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535A -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535A
KR20160046535A KR1020140142568A KR20140142568A KR20160046535A KR 20160046535 A KR20160046535 A KR 20160046535A KR 1020140142568 A KR1020140142568 A KR 1020140142568A KR 20140142568 A KR20140142568 A KR 20140142568A KR 20160046535 A KR20160046535 A KR 20160046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communication
terminal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276B1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276B1/ko
Priority to JP2017522204A priority patent/JP6371004B2/ja
Priority to CN201580051314.7A priority patent/CN106688243B/zh
Priority to EP15851834.0A priority patent/EP3211907B1/en
Priority to PCT/KR2015/008090 priority patent/WO2016064074A1/ko
Publication of KR20160046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276B1/ko
Priority to US15/459,762 priority patent/US116381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72Discovery involving ranked list compilation of candidate pe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간 컨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통신 제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 간의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을 탐색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단말간 통신 요청을 통신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선택된 상기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ETWEE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FOR}
본 발명은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간 컨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통신 제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 간의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 기기와 통신 시스템의 발달로 통신 기기의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언제든 쉽게 얻거나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의 등장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획득 및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은 시스템의 복잡도나 시간적인 지연에 의해 일상 생활 공간에서의 사소하지만 유용한 실시간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D2D 통신은 단말이 서로 근접 거리에 위치할 경우에 기지국과 같은 기반 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인접한 단말 사이에 직접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D2D 통신에 있어서, 단말은 스스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다른 단말을 찾고, 통신 세션을 설정한 뒤 트래픽을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으로 집중되는 트래픽을 분산시켜 트래픽 과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현재까지의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D2D 통신 모듈을 지원하는 단말이 인접한 다른 단말을 탐색하고, 탐색된 다른 모든 단말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질의하여 응답을 수신하고,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단말이 확인되면, 해당 다른 단말로 다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한다는 점에서 복잡한 여러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5903호, 2013년 04월 09일 공개 (명칭: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단말간 컨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통신 제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 간의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말이 인접 단말 리스트와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통신 제어 서버로 전송하면, 통신 제어 서버는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은 통신 제어 서버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는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을 탐색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단말간 통신 요청을 통신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선택된 상기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일정 반경 내 송수신되는 D2D(Device-to-Device) 탐색 메시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일정 반경 내 D2D 탐색 메시지를 송출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단말이 접속한 접속망 상의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장치(RU; Radio Unit)와 연결되는 데이터 처리장치(DU; Digital Unit)와의 연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된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접 단말로 정의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탐색된 상기 다른 단말 간의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산출된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가 일정 값 이상인 다른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다른 단말을 인접 단말로 정의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이 탐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 상기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요청을 통신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선택된 상기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는 해당 단말에서 가용한 와이파이, 블루투스, LTE(Long Term Evolution), 3G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목록인 컨텐츠 보유 리스트를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간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서버가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인접 단말 리스트를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제어 서버가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이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단말에 대한 단말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제어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접 단말 리스트와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확인된 단말 리스트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제어 서버가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과 상기 각각의 컨텐츠 제공 단말에서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컨텐츠 제공 단말을 최종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거나,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을 정렬하여 정렬된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단말간 컨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통신 제어 서버와의 연동을 지원함으로써, D2D 통신 방식으로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을 보다 더 쉽게 탐색할 수 있어, D2D 통신을 위한 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제어 서버의 지원 하에 단말 간의 가용한 통신 자원을 고려하여 컨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을 선택하고, 실질적인 컨텐츠는 단말끼리 송수신함으로써, 통신망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보다 신속한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단말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100a, 100b, 100c, 이하, 별도의 구분이 필요 없을 경우 100으로 지칭하기로 함) 간의 컨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특히, 단말간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서버(400)와 단말에 대한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말 관리 서버(50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100) 간 통신을 지원하게 된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다수의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통신망(300) 경유 없이 D2D(Device-to-Device) 통신 방식으로 단말간 직접 컨텐츠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을 탐색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서버(400)로 전송하면,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통신 제어 서버(400)에 의해 지정된 특정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단말간 