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822A -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822A
KR20160046822A KR1020167005855A KR20167005855A KR20160046822A KR 20160046822 A KR20160046822 A KR 20160046822A KR 1020167005855 A KR1020167005855 A KR 1020167005855A KR 20167005855 A KR20167005855 A KR 20167005855A KR 20160046822 A KR20160046822 A KR 20160046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valve
fluid
fluid path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473B1 (ko
Inventor
루이스 메세다
토드 첼락
니콜라스 데니스
이안 킴벌
Original Assignee
엔피 메디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 메디컬 인크. filed Critical 엔피 메디컬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4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69Low-profile devices which resemble patches or plasters, e.g. also allowing collection of blood samples for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2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for joining a flexible tube to a rigid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fixed on the skin having a cover for covering the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 A61M2025/027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having slits to place the pad around a catheter puncturing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mainly rigid suppor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26Sli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Abstract

환자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한 장치(100)는 의료용 밸브(140) 및 카테터에 연결하기 위한 수형 루어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의료용 밸브는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모드 및 밸브를 통한 유체를 방지하는 폐쇄 모드를 갖는다. 의료용 밸브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또한 포함한다. 장치는 내부 유체 경로를 갖는 도킹 포드(150)를 또한 포함한다. 도킹 포드는 수형 루어 커넥터에 유체 연결되고, 도킹 포드의 적어도 일 부분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도킹 포드 접착 층에 의해 환자에게 고정된다. 장치는 접착 기판을 통해 연장하며 의료용 밸브의 출구와 도킹 포드를 유체 연결하는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1 필름 층 및 제2 필름 층을 갖는 접착 기판을 또한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ATHETER CONNECTION AND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우선권
본 특허 출원은 발명자가 루이스 메세다(Luis Maseda), 토드 첼락(Todd Chelak), 닉 데니스(Nick Dennis), 및 이안 킴벌(Ian Kimball)이며, 발명의 명칭이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Catheter Connection and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인 2013년 8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866,68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의 개시내용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었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환자에게 카테터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특히 카테터를 안정화시켜서 환자에게 고정하고, 의료용 기구의 연결을 허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가 유체 또는 약품의 규칙적인 투여 (또는 유체/혈액의 규칙적인 채취)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카테터가 흔히 환자 내로 삽입되어 유체/약품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테터는 연장된 기간(수시간 내지 수일) 동안 환자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추가로, 연장 튜브가 카테터의 사용 및 의료용 기구(예컨대, 시린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카테터에 연결될 수 있다. 카테터 및/또는 연장 튜브가 제 위치에 유지되고 우발적으로 제거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몇몇 종래 기술의 시스템은 테이프 또는 유사한 접착 재료(예컨대, 필름 드레싱)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카테터 및/또는 연장 튜브를 고정한다.
테이프 및 접착 필름 드레싱은 카테터를 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경우에, 테이프가 도포되는 방식 및 카테터 및/또는 연장 튜브의 배치/위치는 카테터 및/또는 연장 튜브가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카테터 및/또는 연장 튜브를 통한 유동을 감소/정지시킬 수 있는) 뒤틀림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유체/약품을 도입하기 위해 요구되는 의료용 기구를 연결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의료용 밸브, 카테터에 연결하기 위한 수형 루어 커넥터, 및 접착 기판(예컨대, 드레싱,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갖는 유사한 기판)을 포함하는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의료용 밸브는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모드 및 밸브를 통한 유체를 방지하는 폐쇄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의료용 밸브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1 필름 층 및 적어도 제2 필름 층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는 적어도 2개의 필름 층들 사이에서 드레싱을 통해 연장하며, 의료용 밸브의 출구와 수형 루어 커넥터를 유체 연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체 경로는 공극을 포함하는 제3 필름 층을 중첩하는 제1 필름 층 및 제2 필름 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공극은 제1 층 및 제2 층에 의해 봉입된다. 드레싱은 환자에게 드레싱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필름 층의 저면 상에 위치된 접착 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의료용 밸브는 의료용 밸브의 입구를 차단하는 분할식 격막을 포함할 수 있고, 의료용 밸브의 입구로의 의료용 기구의 연결은 의료용 밸브를 폐쇄 모드로부터 개방 모드로 전이시키도록 분할식 격막을 변형시킬 수 있다. 안정화 장치는 수형 루어 커넥터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 사이에 위치된 도킹 포드(docking pod)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킹 포드는 결국 (1) 환자에게 도킹 포드를 고정하기 위해 도킹 포드의 적어도 일 부분의 저면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도킹 포드 접착 층, 및 (2) 압력 활성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킹 포드는 드레싱의 상부면에 기계식으로 접합되고, 도킹 포드 접착제가 그 다음 환자에게 도킹 포드를 고정하기 위해 드레싱의 저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압력 활성화 밸브는 그를 통한 슬릿을 구비한 다이어프램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은 크래킹 압력을 가질 수 있고, 그 위에서 슬릿은 압력 활성화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된다. 예를 들어, 후방 크래킹 압력은 카테터가 삽입되는 정맥의 정맥압보다 더 클 수 있고, 전방 크래킹 압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는 의료용 기구가 의료용 밸브에 연결될 때의 제1 유체 체적 및 의료용 기구가 의료 밸브로부터 분리될 때의 제2 유체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체 체적은 제2 유체 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필름 층 및/또는 적어도 제2 필름 층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채널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는 뒤틀림에 저항할 수 있고, 카테터 안정화 장치는 의료용 밸브로부터의 의료용 기구의 분리 시에 수형 루어 커넥터에서 중립 유체 변위를 가질 수 있다.
