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646A - 열전소자 모듈 장치 - Google Patents

열전소자 모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646A
KR20160046646A KR1020140142839A KR20140142839A KR20160046646A KR 20160046646 A KR20160046646 A KR 20160046646A KR 1020140142839 A KR1020140142839 A KR 1020140142839A KR 20140142839 A KR20140142839 A KR 20140142839A KR 20160046646 A KR20160046646 A KR 20160046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housing
connection
thermoelectric modu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595B1 (ko
Inventor
이현정
김용명
박현우
최우형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595B1/ko
Priority to US14/852,694 priority patent/US9741917B2/en
Publication of KR2016004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01N5/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the device being thermoelectric gen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thermoelectric or thermomagnetic element covered by groups H10N10/00 - H10N15/00
    • H10N19/101Multiple thermocouples connected in a cascad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 모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열전 모듈; 및 상기 열전 모듈과 결합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형 하우징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설치 홀을 갖고, 상기 열전 모듈은,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열전판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전판의 폭 방향 일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판이 각각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중공 내로 소정의 폭 만큼 삽입되어 노출되며,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어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전소자 모듈 장치{HEAT SINK MODULE APPARATUS}
본 발명은 열전소자 모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열전 모듈; 및 상기 열전 모듈과 결합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형 하우징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설치 홀을 갖고, 상기 열전 모듈은,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열전판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전판의 폭 방향 일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판이 각각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중공 내로 소정의 폭 만큼 삽입되어 노출되며,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어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에서는 소정의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생산한다. 이 과정에서 대량의 폐열이 발생하며, 특히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대량의 폐열이 포함되어 있다.
열전 소자는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경우, 에너지 재생이 구현되며 내연기관의 에너지 효율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열전 소자의 경우,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온도차이를 크게하여 에너지 생산 효율을 높이는 것이 큰 과제로 남게 된다.
열전 분야에서, 고효율의 열전기적 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열전기 물질의 특성은 이른바 figure of merit, ZT 값으로 표현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Z는 열전재료의 성능지수이며, S는 지벡 계수,
Figure pat00002
는 전기전도도, k는 열전도도, T는 온도를 나타낸다. 높은 성능지수를 얻기 위해서는 지벡계수와 전기전도도는 높고 열전도도는 작은 값을 가져야 한다. 열전도도는 비데만 프란츠 법칙(Wiedemann-Franz law)을 따르기 때문에 전기전도도와 독립된 제어가 어렵지만, 재료의 나노구조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다.
현재 저온 열전 재료로서 Bi2Te3을 발견한 이래로, 달성된 최대 ZT 값은 약 1에서 정체되었다. ZT 값이 2보다 크면, 열전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온도 제어에 대한 통상적인 기술과 경합할 수 있을 것이다. 열전기학에 있어서 사용 부문 및 적용 분야는 파라미터 ZT에 직접 의존하게 되는 데, 열전소자를 모듈로 만들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율 관계식을 가지게 된다.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ZT는 열전기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의 온차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6
는 고온부의 온도로 배기관에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를 의미하고,
Figure pat00007
는 저온부의 온도로 Heat sink에 부착되는 부분의 온도를 의미한다.
