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787A - 혈액 농축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농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787A
KR20160046787A KR1020167000952A KR20167000952A KR20160046787A KR 20160046787 A KR20160046787 A KR 20160046787A KR 1020167000952 A KR1020167000952 A KR 1020167000952A KR 20167000952 A KR20167000952 A KR 20167000952A KR 20160046787 A KR20160046787 A KR 20160046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tube
disposable
delivery conduit
blood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코튼
테런스 굴레이
Original Assignee
브라이트웨이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이트웨이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라이트웨이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4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8Removing constituents from donor blood and storing or returning remainder to body, e.g. for trans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81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transfusion, e.g. washing, filtering or tha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61M1/3633Blood component filters, e.g. leukocyte filters
    • A61M1/3635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79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by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04Extracorporeal pumps, i.e. the blood being pumped outside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20Type thereof
    • A61M60/247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253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displacement member directly acting on the blood
    • A61M60/268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displacement member directly acting on the blood the displacement member being flexible, e.g. membranes, diaphragms or bladders
    • A61M60/279Peristaltic pumps, e.g. rolle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30Medical purposes thereof other than the enhancement of the cardiac output
    • A61M60/39Medical purposes thereof other than the enhancement of the cardiac output for blood trans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40Details relating to driving
    • A61M60/424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438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the force acting on the blood contacting member being mechan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4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extracorporeal blood pumps
    • A61M60/849Dispos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0Poly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은 펌프 구동 유닛, 혈액 수집 용기 및 혈액 농축 장치와 연계되어 사용된다. 혈액 전달 도관은 혈액 전달 튜브(13)와, 혈액 전달 튜브(12) 둘레에 장착된 상자형 하우징을 구비한 연동 펌프 요소(12)를 포함한다. 혈액 전달 튜브(13)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연동 펌프 요소(12)의 상자형 하우징을 통해 연장된다.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은 자가 혈액 요법을 위한 혈액의 농축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혈액 농축 장치{APPARATUS FOR BLOOD CONCENTRATION}
본 발명은 혈액 농축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가 혈액 요법(autologous blood transfusion)을 위한 혈액 농축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가 혈액 요법은 동일한 환자로부터 혈액을 수집하고 다시 동일한 환자에게 자가수혈(retransfusion)하는 절차이다. 혈액은 수술 절차 도중 또는 수술 절차의 마지막에 필요한 경우 자가수혈을 위해 수술 도중 또는 수술 전에 수집될 수 있다. 기증된 혈액이 대개 공급 부족이므로 자가 혈액 요법과 종전에는 외과 배액(surgical drainage)으로 손실되었던 혈액을 회복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자가 혈액 요법은 동종 혈액 요법(allogenic blood transfusion, 관계없는 기증자로부터의 혈액 수혈)에 비해 수많은 장점을 가지는데, 부적합 혈액의 위험이 없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혈원성(blood-borne) 질병의 전파 위험도 없다. 이것은 심장, 혈관, 뼈 및 흉부에 대한 수술과 같이 수혈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은 수술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자가 혈액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혈액이 수술에 앞서 환자로부터 수집될 때, 이 수집은 통상적인 혈액 기증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수집이 수술 도중 수행되는 경우, 보관 또는 자가수혈에 대해 준비된 상태가 되도록 여과 및 농축하기에 앞서 혈액을 수집하는 데에 흡입 시스템이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종래 원심분리 시스템이 혈장 및 기타 혈액 성분으로부터 적혈구들을 분리함으로써 수집된 혈액을 농축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것은 수혈을 위한 적혈구 농축액을 형성한다. 혈액 농축을 위한 수동적 시스템들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WO2009/141589는 혈액과 같은 유체의 성분을 분리하는 장치를 개시하는데, 여기서는 다공성 멤브레인을 통해 전혈로부터 혈장을 끌어내기 위해 고흡수성 물질이 사용된다. 적혈구와 같은 세포성 물질(cellular material)은 멤브레인을 통과하기에는 너무 크기 때문에 저장되거나 환자에게 자가수혈될 수 있는 적혈구 농축액을 형성하게 된다.
