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783A -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783A
KR20160046783A KR1020160048148A KR20160048148A KR20160046783A KR 20160046783 A KR20160046783 A KR 20160046783A KR 1020160048148 A KR1020160048148 A KR 1020160048148A KR 20160048148 A KR20160048148 A KR 20160048148A KR 20160046783 A KR20160046783 A KR 20160046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guide
cool air
making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735B1 (ko
Inventor
이동훈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7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빙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는 제빙장치와; 상기 제빙장치에 구비되며, 제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유입구와; 상기 냉기유입구에서 배출된 냉기를 상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냉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 making device}
본 발명은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빙시 제빙장치로 냉기가 집중되는 것을 도모하여 제빙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 싸이클을 이용하여 저장물을 냉장 또는 냉동보관하는 가전장치이다. 냉장고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있다.
저장실 또는 도어에는 얼음을 제빙하고 보관하기 위한 제빙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빙실에는 제빙트레이를 구비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빙트레이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장치도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냉장고에서의 제빙과정을 보면, 급수장치에 의하여 제빙트레이로 물이 급수되고, 제빙실로 냉기가 유입되면, 제빙트레이 내부에 있는 물이 결빙되어 특정한 형상을 갖는 얼음이 된다.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트레이가 회전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되는 이빙장치에 의하여 얼음이 제빙트레이 근처에 설치되는 얼음보관함으로 이빙된다.
제빙을 하는 경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얼마나 많은 냉기가 집중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가에 따라서 제빙소요시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빙소요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제빙장치 주위를 유동하는 냉기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제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는 제빙장치와; 상기 제빙장치에 구비되며, 제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유입구와; 상기 냉기유입구에서 배출된 냉기를 상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냉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냉기유입구는 상기 제빙실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냉기안내부는 상기 제빙실 측면의 내측벽에 장착되되, 상기 제빙트레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상기 냉기 안내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냉기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부와;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에서 유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의 일부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몸체부 내측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가이드리브와;
상기 몸체부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가이드리브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유동하는 냉기의 최대유속발생구간에 설치되며,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소정 각도의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리브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 내측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가이드리브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유출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리브는 상기 제빙트레이를 향하여 각각 다른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가이드리브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유입구는 제빙실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냉기안내부는 상기 제빙실 상부 내측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 안내부는 상기 냉기유입구에서 나오는 공기가 상기 제빙트레이 상면을 향하여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트레이 상면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안내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냉기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부와;
상기 몸체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빙트레이를 향하여 배치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로 향하는 공기가 상기 제빙트레이 상면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빙트레이 상면을 향하여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측벽은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냉기유입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되자마자 측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냉기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냉기유입구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상기 냉기유입구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빙실은 본체 내부 또는 도어에 마련되며,상기 냉기 안내부는 상기 냉기유입구에 연결되되, 상기 제빙트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트레이 하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 안내부는 상기 제빙트레이의 하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벽부와; 상기 하벽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빙트레이의 측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빙실 내부로 유입된 냉기가 바로 상기 제빙장치로 향하게 됨으로써 제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빙장치로 이동하는 냉기가 제빙장치, 특히 제빙트레이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분산되기 때문에 제빙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된 냉기안내부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된 냉기안내부의 측면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된 냉기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기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냉기안내부가 없는 경우의 제빙완료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기 안내부가 있는 경우의 제빙완료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11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빙실을 보인 도면이다.
도12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기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기안내부의 측단면도이다.
도14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빙실을 보인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제빙트레이와 냉기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제빙트레이와 냉각핀을 도시한 하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실(2)과 냉동실(3)을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냉장실(2)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는 냉동실 도어(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2)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냉동실(3)은 상기 본체(1)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할 것은 아니며, 냉동실(3)이 상기 본체(1) 상부에 마련되거나, 냉장실(2)과 냉동실(3)이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타입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후면에는 제빙실(15)이 마련되며, 상기 제빙실(15)의 내부에는 얼음을 제빙하기 위한 제빙장치(18)와, 상기 제빙장치(18)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수용하기 위한 얼음보관함(40)이 설치된다.
