2는 사용자가 라벨에서 보고자 하는 언어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박스를 나타내며,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60.22는 수평 스크롤되는 바 메뉴(BAR MENU)를 나타낸다.
도 63은 시스템이 시작될 때 보여지는 홈(HOME)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63.1은 TV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위한 TV 아이콘에 의한 선택을 나타낸다.
도 64는 적절한 아이콘 선택에 의해 보여지는 TV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도 63의 63.1 참조)로서,
64.1은 TV 아이콘을 선택한 후 즉시 나타나는 전체화면 TV 채널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도 65는 사용자가 임의 시간에 시스템의 모든 특징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메뉴 기능 바(BAR)를 갖는 TV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64.1은 TV 아이콘을 선택한 후 즉시 나타나는 전체화면 TV 채널 디스플레이를 나타내고,
60.29는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도록 허용하는 인터넷(Internet) 버튼을 나타내고,
60.31은 다중처리를 허용하는 상호작용(Interact) 버튼을 나타내며,
60.25는 정보에 의해 TV 시청을 허용하는 “TV MENU"를 나타내고,
60.24는 사용자가 요구대로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메뉴 OD( MENU OD) 버튼을 나타내며,
60.26은 동일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6개 이하의 TV 채널에 대해 상이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보여지도록 허용하는 “SPLIT" 버튼을 나타내고,
60.27은 사용자가 시스템 상의 일반적인 정보, 예를 들어 전송된 업데이트 정보를 보도록 허용하는 인포(INFO) 버튼을 나타내며,
60.32는 “TV 넷 미디어" 로고를 나타내고,
65.2는 사용자가 비 독점적인 컨텐츠를 직접 기록하거나 프로그램에 의해 기록하게 할 수 있는 등록 패널에 접속하게 허용하는 녹화(REC)를 나타내며,
65.3은 사용자가 오디오 켄텐츠를 불능케 하도록 허용하는 묵음(MUTE)을 나타내고,
65.4는 모든 TV 채널 목록을 포함한 바에 직접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채널(CHANNELS)을 나타낸다.
도 66은 TV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66.1은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바 채널(BAR CHANNELS)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되게 허용하는 채널(CHANNEL) 버튼을 나타내고,
66.2는 TV 내에서 보여지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채널 바(CHANNELS BAR)를 나타내며,
65.1는 TV 내에서 수평으로 스크롤되고, 마우스 포인터 스크린 밑으로 접근시키거나 특정 원격 제어기 상의 전용 버튼을 통해 나타나는 바 TV(BAR TV)를 나타낸다.
도 67은 인터페이스 및 TV 바(TV BARs)를 나타낸 도로서,
67.1은 TV 프로그램을 보기 위한 스크린을 나타내고,
67.2는 채널(CHANNELS)의 목록을 나타내며,
66.1은 선택된 바와 같은 채널(CHANNEL) 버튼을 나타내고,
66.2는 TV 내에서 보여지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채널 바(CHANNELS BAR)를 나타내며,
65.1는 TV 내에서 수평으로 스크롤되고, 마우스 포인터 스크린 밑으로 접근시키거나 특정 원격 제어기 상의 전용 버튼을 통해 나타나는 바 TV(BAR TV)를 나타낸다.
60.29는 사용자가 즉시적인 인터넷 서핑을 허용하는 인터넷(Internet) 버튼을 나타내고,
60.31은 시스템 상에서 다중처리를 허용하는 상호작용(Interact) 버튼을 나타내며,
60.25는 정보에 의해 TV 시청을 허용하는 키 TV 메뉴(TV MENU)를 나타내고,
60.24는 사용자가 컨텐츠 요청을 허용하는 메뉴 OD( MENU OD) 버튼을 나타내며,
60.26은 동일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동시에 선택된 6개 이하의 TV 채널에 대 해 프레임 보기를 허용하는 분할(SPLIT) 버튼을 나타내고,
60.27은 사용자가 시스템 상의 일반적인 정보, 예를 들어 전송된 업데이트 정보를 보도록 허용하는 인포(INFO) 버튼을 나타내며,
60.32는 “TV 넷 미디어" 로고를 나타내고,
65.2는 사용자가 비 독점적인 컨텐츠를 직접 기록하거나 프로그램에 의해 기록하게 할 수 있는 등록 패널에 접속하게 허용하는 녹화(REC)를 나타내며,
65.3은 사용자가 오디오 켄텐츠를 불능케 하도록 허용하는 묵음(MUTE)을 나타내고,
도 68은 TV 채널 선택의 예를 나타낸 도로서,
66.1은 선택된 채널(CHANNEL) 버튼을 나타내고,
68.1은 강조된 선택 키 채널을 나타내며,
68.2은 강조된 TV 채널 선택 모니터를 나타낸다.
도 69는 시스템을 로딩할 때 보여지는 홈(HOME)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69.1은 사용자가 새로운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들어가 정보를 이용하여 TV 채널을 시청하도록 허용하는 메뉴 TV(MENU TV) 명령 선택을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 타내고,
60.22는 수평 스크롤되는 바 메뉴(BAR MENU)를 나타낸다.
도 70은 TV 메뉴(TV MENU) 버튼을 선택한 후 보여지는 TV 메뉴(TV MENU)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70.1은 TV 메뉴(TV MENU)에서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바 메뉴(BAR MENU)를 나타내고,
70.2는 사용자가 국제 채널을 볼 수 있도록 허용하는 키 국제 채널( INT.CH)을 나타내며,
70.3은 사용자가 선택된 채널의 프로그램 스케줄(프로그래밍)을 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스케줄(SCHEDULE)을 나타내고,
70.4 광고 컬럼의 머리말을 나타내며,
7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내고,
70.6은 헤드라인 메뉴 채널(MENU 'CHANNELS)을 나타내며,
70.7 수직으로 스크롤되는, TV 채널(TV CHANNELS)을 갖는 바(BAR)를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60.24는 사용자에게 컨텐츠 요청을 허용하는 “ MENU OR" 버튼을 나타내며,
60.25는 정보에 의해 TV 시청을 허용하는 TV 메뉴(TV MENU)를 나타내고,
60.26은 동일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6개 이하의 TV 채널에 대해 상이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보이도록 허용하는 분할(SPLIT) 버튼을 나타내며,
60.27은 사용자가 시스템 상의 일반적인 정보, 예를 들어 전송된 업데이트 정보를 보도록 허용하는 인포(INFO) 버튼을 나타내며,
60.28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를 네비게이션으로 가이드하도록 돕는 도움(HELP) 버튼을 나타내고,
60.29는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도록 허용하는 인터넷(Internet) 버튼을 나타내고,
60.30은 전세계에서 어떠한 프로그래밍 채널이던 불 수 있는 TV 가이드(TV GUIDE) 버튼을 나타내며,
65.3은 사용자가 오디오 켄텐츠를 불능케 하도록 허용하는 묵음(MUTE)을 나타낸다.
도 71은 TV 메뉴(TV MENU)에서 프로그램 정보 선택을 나타낸 도로서,
71.1은 TV 메뉴(TV MENU) 내에서 채널 선택을 나타내고,
71.2는 선택된 채널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며,
71.3은 선택된 채널(채널 프로그래밍)을 보이는 스케줄 버튼의 선택을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 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70.1은 TV 메뉴(TV MENU)에서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바 메뉴(BAR MENU)를 나타내고,
7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낸다.
도 72는 선택된 채널을 보이는 메뉴 TV(MENU TV)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72.1은 선택된 채널의 TV 스크린 프로그램 스케줄(프로그래밍)을 디스플레이 한 것이며,
72.2는 프로그래밍을 보이기 위한 선택된 채널의 머리말을 나타내고,
71.1은 TV 메뉴(TV MENU) 바(BAR) 내에서 채널 선택을 나타내고,
71.3은 선택된 채널(채널 프로그래밍)을 보이는 스케줄 버튼의 선택을 나타내고,
70.1은 TV 메뉴(TV MENU)에서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바 메뉴(BAR MENU)를 나타내고,
7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낸다.