위의 식에서 볼 수 있듯이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사이에 1 ℃이상의 차이만 나더라도 열전 모듈에서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게 되며,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의 차이가 커질수록 효율은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ZT=1,
Figure pat00012
=50℃ ,
Figure pat00013
=100 ℃,
Figure pat00014
=50 ℃ 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15
약 10.82%의 효율을 가지게 되며, 플렉서블 열전 모듈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전기에너지의 생산은 더욱 증가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위 식에서 고온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효율이 낮아지므로 고온부의 온도가 높이는 만큼 저온부와 고온부의 차이가 더욱 많이 발생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등록특허 10-126514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열전 모듈; 및 상기 열전 모듈과 결합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형 하우징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설치 홀을 갖고, 상기 열전 모듈은,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열전판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전판의 폭 방향 일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판이 각각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중공 내로 소정의 폭 만큼 삽입되어 노출되며,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어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열전 모듈; 및 상기 열전 모듈과 결합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형 하우징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설치 홀을 갖고, 상기 열전 모듈은,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열전판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전판의 폭 방향 일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판이 각각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중공 내로 소정의 폭 만큼 삽입되어 노출되며,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어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열전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중심을 중심으로 직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사형 배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열전판의 상기 중공 내에 위치하는 폭 방향 단부는,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는 소정의 배기관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소정의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판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벤딩 가능하게 구성되되, 곡률반경이 1 mm 내지 10 mm 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소정의 결합 홀을 가지며, 상기 결합 홀에 상기 열전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로 이루어진 코팅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팅 필름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열전판의 폭 방향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 홀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연결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복수의 열전판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열전판을 직렬로 연결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연결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어 2 개의 열전판의 양 단에 연결되게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열전판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단자, 및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서로 인접한 2 개의 열전판의 일 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서로 인접한 2 개의 열전판의 타 단을 연결하되, 어느 하나의 열전판의 양 단에 상기 제1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각각 다른 하나의 열전판과 연결됨으로서 복수의 열전판이 직렬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위치가 가변되는 복수의 이동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자는,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판을 병렬 연결하게 구성되되, 위치가 가변하여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 해제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자는 상기 열전판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이동 단자, 및 복수의 제2 이동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이동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단자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판을 병렬 연결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서 변위하여, 서로 인접한 연결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병렬 연결 모드, 및 서로 인접한 연결 단자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직렬 연결 모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양 단에 연결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탈착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이동 단자는, 상기 캡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캡의 회전에 따라서 변위하여 병렬 모드와 직렬 모드가 가변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유연한 재질을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분할선에 의해 측방향으로 분할되어 일 플레이트 형태로 펼쳐지게 구성되며, 둥글게 말려져 측방향 양 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원통형 구성을 달성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2 개의 분할선에 의해 측방향으로 2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되, 상기 부분의 일 측은 힌지 연결되어 서로 회동하게 구성되며, 타 측은 소정의 시건 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개폐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는, 열전소자의 기능을 갖는 열전판의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 차이가 확대되어 에너지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열전모듈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온도 차이가 크게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온도 차이를 크게 하는 것 외에,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이격시켜 고온부의 열이 저온부에 전달되어 열 평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열전판이 구비되는 공간은 공기가 흐르거나, 또는 저압, 진공인 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열전판의 양쪽 끝단의 온도구배가 확실하게 됨으로써 전력생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온부로 작용하는 열전판의 일 단부가 상술한 소정의 배기관에 접하며, 타 단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히트 싱크와 연결됨으로써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확대되며 따라서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온도 차이가 최대로 확보되고 온도구배가 명료해질 수 있다. 아울러, 저온부 측의 히트 싱크에는 상술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 필름이 마련되어 열전판이 연장됨으로써 온도 차이가 더욱 확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이 마련되어 열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불필요한 열 전달이 방지되어 온도 차이가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전기 생산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는, 상기 열전 모듈을 구성하는 열전판이 유유연성을 갖게 구성된다. 