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025A -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025A
KR20160048025A KR1020157021095A KR20157021095A KR20160048025A KR 20160048025 A KR20160048025 A KR 20160048025A KR 1020157021095 A KR1020157021095 A KR 1020157021095A KR 20157021095 A KR20157021095 A KR 20157021095A KR 20160048025 A KR20160048025 A KR 20160048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 prediction
block
mode
prediction mod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
정지욱
예세훈
구문모
김태섭
성재원
손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04N19/1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including determination of the initial value of an encoding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현재 블록의 공간적 이웃 블록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고, 현재 블록의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며, 상기 수정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하고, 상기 유도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코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 부호화란 디지털화한 정보를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거나, 저장 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저장하는 일련의 신호 처리 기술을 의미한다. 압축 부호화의 대상에는 음성, 영상, 문자 등의 대상이 존재하며, 특히 영상을 대상으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하는 기술을 비디오 영상 압축이라고 일컫는다. 다시점 비디오 영상의 일반적인 특징은 공간적 중복성, 시간적 중복성 및 시점간 중복성을 지니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신호의 코딩 효율을 높이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현재 블록의 공간적 이웃 블록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고, 현재 블록의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며, 상기 수정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하고, 상기 유도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간적 이웃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에 인접한 좌측 이웃 블록 및 상단 이웃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변이 벡터에 기초하여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을 획득하며, 상기 참조 블록이 인트라 모드로 코딩된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참조 블록이 인트라 모드로 코딩된 블록인 경우, 상기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는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 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좌측상단에 위치한 이웃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웃 블록의 변이 벡터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뎁스 데이터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는 상기 현재 블록이 이용 가능한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를 정의하되, 상기 리스트 인덱스 정보는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이웃 시점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의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적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재 블록에 공간적으로 인접한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정확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함에 따라 현재 블록의 레지듀얼을 코딩함에 필요한 비트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적으로 인접한 이웃 블록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시점 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이웃 시점에 위치한 참조 블록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의 코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비디오 디코더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비디오 디코더가 적용되는 방송 수신기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인트라 예측 모드의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블록의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수정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현재 블록의 공간적 이웃 블록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고, 현재 블록의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며, 상기 수정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하고, 상기 유도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간적 이웃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에 인접한 좌측 이웃 블록 및 상단 이웃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변이 벡터에 기초하여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을 획득하며, 상기 참조 블록이 인트라 모드로 코딩된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참조 블록이 인트라 모드로 코딩된 블록인 경우, 상기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는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 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좌측상단에 위치한 이웃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웃 블록의 변이 벡터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뎁스 데이터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는 