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211A -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211A
KR20160047211A KR1020140143309A KR20140143309A KR20160047211A KR 20160047211 A KR20160047211 A KR 20160047211A KR 1020140143309 A KR1020140143309 A KR 1020140143309A KR 20140143309 A KR20140143309 A KR 20140143309A KR 20160047211 A KR20160047211 A KR 2016004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tag
tag information
door
user
speed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웅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4014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211A/ko
Publication of KR2016004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전철 게이트에서 무선 표준 ISO 15693에 준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이동수단을 인식하고, 출입 통제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동수단을 이용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전철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에 위치한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등록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수단에 부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수신한 RFID 태그 정보와 인식한 RFID 태그 정보의 비교를 통해 도어를 제어하는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는 원격에 위치한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등록된 장애인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이동수단에 부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2카드리더기; 상기 제2카드리더기에서 인식된 RFID 태그 정보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RFID 태그 정보일 경우 도어를 개방토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speed gate of subway station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드 게이트에서 무선 표준 ISO 15693(13.56MHz 대역 주파수 사용)에 준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휠체어, 장애인, 경로우대자, 국가 유공자 등)를 인식하고, 출입 통제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스피드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철(지하철, 도시철도 포함) 역사에 설치된 게이트 시스템(개집표기)은, 승객이 소지한 승차권 또는 교통카드에 의해 출입구가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현재 운용중인 구조는 크게 턴 스타일(Turn Style) 게이트와 플랩(Flap) 게이트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개집표 게이트는 승객이 승차권을 투입(또는, 태깅)하거나 또는 교통카드를 RF리더기에 근접시키면 판독 과정을 수행하고, 정상적인 승차권이거나 요금결제가 가능한 교통카드일 경우에는 플랩 도어(또는, 회전봉)를 개방한다. 이와는 달리 비정상적인 승차권이거나 비정상적인 교통카드일 경우에는 플랩을 폐쇄하거나 회전 봉을 록킹함과 동시에 경보를 발생하여, 부정한 승객이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을 막게 된다.
이러한 전철 역사에는 휠체어, 장애인, 경로우대자, 국가유공자 등이 편리하게 전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스피드 게이트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스피드 게이트의 특징으로는 게이트 길이를 짧게 하거나, 게이트 간 간격을 넓게 하여 휠체어 등을 이용하는 데 불편하지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드 게이트도 이를 통과하려면 RFID 태그(교통카드)를 게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RFID 리더에 접촉해야한다. 현재 스피드 게이트에는 ISO 14443 A 또는 B 표준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이 운영되고 있으며, 카드 최대 인식거리는 10cm이내이다.
역사 게이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종래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7-0079973호(2007.08.08. 공개)에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이용 정보를 수집하고, 역사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비상시 또는 그 외의 문제점 발생시 RF카드 게이트 및 RF카드+MS티켓 게이트로 원격 제어를 하여 동시에 게이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위험한 상황에 대해 민첩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역사 게이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7-0079973호(2007.08.08. 공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스피드 게이트 및 종래기술은 RFID 리더에 교통카드를 근접시켜야 하므로, 사용자(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카드를 태깅하는 데 많은 불편함이 있는 단점이 있다.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교통카드(또는, 승차권) 사용에 어려움이 있어, 역무원을 호출하게 되며, 이로써 역무원을 대기하는 시간 낭비가 발생하고, 역무원 또한 장애인을 위해 반드시 대기해야하는 인적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철 게이트에서 무선 표준 ISO 15693에 준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출입 통제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전철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이동수단에 부착한(또는, 장애인이 휴대한) RFID 카드를 원거리에서 인식하여 출입 통제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장애인이 보다 편리하게 전철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는 원격에 위치한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등록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별도의 이동수단에 부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수신한 RFID 태그 정보와 인식한 RFID 태그 정보의 비교를 통해 도어를 제어하는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는 원격에 위치한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등록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이동수단에 부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2카드리더기; 상기 제2카드리더기에서 인식된 RFID 태그 정보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RFID 태그 정보일 경우 도어를 개방토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는 승객이 