기존의 합금과 세라믹 소자의 열전모듈의 경우, 취성이 커서 내연기관의 진동과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할 경우 파괴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유연성을 갖는 열전판이 마련되어,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며, 상기 열전판이 내연기관의 배기관을 용이하게 감쌀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내연기관의 진동과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연성을 갖는 열전 모듈의 경우 재료의 특성상 합금과 세라믹에 비해 밀도가 낮은 탄소기반 유기재료를 주로 사용하여, 비교적 경량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는, 유연성을 갖는 열전 모듈이 하우징에 삽입되게 마련됨으로써, 종래의 내연기관의 배기관에 용이하게 추가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다. 즉, 상기 열전 모듈이 유연성을 가져서 배기관이 쉽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단순히 배기관에 설치만 하는 것으로 구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통해, 종래의 내연기관 외에 새로운 내연기관 모두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는, 복수의 열전판이 연결 단자에 의해서 직렬 연결됨에 따라서, 높은 전력의 수득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는, 연결 단자를 연결하는 이동 단자를 구비함에 따라서, 열전 모듈의 병렬 연결, 및 직렬 연결이 선택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즉, 직렬로 연결할 경우, 높은 전력을 얻을 수 있으며, 병렬로 연결할 경우, 부분적으로 열전판 및 열전 모듈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전력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는, 히트 싱크의 길이 방향 단부에 연결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히트 싱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면에 이동 단자가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병렬 연결 모드와 직렬 연결 모드가 간단하게 가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전력의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열전판과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확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열전 모듈과 연결 단자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열전 모듈과 연결 단자 및 이동 단자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열전 모듈과 연결 단자 및 이동 단자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연결 단자와 이동 단자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캡과 하우징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를 펼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상하", "좌우" 등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가로놓을 경우, "상하방향" 은 "좌우방향" 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상하"는 좌우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열전판과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확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110)을 갖는 파이프형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열전 모듈(200); 및 상기 열전 모듈(200)과 결합되는 하우징(10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설치 홀을 갖고, 상기 열전 모듈(200)은,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열전판(210)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열전판(210)의 폭 방향 일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이 각각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중공(110) 내로 소정의 폭 만큼 삽입되어 노출되며,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어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하우징(100)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의 하우징으로서 기능하며, 열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는 열 전도가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는 소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은 경량화 또는 초경량화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는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 즉, 파이프 형태의 원통형 바디를 갖고,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110)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0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설치 홀(미도시)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설치 홀은 예컨대 각각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설치 홀은 소정의 리세스(recess)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열전 모듈(200)은 복수개의 열전판(210)을 갖는다. 상기 각각의 열전판(210)은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판상, 즉 소정의 플레이트(plate)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열전판(210)은,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져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0)와 나란히 연장되게 배치된다.
상기 열전판(210)은 상기 설치 홀에 삽입되어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전판(210)은 소정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서 상기 설치 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폭 방향으로 상기 열전판(210)이 상기 설치 홀에 삽입되며, 폭 방향으로 일부분은 상기 중공(110) 내에 위치하고 일부분은 하우징(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전판(210)의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중공(110) 내로 소정의 폭 만큼 삽입되어 노출되며,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어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어 하우징(100)의 중심을 중심으로 직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사형 배열을 갖는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의 상기 중공(110) 내에 위치하는 폭 방향 단부는, 상기 중공(110) 내에 배치되는 소정의 배기관(P)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소정의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구성을 갖는다. 즉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판(210)의 크기 및 열전판(210)이 삽입되는 폭은 대체로 일정하여 중공(110) 내에 위치하는 열전판(210)의 단부를 이은 형태가 대체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원통형 배기관(P)이 중공(110)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배기관(P)의 측면에 상기 열전판(210)의 단부가 접하여 닿을 수 있다.
상기 열전판(210)은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며, 온도의 차이에 의해서 전기를 생산하는 부재로 구성된다. 즉, 예컨대 상기 열전판(210)의 폭 방향 양 측에 고온의 고온부와 저온의 저온부가 각각 형성되면 상기 열전판(210) 내부에서 전기가 발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판(210)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벤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딩에 의한 곡률반경은 1 mm 내지 10 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판(210)은 예컨대 유리화온도(=glass temperature , Tg)가 배기관 온도를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고분자(ex. Polyimide , poly(ether ether keton) , Poly(ether sulfone) , Poly(phenylene sulfide)등)로 코팅된 졀전소자를 포함하며, 유연열전소자로 사용되어지는 n형 p형 반도체 열전재료는 내열성을 가진 폴리머로 코팅된 상태에서 곡률반경이 1mm~10m정도로 구성이 되어지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배기관이 가운데 오도록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열전판(210)의 두께가 유연성을 잃어버리기 전까지 두께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도 2 에서 내부의 열전판(210)의 모양은 일자로 유지하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부재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컨대 T자 모양도 가능하다.