안정화 장치는 드레싱을 통해 연장하는 개방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카테터의 근위 부분이 수형 루어 커넥터에 연결될 때 개방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드레싱은 개방부로부터 연장하는 스트레인 경감 부재를 또한 가질 수 있고, 드레싱이 카테터에 일치하도록 허용한다. 스트레인 경감 부재는 노치형 특징부일 수 있다. 드레싱은 투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보조 유체 경로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로부터 드레싱 또는 접착 기판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제1 필름 층 및 적어도 제2 필름 층은 보조 유체 경로(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2개를 초과하는 필름 층이 보조 유체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유체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로부터 적어도 2개의 필름 층들 사이의 드레싱을 통해 내부 저장소 및/또는 접근 포트로 연장할 수 있다. 내부 저장소는 유체 경로 내의 유체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고, 접근 포트는 의료용 밸브일 수 있다. 내부 저장소 내의 유체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수단은 저장소 내에 담긴 동결 건조된 약물의 혼합 및/또는 재구성, 저장소 내에 담긴 그리고/또는 저장소의 벽을 형성하는 분석 요소와 접촉하는 유체의 분석, 및/또는 유체 취급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물리적, 화학적, 및 생리학적 상호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내에서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은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 안정화 장치는 의료용 밸브, 수형 루어 커넥터, 및 드레싱 또는 접착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밸브는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모드, 및 밸브를 통한 유체를 방지하는 폐쇄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의료용 밸브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드레싱은 드레싱을 통해 연장하며 의료용 밸브와 수형 루어 커넥터를 유체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1 필름 층 및 적어도 제2 필름 층을 가질 수 있다. 방법은 수형 루어 커넥터에 카테터를 연결하는 단계, 및 환자에게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고정하여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해 환자에게 드레싱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접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의료용 밸브의 입구에 의료용 기구를 연결하는 단계, 및 예를 들어, 수형 루어 커넥터로의 카테터의 연결 이전에,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프라이밍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안정화 장치는 수형 루어 커넥터 상에 위치된 통기식 프라이밍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프라이밍 후에 그리고 수형 루어 커넥터로의 카테터의 연결 이전에 프라이밍 캡을 제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통기 요소(예컨대, 소수성 박막)가 카테터 안정화 장치의 일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수형 루어 커넥터와 밸브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의 벽 내에 위치되어, 수형 루어 커넥터로의 카테터의 연결 이전에 제거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안정화 장치는 내부 유체 경로 및 압력 활성화 밸브 메커니즘을 갖는 (예컨대, 수형 루어 커넥터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 사이에 위치된) 도킹 포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킹 포드는 도킹 포드의 저면의 적어도 일 부분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접착제를 또한 가질 수 있고, 방법은 (예컨대, 환자에게 드레싱의 적어도 일 부분을 고정하기 전에) 접착제에 의해 환자에게 도킹 패드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정맥 내로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카테터 안정화 장치 및 정맥을 통한 유동을 점검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 안정화 장치 및 정맥을 통한 유동이 부적절하면, 방법은 환자로부터 도킹 포드를 제거하고, 정맥 내에서의 카테터의 위치를 조정하고, 접착제에 의해 환자에게 도킹 포드를 재고정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압력 활성화 밸브 메커니즘은 그를 통한 슬릿을 구비한 다이어프램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은 크래킹 압력을 가질 수 있고, 그 위에서 슬릿은 압력 활성화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된다. 예를 들어, 후방 크래킹 압력은 카테터가 삽입되는 정맥의 정맥압보다 더 클 수 있고, 전방 크래킹 압력보다 더 클 수 있다. 드레싱은 제2 필름 층의 저면 상에 위치된 접착 층을 포함할 수 있고, 환자에게 드레싱을 접착하는 단계는 접착 층에 의해 환자에게 드레싱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층의 적어도 일 부분은 환자에게 드레싱을 접착한 후에 환자의 피부와 상호 작용하는 항미생물제 또는 소독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의료용 밸브는 의료용 밸브의 입구를 차단하는 분할식 격막을 포함할 수 있고, 의료용 밸브의 입구로의 의료용 기구의 연결은 의료용 밸브를 폐쇄 모드로부터 개방 모드로 전이시키도록 분할식 격막을 변형시킬 수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는 의료용 기구가 의료용 밸브에 연결될 때의 제1 유체 체적 및 의료용 기구가 의료용 밸브로부터 분리될 때의 제2 유체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체 체적은 제2 유체 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카테터 안정화 장치는 의료용 밸브로부터의 의료용 기구의 분리 시에 수형 루어 커넥터에서 중립 유체 변위를 가질 수 있다.
제1 필름 층 및/또는 제2 필름 층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채널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정화 장치는 드레싱을 통해 연장하는 개방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의 근위 부분은 수형 루어 커넥터에 연결될 때 개방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추가로, 개방부로부터 연장하는 스트레인 경감 부재가 드레싱이 카테터에 일치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드레싱은 투명할 수 있고, 유체 경로는 뒤틀림에 저항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한 장치는 (1)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모드 및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폐쇄 모드를 갖는 의료용 밸브, 및 (2) 카테터에 연결되는 수형 루어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밸브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도킹 포드, 및 도킹 포드 접착 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킹 포드는 내부 유체 경로를 가질 수 있고, 수형 루어 커넥터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도킹 포드 접착 층은 도킹 포드의 적어도 일 부분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환자에게 도킹 포드를 고정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필름 층 및 적어도 제2 필름 층을 구비한 접착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름 층 및 제2 필름 층은 접착 기판을 통해 연장하며 의료용 밸브의 출구와 도킹 포드를 유체 연결하는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제1 필름 층의 저면 상에 위치된 접착 층을 또한 가질 수 있다. 접착 층은 환자에게 접착 기판 또는 드레싱을 고정할 수 있다. 의료용 밸브는 의료용 밸브의 입구를 차단하는 분할식 격막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입구로의 의료용 기구의 연결은 의료용 밸브를 폐쇄 모드로부터 개방 모드로 전이시키도록 분할식 격막을 변형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킹 포드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압력 활성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은 그를 통한 슬릿을 가질 수 있고, 슬릿은 크래킹 압력을 가질 수 있고, 그 위에서 슬릿은 압력 활성화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된다. 예를 들어, 크래킹 압력은 카테터가 삽입되는 정맥의 정맥압보다 더 클 수 있다.
유체 경로는 의료용 기구가 의료용 밸브에 연결될 때의 제1 유체 체적 및 의료용 기구가 의료용 밸브로부터 분리될 때의 제2 유체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체 체적은 제2 유체 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필름 층 및/또는 제2 필름 층은 유체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채널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장치는 드레싱을 통해 연장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카테터는 수형 루어 커넥터에 연결될 때 개방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치는 개방부로부터 연장하는 스트레인 경감 부재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스트레인 경감 부재는 드레싱이 카테터에 일치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드레싱은 투명할 수 있고, 유체 경로는 뒤틀림에 저항할 수 있다. 장치는 의료용 밸브로부터의 의료용 기구의 분리 시에 중립 유체 변위를 또한 가질 수 있고, 유체 경로의 벽 내에 위치된 통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기 요소는 유체 경로의 프라이밍을 허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위치된 제3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층은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제2 필름 층은 제2 필름 층을 통해 연장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멍은 도킹 포드의 입구와 유체 경로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구멍은 의료용 밸브의 출구와 유체 경로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은 의료용 밸브, 수형 루어 커넥터, 도킹 포드, 도킹 포드 접착 층, 및 접착 기판을 갖는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밸브는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모드 및 밸브를 통한 유체를 방지하는 폐쇄 모드를 가질 수 있고,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수형 루어 커넥터는 카테터에 연결될 수 있다. 도킹 포드는 내부 유체 경로를 가질 수 있고, 수형 루어 커넥터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도킹 포드 접착 층은 도킹 포드의 적어도 일 부분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환자에게 도킹 포드를 고정할 수 있다. 접착 기판은 접착 기판을 통해 연장하며 의료용 밸브와 도킹 포드를 유체 연결하는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1 필름 층 및 제2 필름 층을 가질 수 있다.