태깅하는 교통카드를 인식하는 제1카드리더기; 승객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출입 통제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승객 또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폐쇄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는 승객의 진입 불가 상태 또는 요금 처리 결과를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 RFID 태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RFID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메모리에 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제어방법은 (a) 공공기관으로부터 등록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이동수단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c) 인식한 RFID태그와 메모리에 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이용자가 정상적일 경우, 도어를 개방토록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도어를 개방한 후 이용자가 검출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상기 도어를 폐쇄토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철 게이트에서 무선 표준 ISO 15693에 준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동수단을 이용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전철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수단에 부착한(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카드를 원거리에서 인식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전철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100)는 제1카드리더기(101), 제2카드리더기(102), 도어(103),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카드리더기(101)는 스피드 게이트(1)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객이 사용하는 교통카드(교통기능이 있는 신용카드, 티-머니와 같은 교통카드, 1회용 교통카드를 포함)를 근접 거리에서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카드리더기(102)는 스피드 게이트(1)에 설치된 도어(103)에 장착되어, 이동수단(예를 들어, 휠체어)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110)는 원격에 위치한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등록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수단에 부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수신한 RFID 태그 정보와 인식한 RFID 태그 정보의 비교를 통해 도어(103)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110)는 상기 스피드 게이트(1)에 내장되거나 역사의 역무실에 설치되어 스피드 게이트(1)와 통신을 통해 스피드 게이트(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110)는 원격에 위치한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등록된 장애인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118); 이동수단에 부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2카드리더기(102); 상기 제2카드리더기(102)에서 인식된 RFID 태그 정보와 상기 통신 모듈(118)을 통해 획득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RFID 태그 정보일 경우 도어(103)를 개방토록 제어하는 제어부(114); 상기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도어(103)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구동부(1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110)는 승객이 태깅하는 교통카드를 인식하는 제1카드리더기(101); 승객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13); 승객의 진입 불가 상태 또는 요금 처리 결과를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115);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117); RFID 태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1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14)는 도어(103)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13)에 의해 승객 또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도어 구동부(115)를 제어하여 도어(103)를 폐쇄토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모듈(118)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RFID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메모리(119)에 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철에 설치된 스피드 게이트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장애인, 경로우대자, 국가유공자 등)는 사전에 공공기관에서 RFID 태그를 발급받는다. 여기서 RFID 태그는 기존 공공기관에서 카드를 발급받는 것과 유사한 절차를 통해 발급받거나 장애인(국가유공자, 경로우대자) 카드를 제시하는 것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RFID 카드를 발급한 공공기관 서버는 통신을 통해 모든 역사에 설치된 스피드 게이트 장치(100)에 발급한 RFID 태그 정보를 배포한다.
스피드 게이트 장치(100) 내의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110)의 통신 모듈(118)은 상기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RFID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114)에 전달한다. 제어부(114)는 그 전달되는 RFID 태그 정보를 메모리(119)에 저장한다. 여기서 RFID 태그 정보는 발급이 이루어질 때마다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메모리(119)에 저장하거나 주기적으로 공공기관 서버와 접속하여 RFID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19)에 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갱신한다.
발급받은 RFID 태그 정보가 메모리(119)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발급받은 RFID 태그를 휠체어와 같은 이동수단에 부착하거나 자신이 소유하고, 전철을 이용하기 위해서 전철 역사에 설치된 스피드 게이트(1)에 접근한다.
그러면 도어(103)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제2카드리더기(102)에서 이동수단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한다. 여기서 RFID 태그 인식 방식은 ISO 15693에 정의된 표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SO 15693 표준안을 이용할 경우, 인식거리가 1.5m이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수단을 이용하거나 RFID 태그를 휴대하고 스피드 게이트(1)에 근접할 경우, 상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제2카드리더기(102)가 자동으로 RFID 태그를 인식한다.