혈액을 수집 및 처리하기 위한 완전한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혈액의 수집, 여과 및 농축이 제자리에서 최소한의 조치만으로 가능하게 한다. 이런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많은 수의 구성들을 포함하며 혈액이 최초로 수집되는 챔버(chamber), 혈액 농축을 위한 장치, 그리고 이 둘 사이에서 수집된 혈액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들 사이에서 혈액의 전달은 통상적으로 펌프에 의해 또는 진공 분위기에서 수행된다. 이런 혈액의 전달은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관 및 장비들을 자주 멸균할 필요와 혈액이 수집되고 처리되면서 세포들이 손상되는 위험을 포함하여 많은 난점들을 보일 수 있다.
혈액 농축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장치가 고안되어 왔는데, 이는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앞서 언급된, 또는 기타 문제들을 극복하거나 실질적으로 완화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펌프 구동 유닛, 혈액 수집 용기 및 혈액 농축 장치와 연계하여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에 있어서,
도관은 혈액 전달 튜브와, 혈액 전달 튜브 둘레에 장착된 상자형 하우징을 구비한 연동 펌프 요소를 포함하고,
혈액 전달 도관의 제1 끝단은 사용시에 혈액 수집 용기로 연결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고 혈액 전달 도관의 제2 끝단은 사용시에 혈액 농축 장치로 연결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혈액 전달 튜브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연동 펌프 요소의 상자형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되며, 연동 펌프 요소의 하우징은 사용시에 혈액 수집 용기로부터 혈액 농축 장치로 혈액을 전달하기 위해 펌프 구동 유닛과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적합하게 되어 있는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이 제공된다.
'연동 펌프 요소'라는 것은, 외부의 구동 유닛에 연결되면 연동 펌프(peristaltic pump)를 구성하는 유닛을 의미한다. 연동 펌프는 유체를 펌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적형 펌프(positive displacement pump)의 일종이다. 유체는 가요성 튜브를 통하여 지나가는데, 이 가요성 튜브는 펌프 케이싱 내에 고정되어 있다. 펌프에 의한 튜브의 압박 및 튜브를 따른 압박점의 변위가 연동 운동(peristalsis)으로 알려진 작용을 통해 유체로 하여금 튜브를 통해 추진되도록 한다.
연동 펌프에서, 펌핑되는 액체는 가요성 튜브 내에 전체적으로 수용되며 펌프 자체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연동 펌프 유닛들은 작동 부분이 소수이고 외부의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는 이들이 유지관리의 필요가 거의 없는 상대적으로 저가인 물품임을 뜻한다. 펌프 내에서 제한된 수의 작동 부분과 밸브 또는 씰링의 필요가 없다는 것은 또한 고장 또는 기계적 문제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혈액 전달 도관은 일회용이다. '일회용'이라는 것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는 혈액 전달 도관이 단 한 번만 사용되고 그 후 폐기되며 교체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의 사용은 환자들 사이에서 교차오염의 위험을 제거하면서 사용간 도관의 세척 및 소독의 필요를 줄이거나 없앤다.
본 발명의 혈액 전달 도관은, 혈액 전달 튜브 둘레에 장착된 연동 펌프 요소를 포함하고 펌프 구동 유닛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연동 펌프 요소는 값싼 성형 플라스틱 부품들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연동 펌프의 더 비싼 부품들은 펌프 구동 유닛에 통합되며 재사용될 수 있다. 연동 펌프 요소의 하우징은 하우징을 펌프 구동 유닛의 돌출된 구동축에 압박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펌프 구동 유닛에 맞물릴 수 있으며, 반대 동작에 의해 펌프 구동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사용시에 연동 작용을 가하기 위해 튜브에 대해 지지되는 펌프의 부품 둘레에 혈액 전달 튜브가 고정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혈액 전달 도관의 사용을 용이하게 해준다. 혈액 전달 도관은 따라서 연관된 장치들로 매우 손쉽고도 신속하게 맞물리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연동 펌프 요소의 값싼 속성은 혈액 전달 튜브와 함께 경제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혈액 전달 도관은 편리하게도 플라스틱 소재의 튜브를 포함하는데, 이 튜브의 한 끝단은 사용시 혈액 수집 용기로의 연결에 적합하게 되어 있고, 다른 끝단은 사용시 혈액 농축 장치로의 연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연동 펌프 요소는 튜브의 각 끝단들의 중간 지점에서 튜브 둘레로 장착된 상자형 하우징(enclosed housing)을 가진다. 적어도 연동 펌프 요소의 하우징이 그 둘레로 고정된 튜브의 부분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연동 펌프는 유체가 펌핑되게 되는 튜브의 기계적인 압박과, 튜브를 따른 압박점의 변위에 의해 작동한다. 튜브에 대한 압박은 튜브 전체를 폐색하거나 튜브의 부분적인 폐색을 수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연동 펌프 요소는 사용시에 튜브가 부분적으로 폐색되지만 전체적으로는 폐색되지는 않는다. 튜브의 전체적인 폐색은 혈액 내에 포함된 세포들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유리하다. 폐색의 정도는 튜브 단면적이 50%와 95% 사이, 또는 75%와 95% 사이로 감소되는 식일 수 있다.