상기 현재 블록이 이용 가능한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를 정의하되, 상기 리스트 인덱스 정보는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이웃 시점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의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적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비디오 디코더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디오 디코더는 NAL 파싱부(100), 엔트로피 디코딩부(110), 역양자화/역변환부(120), 인트라 예측부(130), 인-루프 필터부(140), 복호 픽쳐 버퍼부(150), 인터 예측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NAL 파싱부 (100)는 다시점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뎁스 데이터가 텍스쳐 데이터의 코딩에 필요한 경우, 인코딩된 뎁스 데이터를 포함한 비트스트림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입력되는 텍스쳐 데이터와 뎁스 데이터는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전송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비트스트림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NAL 파싱부(10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기 위해 NAL 단위로 파싱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된 비트스트림이 다시점 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3-Dimensional Video)인 경우, 입력된 비트스트림은 카메라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파라미터에는 고유의 카메라 파라미터 (intrinsic camera parameter) 및 비고유의 카메라 파라미터 (extrinsic camera parameter)가 있을 수 있고, 고유의 카메라 파라미터는 초점 거리(focal length), 가로세로비(aspect ratio), 주점(principal point)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비고유의 카메라 파라미터는 세계 좌표계에서의 카메라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부(110)는 엔트로피 디코딩을 통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 텍스쳐 픽쳐의 예측을 위한 코딩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역양자화/역변환부(120)에서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양자화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변환 계수를 획득하고, 변환 계수를 역변환하여 텍스쳐 데이터 또는 뎁스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복호화된 텍스쳐 데이터 또는 뎁스 데이터는 예측 코딩에 따른 레지듀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뎁스 블록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는 텍스쳐 데이터의 복잡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뎁스 블록에 대응하는 텍스쳐 블록이 복잡도가 높은 영역인 경우에는 낮은 양자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복잡도가 낮은 영역인 경우에는 높은 양자화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텍스쳐 블록의 복잡도는 수학식 1과 같이 복원된 텍스쳐 픽쳐 내에서 서로 인접한 픽셀들 간의 차분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수학식 1에서 E는 텍스쳐 데이터의 복잡도를 나타내고, C는 복원된 텍스쳐 데이터를 의미하며, N은 복잡도를 산출하고자 하는 텍스쳐 데이터 영역 내의 픽셀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텍스쳐 데이터의 복잡도는 (x,y) 위치에 대응하는 텍스쳐 데이터와 (x-1,y) 위치에 대응하는 텍스쳐 데이터 간의 차분값 및 (x,y) 위치에 대응하는 텍스쳐 데이터와 (x+1,y) 위치에 대응하는 텍스쳐 데이터 간의 차분값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복잡도는 텍스쳐 픽쳐와 텍스쳐 블록에 대해서 각각 산출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양자화 파라미터를 유도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수학식 2를 참조하면, 뎁스 블록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는 텍스쳐 픽쳐의 복잡도와 텍스쳐 블록의 복잡도의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α 및 β는 디코더에서 유도되는 가변적인 정수일 수 있고, 또는 디코더 내에서 기 결정된 정수일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130)는 현재 텍스쳐 픽쳐 내의 복원된 텍스쳐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현재 블록에 인접한 이웃 샘플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샘플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뎁스 픽쳐에 대해서도 텍스쳐 픽쳐와 동일한 방식으로 화면 내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쳐 픽쳐의 화면 내 예측을 위해 이용되는 코딩 정보를 텝스 픽쳐에서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내 예측을 위해 이용되는 코딩 정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인트라 예측의 파티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루프 필터부(140)는 블록 왜곡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각의 코딩된 블록에 인-루프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필터는 블록의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하여 디코딩된 픽쳐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링을 거친 텍스쳐 픽쳐 또는 뎁스 픽쳐들은 출력되거나 참조 픽쳐로 이용하기 위해 복호 픽쳐 버퍼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텍스쳐 데이터의 특성과 뎁스 데이터의 특성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동일한 인-루프 필터를 사용하여 텍스쳐 데이터와 뎁스 데이터의 코딩을 수행할 경우, 코딩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뎁스 데이터를 위한 별도의 인-루프 필터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하, 뎁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는 인-루프 필터링 방법으로서, 영역 기반의 적응적 루프 필터 (region-based adaptive loop filter)와 트라일래터럴 루프 필터 (trilateral loop filter)를 살펴 보기로 한다.
