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056A - 공기압박 커프 - Google Patents

공기압박 커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056A
KR20160046056A KR1020140141087A KR20140141087A KR20160046056A KR 20160046056 A KR20160046056 A KR 20160046056A KR 1020140141087 A KR1020140141087 A KR 1020140141087A KR 20140141087 A KR20140141087 A KR 20140141087A KR 20160046056 A KR20160046056 A KR 20160046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gs
disposed
bag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242B1 (ko
Inventor
강승호
이용환
황대진
김병상
차현우
정재한
서규영
손동영
임민규
정용호
황은혜
하정훈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1020140141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2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61H9/0092Cuff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2Means for controlling a set of similar massage devices acting in sequence at different locations on a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기밀이 유지되는 공기구획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연이어 배치되는 공기주머니(110); 인접된 두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라인형태로 배치되며, 각 공기주머니(110)에 상기 공기구획공간(111)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겉감과 안감이 밀착되게 접착되어 이루어진 구획부(120); 상기 공기주머니(110)의 일측에 배치된 주입구(112)와 주입관(140)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구획공간(111)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주머니(110)의 팽창동작과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주입제어모듈(150); 및 상기 구획부(120)에 배치되며, 인접된 두 공기주머니(110)의 각 공기구획공간(111)을 상호 연통시켜 상기 주입구(112)를 통해 주입된 공기를 연통된 다른 공기주머니(110)의 공기구획공간으로 주입하는 공기통로부(130);를 포함하는 공기압박 커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압박 커프{Cuff For Air Pressure}
본 발명은 공기압박 커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어 공기압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팽창 및 수축 동작하는 공기주머니의 가압력에 의해 혈액, 림프액 또는 기타 체액 등이 일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공기압박 커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공기압박 커프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공기압박 커프는 기밀이 유지되는 공기구획공간(11a)이 내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공기주머니(10a 내지 10d)가 연이어 배치된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각 공기주머니(10a 내지 10d)마다 일측에 주입구(13)가 배치되며 상기 주입구(13)에 공기주입제어모듈(30)과 연결된 주입관(20)이 체결되어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30)로부터 공기를 주입받거나 내부로 주입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와 같이 공기가 주입된 공기주머니(10b,10c,10d)는 팽창하면서 착용자의 피부(1)를 가압하게 되고, 주입된 공기가 흡입된 공기주머니(10a)는 수축하면서 피부(1)의 가압된 상태를 이완시키게 되며, 각 공기주머니(10a 내지 10d)가 공기주입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팽창 및 수축하면서 신체의 혈액, 림프액 또는 기타 체액 등이 일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각 공기주머니(10a 내지 10d)와 피부(1)가 접촉되는 부위(P)가 가압되면서 공기압박 커프의 직접적인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공기압박 커프의 각 제조사에서는 이러한 작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기압박 커프에 배치되는 공기주머니(10a 내지 10d)의 수량을 최대한 늘릴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된 공기구획공간(11a)을 갖는 공기주머니(10a 내지 10d)마다 공기주입 및 공기흡입을 위해 각각의 주입관(20a 내지 20d)을 통해 공기주입제어모듈(30)과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되었기 때문에, 공기주머니(10a 내지 10d)의 수량에 비례하여 설치되어야 하는 주입구(13)나 주입관(20a 내지 20d) 등의 공기공급자재의 수량 역시 증대되어 제조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각 공기주머니(20a 내지 20d)를 개별적으로 공기공급 제어하기 위한 공기주입제어모듈(30)의 시스템 구동방식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0107호(2011.01.06), 광범위 치료용 공기압박 커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공기주머니 사이에 각각의 공기구획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공기통로부를 배치하여 공기주입제어모듈로부터 주입된 공기를 연통된 다른 공기주머니의 내부로 주입함으로써 설치되어야 하는 주입구나 주입관 등의 공기공급자재의 수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주입제어모듈의 