도 73은 TV 메뉴에서 국제 채널(INT.CH)을 보기 위한 선택 순서를 나타낸 도로서,
73.1은 국제 채널(INT.CH) 키의 선택을 나타내고, 이를 클릭하면 사용자는 국제 채널로 들어가며,
73.2는 국가 바(NATIONS BAR: 이탈리아)의 선택을 나타내고,
73.3은 채널 선택을 나타내며,
73.4는 TV 모니터에 보이는 채널을 나타내고,
73.5는 선택된 채널 머리말을 나타낸다.
도 74는 TV 메뉴에서 국제 채널의 선택된 카테고리 내의 명령을 나타낸 도로서,
74.1은 국가 바의 머리말을 나타내고,
74.2는 사용자에게 세계의 임의 국가의 채널 선택을 허용하는 수직으로 크롤되는 국가 바를 나타내며,
74.3은 사용자가 선택된 국가의 지역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국가 바의 하위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74.4는 수평으로 스크롤되고,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선택에 상응한 특정 채널을 나타내며,
73.1은 국제 채널(INT.CH) 키의 선택을 나타내고, 이를 클릭하면 사용자는 국제 채널로 들어가며,
73.2는 국가 바(NATIONS BAR: 이탈리아)의 선택을 나타내고,
73.3은 채널 선택을 나타내며,
73.4는 TV 모니터에 보이는 채널을 나타내고,
73.5는 선택된 채널 머리말을 나타내며,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70.3은 사용자가 선택된 채널의 프로그램 스케줄(프로그래밍)을 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스케줄(SCHEDULE)을 나타내고,
70.4 광고 컬럼의 머리말을 나타내며,
7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내고,60.24는 사용자에게 컨텐츠 요청을 허용하는 “ MENU OR" 버튼을 나타내며,
60.25는 정보에 의해 TV 시청을 허용하는 TV 메뉴(TV MENU)를 나타내고,
60.26은 동일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6개 이하의 TV 채널에 대해 상이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이 보이도록 허용하는 분할(SPLIT) 버튼을 나타내며,
60.27은 사용자가 시스템 상의 일반적인 정보, 예를 들어 전송된 업데이트 정보를 보도록 허용하는 인포(INFO) 버튼을 나타내며,
60.28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를 네비게이션으로 가이드하도록 돕는 도움(HELP) 버튼을 나타내고,
60.29는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도록 허용하는 인터넷(Internet) 버튼을 나타내고,
60.30은 전세계에서 어떠한 프로그래밍 채널이던 불 수 있는 TV 가이드(TV GUIDE) 버튼을 나타내며,
65.3은 사용자가 오디오 켄텐츠를 불능케 하도록 허용하는 묵음(MUTE)을 나타낸다.
도 75 인터넷 버튼의 선택을 나타낸 도로서, 이 선택으로 임의의 카테고리로 접속할 수 있으며,
64.1은 이미 실행된 전체화면의 컨텐츠를 나타내고,
75.1은 전체화면을 볼 때 인터넷의 컨텐츠 선택 기능을 나타낸다.
도 76은 교환 가능성으로 미리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곳에 컨텐츠를 상실하지 않게하는 인터넷 디폴트(INTERNET default), 메인 프레임(MAIN FRAME)과의 상호작용을 디스플레이한 도로서(도 75 참조),
64.1은 TV 아이콘을 선택한 후 즉시 나타나는 전체화면 TV 채널 디스플레이를 나타내고,
76.1은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중심에 보다 큰 프레임이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에서 서버로의 연결 요청을 나타내고,
76.2는 사용자가 보다 많은 채널 및(또는) 컨텐츠와 상호작용하여 볼 수 있는 측면 프레임을 나타내며,
76.3 메뉴 바(MENU BAR)를 나타내고, 여기서 수평 스크롤로 마우스 포인터를 스크린의 하부에 위치시키거나 원격 조절기의 지정 버튼을 통해 나타나는 인터넷 인터페이스 내에서 보여지는 인터넷 버튼이 나타나고,
66.2는 TV 내에서 보여지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채널 바(CHANNELS BAR)를 나타내며,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낸다.
도 77은 초기 인터넷 페이지가 로딩될 때 사용자는 컨텐츠와 로딩된 인터넷 페이지를 교환할 수 있는, 상호작용 디폴트(INTERACT default)의 상이한 모양이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로서,
77.1은 측면 프레임(SIDE FRAME) 로딩된 인터넷 페이지를 나타내고,
77.2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에 시각화된 컨텐츠와 측면 프레임에 로딩된 인터넷 페이지를 나타내며,
76.3은 상호작용 내에 나타난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메뉴 바를 나타내고,
76.2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여 다른 컨텐츠를 시각화시킬 수 있는 다른 측면 프레임을 나타내며,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66.2은 TV 내에 보이는 채널 바(CHANNELS BAR)를 나타낸다.
도 78은 교환 및 인터넷에 의해 완성된 인터넷 홈페이지 로딩을 이용하여 상이한 뷰를 전화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로서,
78.1은 로딩된 웹페이지를 나타내고,
78.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시각화시킨 메인 프레임((MAIN FRAME)을 나타내며,
76.2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여 다른 컨텐츠를 시각화시킬 수 있는 다른 측면 프레임을 나타내며,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66.2는 TV 내에 보이는 채널 바(CHANNELS BAR)를 나타내고,
76.3은 상호작용 내에 나타난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메뉴 바를 나타낸다.
도 79 홈페이지가 로딩되면, 스크린샷에 사용자가 콘텐츠를 교환시켜 메인 페이지에 요청된 인터넷 페이지의 컨텐츠를 삽입시키고, 측면 프레임에 메인 프레임에 미리 나타난 컨텐츠를 삽입하는, 교환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화를 가동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도로서(도 78),
79.1은 사용자가 메인 프레임에 삽입하고자 하는 인터넷 시각화를 나타내고,
79.2는 사용자가 메인 프레임에 삽입하고자 하는 비디오 시각화를 나타내고,
76.2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여 다른 컨텐츠를 시각화시킬 수 있는 다른 측면 프레임을 나타내며,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66.2는 TV 내에 보이는 채널 바(CHANNELS BAR)를 나타내고,
76.3은 상호작용 내에 나타난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메뉴 바를 나타내며,
60.20은 전체화면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볼 수 있게 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도 80은 사용자가 전체화면 모드를 적절한 버튼(도 60 60.20 참조)을 통하거나 테크 컨트롤(테크 콘트롤) 상의 전용 버튼을 이용하여 전화시키도록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로서,
80.1은 브라우저 전체화면 모드를 보여주는 인터넷 뷰를 나타낸다.
도 81은 메인 프레임과 세 개의 측면 프레임이 나타난 곳에서 사용자가 상호작용 버튼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 되어, 임의의 컨텐츠를 시각화하고, 윈도우 간 교환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81.1은 상호작용 버튼의 선택을 나타내고,
81.2는 모니터 상의 메인 프레임을 나타내며,
81.3은 세 개의 측면 프레임을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66.2는 TV 내에 보이는 채널 바(CHANNELS BAR)를 나타내고,
76.3은 상호작용 내에 나타난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메뉴 바를 나타낸다.
도 82는 사용자가 메뉴바(도 60 참조)를 통해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홈(HOME)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82.1은 온 메뉴 디멘드(ON MENU DEMAND)가, 사용자가 신규 카테고리에 들어가 임의 형태의 구매 또는 시스템을 통한 요청을 할 수 있게 허용하는 키 메뉴 OD의 선택을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 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66.2는 TV 내에 보이는 채널 바(CHANNELS BAR)를 나타낸다.