연동 펌프 요소의 하우징은 편리하게도 2개의 개구를 가진 원형 공동을 형성함으로써 혈액 전달 튜브가 2개의 개구들 중 하나를 통해 공동의 내부면 둘레로 연장되며 다른 개구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나가게 된다. 전형적으로 개구들은 튜브가 공동의 내부 벽면 둘레로 적어도 180°의 원호, 더욱 전형적으로는 270°의 원호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은 전형적으로 원통면에 형성된 개구를 구비한 드럼 또는 실린더의 형태를 가진다. 전형적으로, 드럼 또는 실린더의 직경은 그 깊이보다 크다.
압박 요소들은 사용시에 튜브 내에 수용된 유체에 펌핑 작용을 가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튜브에 대해 지지되도록 공동 내에 배열된다.
가장 편리하게도, 압박 요소들은 개구들 사이에서 혈액 전달 튜브와 공동의 내부 벽체 사이의 공간으로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된 크기 덕분에 공동 내에서 제자리에 유지되는 자유롭게 장착된 롤러들이다.
바람직하게는, 3개의 이런 롤러들이 존재하며 밀착된 인접관계로 유지되어 이들 사이에 중심 공간을 가진 채로 각 롤러가 다른 2개와 접촉한다.
하우징의 베이스, 즉 연동 펌프 요소가 펌프 구동 유닛에 맞물릴 때 펌프 구동 유닛과 인접하게 되는 하우징의 일면에는 바람직하게는 개구가 제공되는데, 사용시에 이 개구를 통해 구동축이 삽입된다. 이 개구는 전형적으로 원형이며 롤러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사용시에, 펌프 구동 유닛의 구동축은 이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롤러들과 마찰력에 의해 맞물린다. 따라서 회전하는 구동축이 롤러들에 작용하여 이들로 하여금 공동 내에서 회전하고 혈액 전달 튜브에 연동 펌핑 작용을 가하도록 한다.
사용시에, 혈액 전달 도관의 제1 끝단은 혈액 수집 용기에 연결되고, 혈액 전달 도관의 제2 끝단은 혈액 농축 장치로 연결된다. 유체 수용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연결 수단은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것이든 적당한 연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전달 도관은 스크류 피팅(screw fitting), 베이어넛 피팅(bayonet fitting), 클립 또는 푸쉬 핏(push-fit) 커넥터를 통해 혈액 수집 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이 유체 밀봉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추가로 씰링, 예를 들어 고무 씰링이 혈액 전달 도관과 혈액 수집 용기 사이 및/또는 혈액 전달 도관과 혈액 농축 장치 사이의 연결부에 존재할 수 있다.
혈액 전달 튜브는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튜브를 포함한다.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이라는 것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튜브가 압력 하에서 압축되거나 변형되며 압력이 제거될 때 원래의 크기로 복귀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혈액 전달 튜브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소재로부터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이 부분이 연동 펌프 요소를 관통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혈액 전달 튜브의 일부분만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은 2개의 비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혈액 전달 튜브의 비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들은 강성이거나 유연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유연하다.
유체 전달을 위한 튜브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소재들이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으며 어떤 것이든 적절한 소재가 혈액 전달 튜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액 전달 튜브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다. 모든 소재들이 바람직하게는 의료용(medical grade)의 것이다.
혈액 전달 튜브의 길이는 혈액 수집 용기로부터 혈액 농축 장치로 연장될 수 있기에 충분하다. 튜브의 직경은 균일하거나 균일하지 않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의 직경이 다른 비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들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혈액이 튜브를 통해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혈액 전달 튜브는 약 0.3cm에서 1.5cm의 직경을 가지거나, 약 0.4cm에서 1.3cm의 직경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혈액 전달 튜브는 약 0.5cm에서 1cm의 직경을 가진다.