방법은 수형 루어 커넥터에 카테터를 연결하는 단계, 및 환자에게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고정하고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해 환자에게 접착 기판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접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접착 기판은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위치된 제3 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3 층은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제2 필름 층은 제2 필름 층을 통해 연장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멍은 도킹 포드의 입구와 유체 경로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구멍은 의료용 밸브의 출구와 유체 경로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상기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취해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킹 포드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내에 형성된 유체 경로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내에 형성된 유체 경로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체 경로를 갖는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내에 형성된 제1 복수 유체 경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6a에 도시된 복수 유체 경로 구성의 대안적인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내에 형성된 추가의 대안적인 복수 유체 경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유체 경로 및 의료용 밸브를 갖는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의 접착 기판 부분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8a에 도시된 접착 기판 부분의 조립된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 A-A를 따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접착 기판 부분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해 환자에게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를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a - 도 10l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환자에게 고정되어 카테터를 안정화하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는 환자의 신체 내로 삽입된 카테터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환자에게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는 접착 기판(예컨대, 드레싱,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갖는 유사한 기판)을 통해 연장하는 유체 경로를 거쳐 서로 유체 연결되는 의료용 밸브 및 수형 루어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실시예는 의료용 기구(예컨대, 시린지)의 연결 및 카테터 및 안정화 장치를 통한 환자의 내외로의 유체의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세부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안정화 장치(100)는 환자에게 도포될 수 있는 드레싱 부분(110)(예컨대, 투명 드레싱 또는 접착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드레싱 부분(110)은 환자에게 안정화 장치(100)를 고정하기 위해 드레싱 부분(110)의 저면 상에서 접착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개수의 접착제가 환자에게 안정화 장치(10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접착제는 드레싱 부분(110) 및 안정화 장치(100)가 환자에 의한 규칙적인 이동(예컨대, 손, 팔 등의 조작) 중에 환자의 피부를 벗겨내지 않기에 충분히 강해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경로(120) 및 의료용 밸브(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됨)를 포함하는 드레싱 부분(110)의 부분은 드레싱 부분(110)의 그러한 부분이 (예컨대, 의료용 밸브(140)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피부로부터 제거되어, 의료용 밸브가 접근되면 피부에 재부착되도록 허용하는 피부 접촉 접착제(예컨대, 점착성 실리콘 접착제)를 가질 수 있다.
드레싱 부분(110)은 카테터의 근위 부분이 안정화 장치(100)를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드레싱 부분을 통해 연장하는 개방부(112)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드레싱 부분(110)은 드레싱 부분(110)을 통해 연장하는 유체 경로(120)를 형성하는 필름의 복수의 층(예컨대, 제1 층(114) 및 제2 층(116), 도4a/도4b)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필름의 층 (및 드레싱 부분(110))은 드레싱 부분(110)이 환자의 피부의 윤곽에 일치하여, 카테터에 안정화 장치(100)를 부착할 때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허용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어야 한다. 필름의 층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및/또는 PVC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개수의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안정화 장치(100) 및 카테터를 통한 유체 유동의 우발적인 정지를 방지하기 위해, 유체 경로(120)는 몇몇 실시예에서, 뒤틀림에 저항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가 필름의 2개의 층만을 도시하지만,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는 2개를 초과하는 층을 가질 수 있고, 유체 경로는 필름의 다양한 층을 통해 연장할 수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드레싱 부분(110)은 사용자가 카테터 삽입 부위를 보고 모니터링하며, 아울러 유체 경로(120)를 통한 유체 유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드레싱 부분(110)은 삽입 부위를 관찰/모니터링하기 위해 드레싱 부분(110)의 일부 상에/일부를 통해 투명 창(1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창(118)의 크기가 사용되는 카테터의 유형(예컨대, 긴 허브 카테터 또는 짧은 허브 카테터) 및 구체적인 용도에 의존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창(118)은 충분한 관찰 면적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2.54cm(1인치) 직경 및/또는 길이이어야 한다. 추가로, 창(118)은 창(110)의 저면의 적어도 일 부분 상에서 접착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층은 카테터 삽입 부위에서 환자의 피부와 상호 작용하는 항미생물제 및/또는 소독제(예컨대,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는 의료용 기구의 연결 및 환자 내로 삽입된 카테터를 통한 유체의 전달을 제공한다. 그러한 목적으로, 안정화 장치(100)는 카테터에 연결될 수 있는 수형 루어 커넥터(130), 및 의료용 기구에 연결되어 환자 내로 유체를 도입하고 그리고/또는 환자로부터 유체를 취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의료용 밸브(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경로(120)는 환자 내외로의 그리고 안정화 장치(100)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밸브(140)와 수형 루어 커넥터(130)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경로(120)의 제1 단부(122)는 밸브(140)의 출구(142)에 유체 연결될 수 있고, 유체 경로(120)의 다른 단부(124)는 수형 루어 커넥터(130)의 입구 (또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수형 루어 커넥터(130)에 유체 연결되는 도킹 포드(150))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임의의 개수의 의료용 밸브(140)가 사용될 수 있지만 (예컨대, 양변위 밸브, 음변위 밸브, 중립 변위 밸브 등), 몇몇 실시예는 단순 분할식 격막 밸브(14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분할식 격막 밸브는 밸브(140)의 입구(144)를 차단하는 격막을 포함한다. 밸브(140)를 통한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격막은 그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 또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의료용 기구(예컨대, 무바늘 시린지)가 밸브(140)에 연결될 때, 의료용 기구는 개구/슬릿을 개방하도록 격막을 변형시켜서, 밸브(140)의 입구(144)로 부분적으로 진입할 것이다. 연결되면, 의료용 기구는 환자 내외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몇몇 실시예는 의료용 밸브(140)가 제거 및/또는 교체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유체 경로(120)와 밸브(140) 사이에 위치된 암형 루어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되고 도 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는 유체 경로(120)의 제2 단부(124)와 수형 루어 커넥터(130) 사이에 위치된 도킹 포드(15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경로(120)는 도킹 포드(150)의 입구(152)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안정화 장치(100) 및 도킹 포드(150)를 통한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도킹 포드(150)의 내부는 밸브 메커니즘(157) 및 내부 유체 경로(1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포드(150)는 슬릿(159)을 구비한 편평 다이어프램(158)을 포함하는 2-방향 압력 활성화 밸브(157)(PAV)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메커니즘(157)은 그가 다이어프램을 통한 슬릿을 개방하기에 충분히 큰 압력(예컨대, 크래킹 압력)에 노출될 때까지, 도킹 포드(150)를 통한 (예컨대, 내부 유체 경로(151)를 통한) 유체 유동을 방지한다. 