상기 히트 싱크(300)는 상기 열전판(210)에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히트 싱크(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열전판(210)과 연결된다. 상기 히트 싱크(300)는 상기 열전판(210)을 냉각시키기에 적절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방열 성능 및 열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트 싱크(300)는 복수의 요철부(310)를 가져서 노출 면적이 확대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냉각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트 싱크(300)는, 소정의 결합 홀을 가지며, 상기 결합 홀에 상기 열전판(21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 싱크(300)는 소정의 결합 홀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결합 홀은 상기 열전판(210)의 폭 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져서, 상기 결합 홀에 상기 열전판(210)의 폭 방향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로 이루어진 코팅 필름(3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팅 필름(320)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열전판(210)의 폭 방향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결합 홀에 삽입된다. 상기 코팅 필름(320)은 상기 열전판(210)의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히트 싱크(300)에 마련된 결합 홀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열전판(210)의 단부와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히트 싱크(300)와 코팅 필름(320) 사이의 결합은 소정의 나사와 같은 소정의 결합 부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는, 열전소자의 기능을 갖는 열전판(210)의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 차이가 확대되어 에너지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열전모듈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온도 차이가 크게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온도 차이를 크게 하는 것 외에,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이격시켜 고온부의 열이 저온부에 전달되어 열 평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온부로 작용하는 열전판(210)의 일 단부가 상술한 소정의 배기관에 접하며, 타 단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히트 싱크(300)와 연결됨으로써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확대되며 따라서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온도 차이가 최대로 확보되고 온도구배가 명료해질 수 있다. 아울러, 저온부 측의 히트 싱크(300)에는 상술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 필름이 마련되어 열전판이 연장됨으로써 온도 차이가 더욱 확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100)이 마련되어 열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불필요한 열 전달이 방지되어 온도 차이가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전기 생산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는, 상기 열전 모듈(200)을 구성하는 열전판(210)이 유연성을 갖게 구성된다. 기존의 합금과 세라믹 소자의 열전모듈의 경우, 취성이 커서 내연기관의 진동과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할 경우 파괴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유연성을 갖는 열전판(210)이 마련되어,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며, 상기 열전판(210)이 내연기관의 배기관을 용이하게 감쌀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내연기관의 진동과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연성을 갖는 열전 모듈(200)의 경우 재료의 특성상 합금과 세라믹에 비해 밀도가 낮은 탄소기반 유기재료를 주로 사용하여, 비교적 경량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는, 유연성을 갖는 열전 모듈(200)이 하우징(100)에 삽입되게 마련됨으로써, 종래의 내연기관의 배기관에 용이하게 추가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다. 즉, 상기 열전 모듈(200)이 유연성을 가져서 배기관이 쉽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단순히 배기관에 설치만 하는 것으로 구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통해, 종래의 내연기관 외에 새로운 내연기관 모두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열전 모듈과 연결 단자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열전 모듈과 연결 단자 및 이동 단자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의 연결 단자와 이동 단자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는, 복수의 연결 단자(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단자(400)는,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을 직렬로 연결하게 구성된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연결 단자(400)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 단자(400)는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을 직렬로 연결한다. 즉, 열전판(210) - 연결 단자(400) - 열전판(210) - 연결 단자(400)의 순차적인 연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연결 단자(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되 양 단이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의 양 단에 연결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단자(400)는, 상기 열전판(2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단자(410), 및 복수의 제2 연결 단자(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410)는 서로 인접한 2 개의 열전판(210)의 일 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 단자(420)는 서로 인접한 2 개의 열전판(210)의 타 단을 연결하되, 어느 하나의 열전판(210)의 양 단에 상기 제1 연결 단자(410)와 상기 제2 연결 단자(420)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 단자(410)와 상기 제2 연결 단자(420)가 각각 다른 하나의 열전판(210)과 연결됨으로서 복수의 열전판(210)이 직렬 연결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110)이 관통되는 방향 및 하우징(100)가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도 4 의 I 와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열전판(210)이 연결 단자(400)에 의해서 직렬 연결됨에 따라서, 높은 전력의 수득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이때, 소정의 전기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의 열전 모듈(200)과 연결 단자(400) 및 이동 단자(500)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의 연결 단자(400)와 이동 단자(500)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는 위치가 가변되는 복수의 이동 단자(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자(500)는,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40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을 병렬 연결하게 구성되되, 위치가 가변하여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400)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 해제하게 구성된다.