통신은 단말(100)이 인접 단말을 탐색하고, 해당 인접 단말로 보유 컨텐츠의 목록을 요청하거나, 원하는 컨텐츠의 보유 여부를 질의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을 확인하고, 해당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방식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통신 제어 서버(400)로 인접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면, 통신 제어 서버(400)가 상기 단말(100)에 대한 인접 단말 중 최적의 컨텐츠 제공 단말을 선택하여 단말(100)로 제공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100)이 해당되는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단말로 특정 컨텐츠를 요청하고, 컨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완전한 형태의 컨텐츠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나, 컨텐츠 제공 단말이 다수 개 존재하고,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이 컨텐츠 파일을 작은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하여 분산 저장하고 있을 경우, 단말(100)은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컨텐츠 파일의 조각들을 병렬로 전송받고 이를 하나의 컨텐츠 파일로 병합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0)은 다른 단말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단말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통신망(300) 경유하여 통신 제어 서버(400) 또는 단말 관리 서버(5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다수의 단말(100) 간의 컨텐츠 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면서, 특정 단말(100)로부터 인접 단말 리스트를 포함하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단말간 통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상기 단말(100)이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을 선택하고, 단말(100)이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소정의 기준에 따라 컨텐츠 제공 단말을 선택하여 단말(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관리 서버(500)는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단말 관리 서버(500)는 단말(100)이 통신 제어 서버(400)로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통신 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100)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관리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컨텐츠 보유 리스트를 상기 통신 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100)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관리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100)이란 특정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하고, 다른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다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 전부를 저장하고 있는 시더(Seeder)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원래 크기보다 작은 일부 조작을 저장하고 있는 리처(Leecher)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시더는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최초로 제공하는 단말뿐 아니라, 다른 단말로부터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전부를 다운로드 받은 단말까지 포함할 수 있는 개념이다. 단말 관리 서버(500)는 이러한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100)에 대하여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서버(400) 및 단말 관리 서버(500)는 분리된 형태로 도면에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제어 서버(400) 및 단말 관리 서버(500)는 단말 최적화 서버(600)의 단일의 형태로 존재하거나, 통신 제어 서버(400)가 단말 관리 서버(5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0) 및 통신 제어 서버(4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 및 통신 제어 서버(40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미도시)는 단말(10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제1 단말(100a)의 인접 단말이 존재하지 않거나, 제1 단말(100a)이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인접 단말이 없을 경우, 통신 제어 서버(400)의 제어 하에 제1 단말(100a)은 컨텐츠 제공 장치(미도시)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100), 통신 제어 서버(400) 및 단말 관리 서버(5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망(30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는 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300)은 단말(100)의 통신 접속을 지원하는 다수의 접속망(320a, 320b, 320c, 이하, 별도의 구분이 필요 없을 경우 320으로 지칭하도록 함)과 핵심망인 코어망(310)을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코어망(310)은 하나 이상의 접속망(320) 간의 연결을 지원하며, 하나 이상의 접속망(320)과 타 통신망 간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의 코어망(310)은 예를 들어, IP 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접속망(320)은 각각 서로 다른 통신 커버리지를 구비하여, 각각의 통신 커버리지에 위치한 단말(100)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망(320)은 예를 들어, Wi-Fi 통신, LTE, 3G와 같은 이동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속망(320)은 통신 커버리지 내로 접근한 단말(100)을 검출하고, 접속을 요청한 단말(100)에 대한 접속 제어 및 무선 자원 할당, 할당된 무선 자원을 통한 단말(100)의 정보의 송수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 장치는 예를 들어, LTE 표준의 eNB(e Node B), Wi-Fi AP(Access Pointer)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다양한 방식의 접속망(32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0a)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의 제1 접속망(100a)에만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제2 단말(100b)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의 제1 접속망(100a)과 더불어, LTE 통신 방식의 제2 접속망(100b)에도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100c)은 3G 통신 방식의 제3 접속망(100c)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100)은 특정 서비스 이용을 위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접속망(320)을 통해 코어망(310)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접속망(320)의 연결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D2D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100)은 D2D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이 활성화되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을 탐색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단말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통신망(300)을 구성하는 코어망(31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코어망(310)은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이하 SGW로 지칭하도록 함)(311)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이하, PGW로 지칭하도록 함)(312)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성 관리 장치(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SGW(311)는 코어망(310)과 접속망(320)의 종단점으로서, 접속망(320) 간의 단말(100)의 이동에 대한 앵커링(anchoring)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LTE 망을 예로 들면, SGW(311)은 단말(100)의 핸드오버 시의 mobility anchor 역할, 3GPP 무선망 이동 시의 mobility ancho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어망(310)은 하나 이상의 SGW(311)을 포함하며, 각 SGW(311)은 집중 스위치 등을 통해서 접속망(310)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PGW(312)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인터넷, 타 통신사업자의 이동통신망과 같은 타 통신망과의 접점으로서, 통신망 간의 단말(100)의 통신망 간의 이동에 대한 앵커링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PGW(312)는 단말(100)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PGW(312)는 서로 다른 종류의 망(예를 들어, 3GPP 무선망과 non-3GPP 무선망) 사이를 이동 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PGW(312)는 단말(100)에게 제공할 베어러 대역을 결정한다. 