상기 제빙장치(18)는 물이 수용되는 제빙트레이(19)와, 상기 제빙트레이(19)와 연결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9)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이빙히터(미도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트레이(19)의 상부에는 상기 제빙트레이(19)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호스(43)가 마련된다.
상기 제빙실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빙실(15)로 유입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유입구(51) 및 상기 제빙실(15)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토출되는 냉기 토출구(52)가 마련된다.
상기 냉기 유입구(51)와 상기 냉기토출구(52)는 상기 본체(1)의 일측면 내부에 설치되는 냉기 안내덕트(55)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냉기 안내덕트(55)는 상기 본체(1)의 하부에 마련되는 상기 냉동실(3)의 냉기를 상기 제빙실(15)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빙실(15)의 냉기를 다시 상기 냉동실(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냉동실(3)의 후방에 마련되는 증발기(6)에서 냉기가 발생되면, 상기 증발기 주위에 배치되는 냉기팬(7)의 작동에 의하여 냉기의 상당부분은 상기 냉동실(3) 내부로 유입되고, 냉기의 일부는 상기 냉기안내덕트(55)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제빙실(15)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하에서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12)를 닫게 되면, 상기 냉기유입구(51)와 상기 냉기토출구(52)는 각각 상기 냉기안내덕트(55)에 연결된다.
상기 제빙실(15)의 내측에는 상기 냉기유입구(51)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제빙장치(18)로 집중시키는 냉기안내부(60)가 마련된다.
상기 냉기안내부(60)는 상기 제빙장치(18), 상세하게는 상기 제빙트레이(19)의 상부 일측에 상기 제빙트레이(19)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냉기유입구(51)가 형성되는 상기 제빙실(15)의 내측벽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냉기안내부(60)는 상기 급수호스(28)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장치(18)의 구성을 보면, 내부가 복수개의 일정공간으로 구획되는 상기 제빙트레이(19)와, 상기 제빙트레이(19)의 일측에 마련되는 물튐방지판(21)과, 상기 제빙트레이(19)의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구동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19)의 하부측에는 상기 얼음보관함(도1참조, 25)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감지센서(22)가 마련되는데, 여기서 상기 만빙감지센서(22)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레버 형태의 센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19)의 후방측에는 상기 제빙장치(18)를 상기 제빙실(15)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24)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라켓(24)에는 상기 제빙트레이(19)로 급수되는 물을 안내하는 급수안내부(29)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안내부(29)는 급수호스(28)에서 토출되는 물을 받아서 상기 제빙트레이(19)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기안내부(60)는 일종의 덕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냉기 안내부(60)는 그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부(61)와, 상기 몸체부(61)에 마련되어 상기 냉기유입구(51)와 연통되는 유입부(62)와, 상기 유입부(62)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유출부(64), 그리고, 상기 몸체부(61)의 상부를 형성하며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부재(6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커버부재(65) 중 상기 유입부(62)에 가까운 부분에는 곡면부(65a)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유입부(62)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커버부재(65)의 곡면부(65a)을 만났을때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65)는 상기 몸체부(61)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냉기안내부(60)와 상기 냉기유입구(51)사이에 냉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그 사이에는 소정의 실링부재(6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기안내부(60)의 측면에는 소정의 결합공(66)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66)에는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68)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냉기안내부(60)가 상기 고정브라켓(24)에 고정결합된다.