연동 펌프 요소는 사용시에 펌프 구동 유닛과 해제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적합하게 되어 있다. 편리하게도, 구동축은 펌프 구동 유닛의 벽체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펌프 구동 유닛은 구동축을 연동 펌프 유닛의 하우징의 베이스에 있는 창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연동 펌프 요소가 구동축 둘레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연동 펌프 요소는 간단히 연동 펌프 요소의 하우징을 돌출된 구동축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해 펌프 구동 유닛과 맞물릴 수 있다. 펌프 구동 유닛은 연동 펌프 요소를 제자리에, 그리고 필요한 위치 및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사용시에, 혈액은 일반적으로 환자로부터 수집되어 흡입 튜브를 통해 혈액 수집 용기로 전달된다. 전형적으로, 진공 펌프와 같은 감압원이 흡입력 발생을 위해 사용된다. 혈액 수집 용기에 비축되기에 앞서, 또는 일단 혈액 수집 용기에 들어가면 혈액은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헤파린과 같은 혈액응고 방지제와 혼합될 수 있다. 혈액은 흡입 튜브 내에서 혈액응고 방지제와 혼합되거나, 혈액응고 방지제가 혈액 수집 용기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전달 도관이 사용되는 혈액 수집 용기는 형태 면에서 본질적으로 통상적일 수 있다. 이런 용기는 전형적으로 투명하고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된 비이커(beaker)의 형태를 가진다. 혈액은 일반적으로 뼈조각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큰 고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올이 굵은 필터를 통해 이런 용기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혈액 전달 도관이 연결될 수 있는 배출 포트가 용기에 제공된다. 혈액 수집 용기는 수집된 혈액을 수용하기에 적절한 크기의 것이며 전형적으로 약 0.5와 3L 사이의 부피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혈액 수집 용기는 1과 2.5L 사이의 부피 또는 1.5와 2.5L 사이의 부피를 가진다.
혈액의 농축을 위한 장치들이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혈액 전달 도관과 함께 사용되는 혈액 농축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혈액 농축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농축 장치는 원심분리를 통한 적혈구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 또는 수동적인 수단을 통해 적혈구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전달 도관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수동적 혈액 농축 장치는 WO2009/141589에 개시된 타입의 것이다. 그 일반적인 타입의 특정한 혈액 농축 장치가 WO2011/061533에 설명되어 있는데, 다공성 멤브레인과 고흡수성 물질을 수용한 혈액 백(bag)을 포함한다. 사용시에, 혈액은 혈액 백에 비축되고 멤브레인에 의해 고흡수성 물질로부터 분리된다. 혈장 및 기타 불필요한 혈액 산물들은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고흡수성 물질로 진입하는 한편, 멤브레인의 구멍 크기가 세포성 성분의 통과를 막는다. 혈액 성분들이 멤브레인의 구멍들을 폐색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백을 천천히 흔들 수 있다. 충분한 혈장이 고흡수성 물질로부터 분리되면, 남은 적혈구 세포 농축액은 저장 또는 수혈을 위해 적절한 용기로 전달될 수 있다.
다공성 멤브레인은 혈액 백 내에 배치되고 고흡수성 물질을 수용한 내부 백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WO2011/061533에 따르면, 혈액 농축 장치는 불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외부 백과,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고 고흡수성 물질을 수용한 내부 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내부 백은 외부 백에 고정되어 그 내부에 매달려진다.
내부 백과 외부 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재들은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백들이 팽창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유연하다. 외부 백은 임의의 적절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지만, 우선적인 소재들은 장치 내에 수용된 유체가 새어 나가거나 오염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강인하고 불투과성이다. 외부 백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 플라스틱의 시트(sheet)로 형성된다. 외부 백을 위한 특히 우선적인 소재는 시트 형태의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혈액 전달 도관과 연결될 수 있는 포트가 외부 백에 제공된다.
내부 백은, 내부 백이 그 무결성을 잃지 않으면서 액상 매개물이 통과하도록 해주는 다공성 레이어(layer)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부 백은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와 같은 합성 플라스틱으로 된 시트로 형성된다. 내부 백을 위해 특히 우선적인 한 소재는 다공성 폴리카보네이트 멤브레인이다.
내부 백의 다공성 소재는 액체, 예컨대 혈장이 통과하도록 하지만, 실질적으로 세포성 물질의 통과를 막는다. 바람직하게 내부 백은 완벽하게 씰링되어서 액체는 그 다공성 벽체를 통과함으로써 내부 백으로 들어갈 수 있기만 하다.