아울러, PGW(312)는 패킷의 대한 포워딩(Forwarding) 및 라우팅(Routing)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PGW(312)는 도시하지 않은 가입자 정책 관리 장치(PCRF)와 연동하여 단말(100) 별 QoS 정책 적용, 트래픽 제어 및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PGW(312)는 하나 이상의 SGW(311)가 하위 노드로서 연결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400) 및 단말 관리 서버(500)는 SGW(31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제어 서버(400) 및 단말 관리 서버(500)가 단일의 형태로 존재할 경우, 상기 단말 최적화 서버(600) 또한 SGW(3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통신망(300)을 구성하는 접속망(3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통신망(300)을 구성하는 접속망(3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 장치는, 무선 신호의 처리를 담당하는 무선 송수신장치(RU: Radio Unit)과, 무선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장치(DU: Digital Un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는 RRH(Remote Radio Head)로, 데이터 처리장치는 BBH(Base Band Unit)이라고도 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RU)와 데이터 처리장치(DU)는 동일 장소에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고, 광케이블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하여 원격지에 분리 구축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망 구축 비용 및 운용의 편의성이 높이 최근에는 후자의 구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2는 후자의 구조에 기반한 접속망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접속망(320)은 서비스 대상 지역을 통신 커버리지 단위로 분할한 다수의 셀 각각에 설치되어 해당 셀의 통신 커버리지에 위치한 단말(100a ~ 100i)과의 무선 접속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장치(이하, RU로 지칭하도록 함)(320a ~ 320i)와, 둘 이상의 RU(320a ~ 320i)와 연결되어 해당 RU(320a ~ 320i)에서 무선 송수신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하, DU로 지칭하도록 함)(322a ~ 32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DU(322a ~ 322c)는 코어망(310)에 위치하는 서빙 게이트웨이(SGW, 3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300) 구조를 기반으로 다수의 단말(100a ~ 100i)은 RU(321a ~ 321i) 및 DU(322a ~ 322c)와의 연동을 통해 인접 단말을 탐색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접 단말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RU(321a ~ 321i) 및 DU(322a ~ 322c) 연동을 통해 인접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각 RU(321a ~ 321i)의 통신 커버리지인 셀을 구분하는 셀 식별정보(Cell ID), 상기 하나 이상의 RU(321~ 321i)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DU(322a ~ 322c)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식별정보(DU ID) 및 단말(100)의 IP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상기 DU(322a ~ 322c)가 연결되는 SGW(311)을 식별하기 위한 서빙 게이트웨이 식별정보(SGW ID), 상기 하나 이상의 SGW(311)가 연결되는 PGW(312)를 식별하기 위한 PDN 게이트웨이 식별정보(PGW ID), 통신망 사업자 정보, 국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DU(322a ~ 322c)가 연동되는 코어망(322)의 이동성 관리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DU(322a ~ 322c)를 경유하여 코어망(310)의 이동성 관리 장치(미도시)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각 단말(100a ~ 100i)은 확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100a)은 접속된 제1 RU(321a) 및 상기 제1 RU(321a)가 연결된 제1 DU(322a)를 통해 일정 반경 내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단말(100b), 제3 단말(100c), 제4 단말(100d), 제5 단말(100e)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가 확인된 제2 단말(100b), 제3 단말(100c), 제4 단말(100d), 제5 단말(100e)의 IP 주소 정보를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상술한 구성 이외의, 각 단말(100)이 일정 반경 내 송수신되는 D2D(Device-to-Device) 탐색 메시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IP 주소 정보)를 획득하거나, 일정 반경 내 D2D 탐색 메시지를 송출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 즉 IP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단말(100a)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제2 단말(100b) 및 제4 단말(100d) 사이에 송수신되는 D2D 탐색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2 단말(100b) 및 제4 단말(100d)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일정 반경 내 D2D 탐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제2 단말(100b) 및 제4 단말(100d)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100b) 및 제4 단말(100d)을 인접 단말로 정의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a ~ 100i)은 확인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된 다른 단말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탐색을 우선적으로 인접 단말로 선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는, 예를 들어, 셀 식별정보(Cell ID), 데이터 처리장치 식별정보(DU ID), 서빙 게이트웨이 식별정보(SGW ID), PDN 게이트웨이 식별정보(PGW ID), 통신망 사업자 정보, 국가 정보 순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동일 셀, 동일 데이터 처리 장치(DU), 동일 서빙 게이트웨이, 동일 PDN 게이트웨이, 동일 사업자망, 동일 국가에 위치한 단말들 순으로 인접 단말을 선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a ~ 100i)은 인접 단말 리스트 생성 시, 위치가 확인된 단말간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를 산출한 후, 산출된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가 일정 값 이상인 단말만을 선택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는 단말 간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n) 등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부(110)는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D2D 통신을 지원하는 제1 인터페이스(111) 및 통신망(300)의 여러 장치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제2 인터페이스(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제1 인터페이스(111)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활성화되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인접 단말을 탐색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제2 인터페이스(112)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300)의 접속망(320)에 접속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접속망(32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인터페이스(112)는 다양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112)는 와이파이 모듈, LTE 통신 모듈, 3G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인터페이스(112)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기 정의된 방식에 따라 다양한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접속망(320)에 접속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와이파이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접속망(320)에 접속된 상태에서, 와이파이 통신 성능이 기 설정된 통신 성능 이하인 경우, LTE 통신 모듈을 구동하여 LTE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접속망(320)으로 전이되는 과정 전반을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인터페이스(112)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통신망(300)을 거쳐 통신 제어 서버(400) 또는 단말 관리 서버(500)로 단말간 통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응답을 통신 제어 서버(400) 또는 단말 관리 서버(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제1 인터페이스부(111)를 활성화하거나, 컨텐츠 요청을 위한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100)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처리하기 위해 단말(1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제어부(13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13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40) 및 표시부(15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인접 단말을 탐색하고, 탐색된 인접 단말에 대한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 단말 리스트는 서비스 이용을 통해 특정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발생될 때 생성되거나, 통신부(110)의 제1 인터페이스(111)가 활성화될 때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일정 반경 내 송수신되는 D2D(Device-to-Device) 탐색 메시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일정 반경 내 D2D 탐색 메시지를 송출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단말이 접속한 접속망 상의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장치(RU; Radio Unit)와 연결되는 데이터 처리장치(DU; Digital