영역 기반의 적응적 루프 필터의 경우, 뎁스 블록의 변화량 (variance)에 기초하여 영역 기반의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뎁스 블록의 변화량은 뎁스 블록 내에서 최대 픽셀값과 최소 픽셀값 간의 차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뎁스 블록의 변화량과 기결정된 문턱값 간의 비교를 통해서 필터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뎁스 블록의 변화량이 기결정된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뎁스 블록 내의 최대 픽셀값과 최소 픽셀값 간의 차이가 큰 것을 의미하므로 영역 기반의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뎁스 변화량이 기결정된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영역 기반의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필터를 적용하는 경우, 필터링된 뎁스 블록의 픽셀값은 소정의 가중치를 이웃 픽셀값에 적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가중치는 현재 필터링되는 픽셀과 이웃 픽셀 간의 위치 차이 및/또는 현재 필터링되는 픽셀값과 이웃 픽셀값 간의 차분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웃 픽셀값은 뎁스 블록 내에 포함된 픽셀값 중에서 현재 필터링되는 픽셀값을 제외한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일래터럴 루프 필터는 영역 기반의 적응적 루프 필터와 유사하나, 텍스쳐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트라일래터럴 루프 필터는 다음의 세가지 조건을 비교하여, 이를 만족하는 이웃 픽셀의 뎁스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조건 1은 뎁스 블록 내의 현재 픽셀(p)와 이웃 픽셀(q) 간의 위치 차이를 기결정된 매개변수 과 비교하는 것이고, 조건 2는 현재 픽셀(p)의 뎁스 데이터와 이웃 픽셀(q)의 뎁스 데이터 간의 차분을 기결정된 매개변수 와 비교하는 것이며, 조건 3은 현재 픽셀(p)의 텍스쳐 데이터와 이웃 픽셀(q)의 텍스쳐 데이터 간의 차분을 기결정된 매개변수 과 비교하는 것이다.
상기 세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이웃 픽셀들을 추출하고, 이들 뎁스 데이터의 중간값 또는 평균값으로 현재 픽셀(p)을 필터링할 수 있다.
복호 픽쳐 버퍼부(Decoded Picture Buffer unit)(600)에서는 화면 간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전에 코딩된 텍스쳐 픽쳐 또는 뎁스 픽쳐를 저장하거나 개방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이 때 복호 픽쳐 버퍼부(150)에 저장하거나 개방하기 위해서 각 픽쳐의 frame_num 과 POC(Picture Order Count)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뎁스 코딩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코딩된 픽쳐들 중에는 현재 뎁스 픽쳐와 다른 시점에 있는 뎁스 픽쳐들도 있으므로, 이러한 픽쳐들을 참조 픽쳐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뎁스 픽쳐의 시점을 식별하는 시점 식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복호 픽쳐 버퍼부(150)는 보다 유연하게 화면 간 예측을 실현하기 위하여 적응 메모리 관리 방법(Memory Management Control Operation Method)과 이동 윈도우 방법(Sliding Window Method) 등을 이용하여 참조 픽쳐를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참조 픽쳐와 비참조 픽쳐의 메모리를 하나의 메모리로 통일하여 관리하고 적은 메모리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뎁스 코딩에 있어서, 뎁스 픽쳐들은 복호 픽쳐 버퍼부 내에서 텍스쳐 픽쳐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별도의 표시로 마킹될 수 있고, 상기 마킹 과정에서 각 뎁스 픽쳐를 식별해주기 위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인터 예측부(160)는 복호 픽쳐 버퍼부(150)에 저장된 참조 픽쳐와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모션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션 정보라 함은 모션 벡터, 레퍼런스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인터 예측부(160)는 모션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시간적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시간적 인터 예측이라 함은 현재 텍스쳐 블록과 동일 시점 및 다른 시간대에 위치한 참조 픽쳐 및 현재 텍스쳐 블록의 모션 정보를 이용한 인터 예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다시점 영상의 경우, 시간적 인터 예측뿐만 아니라 시점 간 인터 예측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시점 간 인터 예측이라 함은 현재 텍스쳐 블록과 다른 시점에 위치한 참조 픽쳐와 현재 텍스쳐 블록의 모션 정보를 이용한 인터 예측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이해 편의를 위하여 시점 간 예측에 이용되는 모션 정보를 인터뷰 모션 벡터, 인터뷰 레퍼런스 인덱스 정보라 부르기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모션 정보는 인터뷰 모션 벡터와 인터뷰 레퍼런스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유연하게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비디오 디코더가 적용되는 방송 수신기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공중파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뎁스 관련 정보들을 이용하여 3차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튜너(200), 복조/채널 디코더(202), 트랜스포트 역다중화부(204), 패킷 해제부(206), 오디오 디코더(208), 비디오 디코더(210), PSI/PSIP 처리부(214), 3D 렌더링부(216), 포맷터(220) 및 디스플레이부(222)를 포함한다.