다이어프램(158) 및 슬릿(159) 구성은 정맥압이 슬릿(159)/압력 활성화 밸브(157)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의 정맥압이 밸브 메커니즘(157)의 후방 크래킹 압력 아래에 있도록 선택되어야 하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슬릿(159)을 구비한 편평 다이어프램(158)이 2-방향 압력 활성화 밸브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지만,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2-방향 PAV가 또한 도킹 포드(15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드레싱 부분(110)과 유사하게, 도킹 포드(150)는 도킹 포드(150)가 환자에 고정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저면 상에서 접착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킹 포드는 환자에게 도킹 포드를 고정하기 위해, 드레싱의 상부면에 기계식으로 접합되고, 그 다음 도킹 포드 접착제가 드레싱의 저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킹 포드 접착제는 도킹 포드(150)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추가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킹 포드(150)는 안정화 장치(100)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환자에게 안정화 장치(100)를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파지 핀(fin)(154)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파지 핀(154)이 (예컨대, 환자에게 안정화 장치(100)를 고정할 때) 이동/조정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파지 핀(154)은 핀(154)이 도킹 포드(150)의 잔여부에 대해 굴곡/이동하도록 허용하는 힌지(156)(예컨대, 리빙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 장치(100) 및 특히 드레싱 부분(110)은 안정화 장치(100)를 카테터에 연결되어 이를 안정화하고 환자에게 고정되기에 더 쉽게 만드는 다수의 다른 특징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싱 부분(110)은 드레싱 부분(110) 내의 개방부(112)로부터 연장하는 스트레인 경감 부재(160)(예컨대, 드레싱 부분(110)을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절결부, 천공 영역, C-형상 노치, V-형상 노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경감 부재(160)는 드레싱 부분(110)이 드레싱 부분(110)의 주름짐/접힘 또는 부풀음(예컨대, 드레싱 부분(110)과 환자의 피부 사이에서의 공기 갭의 생성)이 없이 카테터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허용한다. 추가로, 드레싱 부분(110)은 개방부(112)로부터 유체 경로(120)를 형성하는 드레싱(110)의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천공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경감 부재(160)와 유사하게, 천공된 슬릿(170)은 드레싱 부분(110) 및 안정화 장치(100)가 환자의 윤곽(예컨대, 환자의 팔)에 더 잘 일치하도록 허용한다. 추가로, 천공된 슬릿(17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면, 슬릿(170)은 밸브(140)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투명 창(118)에 인접한 드레싱 부분(110)에 인가되는 우발적인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드레싱 부분(110)으로부터의 밸브(140)의 분리를 허용할 수 있다.
안정화 장치(100)의 다수의 구성요소들은 환자에게 안정화 장치(100)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가 잘못된 표면에 우발적으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또는 박테리아 및 다른 오염물이 접착제에 고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화 장치(100)는 접착제를 덮는 하나 이상의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라이너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라이너가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 장치(100)는 도킹 포드(150) 아래에 (예컨대, 도킹 포드(150) 자체의 바닥 상에 또는 도킹 포드(150)가 놓이는 드레싱의 부분의 저면 상에) 위치된 접착제를 위한 도킹 포드 라이너(180) 및 도킹 포드 라이너 탭(182), 드레싱(110)의 저면 상에 위치된 접착제를 위한 드레싱 라이너(190) 및 드레싱 라이너 탭(192), 및 유체 경로(120) 아래의 접착 영역을 위한 유체 경로 라이너(200) 및 유체 경로 라이너 탭(202)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 라이너가 복수의 접착 위치 및/또는 조성물을 노출시키도록 제거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드레싱 부분(110)의 적어도 2개의 필름 층(114/116)은 의료용 밸브(140)와 수형 루어 커넥터(130) (또는 도킹 포드(150))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경로(12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유체 경로(120)는 제1 및 제2 층(114/116)이 서로 접착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층들 중 하나 이상이 유체 경로(120)를 형성하는 채널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층(116) (또는 제1 층(114))은 그가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채널(117)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제1 층(114) (또는 제1 층(114)이 채널을 구비하여 형성되면 제2 층(116))은 유체 경로(120)를 완성하기 위해 채널(117)을 덮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층(114) 및 제2 층(116)은 모두 유체 경로(120)를 형성하는 채널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층(114)은 제1 채널(115)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층(116)은 제2 채널(117)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장치 고장을 피하고/최소화하기 위해, 유체 경로(120)는 (예컨대, 적어도 325psi의)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추가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정화 장치(100) 및 유체 경로(120)가 프라이밍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경로(120)는 프라이밍 유체가 도킹 포드(150) 내의 밸브 메커니즘(157)과 접촉하여 (개방할) 때까지, 공기가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유체 경로의 벽 내의 통기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경로(120)의 몇몇 실시예는 자가 프라이밍형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드레싱 부분(110)의 층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1개를 초과하는 유체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는 제1 유체 경로(120)에 유체 연결되어 이로부터 연장하는 추가의 유체 경로(125) (또는 복수의 추가의 유체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유체 경로(125)는 추가의 유체 경로를 거쳐 환자에게 투여되는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저장소(126) (또는 접근 포트, 의료용 밸브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저장소(126)는 저장소(126)로 진입하고 이어서 환자에게 투여되는 유체와 혼합되는 약물(예컨대, 동결 건조된 약물)을 담을 수 있다. 저장소(126) 및/또는 추가의 유체 경로는 요소와 접촉하는 유체를 분석하는 분석 요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요소는 저장소(126) 또는 추가의 유체 경로(125)의 벽 내에 포함되고 그리고/또는 그러한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체 경로(120)(예컨대, 층(114, 116)) 또는 추가의 유체 경로(120)가 필름의 상이한 층들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으므로, 추가의 유체 경로(125)가 필름의 동일한 2개의 층들을 통해 연장할 수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유체 경로(125)는 필름의 제2 층(116)과 필름의 제3 층(119)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유체 경로(120/125)들 사이 그리고 필름 층들 사이에서의 유체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6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름 층(114)은 제2 필름 층(114)을 통해 제1 유체 경로(120)와 추가의 유체 경로(125)를 유체 연결하는 개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추가의 유체 경로(125)는 유체가 제1 유체 경로(120)로부터 제2 유체 경로(125) 및/또는 저장소(126)로 유동하도록 허용하지만, 제1 유체 경로(120)로 다시 유동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1-방향 유체 경로일 수 있다.