Unit)와의 연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된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접 단말로 정의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 단말 리스트는 인접 단말에 대한 IP 주소 정보를 식별 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인접 단말 리스트 생성 시 탐색된 다른 단말 중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가 일정 값 이상인 단말만을 선택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탐색된 다른 단말로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 산출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전송 속도 등을 계산하여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간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n) 등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탐색된 다른 단말로 접속된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 지 문의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통해 다른 단말에 여러 단말이 연결된 상태일 경우, 해당 단말을 제외하여 연결된 다른 단말이 없거나 적은 단말을 우선하여 인접 단말로 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인접 단말 리스트가 생성되면,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통신 제어 서버(400)로 단말간 통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통신 제어 서버(400)로 단말간 통신 요청 시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더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상기 통신 제어 서버(400)로 보유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목록인 컨텐츠 보유 리스트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 보유 리스트는 상기 단말(100)이 상기 통신 제어 서버(400)의 제어에 따라 다른 단말에 대한 컨텐츠 제공 단말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통신 제어 서버(400)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해당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생성된 인접 단말 리스트에 해당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IP 주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해당 컨텐츠 제공 단말을 탐색하는 과정 없이, 바로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인접 단말 탐색 결과, 인접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30)는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단말간 통신 요청을 통신 제어 서버(4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제어 서버(400)로부터 인접하지 않으나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에 대한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 또는 컨텐츠 서버(미도시)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컨텐츠를 수신한 제어부(130)는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부(140)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말(100)은 단말간 통신 방식으로 다른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단말 탐색 모듈(131), 리스트 생성 모듈(132), 컨텐츠 제어 모듈(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는 IP 주소 정보 이외에도,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IMSI, UUID(Unique Universal Identifier), UDID,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SIN(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MDN(Mobile Directory Number),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과 같이, 단말(100) 간의 식별이 가능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컨텐츠(141)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인접 단말 리스트(142)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정보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10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141), 인접 단말 리스트(142)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단말(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컨텐츠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2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120)와 함께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TOLED(Transparant OLED)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을 통해 단말(10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3을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100)은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원 출력부(미도시)는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출력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통해 도시된 단말(100)의 주요 구성요소의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이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30)를 구성하는 모듈은 단말 탐색 모듈(131), 리스트 생성 모듈(132), 컨텐츠 제어 모듈(133) 만을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모듈로 제어부(130)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1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단말 간 통신이 가능하며, 통신망(300)을 경유하여 통신 제어 서버(4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100)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4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400)는 서버 통신부(410), 서버 제어부(420) 및 서버 저장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서버 통신부(410)는 통신망(30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100)과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지원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서버 통신부(410)는 어느 하나의 단말(100)로부터 단말간 통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100)로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4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4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부(420)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의 최소한의 개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 전송을 지원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제어부(420)는 어느 하나의 단말(100)로부터 서버 통신부(410)를 통해 인접 단말 리스트,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단말간 통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제어부(420)는 서버 통신부(410)를 통해 상기 단말(100)로부터 보유 컨텐츠에 대한 목록인 컨텐츠 보유 리스트를 더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버 제어부(420)는 자신이 직접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을 경우,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인접 단말에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컨텐츠 제공 단말로 추출하여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단말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와,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단말 각각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하나의 컨텐츠 제공 단말을 추출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정렬하여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500)가 관리하는 경우, 서버 제어부(420)는 단말 관리 서버(500)와 연동을 통해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제어부(420)는 상기 단말(100)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500)로 전달하거나,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보유 리스트를 단말 관리 서버(500)로 전달하여 단말 관리 서버(500)에서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 각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과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100)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 변경될 수 있다.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100)은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통신 제어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제어 서버(400)는 이러한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 제공 단말을 실시간 변경하거나 단말(100)로 통지하여, 단말(100)의 컨텐츠 이용을 도모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도 있다.