튜너(20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방송 신호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국한 어느 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복조/채널 디코더(202)는 튜너(200)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에 대하여 에러 정정 디코딩을 수행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출력한다. 트랜스포트 역다중화부(204)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PES와 오디오 PES를 분리하고, PSI/PSIP 정보를 추출해낸다. 패킷 해제부(206)는 비디오 PES와 오디오 PES에 대하여 패킷을 해제하여 비디오 ES와 오디오 ES를 복원한다. 오디오 디코더(208)는 오디오 ES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오디오 비트스트림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미도시)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증폭기(미도시됨)에 의해 증폭된 후, 스피커(미도시됨)를 통해 출력된다. 비디오 디코더(210)는 비디오 ES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영상을 복원한다. 상기 오디오 디코더(208)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210)의 디코딩 과정은 PSI/PSIP 처리부(214)에 의해 확인되는 패킷 ID(PID)를 토대로 진행될 수 있다. 디코딩 과정에서, 상기 비디오 디코더(210)는 뎁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카메라 시점의 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부가 정보, 예를 들어, 카메라 정보, 또는 상대적으로 앞에 있는 객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Occlusion)을 추정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객체 윤곽선 등 기하학적 정보, 객체 투명도 정보 및 컬러 정보) 등을 추출하여 3D 렌더링부(216)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뎁스 정보 및/또는 부가 정보가 트랜스포트 역다중화부(204)에 의해 분리될 수도 있다.
PSI/PSIP 처리부(214)는 트랜스포트 역다중화부(204)로부터의 PSI/PSIP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파싱하여 메모리(미도시) 또는 레지스터에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방송이 재생되도록 한다. 3D 렌더링부(216)는 복원된 영상, 뎁스 정보, 부가 정보 및 카메라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 위치에서의 컬러 정보, 뎁스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3D 렌더링부(216)는 복원된 영상과, 상기 복원된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이용하여 3D 와핑(Warping)을 수행함으로써, 가상 카메라 위치에서의 가상 영상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3D 렌더링부(216)가 상기 비디오 디코더(210)와 별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3D 렌더링부(216)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210)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포맷터(220)는 디코딩 과정에서 복원한 영상 즉, 실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과, 3D 렌더링부(216)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 영상을 해당 수신기에서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게 포맷팅하여, 디스플레이부(222)를 통해 3D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3D 렌더링부(216)에 의한 가상 카메라 위치에서의 뎁스 정보 및 가상 영상의 합성, 그리고 포맷터(220)에 의한 영상 포맷팅이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시청자는 리모콘(미도시)을 조작하여 합성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영상 합성이 이루어질 시점을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뎁스 정보는 3D 렌더링부(216)에서 이용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비디오 디코더(210)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인트라 예측 모드의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트라 예측 모드에는 Planar 모드 (intra_Planar), DC 모드 (intra_DC), Angular 모드 (intra_Angular)가 있다. 여기서, Planar 모드라 함은 현재 블록의 상단, 좌측, 좌측하단 및 우측상단에 위치한 이웃 샘플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현재 블록의 샘플을 예측하는 모드이다. 구체적으로, 상단 및 좌측하단에 위치한 이웃 샘플들의 이중 선형 보간(bi-linear interpolation)에 따른 값과 좌측 및 우측상단에 위치한 이웃 샘플들의 이중 선형 보간에 따른 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값들 간의 평균치를 현재 블록의 예측된 샘플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DC 모드는 현재 블록의 상단, 좌측, 좌측상단에 위치한 이웃 샘플들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샘플을 예측하는 모드이다. 상기 Angular 모드는 예측 방향의 각도에 따른 이웃 샘플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샘플을 예측하는 모드이다. Angular 모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모드와 수평 모드를 포함하여 총 33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블록의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후보자 모드 리스트는 현재 블록이 이용 가능한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를 정의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블록이 사용할 가능성이 큰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 인덱스 정보는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인트라 예측 모드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한다.