도 83은 사용자가 임의 형태의 구매 및(또는) 요청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허용하는 초기 인터페이스 메뉴 OD를 나타낸 도로서,
83.1은 OD 메뉴 내에서 선택된 기본 카테고리의 바를 나타내고,
83.2는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통해 임의의 상품 검색을 허용하는 상품 검색(SEARCH PROD) 버튼을 나타내며,
83.3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좋아하는 영화의 종류를 선택하고, 이를 구입하거나 렌트하도록 허용하는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
83.4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스포츠 이벤트를 보고, 결과적으로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스포츠(SPORT) 버튼을 나타내며,
83.5는 사용자가 음악을 듣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악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라디오(RADIO) 버튼을 나타내고,
83.6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좋아하는 게임을 선택하고 과적으로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게임(GAMES) 버튼을 나타내며,
83.7은 사용자가 CD/DVD 오디오/비디오, 또는 개별 노래를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음악(MUSIC) 버튼을 나타내고,
83.8은 사용자가 시네마, 스포츠 이벤트, 콘서트 등의 티켓을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이벤트(EVENTS) 버튼을 나타내며,
83.9는 사용자가 이 기능을 통해 교육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교육(EDUCATION) 버튼을 나타내고,
83.10은 사용자가 임의의 어린이용 프로그래밍을 보거나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어린이 영화(CHILD. MOVIES) 버튼을 나타내며,
83.11은 서버로부터 컨텐츠의 구매 또는 요청 동안 메인 프레임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 시스템을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7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낸다.
도 84는 카테고리 영화의 선택 예로서 메뉴 OD의 초기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각 카테고리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목적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가이드하는 하위-디스플레이를 선택하며,
84.1은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바(BAR) 카테고리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
84.2는 카테고리 영화의 선택 시에 수직으로 스크롤되는 하위카테고리 바 메 뉴(BAR MENU)를 나타내며,
83.1은 OD 메뉴 내에서 선택된 기본 카테고리의 바를 나타낸다.
도 85는 OD 메뉴에서 모든 특정 명령을 기술하는 도로서,
84.1은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바(BAR) 카테고리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
83.1은 OD 메뉴 내에서 선택된 기본 카테고리의 바를 나타내고,
83.2는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통해 임의의 상품 검색을 허용하는 상품 검색(SEARCH PROD) 버튼을 나타내며,
83.3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좋아하는 영화의 종류를 선택하고, 이를 구입하거나 렌트하도록 허용하는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
83.4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스포츠 이벤트를 보고, 결과적으로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스포츠(SPORT) 버튼을 나타내며,
83.5는 사용자가 음악을 듣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악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라디오(RADIO) 버튼을 나타내고,
83.6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좋아하는 게임을 선택하고 과적으로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게임(GAMES) 버튼을 나타내며,
83.7은 사용자가 CD/DVD 오디오/비디오, 또는 개별 노래를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음악(MUSIC) 버튼을 나타내고,
83.8은 사용자가 시네마, 스포츠 이벤트, 콘서트 등의 티켓을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이벤트(EVENTS) 버튼을 나타내며,
83.9는 사용자가 이 기능을 통해 교육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교육(EDUCATION) 버튼을 나타내고,
83.10은 사용자가 임의의 어린이용 프로그래밍을 보거나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어린이 영화(CHILD. MOVIES) 버튼을 나타내며,
85.1은 인포메이션 윈도우를 나타내고,
85.2는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선호하는 액션 영화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하위-메뉴의 액션(ACTION) 버튼을 나타내며,
85.3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선호하는 카툰을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하위-메뉴의 카툰(CARTOON) 버튼을 나타내고,
85.4는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선호하는 코미디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하위-메뉴의 코미디(COMEDY) 버튼을 나타내며,
85.5는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선호하는 다큐멘터리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하위-메뉴의 다큐멘터리(Document) 버튼을 나타내고,
85.6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선호하는 드라마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하위-메뉴의 드라마(DRAMA) 버튼을 나타내며,
85.7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선호하는 외국 프로그래밍을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외국(FOREIGN) 버튼을 나타내고,
85.8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선호하는 뮤지컬을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뮤지컬(MUSICL) 버튼을 나타내며,
85.9는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선호하는 사이언스 픽션 무비를 선택하도 록 허용하는 사이언스 픽션(Sci-Fi) 버튼을 나타내고,
85.10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선호하는 호러 무비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호러(HORROR) 버튼을 나타내며,
85.12는 사용자가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용하도록 허용하는 인포(INFO) 버튼을 나타내고,
85.13은 사용자가 목적하는 컨텐츠의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구입(BUY) 버튼을 나타내며,
85.14는 사용자를 다양한 단계를 통해 도와주는 도움(HELP) 버튼을 나타내고,
85.15는 목적하는 컨텐츠를 렌트하도록 하는 렌트(RENT) 버튼을 나타내며,
85.16은 만들어진 모든 기록의 패널을 열고 비 독점적인 컨텐츠를 즉시 기록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기록을 프로그램할 수 있고 기록에 즉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녹화(REC) 버튼을 나타내고,
85.17은 사용자가 임의 채널의 스케줄을 보도록 허용하는 스케줄(SCHEDULE) 버튼을 나타내며,
85.18은 사용자가 전체 시스템의 일반 개요를 수용하도록 허용하는 가이드(GUIDE) 버튼을 나타내고,
85.19는 사용자가 선택된 컨텐츠의 소리를 제거하도록 허용하는 묵음(MUTE) 버튼을 나타내며,
83.11은 서버로부터 컨텐츠의 구매 또는 요청 동안 메인 프레임에 의해 관리 되는 광고 시스템을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7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낸다.
도 86은 사용자가 구매 또는 랜트하기를 원할 수 있는 유형의 영화를 디스플레이 하는 카테고리 영화의 선택을 예로 하는 메뉴 OD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84.1은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바(BAR) 카테고리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
86.1은 카테고리 영화의 선택과 관련된 하위 메뉴를 나타내며,
86.2는 사용자가 하위 카테고리 바 내에서 액션과 같은 특정 종류의 영화를 보고자 원하는 선택을 나타내고,
86.3은 컨텐츠에 의한 광고 발행을 나타내며,
86.4는 수직 스크롤로 바의 컨텐츠를 통해 선택가능한 컨텐츠 액션을 나타내고,
83.1은 OD 메뉴 내에서 선택된 기본 카테고리의 바를 나타낸다.
도 87은 메뉴 OD에서 영화 및 특정 유형인 액션을 선택한 후 다음 단계 OF를 나타낸 도로서,
84.1은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바(BAR) 카테고리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
86.2는 사용자가 하위 카테고리 바 내에서 액션과 같은 특정 종류의 영화를 보고자 원하는 선택을 나타내며,
87.1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바 컨텐츠 상에서 선택된 영화, 액션을 특정하여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고,
86.4는 수직 스크롤로 바의 컨텐츠를 통해 선택가능한 컨텐츠 액션을 나타내고,
87.2는 메인 프레임에서 볼 수 있는 선택된 컨텐츠의 트레일러를 나타내며,
87.3은 사용자가 선택된 컨텐츠의 트레일러를 본 후, 구입, 렌트 또는 옵션 상의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다른 운영 바 이행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고,
87.4는 사용자가 선택된 컨텐츠의 트레일러를 본 후 즉시 컨텐츠를 렌트하여 볼 것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며,
85.12는 사용자가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용하도록 허용하는 인포(INFO) 버튼을 나타내고,
85.13은 사용자가 목적하는 컨텐츠의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구입(BUY) 버튼을 나타내며,
85.14는 사용자를 다양한 단계를 통해 도와주는 도움(HELP) 버튼을 나타내고,
85.15는 목적하는 컨텐츠를 렌트하도록 하는 렌트(RENT) 버튼을 나타내며,
85.16은 만들어진 모든 기록의 패널을 열고 비 독점적인 컨텐츠를 즉시 기록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기록을 프로그램할 수 있고 기록에 즉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녹화(REC) 버튼을 나타내고,
85.17은 사용자가 임의 채널의 스케줄을 보도록 허용하는 스케줄(SCHEDULE) 버튼을 나타내며,
85.18은 사용자가 전체 시스템의 일반 개요를 수용하도록 허용하는 가이드(GUIDE) 버튼을 나타내고,
85.19는 사용자가 선택된 컨텐츠의 소리를 제거하도록 허용하는 묵음(MUTE) 버튼을 나타낸다.
도 88은 사용자가 선택된 컨텐츠 영화-액션의 렌트/구매를 준비하는 렌트/구매의 제1 국면을 나타낸 도로서,
88.1은 선택된 컨텐츠 트레일러의 메인 프레임을 나타내고,
88.2는 사용자가 선택된 컨텐츠를 확인하도록 하는 확인 바(CONFIRM BAR)를 나타내며,
87.1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바 컨텐츠 상에서 선택된 영화, 액션을 특정하여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고,
86.4는 수직 스크롤로 바의 컨텐츠를 통해 선택가능한 컨텐츠 액션을 나타내고,
83.1은 OD 메뉴 내에서 선택된 기본 카테고리의 바를 나타내며,
84.1은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바(BAR) 카테고리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낸다.