도3은 상기 냉기안내부(6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냉기안내부(60)의 유입부(62)측이 상기 냉기유입구(51)를 향하여 일정길이만큼 돌출되는 돌출부(68)를 구비하여, 그 돌출된 부분이 상기 냉기유입구(51)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돌출된 특징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2의 다른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4는 상기 냉기안내부(6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냉기안내부(60)의 사시도로서, 상기 유입부(62)는 상기 몸체부(61)일측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유출부(64)는 상기 몸체부(61)의 타측과 그 하부의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61)의 측면 일 단부, 즉 상기 냉기유입구(51)에 가까운 부분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0)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냉기유입구(51)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유입부(62)로 이동하는 경우에 냉기가 상기 유입부(62)를 통과하자 마자 그 측방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기가 상기 유출부(64)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냉기 유입구(51)의 설치위치보다 상기 냉기안내부(60)의 유출부(64) 의 설치위치가 약간 높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기를 상기 유출부(64) 방향으로 상향안내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65) 중 상기 유입부(62)에 가까운 부분에는 곡면부(65a)가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62)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커버부재(65)의 곡면부(65a)을 만났을때 와류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유출부(64)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61)에는 상기 유입부(62)에서 상기 유출부(64) 측으로 이동하는 냉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7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리브(71)는 상기 유입부(62)에서 상기 유출부(64) 방향으로 이동하는 냉기의 흐름의 일부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71)는 그 배치된 위치에 따라서 상부가이드리브(72)와 하부 가이드리브(73)로 나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리브(71)는 상기 몸체부(6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 리브(73)는 상기 몸체부(61)의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유출부(64)를 가로질러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리브(72)에는 경사면(72a)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72a)은 상기 유입부(62)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빙트레이(19)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리브(72)는 상기 몸체부(60) 내부 중 공기의 최대유속구간, 실질적으로는 상기 몸체부(60)의 중앙부 근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사면의 각도는 45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가이드리브(72)가 최대 유속구간에 있어야 그만큼 공기의 유동방향변화의 효과도 크게 얻을 수 있으며, 변화된 유동방향을 따라서 공기가 더 멀리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하부가이드리브(73)는 복수개가 마련되고 역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하부 가이드리브의 배치 경사각(D1, D2, D3)은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가이드리브(73)의 경사각(D1, D2, D3)을 각각 달리 배치한 까닭은 상기 제빙트레이(19) 상부에 냉기가 골고루 퍼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부가이드리브(73)는 대부분 상기 유입부(62)가 형성된 방향의 제빙트레이(19)의 부분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는 상기 유입부(62)를 통과한 냉기의 대부분은 관성에 의하여 상기 유출부(64)를 통과하여 유출부(64)가 형성된 제빙트레이(19)로 자연스럽게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메커니즘하에서는 냉기가 제빙트레이(19) 부분 중 상기 유출부(64)와 근접한 부분으로 집중될 것이고, 이로 인하여 상기 유입부(62)와 근접한 부분과 온도 차이가 발생하여, 제빙완료가 상기 유출부(64)와 인접한 부분부터 일어나는 편중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냉기의 편중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출부(64)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냉기의 방향을 제빙트레이(19) 부분 중 상기 유입부와 근접한 부분을 향하게 한 것이다.
도6은 상기 냉기안내부(6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도5와 다른점은 상기 상부가이드리브(72)가 한 개가 아니라,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여기서도, 각각의 상기 상부 가이드리브(72)의 경사면(72a)은 상기 유입부(62) 방향을 바라보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은 도5에서 나타난 실시예와 같다.
상기 복수개의 상부가이드리브(72) 중 일부는 상기 몸체부(61)의 일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61)의 타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냉기의 유동흐름의 변경이 여러곳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냉기가 상기 제빙트레이에 골고루 퍼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기안내부(60) 자체가 상기 냉기유입구(51)에 밀착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냉기유입구(51)를 통과한 냉기가 다른 방향으로 퍼지지지 않고 온전히 상기 제빙트레이(19)를 향하도록 집중시키되, 그 와중에서 제빙트레이(19)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안내부(60)에 유입된 냉기의 흐름을 보면, 상기 유입부(62)를 통과한 냉기는 상기 유출부(64)를 향하여 이동하되, 우선 상기 상부가이드리브(72)를 만나서 아래로 비스듬히 이동한다.
그 상태에서 냉기는 상기 유출부(64)를 통과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9)로 낙하하되, 각기 다른 경사도를 갖는 상기 하부 가이드리브(73)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9)로 이동한다.