먼저,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S400). 여기서, 이웃 블록은 현재 블록에 인접한 좌측 이웃 블록 및 상단 이웃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웃 블록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또는 상기 이웃 블록이 인트라 모드로 코딩되지 아니한 경우, 해당 이웃 블록은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가지고 있지 아니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기정의된 인트라 예측 모드(예를 들어, DC 모드)를 상기 이웃 블록에 할당함으로써,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
S400 단계에서 획득된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IntraModeleft)와 상단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IntraModetop)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10). 이는,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중복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S410 단계의 확인 결과, 양자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한 경우,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Planar 모드 또는 DC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20).
만일,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Planar 모드와 DC 모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 후보자 모드 리스트는 Planar 모드, DC 모드 및 수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서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0인 위치에 Planar 모드를,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1인 위치에 DC 모드를,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에 수직 모드를 할당할 수 있다.
반면,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Planar 모드와 DC 모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경우, 후보자 모드 리스트는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이로부터 유도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S440).
구체적으로,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0인 위치에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할당한다. 그런 다음,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값에서 1을 뺀 값에 대응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1인 위치에 할당하고,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값에서 1을 더한 값에 대응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값이 10인 경우,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값이 9와 11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S410 단계의 확인 결과, 양자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는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단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S450).
구체적으로,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0인 위치에 좌측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1인 위치에 상단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각각 할당할 수 있다. 나아가,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에는 좌측/상단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고려해서 기정의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lanar 모드, DC 모드 및 수직 모드 중에서 좌측/상단 이웃 블록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하지 아니한 모드를 선택하여 이를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Planar 모드, DC 모드, 수직 모드 간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좌측/상단 이웃 블록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 과정은 좌측/상단 이웃 블록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하지 아니한 모드를 찾을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공간적으로 인접한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뿐만 아니라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재 시점의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disparity vector)를 획득할 수 있다(S500). 여기서, 변이 벡터는 시점 방향으로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참조 블록을 특정하는 모션 벡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는 이웃 블록의 변이 벡터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웃 블록은 현재 블록의 좌측, 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좌측상단에 위치한 이웃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웃 블록이 가진 변이 벡터를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는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뎁스 데이터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유도 방법은 수학식 3 및 4를 토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Figure pct00006
수학식 3을 참조하면, Z는 해당 픽셀의 카메라로부터의 거리를 의미하며, D는 Z를 양자화한 값으로서, 뎁스 데이터에 대응된다. Znear 및 Zfar 는 현재 시점에 대해서 정의된 Z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Znear 및 Zfar 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등을 통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디코더 내에 미리 정의된 정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해당 픽셀의 카메라로부터의 거리 Z를 256레벨로 양자화한 경우, 수학식 3과 같이 뎁스 데이터, Znear 및 Zfar 를 이용하여 Z를 복원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복원된 Z를 이용하여 수학식 4와 같이 현재 블록에 대한 변이 벡터를 유도할 수 있다.