도 6a - 도 6c가 3개의 층(114/116/119) 및 2개의 유체 경로(예컨대, 유체 경로(120) 및 추가의 유체 경로(125))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는 3개를 초과하는 층 및 2개를 초과하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는 필름의 4개 이상의 층 및 3개의 이상의 유체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경로들은 필름의 동일한 층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그러한 층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필름의 상이한 층들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예컨대, 임의의 2개의 층들 사이의 단일 유체 경로, 임의의 2개의 층들 사이의 복수의 유체 경로, 또는 일부 층들 사이의 단일 유체 경로 및 다른 층들 사이의 복수의 유체 경로가 있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안정화 장치(100)는 복수의 의료용 밸브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밸브(140)에 추가하여, 안정화 장치(100)는 의료용 기구가 (예컨대, 의료용 밸브(145)의 입구(146)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의료용 밸브(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의료용 밸브(140)와 유사하게, 제2 의료용 밸브(145)는 드레싱 부분(110)을 형성하는 2개 이상의 필름 층(114/116/119)들 사이(예컨대, 제1 및 제2 필름 층(114/116)들 사이, 제2 및 제3 필름 층(116/119)들 사이 등)에서 연장하는 유체 경로(127)를 거쳐 도킹 포드(150)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제1 의료용 밸브(140)와 유사하게, 제2 의료용 밸브(145)는 환자(예컨대, 환자 내부로 또는 외부로)와 의료용 기구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카테터 안정화 장치(100)의 몇몇 실시예는 필름의 2개의 초과하는 층을 가질 수 있고, 유체 경로(들)은 다양한 층들 내에서/그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안정화 장치(100)는 드레싱 부분(110) (또는 단지 밸브(140)와 도킹 포드(150)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체 경로(120)를 포함하는 부분, 및 도킹 포드(150)가 존재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필름의 3개의 층을 가질 수 있다. 드레싱 부분(110) (또는 단지 유동 경로(120)를 포함하는 부분)은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접착 영역이 (예컨대, 제1/바닥 층(210)의 저면 상에서) 위치될 수 있는 제1/바닥 층(210), 및 제2/상부 층(230)을 가질 수 있다. 제1 층(210) 및 제2 층(230)은 본질적으로 편평하고, 그들 사이에서 제3/중간 층(220)을 포락한다.
도 8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중간 층(220)은 그 안에 형성된 채널(2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채널(222)은 유체 경로(127)를 형성할 수 있고, 채널(222)의 각 단부에서의 2개의 확대된 영역(224A/224B)들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제2/상부 층(230)을 통한 유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고 도킹 포드(150) 및 밸브(140)와의 유체 연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상부 층은 채널(222) 내의 확대된 영역(224A/224B)과 정렬되는 관통 구멍(232A/23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 예를 들어, 도킹 포드(150)는 제2/상부 층(230)의 일 단부(240)에 위치될 수 있고, 제2/상부 층(230)은 채널(222)과 도킹 포드(150)의 입구(152) 사이의 유체 연통을 용이하게 하도록 확대된 영역(224A)과 정렬되는 제1 구멍(232A)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의료용 밸브(140)는 드레싱 부분(110)의 대향 단부(250) 상에 위치되고/그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상부 층(230)은 채널(222)과 의료용 밸브(140)의 출구(142) 사이의 유체 연통을 용이하게 하도록 확대된 영역(224B)과 정렬되는 제2 구멍(232B)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환자에게 유체를 전달할 때, 유체는 의료용 밸브(140) 및 제2 구멍(232B)을 통해 채널(222) 내로 통과할 수 있다. 유체는 그 다음 채널(222)을 통해, 제1 구멍(232A)의 외부로 유동하여, 도킹 포드(150)의 입구(152)로 진입할 수 있다.
도 8a - 도 8c가 도킹 포드(150)가 위치되고 유체 경로(127)가 연장하는 드레싱(110)의 부분만을 도시하지만, 3층 구성은 드레싱 부분(110)의 잔여부(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드레싱 부분)로 연장할 수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대안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제1/바닥 층(210) 및/또는 제2/상부 층(230)만이 드레싱 부분(110)의 잔여부를 형성하도록 추가로 연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중간 층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부분 내에만 위치될 수 있고, 드레싱 부분(110)의 잔여부로 연장하지 않을 수 있다).
(준비된다면) 도킹 포드(150) 내에서 사용되는 밸브 메커니즘 및/또는 사용되는 의료용 밸브(140)의 유형에 의존하여, 안정화 장치(100) 및 유체 경로(120)는 의료용 기구의 분리 및 연결 중에 변화하는 압력에 노출될 수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의료용 밸브(140)가 분할식 격막 밸브이면, 밸브(140)로의 의료용 기구의 연결은 (예컨대, 의료용 기구가 의료용 밸브(140) 내의 체적을 차지하고 도킹 포드(150) 내의 압력 활성화 밸브가 폐쇄되기 때문에) 유체 경로(120) 내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 전달이 완료되고, 압력 활성화 밸브가 폐쇄되면, 밸브(140)로부터의 의료용 기구의 제거는 유체 경로(120) 내에서 음압/진공을 생성할 것이다.
압력의 이러한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경로(120)는 의료용 기구가 밸브(140)에 연결될 때의 제1 체적 및 의료용 기구가 분리될 때의 제2 체적을 갖도록 순응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기구가 밸브(140)에 연결되고, 유체 경로(120)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유체 경로(120)는 압력의 증가를 보상하기 위해 확장할 수 있다. 역으로, 의료용 기구가 의료용 밸브(140)로부터 분리되고, 압력이 감소하면, 유체 경로(120)는 압력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체적이 감소할 수 있지만 (완전히 붕괴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압력 활성화 밸브의 하류측과 상류측 사이의 압력차가 크래킹 압력 위에 있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기구의 연결/분리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 및 체적의 변화를 보상함으로써, 몇몇 실시예는 밸브(140)에 대한 의료용 기구의 연결 및/또는 분리 시에 수형 루어 커넥터(130)에서 중립 유체 변위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정화 장치(100)를 사용하여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a - 도 10l은 카테터의 고정 및 안정화의 다양한 스테이지에서의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사용자(예컨대, 의료 인력)는 밸브(140)에 의료용 기구(610)를 연결하고, 예를 들어 생리식염수로 안정화 장치(100)를 세정(예컨대, 프라이밍)할 수 있다 (단계 405, 도 10a).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화 장치(100)는 수형 루어 커넥터(130) 상에 위치되고/그에 고정된 프라이밍 캡(6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밍 캡(620)은 (예컨대, 생리식염수가 안정화 장치(100) 내로 도입될 때) 공기 (및 프라이밍 유체)가 탈출하도록 허용하지만, 입자가 수형 루어 커넥터(13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통기식 캡일 수 있다. 안정화 장치(100)가 제2 의료용 밸브(145)를 가지면, 유사한 프라이밍 절차가 제2 의료용 밸브(145)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유체 경로(120) 또는 추가의 유체 경로(125)가 통기 요소를 포함하면, 공기가 유체 경로(140/145)를 프라이밍하기 위한 프라이밍 공정 중에 통기 요소를 거쳐 유체 경로(140/145)(들)을 빠져나갈 것임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안정화 장치가 세정/프라이밍되면, 사용자는 프라이밍 캡(620)을 제거하고 (단계 410, 도 10b), 환자 내로 (예컨대, 환자의 팔 내로) 카테터(630)를 삽입할 수 있다 (단계 415, 도 10c). 카테터(630)를 삽입하기 전에, 삽입 부위가 허용 가능한 의료 절차에 따라 적절하게 세척되어야 함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로, 카테터(630)의 삽입 후에 주사 부위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자는 주사 부위 및 안정화 장치(100)가 위치될 위치 위에 거즈를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그 다음 카테터(630)에 수형 루어 커넥터(130)를 연결할 수 있다 (단계 420; 도 10d).