서버 저장부(430)는 통신 제어 서버(400)의 기능 실행에 따른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저장부(430)는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저장부(430)는 각각의 단말(100)에 대하여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해당 단말에서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서버 저장부(430)는 통신 제어 서버(400) 내 위치하는 저장소일 수 있고, 통신 제어 서버(400) 외부에 위치하여 통신 제어 서버(4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저장 서버가 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4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400)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서버(4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아울러, 웹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통신 제어 서버(40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서버(40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단말(100) 및 통신 제어 서버(40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100)은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 즉 도 3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111)가 활성화됨에 따라 연결 가능한 인접 단말을 탐색하게 된다(S101). 여기서 제1 인터페이스(1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본 발명의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특정 서비스에 접속,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을 접속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탐색된 인접 단말에 대한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한다(S103).
이후, 단말(100)은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를 포함하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단말간 통신 요청을 통신 제어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S105). 이때, 상기 단말간 통신 요청에는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100)은 통신 제어 서버(400)로부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7).
예를 들어, 제1 단말(100a)이 생성한 인접 단말 리스트에, 제2 단말(100b) 및 제3 단말(100c)이 인접 단말로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1 단말(100a)은 생성된 인접 단말 리스트를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와 함께 통신 제어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통신 제어 서버(400)는 제2 단말(100b) 및 제3 단말(100c)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제1 단말(100a)이 요청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2 단말(100b)만이 제1 단말(100a)이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통신 제어 서버(400)는 제2 단말(100b)을 컨텐츠 제공 단말로 지정하여 제1 단말(100a)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2 단말(100b) 및 제3 단말(100c) 모두 제1 단말(100a)이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둘 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제1 단말(100a)과 동일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0a)이 LTE 통신만을 지원하는 경우, 통신 제어 서버(400)는 LTE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을 선택하여 컨텐츠 제공 단말로 지정하여 제1 단말(10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인접 단말 중 컨텐츠 제공 단말을 확인한 단말(100)은 해당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게 된다(S109).
더하여, 상기 S105 단계에서 단말(100)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목록인 컨텐츠 보유 리스트를 통신 제어 서버(40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0)은 컨텐츠를 요청한, 즉 단말간 통신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이며, 인접 단말(100n)은 단말(100)의 인접된 다른 사용자의 단말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인접 단말(100n)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 존재하는 인접 단말(100n) 모둔 단말(100)이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단말에 대한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5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으며,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단말 관리 서버(500)에 저장된 단말 리스트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단말을 추출하고 단말간 통신을 요청한 단말(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통신 제어 서버(400)가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을 탐색하게 된다(S201). 그리고,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을 포함하는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고(S203), 생성된 인접 단말 리스트를 포함하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단말간 통신 요청을 통신 제어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S205).
이를 수신한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단말(100)이 요청하는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1차적으로 확인하게 된다(S207).
이후, 통신 제어 서버(400)는 컨텐츠 제공 단말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통신 제어 서버(400)는 컨텐츠 제공 단말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단말(100)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와, 단말 관리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단말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컨텐츠 제공 단말을 추출할 수도 있다(S211).