내부 백의 구멍들의 크기는 전형적으로 0.01㎛에서 2㎛, 더욱 특정적으로는 0.01㎛에서 1㎛, 가장 특정적으로는 0.1㎛에서 1㎛의 범위를 가진다. 혈액의 농축에 사용할 용도로서, 내부 백의 구멍들은 외부 백과 내부 백 사이의 공동에 혈액의 실질적으로 모든 입자성 물질을 담도록 약 1㎛보다 크지 않은 직경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고흡수성 물질은 전형적으로 그 자체의 질량에 비해 극단적으로 많은 양의 유체를 흡수하고 유지할 수 있는 폴리머이다. 전형적으로, 이런 물질은 물 분자의 수소 결합을 통해 수용액을 흡수하는데, 그 중량의 200배, 400배 또는 500배까지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들 중 하나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즉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의 염이다.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 염(가교결합 폴리아크릴산나트륨, cross-linked sodium polyacrylate)이 개시제(initiator)의 존재 하에 수산화나트륨과 혼합된 아크릴산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고흡수성 폴리머들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polyacrylamide copolymer), 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ethylene maleic anhydride copolymer), 가교결합 카복시메틸셀룰로스(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폴리비닐알콜 공중합체(polyvinylalcohol copolymer), 가교결합 폴리에틸렌 산화물(cross-linked polyethylene ox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의 전분 그라프트 공중합체(starch-grafted copolymer) 및 기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고흡수성 폴리머는 알지네이트(alginate), 즉 알긴산의 염이다. 이런 재료는 자연적으로 갈조류의 세포벽에 풍부한 점성 검(viscous gum)으로 존재하며, 상업적인 형태는 해조류로부터 추출된다. 알긴산은 (1-4)-결합 β-D-마누로네이트((1-4)-linked β-D-mannuronate)와, 상이한 배열과 블록으로 함께 공유결합된 그 C-5 에피머 α-L-굴루로네이트 잔기(C-5 epimer α-L-guluronate residues)의 호모폴리머 블록들을 가진 선형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은 혈액 수집 용기 및 혈액 농축 장치와는 별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은 혈액 수집 용기 및/또는 혈액 농축 장치와 조합되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르면, 자가 혈액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혈액 농축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혈액 수집 용기와 혈액 농축 장치를 포함하고, 혈액 수집 용기와 혈액 농축 장치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의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혈액 농축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혈액 전달 도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연동 펌프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펌프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혈액 농축 장치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혈액 농축 백과 같은 수동적 장치인 경우, 펌프 구동 유닛은 혈액 농축 장치를 흔들기 위한 수단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측면에 따르면, 자가 혈액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혈액 농축 방법으로서, 혈액을 혈액 수집 용기에 수집하는 단계와,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의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을 통해 혈액을 혈액 수집 용기로부터 혈액 농축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 농축 방법이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혈액은 흡입 튜브를 통해 혈액 수집 용기로 수집될 것이다. 그러면 펌프 구동 유닛에 연결된 연동 펌프 요소가 혈액 전달 튜브를 통해 혈액 수집 용기로부터 혈액 농축 장치로 혈액을 인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혈액 농축 장치는 잉여 혈액 성분들을 제거하여 저장 또는 자가수혈을 위한 적혈구 농축액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측면에 따르면, 혈액 수집 용기와 혈액 농축 장치 사이에 혈액을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른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을 통해 혈액을 전달하는 혈액 전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혈액 전달 도관, 혈액 수집 용기 및 혈액 농축 장치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중 어느 것이든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을 포함하는 혈액 처리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을 보여준다.
도 3은 연동 펌프 요소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혈액 전달 튜브의 밑면 평면도로서, 이들은 도 2의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4는 도 3의 연동 펌프 요소의 내부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화살표 V를 따라 보이는 바와 같이 연동 펌프 요소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혈액 전달 튜브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예시적인 방법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혈액 처리 시스템(10)은 혈액 수집 챔버(11)와, 연동 펌프 요소(12)가 둘레에 장착되는 혈액 전달 튜브(13)를 순차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른 혈액 전달 도관과, WO2011/061533에 설명된 타입의 혈액 농축 백(14)의 형태로 된 혈액 농축 장치를 포함한다. 혈액 농축 백(14)은 셰이커 유닛(shaker unit)에 장착된다. 혈액 수집 챔버(11)는 혈액 전달 도관을 통해 혈액 농축 백(14)에 연결된다. 혈액의 유동 방향이 혈액 전달 튜브(13) 상의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혈액 전달 도관은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 전달 튜브(13)는 3개의 부분들, 제1 투명 플라스틱 튜브(131),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중합체 섹션(132) 및 제2 투명 플라스틱 튜브(133)로 구성된다. 튜브(13)의 세 부분은 적절한 조인트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도관을 형성한다. 제1 투명 플라스틱 튜브(131)의 자유단은, 튜브(13)가 혈액 수집 용기(11)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135)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제2 투명 플라스틱 튜브(133)의 자유단은 혈액 농축 백(1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연동 펌프 요소(12)는 튜브(13)의 탄성 중합체 섹션(132) 둘레에 장착된다.