특히, 상기 하부 가이드리브(19)가 없었더라면, 냉기의 직접적 이동이 없었을 제빙트레이(19)의 부분, 즉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제빙트레이(19)의 부분에 상기 하부가이드리브(73)에 의한 안내가 집중됨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19) 전체적으로 냉기가 골고루 퍼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냉기안내부(60)가 없었다면, 상기 냉기유입구(51)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실(15)로 들어온 냉기는 상기 제빙트레이(19) 및 그 하부로 분산될 것이다.
또한, 그 상태에서는 상기 냉기유입구(51)를 관통한 냉기는 그 관성에 의하여 바로 냉기유입구(51)에 인접한 제빙트레이의 부분(B부분)으로 이동하기 보다는 상기 구동부(20)에 인접한 부분(A 부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냉기의 분포가 불균형해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냉기안내부(60)에 의하여 그러한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기안내부(60)의 길이는 상기 제빙트레이(19) 길이방향 전체에 대응되지 않고, 약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가진 채로 냉기유입구(51)에 부착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만약에 냉기안내부(60)의 길이가 제빙트레이(19)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9)의 상부 전체에 걸쳐 배치되면, 상기 냉기유입구(51)에서 토출되어 제빙트레이(19)의 상부, 특히, 상기 구동부(20) 근처로 이동한 냉기가 계속 그 부분에 머물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갓 들어온 냉기를 공급하고, 기존에 제빙트레이(19)주위에 머물러 있는 냉기들은 상기 제빙실(15)의 다른 부분으로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냉기안내부(60)의 길이를 상기 제빙트레이(19)보다 짧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빙트레이(19)의 A부분 중 가장 좌측에 있는 제빙트레이 부분을 19a로 표시하고, B부분중 가장 우측에 있는 부분을 19f라고 표시하겠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기 안내부(60)가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의 제빙의 신속도를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8은 제빙트레이 내부에 담긴 물 또는 얼음의 시간에 따른 온도그래프로서, 상기 냉기안내부(60)가 없는 경우에 제빙완료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제빙완료가 되는 온도를 -8℃라고 했을 때, 19a부분에서 제빙이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19f부분에서 제빙이 완료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는 약 50분 정도가 된다.
이는 상기 19a부분으로 갈수록 냉기의 공급이 집중되는 반면에, 19f부분으로 갈 수록 냉기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결국 냉기의 분포가 불균등 해진다는 것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안내부(60)가 설치된 경우에는19a부분에서 제빙이 완료되는 시간과 19f 부분에서 제빙이 완료되는 시간 차이가 불과 4분으로 줄어들게 된다.
제빙이 최종적으로 완료되는 판단 기준은 제빙이 가장 늦게 이루어지는 부분에서 제빙완료가 되었는지 여부가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냉기 안내부(60)가 설치되면 현저하게 제빙완료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10은 상기 제빙실(15)의 냉기 유입구(151)가 측면이 아닌 상면에 형성된 실시예를 보인것이다.
이러한 구성하에서는 상기 냉기안내덕트(155)는 상기 냉장실(2)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빙실(15)의 냉기유입구(151) 하부에는 제빙장치(18) 및 상기 제빙장치(18)로 향하는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 안내부(160)가 장착된다.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1에서 개시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0에서는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냉장실(2), 하부에(3)에는 냉동실이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안내부(160)는 상기 제빙장치(18)의 상부에 마련되며, 특히, 상기 냉기안내부(160)의 길이는 상기 제빙장치(18)의 제빙트레이(19)의 길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냉기유입구(151)가 상기 제빙실(15)의 상부에 마련되므로 상기 냉기유입구(151)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제빙실(15)에 골고루 분산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12와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안내부(160)도 몸체부(161)와, 상기 몸체부(161) 상부에 마련되는 유입부(162), 그리고, 상기 유입부(162)의 하측에 마련되는 유출부(16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164)에는 하부가이드리브(173)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9)로 냉기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하부가이드리브(173)는 복수개로 마련되되, 경사지게 배치되고, 그 경사각도(D4,D5,D6)는 각각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빙실(15)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냉기유입구(151)를 통과한 냉기는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안내부(160)로 들어오고, 상기 냉기안내부(160) 내부로 들어온 냉기는 상기 유출부(164)로 이동한 후 상기 제빙트레이(19)의 상부로 낙하한다.