시스템 구동방식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는 공기압박 커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박 커프는, 기밀이 유지되는 공기구획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연이어 배치되는 공기주머니(110); 인접된 두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라인형태로 배치되며, 각 공기주머니(110)에 상기 공기구획공간(111)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겉감과 안감이 밀착되게 접착되어 이루어진 구획부(120); 상기 공기주머니(110)의 일측에 배치된 주입구(112)와 주입관(140)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구획공간(111)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주머니(110)의 팽창동작과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주입제어모듈(150); 및 상기 구획부(120)에 배치되며, 인접된 두 공기주머니(110)의 각 공기구획공간(111)을 상호 연통시켜 상기 주입구(112)를 통해 주입된 공기를 연통된 다른 공기주머니(110)의 공기구획공간으로 주입하는 공기통로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120)는, 상기 겉감과 안감이 라인형태로 고주파 융착되어 형성되되, 전체 라인 상에서 일부가 단선된 형태로 고주파 융착되어 단선된 부위에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120)는, 단선되어 상기 공기통로부(130)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양 단부에 융착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확장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공기압력에 의해 확장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연통된 복수 개의 공기주머니(110) 중 하나의 공기주머니(110)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고, 나머지 공기주머니(110)는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공기를 직접 주입받는 공기주머니(110)로부터 상기 공기통로부(130)를 통해 공기가 전달되어 팽창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연통된 복수 개의 공기주머니(110) 중 하나의 공기주머니(110)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되,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의 구동제어에 의해 각 공기주머니(110)가 순차적으로 팽창동작하여 피부(1)를 압박하는 공기압박방향의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공기주머니(110)가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세 개 이상의 공기주머니(110)가 구비되고,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의 구획부(120)에는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공기압박방향의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공기주머니(110)에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이 연결된 경우, 상기 공기압박방향으로 갈수록 각 구획부(120)에 배치되는 공기통로부(130)는 배치수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연통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N개의 공기주머니(110)로 공기압박 커프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공기통로부(130)는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배치되는 N-1개의 구획부(12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박 커프에 의하면,
첫째,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각각의 공기구획공간(111)을 상호 연통시키는 공기통로부(130)를 배치하여 공기주머니(110)로부터 주입된 공기를 연통된 다른 공기주머니(110)의 공기구획공간(111)으로 주입함으로써, 설치되어야 하는 주입구(112)나 주입관(140) 등의 공기공급자재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각 공기주머니(110)로의 공기유입을 중앙제어하는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의 시스템 구동방식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장치의 구조나 동작을 보다 단순화시켜 수명단축이나 고장의 유발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120)의 경우 겉감과 안감이 라인형태로 고주파 융착되어 형성되되, 전체 라인 상에서 일부가 단선된 형태로 고주파 융착되어 단선된 부위에 각 공기구획공간(111)을 연통시키기 위한 공기통로부(130)가 저절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통로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제조장치나 제조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압박 커프의 제조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구획부(120)는 단선되어 공기통로부(130)를 형성하도록 이격된 양 단부에 융착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확장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공기압력에 의해 확장되지 않도록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통로부(130)의 의도되지 않은 확장에 의해 공기제어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거나 각 공기주머니(110)의 접착부위가 찢어져 훼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있다.