연동 펌프 요소(12)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더욱 상세히 나타나 있다. 연동 펌프 요소(12)는 원통형 외부 케이싱(31), 중앙에 원형 개구(32)가 형성된 베이스(도 3 참조)를 포함한다. 도 4의 내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입구(42a)와 배출구(42b)가 원통형 케이싱(31)의 곡면 벽체에 대략 90° 이격되어 제공된다. 혈액 전달 튜브의 탄성 중합체 섹션(132)은 인입구(42a)를 통과해 케이싱의 내부면 둘레로, 그리고 배출구(42b)를 통해 지나간다. 3개의 자유롭게 장착된 원통형 롤러들(41a, 41b, 41c)(도 3 참조)이 인입구(42a)와 배출구(42b) 사이에서 탄성 중합체 튜브 섹션(132)과 케이싱(31)의 내부 벽체 사이에 밀착되게 들어맞는다. 롤러들(41a, 41b, 41c)은 탄성 중합체 튜브 섹션(312)의 탄성에 의해 함께 압박되어 각 롤러들(41a, 41b, 41c)은 다른 두 롤러들 각각과 인접한다. 하우징(31) 내부에서 롤러들(41a, 41b, 41c)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이들 중 2개가 탄성 중합체 튜브 섹션(132)과 접촉하며 탄성 중합체 튜브 섹션(132)과 접촉하는 지점에서 탄성 중합체 튜브 섹션을 압박하여 부분적으로 폐색시킨다.
롤러들(41a, 41b, 41c) 사이의 중심 공간에는 케이싱(31)의 베이스에서 개구(32)가 정렬된다. 사용시에, 연동 펌프 요소(12)는 셰이커 유닛(15)의 측면 벽체로부터 돌출된 구동축(도면에서는 볼 수 없음)에 끼워맞춰진다. 구동축은 개구(32)를 관통하여 롤러들(41a, 41b, 41c)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며 롤러들과 마찰력에 의해 맞물린다. 구동축의 회전(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은 롤러들(41a, 41b, 41c)이 그 축 둘레로 회전하게 하며 하우징(31)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이 동작은 튜브(132)가 압박되는 지점인 롤러들(41a, 41b, 41c)과 튜브(132)의 접촉점(43, 44)이 튜브(132)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탄성 중합체 튜브 섹션(132)에 연동 펌핑 작용을 일으킨다.
사용시에, 혈액 수집 용기(11)는 감압원(미도시)에 연결되고 흡입 튜브(16)가 감압 하에서 혈액을 혈액 수집 챔버(11)로 인도하면서 수술 부위로부터 혈액을 수집한다. 혈액 수집 챔버(11)로부터 혈액 농축 백(14)으로 혈액을 전달하기 위해, 혈액 전달 튜브(13)의 일단이 혈액 수집 챔버(11)의 배출 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혈액 농축 백(14)의 인입구에 연결된다. 연동 펌프 요소(12)가 셰이커 유닛(15)의 측면 벽체로부터 돌출된 구동축(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걸쳐 끼워진다. 구동축의 회전은 연동 펌프 요소(12)가 수집 챔버(11)로부터 혈액 전달 튜브(13)를 거쳐 혈액 농축 백(14)으로 혈액을 이끌도록 한다.
혈액 농축 백(14)은 다공성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진 내부 백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고흡수성 물질을 수용하고 있다. 혈장은 혈액으로부터 내부 백으로 이끌어지며, 혈액 농축 과정이 완료되고 난 후에 저장 또는 환자에게의 즉각적인 자가수혈을 위해 적절한 용기로 전달될 수 있는 혈액 세포 농축액을 남긴다. 혈액의 농축 과정은 전형적으로 5분 내지 30분 사이가 소요되는데, 이후 혈액 농축 백(14)은 혈액 전달 튜브(13)로부터 분리된다. 전체 과정 동안 내부 백에서 구멍의 폐색을 막기 위해 혈액 농축 백(14)은 셰이커 유닛(15)에 의해 천천히 흔들어진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혈액 농축 백은 셰이커 유닛(15)의 일부를 형성하는 진동 테이블 상에 장착된다.