Figure pct00007
수학식 4에서, d는 변이 벡터를, f는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B는 카메라 간의 거리를 각각 의미한다. f 및 B는 모든 카메라에 대해서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고, 따라서 디코더에 미리 정의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에 기초하여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S510). 여기서, 이웃 시점은 현재 시점이 아닌 다른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웃 시점은 시점 간 예측을 하지 아니하고, 다른 시점과 독립적으로 코딩되는 베이스 시점(base view)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참조 블록은 현재 블록의 위치를 기준으로 변이 벡터에 의해서 특정된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블록이 인트라 모드로 코딩된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20). 다시 말해 상기 참조 블록이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20 단계의 확인 결과, 참조 블록이 인트라 모드로 코딩된 블록인 경우, 상기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수정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530). 구체적인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수정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1. 후보자 모드 리스트의 재배열(Rearrangement)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할 경우, 현재 블록은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 이 경우,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를 변경하여 이를 재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와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0인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 간의 위치를 서로 바꿈으로써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재배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이미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0인 위치에 존재한다면 상기 재배열 과정은 스킵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 (MPMview)가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서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 (MPM2)와 동일한 경우,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 (MPM2)와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0인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 (MPM0) 간의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될 확률이 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0인 위치에 배열함으로써,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특정하는 모드 인덱스 정보를 코딩하는데 필요한 비트 수를 줄일 수 있다.
2. 인트라 예측 모드의 대체(Replacement)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의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MPM0, MPM1, MPM2) 중 어느 하나를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MPMview)로 대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MPM2)를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MPMview)로 대체할 수 있다. 이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MPM2)가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에서 가장 선택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3. 인트라 예측 모드의 추가(Addition)
공간적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유도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를 참조하면,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서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3인 위치에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3인 위치에 인트라 예측 모드를 추가하더라도 MPM0 내지 MPM3은 여전히 2bits로 코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서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0인 위치에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0인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1인 위치로,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1인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로,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2인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가 3인 위치로 각각 재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Planar 모드 또는 DC 모드인 경우에는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서 최상단에 위치시키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Angular 모드인 경우)에는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서 최하단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수정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적응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베이스 모드 이용 플래그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모드 이용 플래그는 현재 블록에 대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모드 이용 플래그가 이웃 시점으로부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할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한하여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으로부터 인트라 예측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기 생성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앞서 상술한 후보자 모드 리스트의 재배열 방식, 인트라 예측 모드의 대체 방식 및 인트라 예측 모드의 추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할 수 있다. 만일,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기 생성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의 대체 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추가는 실익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기 생성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보자 모드 리스트의 재배열 방식을 이용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대체 방식 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추가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후보자 모드 리스트는 공간적 이웃 블록을 이용하여 유도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수정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후보자 모드 플래그를 획득할 수 있다(S700). 여기서, 후보자 모드 플래그는 현재 블록이 후보자 모드 리스트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후보자 모드 플래그가 현재 블록이 후보자 모드 리스트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트라 모드 인덱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10). 여기서, 인트라 모드 인덱스 정보는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서 현재 블록의 화면 내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특정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후보자 모드 리스트로부터 상기 인트라 모드 인덱스 정보에 대응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S720).
반면, 상기 획득된 후보자 모드 플래그가 현재 블록이 후보자 모드 리스트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지 아니함을 나타내는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추출할 수 있다(S730).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는 35가지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에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제외한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추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할 수 있다(S740).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코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현재 블록의 공간적 이웃 블록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현재 블록의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유도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이웃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에 인접한 좌측 이웃 블록 및 상단 이웃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변이 벡터에 기초하여 이웃 시점의 참조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참조 블록이 인트라 모드로 코딩된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블록이 인트라 모드로 코딩된 블록인 경우, 상기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는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 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좌측상단에 위치한 이웃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웃 블록의 변이 벡터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뎁스 데이터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는 상기 현재 블록이 이용 가능한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를 정의하되,