도 89는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렌트를 위한 데이터 입력을 요청하는 렌트/구입의 제2 국면을 나타낸 도로서,
84.1은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바(BAR) 카테고리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
87.1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바 컨텐츠 상에서 선택된 영화, 액션을 특정하여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며,
89.1은 선택된 컨텐츠의 렌트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90은 렌트/구매 과정의 제2 국면의 설명을 나타낸 도로서,
89.1은 선택된 컨텐츠의 렌트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87.1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바 컨텐츠 상에서 선택된 영화, 액션을 특정하여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며,
86.4는 수직 스크롤로 바의 컨텐츠를 통해 선택가능한 컨텐츠 액션을 나타내고,
83.1은 OD 메뉴 내에서 선택된 기본 카테고리의 바를 나타내며,
90.1은 자신의 개인 명칭(USERNAME)이 포함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90.2는 자신의 개인 암호(PASSWORD)가 포함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90.3은 자신의 개인 주소(EMAIL)가 포함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90.4는 전화번호(PHONE)가 포함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90.5는 자신의 개인 코드(USER COD) 또는 소비자 코드가 포함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90.6은 선택된 컨텐츠의 제목이 포함되는 편집 불가능 영역을 나타내며,
90.7은 렌트 데이터 요청 시스템 영역을 나타내고,
90.8은 렌트 시간 요청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며,
90.9는 렌트를 원하는 날 수를 요청하는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고,
90.10은 특정 컨텐츠 구매 가격을 나타내며,
90.11은 시스템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지불 방법을 나타내고,
90.12는 컨텐츠 구입을 확인 하는 OK 버튼을 나타내며,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크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낸다.
도 91은 시스템에 의한 신용카드 사용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91.1은 시스템에 확인을 요청한 후의 정보를 나타내고,
91.2는 거래 정보의 버튼을 나타낸다.
도 92는 사용자가 비디오 선명도 유형을 선택하고, 방금 구입한 상세사항을 볼 수 있는, 선택된 컨텐츠가 시각화되기 전에 상품의 설명이 나타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92.1은 거래 확인 버튼을 나타낸다.
도 93은 컨텐츠 선택을 보기 전에 메뉴 OD 내에서 보이는 인터페이스의 상세를 나타낸 도로서,
90.1은 자신의 개인 명칭(USERNAME)이 포함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90.2는 자신의 개인 암호(PASSWORD)가 포함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93.1은 변형 완료 응답을 나타내고,
93.2는 사용자가 변형에 사용한 신용카드의 종류를 나타내며,
93.3은 사용자가 컨텐츠의 렌트를 선택한 날짜를 나타내며,
93.4는 렌트/구입된 상품의 형태를 나타내고,
93.5는 가족 전체용인지 미성년자 금지용인지 렌트된 필름의 종류를 나타내며,
93.6은 렌트/구입된 상품의 시간 및 일자를 나타내고,
93.7은 렌트된 컨텐츠의 선호 보기 명료도 종류를 나타내며,
93.8은 사용자의 렌트 일 수를 나타내고,
93.9는 선택된 컨텐츠 렌트에 대한 비용을 나타내며,
93.10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시작 버튼을 나타내고,
83.1은 OD 메뉴 내에서 선택된 기본 카테고리의 바를 나타내며,
84.1은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바(BAR) 카테고리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
87.1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바 컨텐츠 상에서 선택된 영화, 액션을 특정하 여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며,
86.4는 수직 스크롤로 바의 컨텐츠를 통해 선택가능한 컨텐츠 액션을 나타낸다.도 94는 간단한 미디어플레이어가 있는 비디오 대여 화면을 볼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94.1은 사용자가 렌트한 컨텐츠를 보는 프레임을 나타내고, 94.2는 렌트한 컨텐츠를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버튼을 나타내며,
94.3은 오디오를 크게하거나 작게하는 명령을 나타내며, 이 명령은 테크 제어기(tech control) 상에 존재할 수 있고,94.4는 사용자가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버튼을 나타내며,
94.5는 일시정지(PAUSE) 버튼을 나타내고
94.6은 정지(STOP) 버튼을 나타내며,94.7은 선택한 컨텐츠를 손쉽게 보기 시작하는 재생(PLAY) 버튼을 나타내고, 94.8은 비디오를 뒤로 보내는 후진(reverse) 버튼을 나타내며,94.9는 비디오를 앞으로 보내는 빠른 전진(fast forward) 버튼을 나타내고,83.1은 OD의 메뉴(MENU) 내에서 선택된 토픽의 주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84.1은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바(BAR) 카테고리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87.1은 사용자가 특정한 컨텐츠 바(CONTENT BAR) 선택을 나타내며,
86.4는 수직 스크롤로 바의 컨텐츠를 통해 선택된 액션(ACTION) 컨텐츠를 나타낸다.
도 95는 사용자가 상품을 카트(CART)에 담아 구매하도록 하는 카테고리의 OD 메뉴 바(OD MENU BAR)에서 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95.1은 사용자가 카트의 내용물이 보여지는 특정 장소로 입장하도록 하는 카트(CART) 버튼의 선택을 나타낸다.
도 96은 카트 섹션(모든 상품)의 모든 특정 제어부를 나타낸 도로서,
95.1은 사용자가 카트의 내용물이 보여지는 특정 장소로 입장하도록 하는 카트(CART) 버튼의 선택을 나타내고,
96.2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행한 구입물을 볼 수 있는 구입(PURCHASES) 버튼을 나타내며,
96.3은 카트로의 접속에 의한 사용자(USER)를 나타내고,
96.4는 카트에 삽입된 선택가능한 바를 나타내며, 이 바는 수직 스크롤을 갖고,
96.5는 바스켓에 포함된 상품 상세를 나타내며,
96.6은 이 인터페이스에서 클릭가능한 옵션을 나타내고,
96.7은 바스켓에 포함된 모든 상품을 선택하는 키를 나타내며,
96.8은 카트에 포함된 모든 상품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는 버튼을 나타내고,
96.9는 카트를 재설정하거나 비우는 버튼을 나타내며,
96.10은 선택된 상품을 삭제하는 버튼을 나타내고,
96.11은 선택된 상품을 구입하는 버튼을 나타내며
96.12는 구입을 원하는 상품의 전체 가격을 나타내고,
96.13은 카트 내의 상품 이름을 나타내며,
96.14은 카트에 있는 상품의 유형을 나타내고,
96.15 카트에 있는 개별 품목의 가격을 나타내며,
96.16은 선택된 물품을 어떤 방식으로 결제하고자 하는지 묻는 시스템이고,
96.17은 구입창에서 상품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되어야 하는 버튼을 나타내며,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키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70.5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내며, 이 섹션은 수직으로 스크롤되고,
83.2는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통해 임의의 상품 검색을 허용하는 상품 검색(SEARCH PROD) 버튼을 나타내며,
83.3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좋아하는 영화의 종류를 선택하고, 이를 구입하거나 렌트하도록 허용하는 영화(MOVIES) 버튼을 나타내고,
83.4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스포츠 이벤트를 보고, 결과적으로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스포츠(SPORT) 버튼을 나타내며,
83.5는 사용자가 음악을 듣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악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라디오(RADIO) 버튼을 나타내고,
83.6은 사용자가 트레일러를 보고 좋아하는 게임을 선택하고 과적으로 구입 하도록 허용하는 게임(GAMES) 버튼을 나타내며,
83.7은 사용자가 CD/DVD 오디오/비디오, 또는 개별 노래를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음악(MUSIC) 버튼을 나타내고,
83.8은 사용자가 시네마, 스포츠 이벤트, 콘서트 등의 티켓을 구입하도록 허용하는 이벤트(EVENTS) 버튼을 나타낸다.
도 97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행해진 구입을 볼 수 있게 허용하는, 카테고리의 OD 메뉴 바(OD MENU BAR)에서 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96.2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행한 구입물을 볼 수 있는 구입(PURCHASES) 버튼을 나타낸다.