상기 이동 단자(500)는 상기 연결 단자(400) 사이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 사이의 병렬 연결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자(500)는, 상기 열전판(2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이동 단자(510), 및 복수의 제2 이동 단자(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단자(510)는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41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이동 단자(520)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단자(420)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판(210)을 병렬 연결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 단자(500)는, 도 5 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살표 방향 T 으로 변위하여 연결 단자(400) 사이의 연결을 달성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동 단자(500)와 연결 단자(400) 사이의 연결이 달성되면 열전판(210) 사이의 병렬 연결 모드가 구현되며, 이동 단자(500)와 연결 단자(40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면 열전판(210) 사이의 직렬 연결 모드가 구현된다.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동 단자(500)와 복수의 연결 단자(400)가 마련되되, 상기 이동 단자(500)는 화살표 S 와 같이 변위하여 복수의 연결 단자(400)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자(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을 따라서 변위하여, 서로 인접한 연결 단자(400) 사이를 연결하는 병렬 연결 모드, 및 서로 인접한 연결 단자(400)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직렬 연결 모드를 갖는다. 즉, 상기 연결 단자(400)와 이동 단자(500)는 하우징(100)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되, 상기 이동 단자(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을 따라서 변위하여 연결 단자(400) 사이의 연결을 달성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열전 모듈(200)의 병렬 연결, 및 직렬 연결이 선택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즉, 직렬로 연결할 경우, 높은 전력을 얻을 수 있으며, 병렬로 연결할 경우, 부분적으로 열전판(210) 및 열전 모듈(200)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전력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의 캡(6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의 캡(600)과 하우징(100)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 장치(1)는, 상기 하우징(100)의 양 단에 연결되는 캡(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600)은, 상기 하우징(100)에 대해 탈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캡(6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양 단에 배치되어 연결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고무 마개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600)은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 단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소정의 원환 형태의 단부 결합부(610)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캡(600)은 고무,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캡(600)은 배기관의 진동 및 기계의 진동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배기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내열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캡(600)은 열전 모듈(200)의 열전판(210)들이 배기관들을 감싸는 것을 지지하는 역할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그 형태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6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이동 단자(500)는, 상기 캡(6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캡(600)의 회전에 따라서 변위하여 병렬 모드와 직렬 모드가 가변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단자(400)에 대해 상기 이동 단자(500)가 변위하여 연결 단자(4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결정되되, 상기 이동 단자(500)는 상기 캡(6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캡(600)이 회전함에 따라서 변위하고 따라서 연결 단자(400) 사이의 연결이 달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캡(600)의 회전은 도 9 의 화살표 R 과 같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서 이동 단자(500)가 변위하여 연결 단자(400) 사이의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상기 병렬 연결 모드와 직렬 연결 모드가 간단하게 가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전력의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1)를 펼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 은 도 10 의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2 및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1)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1)의 하우징(100)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일 분할선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분할되어 일 플레이트 형태로 펼쳐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를 말아서 측방향 단부를 연결 시킴으로써 도 11 과 같이 원통형 하우징(100) 및 원통형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0)는 하나의 플레이트형 구성을 갖되, 유연성을 가져서 동그랗게 말아 측방향 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원통형 구성을 달성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열전판(2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면적 방향에 대해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측방향 양 단부에서 서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결합 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 수단은 예컨대 소정의 클립, 걸이 등의 시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소정의 파이프에 대해 용이한 설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 즉, 파이프의 외측에 상기 하우징(100)를 펼친 후 상기 파이프를 중심으로 하우징(100)를 말아서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한 설치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2 및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1)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13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1)의 하우징(100)는 파선 A - B 를 따라서 분할될 수 있다. 