이때, 상기 하부 가이드리브(173)의 안내에 의하여 그 낙하되는 방향이 제각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9)에 골고루 냉기가 낙하하게 됨으로써 제빙이 제빙트레이(19)에 전체에 걸쳐서 균등하게 일어나게 된다.
상기 도1 내지 도12에서 개시된 제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18)의 제빙트레이는 상기 구동부(20)에 의하여 회동되어 얼음을 이빙시키는 형태로 마련되고, 이를 위해서 상기 제빙트레이(19)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4에서는 냉기안내부(260)가 상기 제빙장치(118)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도,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후면에는 소정의 격벽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빙실(15)과, 상기 제빙실(15) 내부에 마련되는 제빙장치(118)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장치(19)는 제빙트레이(119)와, 상기 제빙트레이(119)에 마련되는 이빙히터(미도시)등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냉기안내부(260)는 상기 제빙트레이(119)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19)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빙실(15)의 일측에는 제빙실(15)로 유입되는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유입구(251)와, 상기 제빙실(15)로부터 그 외부로 나가는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토출구(2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기안내부(260)는 상기 냉기유입구(251)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유입구(251)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제빙트레이(119)의 하면으로 집중적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빙트레이(119)는 금속재질로 마련되어서 열전도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냉기안내부(260)에 의하여 냉기가 상기 제빙트레이(119)의 하부에 집중되면, 상기 제빙트레이(119) 자체에 의하여 전도되는 냉온에 의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19)내에서의 결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전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트레이(119)의 외면에는 냉각핀(300)이 형성되어 있다.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안내부(260)는 상기 제빙트레이(19)의 하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벽부(261)와, 상기 하벽부(26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19)의 측부와 이격되는 측벽부(26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벽부(261)의 일측은 상기 냉기유입구(251)에서 유입되는 냉기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상기 냉기유입구(251)의 설치위치가 상기 제빙트레이(119)보다 낮은 경우에 곡면부가 필요한 것이며, 설치위치의 높이 차이가 없다면 곡면부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핀(300)은 상기 제빙트레이(19)의 외부표면과 상기 냉기안내부(260)의 하벽부(261) 및 상기 측벽부(262)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벽부(261)의 타측은 상기 제빙실(15)의 내벽에 장착이 되므로, 상기 제빙트레이(119)의 하부는 상기 제빙실(15) 내벽, 하벽부(261), 그리고 측벽부(262)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되고, 그 둘러싸인 공간에는 냉기가 충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빙트레이(19)의 측면에 형성되는 냉각핀(30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119)의 하면에 형성되는 냉각핀(300)은 상기 제빙트레이(19)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냉각핀(300a)과, 상기 제1냉각핀(300a)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빙트레이(19)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냉각핀(300b)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냉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제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빙트레이의 하부에 냉기안내부가 설치된 냉장고의 작동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트레이(119)에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냉기유입구(251)방향으로 냉기가 유입되고, 상기 냉기유입구(251)를 통과한 냉기는 상기 냉기안내부(260)의 안내를 받아서 상기 제빙트레이(119) 하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만약에 냉기안내부(260)가 없다면, 상기 냉기유입구(251)를 통과한 냉기는 상기 제빙트레이(119) 하부로 낙하하게 될 것이나, 상기 냉기안내부(260)에 의하여 토출되자 마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안내부(260)에 의하여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제빙트레이(119)의 표면과, 그 표면에 형성되는 냉각핀(30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9)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신속하게 결빙될 수 있는 것이다.