도 98은 구입(PURCHASES)(구입이 행해진) 메뉴에서 특정한 모든 제어부를 나타낸 도로서,
96.2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행한 구입물을 볼 수 있는 구입(PURCHASES) 버튼을 나타내며,
98.1은 구입한 상품의 수직으로 스크롤되는 바를 나타내고,
98.2는 드롭-다운 메뉴로 상품 검색 데이터가 도입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98.3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시간 범위를 요청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고,
98.4는 사용자가 전에 구입했던 상품을 검색하고자 하는 방식(예: 알파벳 순서로 구입한 상품을 정렬) 게제를 요청하는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며,
98.5는 사전에 구입된 상품의 검색이 목적하는 상품의 명칭을 기입하여 행해 지는 방법을 나타내고,
98.6은 사전에 구입된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SEARCH) 버튼을 나타내며,
98.7은 검색을 재설정하기 위한 버튼을 나타내고,
98.8은 사전에 구입된 상품의 명칭을 나타내며,
98.9는 사전에 구입된 상품의 형태를 나타내고,
98.10 상품을 구입한 날자 및 시간을 나타내며,
98.11은 상품을 구입하는데 지불한 금액을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키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70.5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내며, 이 섹션은 수직으로 스크롤된다.
도 99는 사용자가 아이콘 바(ICON BAR)로부터 응급 버튼을 선택하였을 때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99.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급(EMERGNCY) 버튼을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키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 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낸다.
도 100은 급속 접속 기능을 위하여 아이콘 바 상의 s를 클릭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99.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급(EMERGNCY) 버튼을 나타내고,
100.1은 모든 유용한 s를 갖는 인터페이스 응급(EMERGENCY)을 나타내며,
100.2는 응급 접촉을 위한 아이콘을 나타내고, 이 명령은 소방서에 직접 연결되고,
100.3은 항공기를 고려하여 웹 또는 폰을 통해 유용한 컨텐츠에 연결을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내며.
100.4는 식당을 고려하여 웹 또는 폰을 통해 유용한 컨텐츠에 연결을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내며.
100.5는 간단하고 즉시적인 방식으로 사용자의 책 여행을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내고,
100.6은 사용가 뷰 맵을 볼 수 있게 하는 유용한 아이콘을 나타내며,
100.7은 버스를 고려하여 웹 또는 폰을 통해 유용한 컨텐츠에 연결을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내며.
100.8은 기차를 고려하여 웹 또는 폰을 통해 유용한 컨텐츠에 연결을 허용하는 아이콘을 나타내며.
100.9는 선택을 통한 응급 접촉을 위한 아이콘을 나타내고, 상기 명령은 응 급실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100.10은 응급 접촉을 위한 아이콘을 나타내고, 상기 명령은 응급실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키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70.5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내며, 이 섹션은 수직으로 스크롤된다.
도 101은 사용자가 전체 비디오를 시청할 때, 시스템 중에 원치않는 광고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임의의 순간에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가 광고를 임의의 순간에 측면 프레임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가 메인 프레임에서 선호하는 다른 채널을 시청하는 순간을 나타낸 도로서,
101.1은 전체화면 포맷의 비디오를 나타내고,
101.2는 비디오 채널 광고를 보는 동안의 도착을 나타내며,
101.3은 마우스 또는 콘트롤러를 통해 상호작용 모드에 도입되는 선택을 나타내고,
101.4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매뉴 바를 나타내며,
101.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채널 바를 나타내고,
101.6은 채널상의 새로운 메인 프레인을 보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내며, 사용자는 테크 콘트롤을 통해 교환을 행하고, 이미지를 전환시킨며,
96.2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행한 구입물을 볼 수 있는 구입(PURCHASES) 버튼을 나타내고,
101.7은 사용자가 본 발명 정보 시스템의 광고와 동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며,
101.8은 측면 프레임 상의 비디오 채널을 나타내고,
101.9는 사용자가 영화의 순간을 놓치지 않으며서 영화를 측면 프레임에서 메인 프레임으로 이동시킨 후 비디오 모드 전체화면으로 복귀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02는 기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가 등록 패널의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는 방법을 나태는 도로서,
102.1은 재등록 패널을 나타낸다.
도 103은 본 등록 패널에서 특정 심볼을 나타내며,
103.1은 기록되는 채널 공급원을 지시하는 채널을 지시하고,
103.2는 사용자가 기록의 개시 및 종료를 세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며,
103.3은 사용자가 목적하는 기록 일자를 세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며,103.4는 모든 파라미터를 세팅한 후 기록을 개시하기 위한 기록(REC)을 나타내고,
103.5는 모든 파라미터를 세팅한 후 등록을 확인 하는 OK 표시를 나타내며,
103.6은 바가 수직으로 스크롤되며,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 바를 나타내고,
103.7은 바가 수직으로 스크롤되며 기록이 수행될 때 선택된 데이터를 나탄며,
103.8은 바가 수직으로 스크롤되며 바의 기록 시간을 나타내고,
103.9는 바가 수직으로 스크롤되며 바의 기록 상태를 나타내며.
103.10은 기록을 중단하는 중단STOP)을 나타내고,
103.11은 기록을 시작하는 재생(PLAY) 아이콘을 나타내며,
103.12는 등록을 취소하기 위한 삭제(DEL) 아이콘을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키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60.22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메뉴 바(MENU BAR)를 나타내며,
70.5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내며, 이 섹션은 수직으로 스크롤된다.
도 104는 사용자가 임의 목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허용하는 임의의 검색 버튼으로부터 인터페이스 상품 검색(SEARCH PRODUCT) 비전을 나타낸 도로서,
104.1는 상품 검색의 머리말을 나타낸다.
도 105는 상품 검색 인터페이스의 특정 버튼을 나타내는 도로서,
104.1은 상품 검색의 머리말을 나타내고,
105.1은 신용카드 관련 광고를 나타내며,
105.2는 사용자 검색을 나타내고,
105.3은 사용이 이름 검색 영역을 나타내고,
105.4는 카테고리 검색 영역을 나타내고,
105.5는 형태 검색 영역을 나타내고,
105.6은 회사 검색 영역을 나타내고,
105.7은 분배자 검색 영역을 나타내고,
105.8은 언어 검색 영역을 나타내고,
105.9는 시스템에 의해 지시된 검색을 행한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내며,
105.10은 필요로 하는 상품의 양에 대한 사용자 질문을 나타내고,
105.11은 상품 결과가 내려야 하는 가격 범위를 나타내며,
105.12는 검색을 시작하는 OK를 나타내고,
60.5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배너 광고 바(BANNER ADVERTISING BAR)(몇 스키린 및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거의 항상 존재함)를 나타내며,
60.6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전체화면 뷰를 제외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항상 존재하는 수평으로 스크롤되는 아이콘 바(ICONS BAR)를 나타내고,
70.5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고를 나타내며, 이 섹션은 수직으로 스크롤된다.
도 108은 새로운 Tv 넷 미디어 스플래쉬 스크린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9는 새로운 아이콘 바와 시계를 갖는 새로운 TV 넷 미디어 홈페이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0은 주문형 기능(중앙 광고를 갖는)의 스크린샷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1은 TVFS 바 및 미리보기 윈도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2는 들어오는 전화가 도착하는 동시에 사용자는 영화를 시청하고 있는 폰 기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3은 중앙 스크린 시각화 및 폰의 소형 스크린에 미디어 컨텐츠를 갖는 비디오 기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4는 넷 폰 가이드 검색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5는 넷 폰 가이드 텔레폰 검색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6은 강조된 전화번호를 갖고, 전화를 폰 기능에 배치하도록 준비된 넷 폰 가이드 텔레폰 검색 인터페이스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8은 선호 광고를 저장하고 재생하며, 궁극적으로 주문하도록 하고, "저장" 버튼은 현재 보이는 광고를 바에 부가시키고, 폐쇄 버튼은 바를 폐쇄하는, 광고 및 선호 광고 바(ADVERTISING AND THE FAVORITES ADVERTISING BAR)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9는 TV 전체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120은 전화가 들어오는 TV 전체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121은 시청된 영화가 하부 우측의 미리보기 윈도우를 통과하고, 전화가 전체화면 모드로 통과하는 전환기능 선택(SWITCHFUNCTION SELECTED)을 나타낸 도이 다.