넷째, 상기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연통된 복수 개의 공기주머니(110) 중 하나의 공기주머니(110)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고, 나머지 공기주머니(110)는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공기를 직접 주입받는 공기주머니(110)로부터 상기 공기통로부(130)를 통해 공기가 전달되어 팽창동작하기 때문에, 설치되어야 하는 주입구(112)나 주입관(140) 등의 공기공급자재의 수량을 최소화하여 제조단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직접 공기를 주입받는 공기주머니(110)의 팽창이 완료된 이후에 공기통로부(130)를 통해 공기를 전달받는 공기주머니(110)의 팽창이 순차적으로 완료되므로 각 공기주머니(110)가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직접 공기를 주입받는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동일한 공기주입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연통된 복수 개의 공기주머니(110) 중 하나의 공기주머니(110)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되,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의 구동제어에 의해 각 공기주머니(110)가 피부(1)를 압박하는 공기압박방향의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공기주머니(110)가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므로, 설정된 공기압박방향에 일치하게 연통된 각 공기주머니(110)를 순차적으로 팽창동작시킬 수 있어 순차 팽창동작에 따른 종래의 효과를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여섯째, 세 개 이상의 공기주머니(110)가 구비되고,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의 구획부(120)에는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공기압박방향의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공기주머니(110)에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이 연결된 경우, 상기 공기압박방향으로 갈수록 각 구획부(120)에 배치되는 공기통로부(130)는 배치수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연통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직접 공기가 주입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이격되어 전달되는 공기압력이 저하되더라도 팽창동작하는데 필요한 공기량을 충분히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압박 커프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박 커프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통로부에 의해 각 공기주머니가 상호 연통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 2의 A-A'를 절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박 커프(100)는,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각각의 공기구획공간(111)을 상호 연통시키는 공기통로부(130)를 배치하여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된 공기를 연통된 다른 공기주머니(110)의 내부로 주입함으로써 설치되어야 하는 주입구(112)나 주입관(140) 등의 공기공급자재의 수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의 시스템 구동방식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는 에어커프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머니(110), 구획부(120), 공기주입제어모듈(150) 및 공기통로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공기주머니(110)는, 내부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여 피부(1)를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부재로서, 기밀이 유지되는 공기구획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연이어 배치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공기주머니(110)의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내부 구조를 명확하게 나타내고자 개략적으로 표현될 것일 뿐 실제로는 각 공기주머니(110)는 둘레가 밀폐되면서 내부가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기주머니(11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피부(1)와 접촉하는 안감(도면에서 하부면)과 그 반대측면(도면에서는 상부면)에 배치되는 겉감이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둘레가 고주파 융착 등의 방식으로 접착되어 상기 공기구획공간(111)이 기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20)는, 공기압박 커프(100) 상에서 각 공기주머니(110)의 공간이 구획되도록 하는 구획부재로서, 인접된 두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라인형태로 배치되며, 각 공기주머니(110)에 상기 공기구획공간(111)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겉감과 안감이 밀착되게 접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구획부(120)가 직선의 라인형태로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공기주머니(110)를 공간적으로 구획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웨이브나 지그재그의 라인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은, 설정치에 따라 각 공기주머니(110)에 주입되거나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중앙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공기주머니(110)의 일측에 배치된 주입구(112)와 주입관(140)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구획공간(111)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주머니(110)의 팽창동작과 수축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공기통로부(130)는, 각 공기통로부(130)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관로로서, 상기 구획부(120)에 배치되며 인접된 두 공기주머니(110)의 각 공기구획공간(111)을 상호 연통시켜 공기주머니(110)의 일측에 배치된 주입구(112)를 통해 주입된 공기를 연통된 다른 공기주머니(110)의 공기구획공간(111)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각 구획부(120)마다 세 개의 공기통로부(130)이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압력의 크기 및 연통된 다른 공기주머니(110)를 팽창시키는데 요구되는 공기압력 및 공기량의 조건에 따라 하나나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각각의 공기구획공간(111)을 상호 연통시키는 공기통로부(130)를 배치하여 공기주머니(110)로부터 주입된 공기를 연통된 다른 