도 10d - 도 10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630)를 부착하고 안정화 장치(100)를 고정할 때, 안정화 장치(100)의 일 부분을 접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안정화 장치(100)는 접힌 구성으로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싱 부분(110)은 개방부(112)가 도킹 포드(150) 위에 위치되고, 파지 핀(154)이 개방부(112)를 통해 연장하여 드레싱 부분(110)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접힐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지 핀(154)은 카테터(630)의 연결 중에 드레싱 부분(110)을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게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카테터(630)가 수형 루어 커넥터(130)에 부착되면, 사용자는 그 다음 도킹 포드 아래의 접착제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 (예컨대, 도킹 포드 라이너 탭(182)을 당김으로써) 도킹 포드 라이너(180)를 제거하고, 환자에게 도킹 포드(150)를 고정하기 위해 환자의 피부에 대해 도킹 포드(150)를 가압할 수 있다 (단계 425, 도 10e). 도킹 포드 아래의 접착제는 단일 접착 조성물이 아닐 수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제1 부분은 실리콘 겔과 같은, 낮은 고정 강도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부분은 고 박리 강도 아크릴과 같은, 더 높은 고정 강도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도킹 포드(150)가 환자에게 접착되면, 안정화 장치(100)를 통한 그리고 정맥 내의 유체 유동이 허용 가능한/적절한 지를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430; 도 10f). 그러한 목적으로, 사용자는 적절한 유체 유동을 확인하기 위해 정맥 내로 1 - 2mL의 생리식염수를 완만하게(gently) 주입할 수 있다. 유체 유동이 적절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환자의 피부로부터 도킹 포드(150)를 해제하고, 다른 1 - 2mL의 생리식염수 용액을 완만하게 주입하면서 카테터(630)를 정맥 내로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도킹 포드(150)를 완만하게 들어올림으로써 정맥 내에서의 카테터(630)의 배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단계 435). 유동이 적절하면, 사용자는 다시 한번 환자의 피부에 도킹 포드(150)를 고정할 수 있다 (단계 440).
도킹 포드(150)가 고정 (또는 재고정)되고, 정맥 내에서 적절한 유동이 있으면, 사용자는 밸브(140)로부터 의료용 기구(610)를 분리하고 (단계 445; 도 10g), 잠금 칼라(132)를 회전시킴으로써 루어 커넥터(130)를 조일 수 있다 (단계 450; 도 10h). 의료용 기구(610)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밸브(140)를 파지하고, 의료용 기구(6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밸브(140)의 유형에 의존하여, 의료용 기구(610)의 분리는 유체 경로(120) 내에서 압력을 감소시키고/진공을 생성할 수 있고, 유체 경로(120)는 압력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루어 커넥터(130)를 조이기 위해, 사용자는 (도 10e - 도 10g에 가장 잘 도시된) 카테터 허브(632)를 파지하고, 수형 루어 커넥터(130) 상의 잠금 칼라(132)를 꼭 맞을 때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의료용 기구(610)가 분리되고, 수형 루어 커넥터(130)가 조여지면, 사용자는 그 다음 환자에게 드레싱 부분(110)을 고정할 수 있다 (단계 455, 도 10i- 도 10l).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드레싱 부분(110)은 카테터(630)로의 수형 루어 커넥터(130)의 연결 중에 접힐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환자에게 드레싱 부분(110)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드레싱 부분(110)을 뒤집고, 안정화 장치(100)를 그가 카테터 삽입 부위를 에워싸도록 펼칠 수 있다 (도 10i). 안정화 장치(100)에 대한 제어를 유지하고 안정화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킹 포드(150) 및/또는 파지 핀(154)을 파지할 수 있다.
환자에게 드레싱 부분(110)을 고정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킹 포드(150) 상에 약간의 압력을 인가하면서 (예컨대, 드레싱 라이너 탭(192)을 당김으로써) 드레싱 라이너(190)를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 다음 환자의 피부에 드레싱 부분(110)을 고정하기 위해 드레싱 부분(110)의 모든 섹션들을 완만하게 아래로 문지를 수 있다 (도 10j). 유사하게, 사용자는 또한 도킹 포드(150) 상에 약간의 압력을 인가하면서 (예컨대, 유체 경로 라이너 탭(202)을 당김으로써) 유체 경로 라이너(200)를 제거하고, 환자의 피부에 유체 경로 영역을 고정하기 위해 유체 경로(120) 표면을 문지를 수 있다 (도 10k). 사용자는 그 다음 모든 접착 영역들이 환자에게 완전히 접착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모든 접착 영역을 다시 문지를 수 있다 (도 10l).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그 다음 삽입 부위를 추가로 덮고 카테터(630)를 안정화하기 위해 환자에게 추가의 드레싱을 부착/고정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안정화 장치(100)가 환자에게 완전히 고정되면, 카테터(630)는 우발적으로 제거될 수 없다. 추가로, 의료용 기구(610)(예컨대, 시린지)는 카테터(630)의 배치/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그리고/또는 유체 경로(120)를 뒤틀지 않고서 필요한 대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는 결국 환자에 대한 상해를 방지하는 것을 돕고, 안정화 장치(100), 카테터(630), 및 정맥을 통한 적절한 유체 유동이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안정화 장치(100)가 의료용 밸브(140)를 포함하기 때문에, 의료용 기구(610)는 환자 내로 유체를 도입하고 그리고/또는 환자로부터 유체를 취출하기 위해 이후에 안정화 장치(100)에 쉽게 재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카테터 삽입 부위를 에워싸고 카테터(630)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미생물 오염 우려를 최소화하고, 부위 감염 (또는 침윤과 같은 다른 합병증)의 빈도를 감소시키고,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을 감소시키고, 임상적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카테터 안정화 장치 및 기술에 대한 많은 장점/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도포하기가 훨씬 더 쉽고, 우수한 카테터 안정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예컨대, 부적절한 배치 때문에) 카테터 허브에 대해 간헐적으로 당겨져야 하는 종래 기술의 연장 세트와 관련된 바람직하지 않은 튜브 뒤틀림 및 재테이핑(re-taping)을 제거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으로 의도되고; 많은 변경예 및 변형예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모든 그러한 변경예 및 변형예는 임의의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환자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한 장치이며,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모드 및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폐쇄 모드를 갖는 의료용 밸브 - 의료용 밸브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또한 포함함 -;
    카테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수형 루어 커넥터;
    내부 유체 경로를 가지며, 수형 루어 커넥터에 유체 연결된 도킹 포드;
    도킹 포드의 적어도 일 부분의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도킹 포드 접착 층 - 도킹 포드 접착 층은 환자에게 도킹 포드를 고정하도록 구성됨 -; 및