도 122는 넷 폰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3은 선택된 상업 코드를 이용한 넷 폰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4는 넷 폰 가이드 텔레폰 검색 마스크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5는 넷 폰 가이드 텔레폰 검색 마스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6은 선택된 선호 링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광고가 선호 바에 부가하는 넷 폰 가이드 광고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7은 넷 폰 가이드 어드벤스드 웹 서치(ADVANCED WEB SEARCH)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8은 넷 폰 가이드 어드벤스드 웹 서치(ADVANCED WEB SEARCH)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9는 지역 채널(LOCAL CHANNELS) 및 국제 채널(INTERNATIONAL CHANNELS)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로서, 이용가능한 채널을 시각화하여 스크롤을 통한 탐색으로 채널이 속한 국가 및 지역을 선택하게 한다.
도 130은 중단/재시작 시스템의 옵션을 나타낸 도로서, 재시작 TUO, 다른 OS 시작, 중단, 대기 버튼을 포함한다.

Claims (28)

  1. 두 개의 하드 디스크 또는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두 개의 분리된 구획, 웹 연결을 위한 확장 카드, 라디오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Tv 튜너 및 디코더 및 원격 제어기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를 위한 제1 OS가 제1 구획 또는 하드 디스크 상에서 기능하고, 제1 및 제2 구획 또는 하드 디스크가 동일한 원격 제어기로 제어되며, 제1 OS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한을 갖고, 이 제1 OS는 사용자가 개조하거나 교체할 수 없으며, 제2 운영 시스템은 제한 없이 사용자에 의해 개조 또는 교체가 가능하고, 다기능 장치가 이동가능하고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드 디스크/구획에서 제1 하드디스크/구획으로 서로 전환가능하나, 제1 구획/하드 디스크와 제2 구획/하드 디스크 사이의 상호작용은 가능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디스크/구획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으며, 임의의 잠재적인 컴퓨터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한 멀티미디어 구조(디스크 1)을 유지하여 허가되지 않은 접근을 차단하고, 이는 시스템과 함께 작동하도록 적용된 오픈 소스 플랫폼을 이용하는 독립적인 운영 시스템(OS)을 통해 성취되며,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하드 디스크 또는 파티션(A)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한을 갖는 단일 텔레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위한 독립적인 운영 시스템(O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기가 채널 제어, 볼륨, 이미지, 온/오프, 제1 하드 디스크/구획에 장착된 소프트웨어의 특정 페이지로 접근하기 위한 숏컷, 예를 들어, 홈(Home), 이전(Previous), 다음(Next), 방향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갖는 제1 측과 컴퓨터에 이용되는 품질Y 키보드, 숫자 키보드, 트랙볼 마우스, 오디오/비디오 숏컷을 갖는 제2 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CRT, LCD 또는 PLASMA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전기 배터리가 재충전 가능하고 제거가능하며, 열 소산을 위해 능동 및 수동 열 싱크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가 고온 공기를 배출시키는 2 개의 팬으로 구성된 통풍 시스템을 가져서, 전자 구성요소의 열 소산을 개선시키고 유닛 내로 균형잡힌 방식에 의해 공기를 분배시키며, 시스템에서 생성된 공기 분포가 나중에 장비의 구성요소들을 가열하도록 허용하며, 이 경우, 온도 센서가 시스템에게 시스템을 냉각시키라는 보내게 되고, 이 경고는 제2 팬이 활성화되게 하는 명령을 내리게 되며, CPU에 대해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는 제1 팬은 CPU의 반대측의 사이드 커버에 인접한 수평으로 위치한 제2 팬과 completed되어 고온 공기를 커버 상의 공기 격자를 통해 배출하며, 이때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센서가 팬과 통신하여 팬을 멈추도록하고, 이러한 메카니즘이 고온 공기가 팬에 가장 인접한 영역에 밀집하게 되는 방식으로 공기 순환을 허용함으로써 이들이 손쉽게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장비가 로봇식으로 이루어져 온도가 특정 한계에 도달하는 경우 보다 많은 공기를 장비의 내부 하드웨어에 보내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이중 사용 원격 제어기를 지녀서 사용자가 키보드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모니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모니터가 노트북-형 구조의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인터넷 카메라를 보유하여 라디오 방송국을 손쉽게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시스템이 인터넷 카메라 및 라디오 방송국용 서버 박스를 사용하며, 상기 라디오 방송국이 서버 박스에 연결된 인터넷 카메라를 가져서 정보를 세계의 모든 사용자들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 박스 없이 동일한 일이 일어날 수 있고, 카메라가 미니 PC이나 고해상도 이미지, 보안성 및 안전성을 갖는 경우,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정보가 서버로 보내지며, 상기 서버는 인터넷 카메라가 광고 중지 또는 다른 이유로 중단되자마자 시작되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광고를 허용하고,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박스 서버상에 있는 모든 방송국 전송을 기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두 지점 사이에 적외선 방벽을 형성하는 한 가닥 광선, 리시버/미러 및 카메라를 갖는 장치 앞의 움직임을 캡쳐하는 움직임 센서가 장착된 인터넷 카메라 및 VOIP 텔레폰을 이용하는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고, 다양한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호하고자 원하는 가정용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방벽을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방벽이 침범되거나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때, 청각적 알람이 활성화되며, 장치에 통합된 텔레폰이 보안 메시지를 VOIP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중 및(또는) 사 경비업체에 전송하여 미리 기록된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황을 설명하고 주소를 보내며, 상기 카메라가 360도 회전 시스템에 의해 허용된 모든 각도로부터 파노라마식 기록을 이용하여 가정에서 발생한 사건을 기록하기 시작하고, 상기 카메라는 이중적 이용을 허용하며 분 당 삼천 프레임을 캡쳐하고 광학 센서에 의해 기록된 프레임에서 발생한 변화를 즉석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일어날 수 있는 실질적인 움직임을 찾아내고, 이러한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움직임 수준을 측정하고 시스템에 작거나 큰 물체가 있는지를 결정하며, 동일한 이미지의 영역과 상이한 움직임 지각이 있는 모든 영역을 구별할 수 있으며, 당국에 전화하는 경우 텔레폰의 연결을 유지시킴으로써 오디오 감시로서 작용하고, 따라서 당국이 상기 장치를 장착한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인지하도록 하며, 상기 장치의 카메라는 보호된 구내의 다른 곳에 위한 다른 센서와 연결된 화재, 온도, 습도 센서를 구비하여 위험의 유형에 따라 당국에 경보를 하며, 알람이 활성화되고 보안 경찰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시작된 경우,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추측된 상황에 따라, 위조된 응급 상황의 경우 당국이 알람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비디오 카메라를 장착하여 사진을 캡쳐하고 비디오를 기록하여 이러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세계의 임의의 다른 장비에 전송하고, 구성 돔 구조를 갖는 카메라가 상기 장치에 통합될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독립적인 용도로도 가능하며, 상기 카메라는 동일한 물리적 구조를 공유하는 렌즈 및 구형 기계적 시스템인 돔형 구조를 갖고, 이는 카메라를 포함한 구형 모바일 부분으로 구성되어 이들을 반대 방향을 지시하도록 남겨두나 완전히 이동성이며 각 카메라에 대하여 완전하게 독립적이고, 모바일 구형 돔형 모바일 부분은 360도 각도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전기기계적 명령을 통해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비디오 카메라가 통합된 카메라 중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사물의 이미지 및 기록을 얻을 수 있고, 다른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비디오 회의 목적을 위해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통합된 보안 시스템에 의존하며, 이는 미리장착된 소프트웨어에 통합된 VOIP 텔레폰에 포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전기기계적 명령을 이용한 자동화 방식으로 축 상에서 회전할 수 있는 실린더 형태의 구조로서 도구화되고, (이러한 목적으로 제조된 특정 모터를 이용하는)연결된 인풋 장비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장비는 VOIP 기술에 따라 배치되고 전화를 받을 수 있고, 오디오폰이 비디오폰이며, 가상 비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음성 인식 기능을 갖춘 소프트웨어인 가상 비서를 보유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및 응답 기계의 운영을 수행하고, 상기 가상 비서는 사용자가 활성 광고를 클릭하였을 때 그와 e-커머스 센터를 연결해 주며, 상기 소프트웨어가 유입되는 전화에 대한 정보를 주고 전화 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소프트웨어가 받아들여진 전화와 받아들여지지 않은 전화의 로그를 보여주며, 음성 메시지를 문자로 전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메시지의 문자 기록을 인터넷을 통해 임의의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광고를 클릭하여 행해진 주문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상 비서 프로그램으로 전송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주문을 미리정해진 문자 주문으로 전환시켜 분배 센터로 직접 전송하여 전체 과정을 자동화된 주문 과정으로 만들고, 사용자가 자동 주문 대신에 콜 센터 종업원과의 통화를 선호하는 경우, 가상 비서가 사용자가 원할 수 있는 임의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콜 센터 관리자와 사용자를 연결시키고, 최종적인 주문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18. 