인식된 RFID 태그 정보는 제어부(114)에 전달되며, 제어부(114)는 인식된 RFID 태그 정보와 메모리(119)에 기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인식된 RFID 태그 정보가 메모리(119)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인식된 RFID 태그 정보가 메모리(119)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등록되지 않은 이용자로 판단을 하고, 표시부(115)를 통해 이용 불가를 표시해줌과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117)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해주게 된다. 여기서 이용 불가에 대한 경보는 기존 전철 게이트에서 사용하는 이용 불가 경보와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인식된 RFID 태그 정보가 메모리(119)에 등록된 경우에는 정상적인 이용자로 판단을 하고, 도어 구동부(116)를 제어하여 도어(103)를 개방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어(103)는 초기에 폐쇄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만약, 도어(103)가 초기에 개방된 상태이고, 정상적인 이용자이면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비정상적인 이용자이면 도어(103)를 폐쇄한다.
사용자 또는 이동수단이 스피드 게이트(1)를 통과하기 시작하면 센서부(113)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후 사용자 또는 이동수단이 스피드 게이트(1)를 완전히 통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14)는 도어 구동부(116)를 제어하여 도어(103)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S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제어방법은 (a) 공공기관으로부터 등록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101 ~ S103); (b) 이동수단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S104); (c) 인식한 RFID태그와 메모리에 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를 확인하는 단계(S105); (d)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이용자가 정상적일 경우, 도어를 개방토록 제어하는 단계(S106); (e) 상기 도어를 개방한 후 이용자가 검출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상기 도어를 폐쇄토록 제어하는 단계(S107 ~ S108)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01에서 전철에 설치된 스피드 게이트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전에 공공기관에서 RFID 태그를 발급받는다. 여기서 RFID 태그는 기존 공공기관에서 카드를 발급받는 것과 유사한 절차를 통해 발급받거나 장애인 카드, 국가유공자 카드 등을 제시하는 것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RFID 카드를 발급한 공공기관 서버는 단계 S101에서 통신을 통해 모든 역사에 설치된 스피드 게이트 장치(100)에 발급한 RFID 태그 정보를 배포한다.
단계 S103에서 스피드 게이트 장치(100) 내의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110)의 통신 모듈(118)은 상기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RFID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114)에 전달한다. 제어부(114)는 그 전달되는 RFID 태그 정보를 메모리(119)에 저장한다. 여기서 RFID 태그 정보는 발급이 이루어질 때마다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메모리(119)에 저장하거나 주기적으로 공공기관 서버와 접속하여 RFID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19)에 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 S104에서 발급받은 RFID 태그 정보가 메모리(119)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발급받은 RFID 태그를 이동수단에 부착하거나 자신이 소유하고, 전철을 이용하기 위해서 전철 역사에 설치된 스피드 게이트(1)에 접근한다. 그러면 도어(103)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제2카드리더기(102)에서 이동수단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한다. 여기서 RFID 태그 인식 방식은 ISO 15693에 정의된 표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SO 15693 표준안을 이용할 경우, 인식거리가 1.5m이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수단을 이용하거나 RFID 태그를 휴대하고 스피드 게이트(1)에 근접할 경우, 상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제2카드리더기(102)가 자동으로 RFID 태그를 인식한다.
인식된 RFID 태그 정보는 제어부(114)에 전달되며, 단계 S105에서 제어부(114)는 인식된 RFID 태그 정보와 메모리(119)에 기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인식된 RFID 태그 정보가 메모리(119)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인식된 RFID 태그 정보가 메모리(119)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등록되지 않은 이용자로 판단을 하고, 표시부(115)를 통해 이용 불가를 표시해줌과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117)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해주게 된다. 여기서 이용 불가에 대한 경보는 기존 전철 게이트에서 사용하는 이용 불가 경보와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인식된 RFID 태그 정보가 메모리(119)에 등록된 경우에는 단계 S106에서 정상적인 이용자로 판단을 하고, 도어 구동부(116)를 제어하여 도어(103)를 개방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어(103)는 초기에 폐쇄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만약, 도어(103)가 초기에 개방된 상태이고, 정상적인 이용자이면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비정상적인 이용자이면 도어(103)를 폐쇄한다.