즉, 원통형 시트 싱크는 A - B 를 따라서 분할되어 각각 반원통 형태의 2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분할선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일 측은 연결단으로써 반원통 형태의 2 부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소정의 경첩과 같은 연결 장치가 마련되며, 타 측은 개방단으로서 분할된 양측을 고정하는 소정의 시건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일 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개폐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소정의 파이프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개방단을 개방한 후, 내부에 파이프가 위치하도록 하고, 이어서 개방단을 닫아 고정시킴으로써 파이프에 대한 간단한 설치가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열전소자 모듈 장치
100: 하우징
110: 중공
200: 열전 모듈
210: 열전판
300: 히트 싱크
310: 요철부
320: 코팅 필름
400: 연결 단자
410: 제1 연결 단자
420: 제2 연결 단자
500: 이동 단자
510: 제1 이동 단자
520: 제2 이동 단자
600: 캡
610: 단부 결합부

Claims (17)

  1.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열전 모듈; 및
    상기 열전 모듈과 결합되는 하우징;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형 하우징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설치 홀을 갖고,
    상기 열전 모듈은,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열전판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전판의 폭 방향 일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판이 각각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어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중공 내로 소정의 폭 만큼 삽입되어 노출되며, 폭 방향으로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어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열전판에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전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중심을 중심으로 직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사형 배열을 갖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전판의 상기 중공 내에 위치하는 폭 방향 단부는,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는 소정의 배기관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소정의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판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벤딩 가능한 열전소자 모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소정의 홀을 가지며,
    상기 홀에 상기 열전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고분자로 이루어진 코팅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팅 필름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열전판의 폭 방향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복수의 열전판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열전판을 직렬로 연결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어 2 개의 열전판의 양 단에 연결되게 배치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열전판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단자, 및 복수의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서로 인접한 2 개의 열전판의 일 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서로 인접한 2 개의 열전판의 타 단을 연결하되,
    어느 하나의 열전판의 양 단에 상기 제1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연결 단자가 각각 다른 하나의 열전판과 연결됨으로서 복수의 열전판이 직렬 연결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위치가 가변되는 복수의 이동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자는,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판을 병렬 연결하게 구성되되,
    위치가 가변하여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 해제하게 구성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자는
    상기 열전판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이동 단자, 및 복수의 제2 이동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단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이동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단자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판을 병렬 연결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서 변위하여,
    서로 인접한 연결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병렬 연결 모드, 및
    서로 인접한 연결 단자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직렬 연결 모드를 갖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단에 연결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탈착되게 배치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이동 단자는,
    상기 캡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캡의 회전에 따라서 변위하여 병렬 모드와 직렬 모드가 가변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유연한 재질을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분할선에 의해 측방향으로 분할되어 일 플레이트 형태로 펼쳐지게 구성되며,
    둥글게 말려져 측방향 양 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원통형 구성을 달성하는 열전소자 모듈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2 개의 분할선에 의해 측방향으로 2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되,
    상기 부분의 일 측은 힌지 연결되어 서로 회동하게 구성되며,
    타 측은 소정의 시건 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개폐되게 구성된 열전소자 모듈 장치.