필요하다면 제2 혈액 농축 백(14)이 혈액 전달 튜브(1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위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절차의 마지막에서 혈액 전달 튜브(13), 관련된 연동 펌프 요소(12)를 포함하는 혈액 전달 도관이 혈액 농축 백(14), 혈액 수집 챔버(11) 및 셰이커 유닛(15)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된다.

Claims (21)

  1. 펌프 구동 유닛, 혈액 수집 용기 및 혈액 농축 장치와 연계하여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에 있어서,
    도관은 혈액 전달 튜브와, 혈액 전달 튜브 둘레에 장착된 상자형 하우징을 구비한 연동 펌프 요소를 포함하고,
    혈액 전달 도관의 제1 끝단은 사용시에 혈액 수집 용기로 연결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고 혈액 전달 도관의 제2 끝단은 사용시에 혈액 농축 장치로 연결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혈액 전달 튜브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연동 펌프 요소의 상자형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되며, 연동 펌프 요소의 하우징은 사용시에 혈액 수집 용기로부터 혈액 농축 장치로 혈액을 전달하기 위해 펌프 구동 유닛과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적합하게 되어 있는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2. 제1항에 있어서,
    혈액 전달 튜브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동 펌프 요소는 사용시에 혈액 전달 튜브가 부분적으로만 폐색되고 완전히 폐색되지 않도록 된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연동 펌프 요소의 하우징은, 하우징이 혈액 전달 튜브 둘레에 끼워맞춰지도록 해주는 2개의 개구들을 가진 원형 공동을 형성하는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5. 제4항에 있어서,
    개구들은, 튜브가 공동의 내부 벽체 둘레로 적어도 180°의 원호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치된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원통면에 형성된 2개의 개구를 구비한 원통 형상을 가진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튜브 내에 수용된 유체에 펌핑 작용을 가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튜브에 대해 지지되도록 공동 내에 배열된 압박 요소들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8. 제7항에 있어서,
    압박 요소들은 자유롭게 장착된 롤러들인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베이스는 사용시에 펌프 구동 유닛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혈액 전달 튜브의 직경은 약 0.3cm와 1.5cm 사이인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수동적 혈액 농축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수동적 혈액 농축 장치는 다공성 멤브레인과 고흡수성 물질을 수용한 혈액 백을 포함하는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13. 제12항에 있어서,
    다공성 멤브레인은, 혈액 백 내부에 배치되고 고흡수성 물질을 수용한 내부 백을 형성하는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혈액 백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로 형성된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혈액 백은 혈액 전달 도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포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다공성 멤브레인은 다공성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다공성 멤브레인의 구멍 크기는 약 0.01㎛에서 1㎛인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
  18. 자가 혈액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혈액 농축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혈액 수집 용기와 혈액 농축 장치를 포함하고,
    혈액 수집 용기와 혈액 농축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한 항의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혈액 농축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혈액 전달 도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연동 펌프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펌프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혈액 농축 시스템.
  20. 자가 혈액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혈액 농축 방법으로서,
    혈액을 혈액 수집 용기에 수집하는 단계와, 제1항 내지 제17항 중 한 항의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을 통해 혈액을 혈액 수집 용기로부터 혈액 농축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 농축 방법.
  21. 혈액 수집 용기와 혈액 농축 장치 사이에 혈액을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한 항의 일회용 혈액 전달 도관을 통해 혈액을 전달하는 혈액 전달 방법.