그리고 단계 S107에서 사용자 또는 이동수단이 스피드 게이트(1)를 통과하기 시작하면 센서부(113)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후 사용자 또는 이동수단이 스피드 게이트(1)를 완전히 통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단계 S108에서 제어부(114)는 도어 구동부(116)를 제어하여 도어(103)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ISO 15693 표준안에 기반한 RFID 태그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이동수단을 이용하거나 직접 이동이 가능한 장애인, 국가유공자, 경로우대자 등은 교통카드를 전철 게이트에 장착된 카드리더기에 직접 태깅하는 동작을 할 필요없이 전철 게이트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로써 기존과 같이 직접적인 태깅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철 게이트의 이용상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전철 역사에 설치된 게이트의 출입 통제 도어를 제어하는 기술에 적용되며, 특히, 스피드 게이트의 출입 통제 도어를 제어하는 기술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100: 스피드 게이트 장치
101: 제1카드리더기
102: 제2카드리더기
103: 도어
110: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
113: 센서부
114: 제어부
115: 표시부
116: 도어 구동부
117: 경보음 발생부
118: 통신 모듈
119: 메모리

Claims (5)

  1. 전철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원격에 위치한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등록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수단에 부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수신한 RFID 태그 정보와 인식한 RFID 태그 정보의 비교를 통해 도어를 제어하는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는 원격에 위치한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등록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이동수단에 부착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2카드리더기;
    상기 제2카드리더기에서 인식된 RFID 태그 정보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RFID 태그 정보일 경우 도어를 개방토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는 승객이 태깅하는 교통카드를 인식하는 제1카드리더기; 승객 또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출입 통제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승객 또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폐쇄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드 게이트 제어부는 승객의 진입 불가 상태 또는 요금 처리 결과를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 RFID 태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장애인 RFID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메모리에 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5.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공공기관으로부터 등록된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이동수단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c) 인식한 RFID태그와 메모리에 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이용자가 정상적일 경우, 도어를 개방토록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도어를 개방한 후 이용자가 검출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상기 도어를 폐쇄토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제어방법.



KR1020140143309A 2014-10-22 2014-10-22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KR20160047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09A KR20160047211A (ko) 2014-10-22 2014-10-22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09A KR20160047211A (ko) 2014-10-22 2014-10-22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11A true KR20160047211A (ko) 2016-05-02

Family

ID=5602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309A KR20160047211A (ko) 2014-10-22 2014-10-22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2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0272A1 (fr) * 2020-05-18 2021-11-19 Maïté FERDINAND Gestion des files d’attente dans des lieux publics, au bénéfice de personnes prioritai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0272A1 (fr) * 2020-05-18 2021-11-19 Maïté FERDINAND Gestion des files d’attente dans des lieux publics, au bénéfice de personnes prioritai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3148B (zh) 一种基于模式识别技术的智能停车系统及方法
JP6132967B1 (ja) 特定駐車スペースの管理システム
US20150116111A1 (en) Open Security System
KR20090091985A (ko)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KR101521947B1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CN111402475A (zh) 一种带有测量体温功能的智能闸机通行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A3102989A1 (en) Automated mask wearing verification reminder and unlocking systems for an entranceway
KR101466505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관리장치
CN110232755B (zh) 一种开放式智能甑别通道系统
US11341799B2 (en) Construction sites access control system and associated ID cards
KR20160047211A (ko) 전철 역사의 스피드 게이트 장치
JP2000149150A (ja) 案内システム
Someswar et al. Design & development of an autonomic integrated car parking system
US20190236920A1 (en) Office building security system using fiber sensing
KR101944753B1 (ko)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
CN210222869U (zh) 一种用于油库的无人值守系统
CN205644854U (zh) 一种安防报警系统
KR20190048976A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JP2001307287A (ja) 交通量測定システム及び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
TWI825842B (zh) 道閘整合控制系統
WO2020216328A1 (zh) 一种开放式智能甑别通道系统
JPH05266038A (ja) Icカードによる病院管理システム
US20220172532A1 (en) Automated access systems for permitting access through an entranceway
KR102581411B1 (ko) 주민공동시설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민공동시설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