KR1020140142839A 2014-10-21 2014-10-21 열전소자 모듈 장치 KR10168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839A KR101688595B1 (ko) 2014-10-21 2014-10-21 열전소자 모듈 장치
US14/852,694 US9741917B2 (en) 2014-10-21 2015-09-14 Thermoelectric modul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839A KR101688595B1 (ko) 2014-10-21 2014-10-21 열전소자 모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646A true KR20160046646A (ko) 2016-04-29
KR101688595B1 KR101688595B1 (ko) 2016-12-22

Family

ID=5574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839A KR101688595B1 (ko) 2014-10-21 2014-10-21 열전소자 모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41917B2 (ko)
KR (1) KR1016885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414A (ko) 2016-07-22 2018-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2501A (ko) 2019-06-03 2019-06-25 전대연 스마트 계좌이체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2468B2 (en) * 2016-02-18 2020-04-07 Rolls-Royce North American Technologies Inc. Gas turbine engine with thermoelectric intercooler
US10654576B2 (en) * 2016-02-26 2020-05-19 Rolls-Royce North American Technologies Inc. Gas turbine engine with thermoelectric cooling air heat exchanger
KR102485351B1 (ko) * 2018-07-31 2023-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 변환 모듈 및 열전 변환 모듈 시스템
CN111927604B (zh) * 2020-07-15 2021-12-21 江苏大学 一种分区渐缩式汽车尾气温差发电器及其渐缩角确定方法
KR20220156382A (ko) * 2021-05-18 2022-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6439A (ja) * 1995-07-24 1997-02-0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熱電発電モジュール
JP2003133600A (ja) * 2001-10-24 2003-05-09 Kitagawa Ind Co Ltd 熱電変換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77492A (ko) * 2009-12-30 2011-07-07 한국전기연구원 발전용 열전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27982A (ja) * 2011-04-15 2012-11-15 Panasonic Corp 熱電変換装置
KR101265145B1 (ko) 2011-12-23 2013-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전 발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5739A1 (en) * 2011-06-06 2013-10-03 Gentherm, Inc. Passively cooled thermoelectric generator cartrid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6439A (ja) * 1995-07-24 1997-02-0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熱電発電モジュール
JP2003133600A (ja) * 2001-10-24 2003-05-09 Kitagawa Ind Co Ltd 熱電変換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77492A (ko) * 2009-12-30 2011-07-07 한국전기연구원 발전용 열전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27982A (ja) * 2011-04-15 2012-11-15 Panasonic Corp 熱電変換装置
KR101265145B1 (ko) 2011-12-23 2013-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전 발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414A (ko) 2016-07-22 2018-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2501A (ko) 2019-06-03 2019-06-25 전대연 스마트 계좌이체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1623A1 (en) 2016-04-21
US9741917B2 (en) 2017-08-22
KR101688595B1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595B1 (ko) 열전소자 모듈 장치
KR101692502B1 (ko) 유연열전소자 모듈 장치
JP5066139B2 (ja) 対流型熱流を用いるエネルギー変換効率の改善された熱発電装置
JP4949841B2 (ja) 熱電変換モジュール
EP2180534B1 (en) Energy conversion devices and methods
JP6556211B2 (ja) 熱電モジュール及び熱電デバイス、特に自動車の電流生成熱電モジュール及び熱電デバイス
JP5737151B2 (ja) 熱電発電装置
EP2811142B1 (en) Thermoelectric generator
JP2011530270A (ja) 可変熱出力源用の熱電発電機
JP2009033806A (ja) 熱電発電装置
JPWO2019026560A1 (ja) 熱回収装置及び熱回収システム
JP5737139B2 (ja) 熱電発電装置
JP5939138B2 (ja) 熱電発電装置
JP2016023625A (ja) 熱電発電装置
JP2017220492A (ja) 熱電発電装置
JP2013110218A (ja) 熱電発電装置
JP2013093466A (ja) 熱電発電装置
US20140345665A1 (en)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JP2013150420A (ja) 熱電発電装置
KR20200109891A (ko)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KR101260609B1 (ko) 가정용 보일러의 연통에 설치되는 열전발전장치
CN105845818B (zh) 热电发电装置
KR101755852B1 (ko) 배기열 회수장치
JP2013150419A (ja) 熱電発電装置
KR101722680B1 (ko) 열전소자 모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