사용자가 영역내에서 컨텐츠의 분재를 위한 관리자인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새롭게 정의된 서버 A로부터 서버 밀레니엄(Millennium)으로 컨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 A는 “접속 키(ACCESS KEY)”로 지칭될 수 있는 제1 키를, 서버 A의 동일 구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컨텐츠 제공자 소유의 서버인 서버 B로 지칭되는 지역 컨텐츠 서버에 요구하고, 서버 B는 요청된 컨텐츠의 이용가능성을 체크하고, 이것이 이용가능하다면, 서버 A에 유일한 “접속 키”를 전송하며, 이어 사용자 확인 및 서버 B의 컨텐츠 이용가능성 조회로 지불 절차가 진행될 수 있고, 서버 A는 미리 선택된 재정 제도를 이용하여 상응한 양의 금전을 사용자 계좌로부터 얻게 되며, 제2 키인 “복호화 키(DECRYPTING KEY)"가 컨텐츠 제공자의 구 내에 위치하는 서버 C로 지칭되는 중앙 컨텐츠 서버에 요청되고, 이러한 부분적 과정이 실제적인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이 아니라 단지 키 요청에 불과하여 이 서버 C는 서버 A의 물리적 위치에 매우 인접할 수 있으며, 상기 복호화 키는 서버 A를 반송되고, 상기 복호화 키 및 접속 키가 컨텐츠 없이 사용자에게 전송되며, 사용자는 그의 접속 키를 이용하여 서버 B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를 요청하고, 서버 B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사용자는 박스를 이용하여 해독 키를 이용하게 되어 컨텐츠를 해독하고, 상기 컨텐츠는 복호화 모드 시까지 박스의 내부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오직 모든 서버가 보안 보증을 갖고 모근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최근의 SSL 표준으로 보호되는 컨텐츠를 보거나 들으려고 결정한 시점에 해독될 수 있으며, 임의의 이유로 컨텐츠가 서버 B에서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예약 요청이 컨텐츠 제공자 소유의 서버 C에 요청되고, 상기 서버 C는 서버에서 컨텐츠 관리를 위한 시스템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후 컨텐츠를 항상 암호화된 형식으로 서버 B에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자는 서버 A와 동일한 구내에 위치한 그의 지정된 서버 B에 있는 그의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4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전세계 모든 나라의 국내 및 지역적으로 존재하는 채널 명세를 보여 주는 인터페이스가 IP TV 및 전세계의 모든 서버 A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을 통해 접근가능하고, 다른 일반적인 X 구역에서 가시적이지 않은 지역 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그의 멀티미디어 PC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되고,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라이브 스트림이 상기 지역의 서버 A로부터 전송되고, 여기서 상기 지역 채널이 상기 요청이 행해지고 IP를 통해 서버 A로 전송되어진 지역에 위치한 서버 A로 정상적으로 전송되며, 서버 A들 사이의 이러한 협력적인 메카니즘이 이용가능한 컨텐츠의 확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TV 전체화면(TV FULLSCREEN) 및 재생 기능(PREVIEW FUNCTION)을 가져서,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곳에 위치한 TVFS 버튼을 클릭할 때 사용자가 전체화면 TV 영상, 즉 그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간단한 사용자 명령에 의해 나타나거나 숨길 수 있는 바를 통해 접근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전체화면으로 보여지는 텔레비전 영역에 접속할 수 있고, 바에 존재하는 미리보기 기능이 네비게이션 및 화면의 하부 오른쪽에 위치한 작은 윈도우에서 채널의 프리뷰(PREVIEW) 보기를 하용하며, 교환(SWAP) 기능으로 전체화면의 컨텐츠를 즉시 소형 윈도우 중 하나로 전환시키고, 그 반대의 전환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웹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관리 시스템(Media Management System)을 지녀서 제공자가 그들의 컨텐츠를 관리하고 서버 A 내부로 삽입하도록 도와주고, 친절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녀서 컨텐츠 제공자가 그들의 상품을 정확한 포맷으로 삽입, 전송, 추적 및 전환시키게 하여 이를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사용자들이 즉시 볼 수 있게 하며,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은 3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제1 부분은 목적하는 컨텐츠 형태를 통해 삽입을 허용하고, 이어서 컨텐츠 제공자가 “전송”을 클릭하면 시스템이 맞는 형식으로의 전환을 관리, 즉 암호화시키고, 복호화 키를 데이터를 서버 A에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고, 제2 부분은 전에 삽입된 컨텐츠, 서비스의 사용량을 상세히 보고하여 유저가 전략적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고, 프로그램의 제3 부분은 서버 B에 로딩되지는 않았으나 제공자의 카탈로그에서 입수가능한 사용자로부터의 최종 요청을 수용하는 통합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3 가지의 메인 부분으로 구성된 광고 시스템, 사용자가 숫자, 코드 또는 웹사이트 이름을 클릭하도록 허용된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보유하여, 웹 사이트 클릭 시 회사 프리-페이지가 위치 순서로 나타나고, 모든 주문이 콜 센터 및 인터페이스의 가상 비서를 통해 즉시 이루어질 수 있고, 주문 컨텐츠가 사용자에 인접한 분배기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가 관심 광고 바를 지니고, 사용자가 클릭하는 모든 광고가 이 스크롤바에 부가되어, 추후 고려됨으로서 사용자가 최종 구매를 연기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호텔 및 다른 게이트로 제어된 커뮤니티에 컨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고, 청구 시스템을 위해 상기 커뮤니티 내부에 위치한 컨텐츠 하위 서버를 갖춰서 컨텐츠를 국소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서버는 2가지 키를 이용하는 동일한 보안 방법으로 보호되고, 커뮤니티 내부의 박스에 의해 행해진 모든 구매가 하위 서버로 보내지고, 이는 내부적으로 개인화된 청구서를 제공하는 동시에, 단일 존재인 커뮤니티는 모든 단일의 청구서의 총 합을 지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인터넷/위성 라우터를 포함하고, 이는 인터넷 랜, 와이맥스 인풋, 인터넷 신호를 위한 라우팅 회로소자와, 위성 디코팅이 능력을 갖고, 특정한 수의 디코딩 회로로 구성되며 인풋 시 다중화된 신호를 수용하여 이를 인터넷/위성 라우터에 의해 작동하는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한 다기능 텔레 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신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인터넷/위성 라우터가 전형적으로는 동일한 구내에서 전형적으로 n개의 컴퓨터로 구성되나, 2 내지 3 개의 멀티미디어 PC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그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인터넷/위성 라우터가 다중화된 신호를 A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n 배로 배가시켜 그의 n 내부 디코더로 전송하며, 권한이 부여된 내부 디코더의 수가 필요에 따라 3-4 이상일 수 있고, 이들 디코더가 IP를 통해 슬레이브 박스로부터 명령을 받아 상기 박스에 의해 요청된 임의의 채널을 IP 명령을 통해 수신하며, 장비가 하우스 내부의 매채 분포에 중심에 위치하여, 여기서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가 광대역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위성 채널 중 하나에 접속하여 라우터의 내부 디코더 중 하나를 원격으로 켜고, 이들 각각에 위성 디코더 및 고가의 하드웨어를 장착할 필요 없이 많은 터미널 중 한 위치에서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인터넷/위성 라우터가 모든 채널 및 이용가능한 인터넷 대역폭을 하우스 내의 멀티미디어 컴퓨터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라우터가 일반적인 또는 와이맥스 네트 인풋 및 다양한 아웃풋을 갖는 내부 라우터로 이루어져 하우스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PC에 인터넷 연결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컨텐츠 판매 관리용 시스템.