아울러,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단말(100)이 특정 컨텐츠를 요청한 상황이고, 이후 단말(100) 또한 다른 단말에 대한 컨텐츠 제공 단말로 지정될 수 있으므로, 단말(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단말(100)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단말(100)로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S213), 이를 수신한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게 된다(S215 ~ S247).
여기서, 컨텐츠 제공 단말은 단말(100)에 인접하고 있는 복수의 인접 단말 중 하나의 인접 단말이 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 제어 서버(400)에 의해 지정된 단말을 의미한다.
아울러, 컨텐츠 제공 단말이 다수 개 존재할 경우, 단말(100)은 다수 개의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고, 수신되는 컨텐츠의 조각 파일을 병합하는 과정을 처리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서버(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에 대한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말 관리 서버(500)와의 연동을 통해 컨텐츠 제공 단말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단말(100)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인접 단말을 탐색하고(S301), 탐색된 인접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S303).
이후, 단말(100)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목록, 즉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기 위해, 단말 관리 서버(500)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05). 여기서, 단말간 요청 메시지에는 트랜젝션을 식별하기 위한 트랜젝션 아이디(TID), 메시지를 발신한 장치의 주소를 나타내는 출발지 주소 정보 및 메시지를 수신할 장치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 주소 정보가 포함되며,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 컨텐츠 이름, 크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목적지 주소 정보는 메시지를 수신할 장치의 주소, 즉 단말 관리 서버(500)에 대한 주소를 의미한다. 단말(100)은 단말간 통신을 위해 지정된 서비스에 접속하여 단말 관리 서버(5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관리 서버(500)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100)은 UDP 트래커 프로토콜(UDPT; UDP Tracker protocol)을 통해 요청 메시지를 단말 관리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단말(100)이 전송한 요청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하게 된다(S307). 이때 통신 제어 서버(400)는 싱크홀 라우팅(shinkhole routing)을 통해 통신망(300)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자신에게 포워딩하도록 하거나, 미러링 방식을 통해 복사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 제어 서버(400)가 단말(100)이 전송한 요청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하는 것은 자신이 단말(100)로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을 경우, 단말(100)은 단말 관리 서버(500)로부터 단순히 자신이 요청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을 뿐, 인접 단말 중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제어 서버(400)가 단말(100)이 단말 관리 서버(500)로 전달하는 요청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하여 수집하고(S307),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트랜잭션 아이디를 변경한다(S309). 여기서, 변경되는 트랜잭션 아이디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트랜잭션 아이디와 상이하면 될 뿐, 특정한 트랜잭션 아이디로 설정될 필요는 없다. 이후, 통신 제어 서버(400)는 트랜잭션 아이디가 변경된 요청 메시지를 단말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여 단말 리스트를 요청하게 된다(S311).
단말 관리 서버(500)는 S305 단계를 통해 수신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리스트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313). 이때, 상기 단말 리스트는 통신 제어 서버(400)에 의해 변경된 트랜잭션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 관리 서버(500)는 해당 단말(100)을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로 등록한다(S317).
반면, S313 단계에서, 단말 관리 서버(500)로부터 단말 리스트를 수신한 단말(100)은 전송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트랜잭션 아이디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상이하므로, S313 단계를 통해 수신한 단말 리스트는 무시하게 된다(S315).
이러한 과정에서 통신 제어 서버(400)는 S307 단계에서 수집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출발지 주소 정보를 자신의 아이피(IP)로 변경한다(S319).
그리고, 통신 제어 서버(400)는 출발지 주소 정보가 변경된 단말 리스트 요청 메시지를 단말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여 단말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321 ~ S323). 단말 관리 서버(500)는 통신 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단말 리스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출발지 주소 정보가 통신 제어 서버(400)로 변경되었으므로, 단말 리스트를 통신 제어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단말 관리 서버(500)로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인접 단말 리스트와 단말(100)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상기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단말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제어 서버(400)는 단말 관리 서버(500)로 단말(100)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리스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 관리 서버(500)는 통신 제어 서버(400)를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하나의 단말로 등록할 수도 있다(S325).
이후에, 통신 제어 서버(400)는 수신된 단말 리스트를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에 따라 단말에 대한 우선순위를 변경하거나, 특정 단말을 삭제하거나 추가하여 최종 컨텐츠 제공 단말을 추출할 수 있다(S327).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에 따라 단말을 우선순위하여 정렬한 후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통신 제어 서버(400)는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하고(S329), 단말(100)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게 된다(S331 ~ S333).