    제1 필름 층 및 적어도 제2 필름 층을 갖는 접착 기판 - 제1 필름 층 및 제2 필름 층은 접착 기판을 통해 연장하며 의료용 밸브의 출구와 도킹 포드를 유체 연결하는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함 -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필름 층의 저면 상에 위치된 접착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접착 층은 환자에게 접착 기판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의료용 밸브는 의료용 밸브의 입구를 차단하는 분할식 격막을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의료용 밸브의 입구로의 의료용 기구의 연결은 의료용 밸브를 폐쇄 모드로부터 개방 모드로 전이시키도록 분할식 격막을 변형시키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도킹 포드는 압력 활성화 밸브를 포함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압력 활성화 밸브는 그를 통한 슬릿을 갖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슬릿은 크래킹 압력을 갖고, 그 위에서 슬릿은 압력 활성화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크래킹 압력은 카테터가 삽입되는 정맥의 정맥압보다 더 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유체 경로는 의료용 기구가 의료용 밸브에 연결될 때의 제1 유체 체적 및 의료용 기구가 의료용 밸브로부터 분리될 때의 제2 유체 체적을 갖고, 제1 유체 체적은 제2 유체 체적보다 더 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1 필름 층 및 제2 필름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유체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채널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접착 기판을 통해 연장하는 개방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카테터는 수형 루어 커넥터에 연결될 때 개방부를 통해 연장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개방부로부터 연장하는 스트레인 경감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스트레인 경감 부재는 접착 기판이 카테터에 일치하도록 허용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접착 기판은 투명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유체 경로는 뒤틀림에 저항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카테터 안정화 장치는 의료용 밸브로부터의 의료용 기구의 분리 시에 중립 유체 변위를 갖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유체 경로의 벽 내에 위치된 통기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통기 요소는 유체 경로의 프라이밍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위치된 제3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3 층은 유체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채널을 갖는, 장치.
  17. 제17항에 있어서, 제2 필름 층은 제2 필름 층을 통해 연장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포함하고, 제1 구멍은 도킹 포드의 입구와 유체 경로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구멍은 의료용 밸브의 출구와 유체 경로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환자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이며,
    밸브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개방 모드 및 밸브를 통한 유체를 방지하는 폐쇄 모드를 갖는 의료용 밸브 - 의료용 밸브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또한 포함함 -; 카테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수형 루어 커넥터; 내부 유체 경로를 가지며, 수형 루어 커넥터에 유체 연결된 도킹 포드; 도킹 포드의 적어도 일 부분의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도킹 포드 접착 층 - 도킹 포드 접착 층은 환자에게 도킹 포드를 고정하도록 구성됨 -; 및 제1 필름 층 및 적어도 제2 필름 층을 갖는 접착 기판 - 제1 필름 층 및 제2 필름 층은 접착 기판을 통해 연장하며 의료용 밸브와 도킹 포드를 유체 연결하는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함 - 을 포함하는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수형 루어 커넥터에 카테터를 연결하는 단계; 및
    환자에게 카테터 안정화 장치를 고정하고 카테터를 안정화하기 위해 환자에게 카테터 안정화 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접착 기판은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위치된 제3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3 층은 유체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채널을 갖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2 필름 층은 제2 필름 층을 통해 연장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포함하고, 제1 구멍은 도킹 포드의 입구와 유체 경로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구멍은 의료용 밸브의 출구와 유체 경로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KR1020167005855A 2013-08-16 2014-08-15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2245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66686P 2013-08-16 2013-08-16
US61/866,686 2013-08-16
PCT/US2014/051217 WO2015023922A1 (en) 2013-08-16 2014-08-15 Catheter connection and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822A true KR20160046822A (ko) 2016-04-29
KR102245473B1 KR102245473B1 (ko) 2021-04-27

Family

ID=5145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855A KR102245473B1 (ko) 2013-08-16 2014-08-15 카테터 연결 및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5) US9550044B2 (ko)
EP (1) EP3033133B1 (ko)
JP (1) JP2016531676A (ko)
KR (1) KR102245473B1 (ko)
CN (2) CN105555349B (ko)
AU (3) AU2014306542B2 (ko)
CA (1) CA2920542A1 (ko)
CR (1) CR20160104A (ko)
MX (1) MX2016001748A (ko)
WO (2) WO2015023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1491B2 (en) * 2006-04-21 2015-02-24 Bayer Medical Care Inc Catheters and related equipment
US9259535B2 (en) 2006-06-22 2016-02-16 Excelsior Medical Corporation Antiseptic cap equipped syringe
US11229746B2 (en) 2006-06-22 2022-01-25 Excelsior Medical Corporation Antiseptic cap
US9078992B2 (en) 2008-10-27 2015-07-14 Pursuit Vascular, Inc. Medical device for applying antimicrobial to proximal end of catheter
US10016587B2 (en) 2011-05-20 2018-07-10 Excelsior Medical Corporation Caps for needleless connectors
ES2797649T3 (es) 2011-07-12 2020-12-03 Icu Medical Inc Dispositivo para entrega de agente antimicrobiano en un catéter transdérmico
MX2016001748A (es) * 2013-08-16 2016-08-18 Np Medical Inc Dispositivo de estabilizacion y conexion de cateter y metodos de uso del mismo.