    상기 리스트 인덱스 정보는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에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이웃 시점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리스트 인덱스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재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 내의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자 모드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적 이웃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후보자 모드 리스트에 상기 이웃 시점으로부터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KR1020157021095A 2013-01-07 2014-01-07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480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49395P 2013-01-07 2013-01-07
US61/749,395 2013-01-07
PCT/KR2014/000135 WO2014107083A1 (ko) 2013-01-07 2014-01-07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025A true KR20160048025A (ko) 2016-05-03

Family

ID=5106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095A KR20160048025A (ko) 2013-01-07 2014-01-07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26239B2 (ko)
EP (1) EP2942955A4 (ko)
JP (1) JP6306050B2 (ko)
KR (1) KR20160048025A (ko)
CN (1) CN104904209B (ko)
WO (1) WO20141070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17A1 (ko) * 2016-10-17 2018-04-26 디지털인사이트주식회사 화면 내 예측에 대한 참조 모드 리스트를 사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815B1 (ko) 2011-12-05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WO2015005750A1 (ko) * 2013-07-12 2015-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변이 벡터 유도를 사용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US10554980B2 (en) * 2015-02-23 2020-0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image on basis of intra prediction mode and device therefor
EP3654646A1 (en) 2015-06-05 2020-05-20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intra-frame prediction based on block shape
KR20170058837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면내 예측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4192009A1 (en) * 2015-11-19 2023-06-07 LX Semico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ntra prediction mode
KR102531386B1 (ko) * 2016-10-04 2023-05-12 주식회사 비원영상기술연구소 영상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9120926B (zh) 2017-06-23 2019-08-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预测模式选择方法、装置及介质
US10708626B2 (en) * 2018-11-19 2020-07-07 Google Llc Iterative IDCT with adaptive non-linear filtering
US20220239906A1 (en) * 2021-01-26 2022-07-28 Beijing Dajia Internet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daptive loop filter in video cod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4839B2 (en) * 2007-06-27 2014-08-12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ethod for image prediction of multi-view video codec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049455B2 (en) * 2010-12-28 2015-06-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age coding method of coding a current picture with prediction using one or both of a first reference picture list including a first current reference picture for a current block and a second reference picture list including a second current reference picture for the current block
US9485518B2 (en) * 2011-05-27 2016-11-01 Sun Patent Trust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candidate motion vectors
KR101889582B1 (ko) 2011-05-31 2018-08-20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동화상 부호화 장치, 동화상 복호화 방법, 동화상 복호화 장치, 및, 동화상 부호화 복호화 장치
JP5252029B2 (ja) 2011-05-31 2013-07-3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復号方法、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プログラム
US9654785B2 (en) * 2011-06-09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intra-prediction mode signaling for video coding using neighboring mode
EP2721825A4 (en) * 2011-06-15 2014-12-24 Mediatek Inc METHOD AND DEVICE FOR MOTION AND DISPARITY VECTOR PREDICTION AND COMPENSATION IN 3D VIDEO CODING
US9154796B2 (en) * 2011-11-04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Intra-mode video co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17A1 (ko) * 2016-10-17 2018-04-26 디지털인사이트주식회사 화면 내 예측에 대한 참조 모드 리스트를 사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04209A (zh) 2015-09-09
EP2942955A1 (en) 2015-11-11
JP2016506689A (ja) 2016-03-03
CN104904209B (zh) 2018-07-24
EP2942955A4 (en) 2016-07-20
US20150350657A1 (en) 2015-12-03
WO2014107083A1 (ko) 2014-07-10
US9826239B2 (en) 2017-11-21
JP6306050B2 (ja)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8025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25058B1 (ko) 시점간 예측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8632629B (zh) 针对多视图视频信号生成合并候选列表的方法及解码装置
US11190790B2 (en) Parallel processing method for color component of video signal, and device therefor
KR20110117075A (ko) 경계 인트라 코딩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20175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02716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116840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9194502A1 (ko) 인터 예측 모드 기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3425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70211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RU262552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идеосигнала
KR20160004946A (ko) 다시점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90053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53592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02712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83617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9567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2840649A (zh) 图像编码系统中通过使用块分割对图像解码的方法及其装置
KR20150079606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300036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8104234A (zh) 基于帧内预测模式导出的帧内预测方法和设备
CN117356091A (zh) 使用辅mpm列表的帧内预测方法和装置
CN117178549A (zh) 基于帧内预测模式推导的帧内预测方法和装置
CN116456108A (zh) 图像解码方法、图像编码方法以及发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