이때,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각 파일을 병렬로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조각 파일을 병합하여 수신하기 희망하였던 컨텐츠 파일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S305 단계에서, 단말(100)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목록인 컨텐츠 보유 리스트를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단말 관리 서버(500)는 S317 단계에서 상기 단말(100)에 대한 정보 등록 시 상기 단말(100)이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컨텐츠 보유 리스트를 저장하여 단말간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을 탐색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요청을 통신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간 컨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통신 제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 간의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제어 서버의 지원 하에 단말 간의 가용한 통신 자원을 고려하여 컨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을 선택하고, 실질적인 컨텐츠는 단말끼리 송수신함으로써, 통신망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보다 신속한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단말 110: 통신부 111: 제1 인터페이스
112: 제2 인터페이스 120: 입력부 130: 제어부
131: 단말 탐색 모듈 132: 리스트 생성 모듈
133: 컨텐츠 제어 모듈 140: 저장부 141: 컨텐츠
142: 인접 단말 리스트 150: 표시부 300: 통신망
310; 코어망 320: 접속망 400: 통신 제어 서버
410: 서버 통신부 420: 서버 제어부 430: 서버 저장부
500: 단말 관리 서버 1000: 시스템

Claims (9)

  1. 단말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을 탐색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단말간 통신 요청을 통신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중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선택된 상기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일정 반경 내 송수신되는 D2D(Device-to-Device) 탐색 메시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일정 반경 내 D2D 탐색 메시지를 송출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단말이 접속한 접속망 상의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장치(RU; Radio Unit)와 연결되는 데이터 처리장치(DU; Digital Unit)와의 연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된 다른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접 단말로 정의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탐색된 상기 다른 단말 간의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산출된 컨텐츠 전송 품질 계수가 일정 값 이상인 다른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다른 단말을 인접 단말로 정의하여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이 탐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 상기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요청을 통신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선택된 상기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는
    해당 단말에서 가용한 와이파이, 블루투스, LTE(Long Term Evolution), 3G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병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목록인 컨텐츠 보유 리스트를 상기 통신 제어 서버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8. 단말간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서버가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인접 단말 리스트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단말간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제어 서버가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이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단말에 대한 단말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제어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접 단말 리스트와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확인된 단말 리스트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제어 서버가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과 상기 각각의 컨텐츠 제공 단말에서 가용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컨텐츠 제공 단말을 최종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거나,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을 정렬하여 정렬된 컨텐츠 제공 단말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142568A 2014-10-21 2014-10-21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30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68A KR101630276B1 (ko) 2014-10-21 2014-10-21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7522204A JP6371004B2 (ja) 2014-10-21 2015-08-03 端末間のコンテンツ提供方法
CN201580051314.7A CN106688243B (zh) 2014-10-21 2015-08-03 装置对装置内容提供方法
EP15851834.0A EP3211907B1 (en) 2014-10-21 2015-08-03 Device-to-device content providing method
PCT/KR2015/008090 WO2016064074A1 (ko) 2014-10-21 2015-08-03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US15/459,762 US11638138B2 (en) 2014-10-21 2017-03-15 Device-to-device content provi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68A KR101630276B1 (ko) 2014-10-21 2014-10-21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35A true KR20160046535A (ko) 2016-04-29
KR101630276B1 KR101630276B1 (ko) 2016-06-24

Family

ID=5576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568A KR101630276B1 (ko) 2014-10-21 2014-10-21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38138B2 (ko)
EP (1) EP3211907B1 (ko)
JP (1) JP6371004B2 (ko)
KR (1) KR101630276B1 (ko)
CN (1) CN106688243B (ko)
WO (1) WO20160640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1423B2 (en) * 2015-07-31 2019-07-0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using a mobile device
CN111278165B (zh) * 2019-01-11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建立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JP7424004B2 (ja) * 2019-11-20 2024-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管理サーバ装置
CN112291775A (zh) * 2020-10-19 2021-01-29 深圳市中诺通讯有限公司 终端获取业务的方法及设备
CN112383901B (zh) * 2020-11-02 2022-07-19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d2d通信的数字射频拉远中继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04A (ko) * 2007-07-12 2009-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피투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JP2012510741A (ja) * 2008-12-02 2012-05-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P2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ピア・データ・ソースの選択に作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30035903A (ko) 2011-09-30 2013-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KR20140113256A (ko) * 2013-03-15 2014-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단말 간 인접 통신 서비스 방법
KR20160015004A (ko) * 2014-07-30 2016-02-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제어 장치 연동을 통한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465A (ja) * 2003-02-25 2004-09-16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集中管理サーバ、および通信経路設定方法