KR1020167000952A 2013-07-23 2014-07-23 혈액 농축 장치 KR201600467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313137.0A GB201313137D0 (en) 2013-07-23 2013-07-23 Apparatus for blood concentration
GB1313137.0 2013-07-23
PCT/GB2014/052249 WO2015011473A1 (en) 2013-07-23 2014-07-23 Apparatus for blood concent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787A true KR20160046787A (ko) 2016-04-29

Family

ID=4911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952A KR20160046787A (ko) 2013-07-23 2014-07-23 혈액 농축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158425A1 (ko)
EP (1) EP3024508A1 (ko)
JP (1) JP2016527021A (ko)
KR (1) KR20160046787A (ko)
CN (2) CN204337480U (ko)
AU (1) AU2014294759A1 (ko)
CA (1) CA2915414A1 (ko)
GB (2) GB201313137D0 (ko)
WO (1) WO20150114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681A (ko) 2021-12-15 2023-06-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의 혈액 채취를 위한 미세 조절 펌프 기반 혈액 수집기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9282C2 (en) * 2015-09-10 2017-06-13 Conroy Medical Ab Blood mixer for use with a blood collecting bag
GB2553536A (en) * 2016-09-07 2018-03-14 Univ Strathclyd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lood salvage and autotransfusion
US11583615B2 (en) 2017-12-28 2023-02-21 I-Sep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haemorrhagic fluid for autotransfusion
US10716880B2 (en) * 2018-06-15 2020-07-21 Incuvat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spiration and monitoring
CN113289091A (zh) * 2021-03-29 2021-08-24 马永庆 一种脐带血专用采血袋及其配套的采集设备
US20220355012A1 (en) * 2021-05-07 2022-11-10 Terumo Cardiovascular Systems Corporation Heart-lung machine with semi-autonomous initiation mod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1182A (en) * 1977-09-23 1980-03-04 Hemotherap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lasmaphersis
US4753733A (en) * 1981-10-02 1988-06-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lasmapheresis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coming membrane fouling
JPS6145772A (ja) * 1984-08-07 1986-03-05 テルモ株式会社 血漿分離装置
SE453360B (sv) * 1985-11-18 1988-02-01 Gambro Lundia Ab Autotransfusionssystem for uppsamling, behandling och aterforing av en patients blod
US5273517A (en) * 1991-07-09 1993-12-28 Haemonetics Corporation Bloo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disposable cassette
US5478479A (en) * 1994-05-20 1995-12-26 Haemonetics Corporation Two-stage cell wash process controlled by optical sensor
DE19802321C2 (de) * 1998-01-23 2000-05-11 Freseniu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intra- oder postoperativen Blutverlusten für die Autotransfusion
US6649072B2 (en) * 2001-11-16 2003-11-18 Robert Brandt Method for producing autologous platelet-rich plasma
US20090053085A1 (en) * 2007-08-24 2009-02-26 Thompson Loren M Peristalitic pump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a cassette thereto
GB0809092D0 (en) * 2008-05-20 2008-06-25 Univ Strathclyde Fluid processing device
US20100160137A1 (en) * 2008-12-22 2010-06-24 Caridianbct, Inc. Blood Processing Apparatus with Air Bubble Detector
EP2501419B1 (en) * 2009-11-17 2015-06-03 Brightwake Limited Device for processing flu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681A (ko) 2021-12-15 2023-06-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의 혈액 채취를 위한 미세 조절 펌프 기반 혈액 수집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1473A1 (en) 2015-01-29
GB201313137D0 (en) 2013-09-04
CN104338189A (zh) 2015-02-11
GB2519400B (en) 2015-12-23
GB201413063D0 (en) 2014-09-03
US20160158425A1 (en) 2016-06-09
JP2016527021A (ja) 2016-09-08
AU2014294759A1 (en) 2016-01-21
EP3024508A1 (en) 2016-06-01
CA2915414A1 (en) 2015-01-29
CN204337480U (zh) 2015-05-20
GB2519400A (en)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6787A (ko) 혈액 농축 장치
JP6486416B2 (ja) 透析液中の物質を検出するための感知システム
US108572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bodily fluid collection
JP4077722B2 (ja) 体外流体処理時における体液の流れ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JP2019155145A (ja) 柔軟な創傷流体容器
CN104918641B (zh) 脂肪处理装置
JPWO2004052270A1 (ja) ウイルス除去バッグ及びそれを用いたウイルス除去方法
JPH08500509A (ja) 処理済み血液製剤から目的外の流体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4163733A2 (en) Expandable fluid collection canister
US9474845B2 (en) Cell removal method, cell removal system, and white blood cell removal method
JP2015502773A (ja) 透析液中の物質を検出するための感知システム
WO1996020020A2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from a biological fluid
WO201804692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lood salvage and autotransfusion
US11911549B2 (en) Plasmapheresis device
US11596721B2 (en) Drain apparatus for hemodialysis machines
RU110277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а и обработки раневой крови
KR20160135604A (ko) 지방 분리용기
EP333574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white blood cells from a leukoreduction filter
EP4251223A1 (en) A system for treating a w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