ES2755352T3 (es) 2014-05-02 2020-04-22 Excelsior Medical Corp Paquete en tira para tapón antiséptico
CA2982456A1 (en) 2015-05-08 2016-11-17 Icu Medical, Inc. Medical connectors configured to receive emitters of therapeutic agents
BR112018073351B1 (pt) * 2016-05-13 2023-01-31 C.R. Bard, Inc. Dispositivo de segurança incluindo um nariz guia
AU2017341782B2 (en) 2016-10-14 2023-03-16 Icu Medical, Inc. Sanitizing caps for medical connectors
WO2018125845A1 (en) 2016-12-27 2018-07-05 Vasonics, Llc Catheter housing
US20180256853A1 (en) * 2017-03-13 2018-09-13 Kayla Kight Adhesive catheter with disinfectant agent
WO2018204206A2 (en) 2017-05-01 2018-11-08 Icu Medical, Inc. Medical fluid connector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ditives in medical fluid lines
JP7216022B2 (ja) 2017-05-30 2023-01-31 ベラノ バスキュラ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アクセスのための安定化デバイス及び安定化デバイスを使用する方法
WO2018237090A1 (en) * 2017-06-21 2018-12-27 Icu Medical, Inc. PRIMING CAP
US11191939B2 (en) 2017-11-30 2021-12-07 Velano Vascular, Inc. Stabilizing connector devices for vascular acces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19133681A1 (en) 2017-12-27 2019-07-04 Velano Vascular, Inc. Support devices for bodily fluid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765139A4 (en) * 2018-03-12 2021-12-01 NP Medical Inc.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VASCULAR ACCESS POINTS
EP3856316A1 (en) 2018-09-28 2021-08-04 Velano Vascular,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hlebotomy through a closed system intravenous catheter
US11541221B2 (en) 2018-11-07 2023-01-03 Icu Medical, Inc. Tubing set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US11541220B2 (en) 2018-11-07 2023-01-03 Icu Medical, Inc. Needleless connector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US11534595B2 (en) 2018-11-07 2022-12-27 Icu Medical, Inc. Device for delivering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into an infusion device
US11517732B2 (en) 2018-11-07 2022-12-06 Icu Medical, Inc. Syringe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US11400195B2 (en) 2018-11-07 2022-08-02 Icu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transfer set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CA3118905A1 (en) 2018-11-21 2020-05-28 Icu Medical, Inc. Antimicrobial device comprising a cap with ring and insert
US11590323B2 (en) * 2019-05-13 2023-02-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assembly support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1291801B2 (en) 2020-01-31 2022-04-05 Np Medical Inc. Patient access site securement system
US11565084B2 (en) * 2020-05-01 2023-01-31 Np Medical Inc. Low profile catheter system
EP4255552A1 (en) 2020-12-07 2023-10-11 ICU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caps,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047A (en) * 1989-06-16 1991-05-28 Science Incorporated Fluid delivery apparatus
US5865808A (en) * 1993-04-16 1999-02-02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Anesthesia docking station
US6086564A (en) * 1998-07-27 2000-07-11 Mclaughlin; David L. Wrist-mounted I. V. administration set
JP2008304352A (ja) * 2007-06-08 2008-12-18 Sumitomo Bakelite Co Ltd 流路デバイス用基板の接合方法および流路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282A (en) 1990-05-04 1994-10-11 Bierman Steven F Catheter anchoring system
US5078703A (en) * 1989-10-13 1992-01-07 Abbott Laboratories Catheter adapter and retainer
US5707348A (en) 1995-06-06 1998-01-13 Krogh; Steve S. Intravenous bandage
JP4086458B2 (ja) * 2000-10-24 2008-05-14 テルモ株式会社 弁体
US6638252B2 (en) 2001-05-25 2003-10-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ntilever push tab for an intravenous medical device
CA2495013C (en) 2002-08-15 2011-02-15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WO2009032008A2 (en) * 2007-08-30 2009-03-12 C. R. Bard, Inc. Iv infusion system
US20120197205A1 (en) * 2009-05-15 2012-08-02 C.R. Bard, Inc. Universal stabilization device
BR112012010227A2 (pt) 2009-10-29 2018-03-20 E Helm Robert curativos de cateter estéril selado
WO2011060197A1 (en) 2009-11-11 2011-05-19 Venetec International, Inc. Stabilizing device for an extension set
US9962524B2 (en) * 2011-03-11 2018-05-08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article securement device
CN102429769B (zh) * 2011-12-07 2014-04-09 唐二虎 伤口保护固定装置
EP2777499B1 (en) * 2013-03-15 2015-09-16 Ortho-Clinical Diagnostics Inc Rotatable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MX2016001748A (es) 2013-08-16 2016-08-18 Np Medical Inc Dispositivo de estabilizacion y conexion de cateter y metodos de uso del mism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047A (en) * 1989-06-16 1991-05-28 Science Incorporated Fluid delivery apparatus
US5865808A (en) * 1993-04-16 1999-02-02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Anesthesia docking station
US6086564A (en) * 1998-07-27 2000-07-11 Mclaughlin; David L. Wrist-mounted I. V. administration set
JP2008304352A (ja) * 2007-06-08 2008-12-18 Sumitomo Bakelite Co Ltd 流路デバイス用基板の接合方法および流路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55349A (zh) 2016-05-04
EP3033133A1 (en) 2016-06-22
WO2017015047A1 (en) 2017-01-26
US20170080187A1 (en) 2017-03-23
US10987041B2 (en) 2021-04-27
AU2014306542B2 (en) 2019-02-14
US20170079570A1 (en) 2017-03-23
CR20160104A (es) 2016-06-14
US20160263349A1 (en) 2016-09-15
CN107809950A (zh) 2018-03-16
AU2016296472B2 (en) 2020-12-03
WO2015023922A1 (en) 2015-02-19
AU2016296472A1 (en) 2018-02-01
AU2019203349B2 (en) 2020-11-12
US9545502B2 (en) 2017-01-17
EP3033133B1 (en) 2020-04-15
KR102245473B1 (ko) 2021-04-27
CA2920542A1 (en) 2015-02-19
US10123728B2 (en) 2018-11-13
US9550044B2 (en) 2017-01-24
JP2016531676A (ja) 2016-10-13
US20180310864A1 (en) 2018-11-01
AU2019203349A1 (en) 2019-06-06
MX2016001748A (es) 2016-08-18
AU2014306542A1 (en) 2016-02-18
CN105555349B (zh) 2019-04-19
US10039484B2 (en) 2018-08-07
US20150320976A1 (en)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3349B2 (en) Catheter connection and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6017328A (en) Device for subcutaneous medication delivery
CA3096923C (en) Extension tubing strain relief
US8066670B2 (en) Vascular access device septum venting
EP2153865B1 (en) Luer integrated air venting system
TWI580448B (zh) 植入的通達接口
US20200030592A1 (en) Apparatus For Administering Liquids To A Human Intravenously Via An Implanted Port
US11013902B2 (en) Vascular access site management system
US11291801B2 (en) Patient access site securement system
CA2991440C (en) Catheter connection and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210338986A1 (en) Low profile catheter system
JP2024515270A (ja) ベント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2002095739A (ja) 動脈または静脈ライン採血システム用採血デバイス、および該採血デバイスを使用した動脈または静脈ライン採血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