CN100355237C (zh) * 2003-07-24 2007-12-12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移动电话中再现多媒体内容的系统和方法
KR101008619B1 (ko) * 2003-11-07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산 다운로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6080083A1 (ja) * 2005-01-28 2006-08-03 Argo-Notes, Inc. BitTorrentプロトコルによるファイルのダウンロード方法
KR20090062435A (ko) 2007-12-13 200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방법 및 시스템
US20110099372A1 (en) * 2009-10-23 2011-04-28 Siddhartha Annapureddy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video on demand
JP2011228883A (ja) * 2010-04-19 2011-11-10 Nec Corp 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82269B2 (en) * 2010-12-22 2014-07-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uto-discovery of home and out-of-franchise networks
JP5592298B2 (ja) * 2011-03-23 2014-09-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及び無線制御装置のプログラム
CN102821115B (zh) * 2011-06-08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点对点p2p传输资源的方法和装置
JP2013034165A (ja) * 2011-06-27 2013-02-14 Ntt Docomo Inc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
WO2013032251A2 (ko) * 2011-08-30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29211B2 (en) * 2011-09-15 2018-11-13 Stephan HEATH Methods and/or systems for an online and/or mobile privacy and/or security encryption technologies used in cloud computing with the combination of data mining and/or encryption of user's personal data and/or location data for marketing of internet posted promotions, social messaging or offers using multiple devices, browsers, operating systems, networks, fiber optic communications, multichannel platforms
JP6113738B2 (ja) * 2011-10-24 2017-04-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基地局がD2D(Device−to−Device)通信をサポートする方法及びD2D端末が效率的にD2D通信要請信号を送信する方法
KR20130050749A (ko) * 2011-11-08 2013-05-16 (주)휴맥스 단말 간 컨텐츠 리스트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WO2013081393A1 (ko) * 2011-11-29 2013-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기기간 동기화 및 식별을 지원하는 방법
KR101595431B1 (ko) * 2012-01-16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313607B2 (en) * 2013-01-18 2016-04-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assisted UE detection in direct mode UE-to-UE communication
EP3496371B1 (en) * 2013-01-31 2020-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KR101504182B1 (ko) * 2013-02-26 2015-03-24 주식회사 케이티 소셜 미디어 연동을 기반으로 m2m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504074B2 (en) * 2013-03-15 2016-1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providing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supporting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s
CN104080170B (zh) * 2013-03-25 2018-12-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d2d响应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KR102046111B1 (ko) * 2013-03-29 2019-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간 통신 방법 및 장치
US9654960B2 (en) * 2013-05-31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Server-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JP6166469B2 (ja) * 2013-07-12 2017-07-19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複数ue協調通信をトリガ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5016690A1 (ko) * 2013-08-02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커버리 과정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99513A1 (ko) * 2014-06-27 2015-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측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04A (ko) * 2007-07-12 2009-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피투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JP2012510741A (ja) * 2008-12-02 2012-05-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P2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ピア・データ・ソースの選択に作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30035903A (ko) 2011-09-30 2013-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KR20140113256A (ko) * 2013-03-15 2014-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단말 간 인접 통신 서비스 방법
KR20160015004A (ko) * 2014-07-30 2016-02-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제어 장치 연동을 통한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88243A (zh) 2017-05-17
JP2018502353A (ja) 2018-01-25
CN106688243B (zh) 2020-02-28
US11638138B2 (en) 2023-04-25
US20170201875A1 (en) 2017-07-13
EP3211907A4 (en) 2017-08-30
EP3211907B1 (en) 2022-09-14
JP6371004B2 (ja) 2018-08-08
EP3211907A1 (en) 2017-08-30
KR101630276B1 (ko) 2016-06-24
WO2016064074A1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3375B2 (en) Session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US10609590B2 (en) Enhanced software-defined network controller to support ad-hoc radio access networks
KR101630276B1 (ko)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36022B1 (ko) 서비스 제어 장치 연동을 통한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20537466A (ja) セッション確立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デバイス
JP2021513269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サービスレベル合意を保証す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JP2021108500A (ja) 負荷再配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WO2013038056A1 (en) Offloading traffic to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20200059525A1 (en) Redirection method, control plane network element, aggregation user plane network element, content server, and terminal device
KR20210008081A (ko)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US201602341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ng push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CN110149624B (zh) 用于数据传输的方法、移动管理设备、数据业务处理设备和终端
US20130301540A1 (en) Providing network connectivity based on device mobility
WO2014187601A1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WO2019091174A1 (zh) 一种短消息发送方法及装置
JP2021513250A (ja) セッション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装置
KR20120108187A (ko)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