KR1020097004651A 2008-06-25 2009-02-24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KR101113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CS20080016 ITCS20080016A1 (it) 2008-06-25 2008-06-25 Computer virtuale multifunzione di telecomunicazione
ITCS2008A000016 2008-06-28
ITCS2009A000005 2009-02-21
IT000005A ITCS20090005A1 (it) 2009-02-21 2009-02-21 Apparato multifunzione di telecomunicazione
PCT/IT2009/000063 WO2009157029A1 (en) 2008-06-25 2009-02-24 Multifunction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601A KR20100084601A (ko) 2010-07-27
KR101113061B1 true KR101113061B1 (ko) 2012-04-12

Family

ID=4075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651A KR101113061B1 (ko) 2008-06-25 2009-02-24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41218A1 (ko)
EP (1) EP2316220A1 (ko)
KR (1) KR101113061B1 (ko)
CN (1) CN102197398A (ko)
RU (1) RU2011102577A (ko)
WO (1) WO2009157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8454A4 (en) 2009-09-15 2015-07-29 Comcast Cable Comm Llc CONTROL PLANE ARCHITECTURE FOR MULTICAST BUFFER MEMORY FILLING
WO2011145701A1 (ja) * 2010-05-19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ソース機器、シンク機器、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2088618A (zh) * 2010-12-30 2011-06-08 苏州汉辰数字多媒体有限公司 酒店视频播放控制方法
US20120229714A1 (en) * 2011-03-07 2012-09-13 Qiuhang Richard Qian Multifunction digital utility unit with the next generation multifunctional TV set
JP5010748B1 (ja) * 2011-03-09 2012-08-29 株式会社東芝 映像表示装置、映像処理方法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9398103B2 (en) * 2011-04-15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device performance through flow control
EP2620865A3 (en) * 2012-01-27 2016-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625163B (zh) * 2012-03-14 2016-01-2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用户与电视节目互动的方法及系统
KR102091137B1 (ko) * 2012-07-17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35039B1 (ko) * 2012-09-11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5909553B2 (ja) * 2012-09-21 2016-04-26 グリー株式会社 タイムライン領域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オブジェクト送信方法、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サーバ及び当該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
CN103235643A (zh) * 2013-04-09 2013-08-07 青岛旲天下智能科技有限公司 采用声控式的人机交互设备
EP3039951A4 (en) * 2013-08-27 2017-04-26 Thomson Licensing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ic equipment
US9600474B2 (en) 2013-11-08 2017-03-21 Google Inc. User interface for realtime language translation
WO2015075729A1 (en) * 2013-11-20 2015-05-28 Madhavrao Naik Atul System for deployment of value-added services over digital broadcast cable
CN104950827B (zh) * 2014-03-28 2017-07-25 青岛海尔电子有限公司 安防系统的远程控制方法
US11553018B2 (en) 2014-04-08 2023-01-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ynamically switched multicast delivery
CN105100914B (zh) * 2014-05-23 2019-11-22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装置
US9525848B2 (en) 2014-05-30 2016-12-20 Highfive Technologies, Inc. Domain trusted video network
CN104023258B (zh) * 2014-06-25 2017-08-25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终端设置方法及系统
JP1518775S (ko) 2014-07-14 2015-03-09
CN105049780A (zh) * 2014-12-15 2015-11-11 牛三平 习录仪
CN105808182B (zh) 2015-01-15 2019-09-17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显示控制方法及系统、广告破口判断装置、影音处理装置
US10715837B2 (en) * 2015-03-13 2020-07-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termination of a service office of a medi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to record a media content item with a network recorder
CN104978240B (zh) * 2015-04-30 2018-03-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恢复方法及终端
USD789414S1 (en) * 2015-08-13 2017-06-13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5306283B (zh) * 2015-12-09 2018-06-19 北京金山安全管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分级管理方法
KR101944051B1 (ko) 2018-02-08 2019-01-30 이창현 다기능 모니터 컨버팅 장치
CN108282628A (zh) * 2018-02-09 2018-07-1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电视主板、电视主板组件以及数字电视
JP2019176211A (ja) * 2018-03-27 2019-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EP3585061A1 (en) 2018-06-18 2019-12-25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Parental contro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7163656B2 (ja) * 2018-07-30 2022-11-01 株式会社リコー 配信システム、受信クライアント端末、配信方法
EP3608906B1 (en) 2018-08-07 2024-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cessing user voice utter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09340531A (zh) * 2018-12-10 2019-02-15 江苏沃达视听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智能会议一体机
US10887380B2 (en) * 2019-04-01 2021-01-05 Google Llc Multi-cluster ingress
CN112073772B (zh) * 2019-06-10 2022-08-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双系统的按键无缝传递方法及显示设备
TWI763176B (zh) * 2020-12-14 2022-05-01 中華電信股份有限公司 身分認證方法與身分認證系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0058B2 (en) 2003-07-26 2007-10-30 Innomedia Pte Video mail server with reduced frame loss
US7343081B1 (en) 1998-07-20 2008-03-11 4Tv Limited Identification of video storage media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3124A (en) * 1997-01-29 2000-06-06 Shopnow.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incorporating electronic information into an online purchasing application
US20040187157A1 (en) * 2003-03-18 2004-09-23 Yen-Hwong Chong Multifunctional integrated multimedia viewer system
CA2548924A1 (en) * 2006-05-04 2007-11-04 Stephen G. Gray Ultra handheld internet portable(u-hip)
GB2438007A (en) * 2006-05-12 2007-11-14 Tarquin Andrew Stehle Combined flat screen television and PC
US8402499B2 (en) * 2006-08-31 2013-03-19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Voicemail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080158336A1 (en) * 2006-10-11 2008-07-03 Richard Benson Real time video streaming to video enabled communication device, with server based processing and optional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3081B1 (en) 1998-07-20 2008-03-11 4Tv Limited Identification of video storage media
US7290058B2 (en) 2003-07-26 2007-10-30 Innomedia Pte Video mail server with reduced frame 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02577A (ru) 2012-07-27
WO2009157029A1 (en) 2009-12-30
EP2316220A1 (en) 2011-05-04
US20110141218A1 (en) 2011-06-16
CN102197398A (zh) 2011-09-21
KR20100084601A (ko) 201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061B1 (ko)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JP6676135B2 (ja) コンテンツ送信先を割り当てるユーザ定義規則
KR101724975B1 (ko) 다수의 장치를 갖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시스템
ES2449234T5 (es) Distribución de contenido multimedia interactivo utilizando una red de comunicaciones de canal de retorno independiente
TWI505096B (zh) 用於多媒體管理、廣告、內容及服務系統之方法
US9021607B2 (en) Advanced user interface and control paradigm includ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features for multiple service operator extended functionality offers
US20120221952A1 (en) Advanced user interface and control paradigm including contextual collaboration for multiple service operator extended functionality offers
KR20120131215A (ko) 인터랙티브 미디어 가이던스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프로파일들의 관리
JP2003502921A (ja) ハンドヘルドアプリケーションデバイスを用いた双方向テレビ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
CA3101204A1 (en) Maintaining a user profile based on dynamic data
CN101547297A (zh) 开放有线应用平台机顶盒个人简档及通信应用
KR101541913B1 (ko) 셋 탑 박스 작동 장치 및 셋 탑 박스 작동 방법
ITCS20090005A1 (it) Apparato multifunzione di telecomunicazione
ITCS20080016A1 (it) Computer virtuale multifunzione di telecomunicazione
CN113347501A (zh) 视频播放方法及装置
SECTOR et al. ITU-T Focus Group
KR20030045900A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디지탈 멀티미디어 공급 및운영시스템
JP2005151514A (ja) インターネット制御テレビ録画サービ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