15: 제빙실 18: 제빙장치
19: 제빙트레이 20: 구동부
51;151;251: 냉기유입구 52;151;251: 냉기 유출구
60;160;260: 냉기 안내부 71: 가이드리브

Claims (13)

  1. 냉장고 본체 상부에 배치된 냉장실;
    냉장고 본체 하부에 배치된 냉동실;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 내면에 형성된 제빙실;
    상기 제빙실내의 상부에 배치된 제빙장치;
    상기 제빙실내의 하부에 배치된 얼음보관함(40);
    제빙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제빙트레이;
    상기 제빙트레이로 물 공급을 하기 위해 제빙실 외부에서 연장된 급수호스(28);
    상기 급수호스(28)에서 토출되는 물을 받아서 상기 제빙트레이(19)로 안내하는 급수안내부(29);
    상기 제빙실을 형성하는 측벽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유입구;
    상기 제빙실 내측벽에 장착되되, 상기 제빙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냉기유입구에서 배출된 냉기를 상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냉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안내부는
    상벽부, 두 개의 측벽부, 후벽부 및 상기 상벽부보다 짧게 연장된 하벽부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후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기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부;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벽부의 모서리와 상기 두 개의 측벽부의 모서리 및 상기 하벽부의 모서리에 의해서 정의되고, 상기 유입부의 반대 방향에 한 개가 배치되어 냉기가 토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 측의 측면부 상부는 그 하부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유출부는 상벽부에서 하벽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안내부는 급수호스와 급수안내부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서 유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의 일부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빙트레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몸체부 내측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가이드리브와;
    상기 몸체부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리브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유동하는 냉기의 최대유속발생구간에 설치되며,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소정 각도의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리브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 내측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리브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유출구 측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리브는 상기 제빙트레이를 향하여 각각 다른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리브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입구는 제빙실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냉기안내부는 상기 제빙실 상부 내측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안내부는 상기 냉기유입구에서 나오는 공기가 상기 제빙트레이 상면을 향하여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트레이 상면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48148A 2016-04-20 2016-04-20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72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148A KR101728735B1 (ko) 2016-04-20 2016-04-20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148A KR101728735B1 (ko) 2016-04-20 2016-04-20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895A Division KR20100133155A (ko) 2009-06-11 2009-06-11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783A true KR20160046783A (ko) 2016-04-29
KR101728735B1 KR101728735B1 (ko) 2017-04-20

Family

ID=55915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148A KR101728735B1 (ko) 2016-04-20 2016-04-20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7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00A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14659323A (zh) * 2018-11-16 2022-06-2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4838545A (zh) * 2018-11-16 2022-08-02 Lg电子株式会社 制冰器及冰箱
CN115143680A (zh) * 2018-11-16 2022-10-0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834A (ko) 2018-04-26 2019-11-06 더 알리온 주식회사 제빙드럼이 내장된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794A (ja) * 2003-12-19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製氷皿
KR100584272B1 (ko) * 2004-03-24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00A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14659323A (zh) * 2018-11-16 2022-06-2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4838545A (zh) * 2018-11-16 2022-08-02 Lg电子株式会社 制冰器及冰箱
CN115143680A (zh) * 2018-11-16 2022-10-0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4838545B (zh) * 2018-11-16 2023-11-24 Lg电子株式会社 制冰器及冰箱
CN114659323B (zh) * 2018-11-16 2023-12-26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5143680B (zh) * 2018-11-16 2024-02-23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913700B2 (en) 2018-11-16 2024-02-27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1959686B2 (en) 2018-11-16 2024-04-16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735B1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0866B1 (en)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KR101728735B1 (ko)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US10690390B2 (en) Refrigerator
KR101406187B1 (ko) 제빙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0809749B1 (ko) 냉장고의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
EP3062048B1 (en) Refrigerator
KR20160023282A (ko) 냉장고
JP2005214621A (ja) 冷蔵庫の製氷用冷気吐出流路
TWI519748B (zh) 冷凍冷藏庫
KR20080014562A (ko) 냉장고
EP3745058A1 (en) Refrigerator
KR20080014598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249055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344627B1 (ko) 냉장고
KR101179732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210072579A (ko) 냉장고용 그릴팬어셈블리
JPH08247618A (ja) 冷蔵庫
KR20220074489A (ko) 냉장고
KR101441924B1 (ko) 냉장고
KR101132481B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스장치
KR102447436B1 (ko) 냉장고
KR101139586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WO2020049606A1 (ja) 自動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