공기주머니(110)의 공기구획공간(111)으로 주입함으로써, 설치되어야 하는 주입구(112)나 주입관(140) 등의 공기공급자재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각 공기주머니(110)로의 공기유입을 중앙제어하는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의 시스템 구동방식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장치의 구조나 동작을 보다 단순화시켜 수명단축이나 고장의 유발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120)는 상기 겉감과 안감이 라인형태로 고주파 융착되어 형성된 경우, 전체 라인 상에서 일부가 단선된 형태로 고주파 융착되어 단선된 부위에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공기통로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제조장치나 제조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압박 커프의 제조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선되어 상기 공기통로부(130)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양 단부에 융착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확장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공기압력에 의해 확장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통로부(130)의 의도되지 않은 확장에 의해 공기주입제어모듈(150)에 의한 공기제어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거나 각 공기주머니(110)의 접착부위가 벌어지면서 찢어져 훼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박 커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연통된 복수 개의 공기주머니(110a와 110b, 110c와 110d) 중 하나의 공기주머니(110a,110c)만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공기를 주입받고, 나머지 공기주머니(110b,110d)는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공기를 직접 주입받는 공기주머니(110a,110c)로부터 사이에 연결된 공기통로부(130)를 통해 공기가 전달되어 팽창동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공기주머니(110a 내지 110d)에 설치되어야 하는 주입구(112)나 주입관(140) 등의 공기공급자재의 수량을 최소화하여 제조단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직접 공기를 주입받는 공기주머니(110a,110c)의 팽창이 완료된 이후에 공기통로부(130)를 통해 공기를 전달받는 공기주머니(110b,110d)의 팽창이 순차적으로 완료되므로 각 공기주머니(110a 내지 110d)가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직접 공기를 주입받는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동일한 공기주입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공기주머니(110a 내지 110d)가 공기통로부(130)으로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그 인접된 일측에 상기 공기통로부(130)없이 구획부(120)만 배치되면서 상호 연통되지 않도록 배치된 경우, 첫번째와 세번째의 공기주머니(110a,110c)에 주입관(140)으로 연결되어 직접 공기를 주입하되, 각 공기주머니(110a 내지 110d)가 설정된 공기압박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팽창동작할 수 있도록 직접연결된 첫번째의 공기주머니(110a)에 먼저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며, 세번째의 공기주머니(110c)에는 상기 첫번째의 공기주머니(110a)와 공기통로부(130)으로 연통된 두번째 공기주머니(110b)가 전달받은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정도(시간)을 고려하여 공기의 주입시점이 정해 각 공기주머니(110a 내지 110d)가 피부(1)를 압박하는 시점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두 개의 공기주머니(110a와 110b, 110c와 110d)가 하나의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상호 연통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세 개 이상의 공기주머니(110)가 두 개 이상의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호 연통되로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주입구(112)로 연결되어 직접 공기를 주입받는 공기주머니(110)가 중앙 위치에 배치될 경우 양측의 공기통로부(130)를 통해 인접된 두 개의 공기주머니(110)에 동시에 주입된 공기를 전달하여 각 공기주머니(110)가 순차적으로 팽창구동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직접 공기를 주입받는 공기주머니(110)가 일측에 치우쳐 배치될 경우 인접된 하나의 공기주머니(110)로 공기통로부(130)을 통해 공기를 전달하고, 공기를 전달받은 공기주머니(110)는 그와 인접된 다른 하나의 공기주머니(110)로 공기를 전달하여 팽창시키는 방식으로도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연통된 복수 개의 공기주머니(110) 중 하나의 공기주머니(110)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되,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의 구동제어에 의해 각 공기주머니(110)가 순차적으로 팽창동작하여 피부(1)를 압박하는 공기압박방향의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공기주머니(110)가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압박방향에 일치하게 연통된 각 공기주머니(110)를 순차적으로 팽창동작시킬 수 있어 순차 팽창동작에 따른 종래의 효과를 그대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시되지 않았으나 세 개 이상의 공기주머니(110)가 구비되고,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의 구획부(120)에는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공기압박방향의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공기주머니(110)에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이 연결된 경우, 상기 공기압박방향으로 갈수록 각 구획부(120)에 배치되는 공기통로부(130)는 배치수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연통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직접 공기가 주입되는 위치로부터 거리가 이격되어 전달되는 공기압력이 저하되더라도 팽창동작하는데 필요한 공기량을 충분히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박 커프(1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호 인접된 공기주머니(110) 중 일부(110a와 110b, 110c와 110d)는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상호 연통되고 일부(110b와 110c)는 각 공기주머니(100b,100c) 사이에 공기통로부(130)없이 구획부(120)만이 배치된 구조로 구비되면서 복수 개의 그룹을 지어 연통동작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각 공기주머니(100a 내지 100d)에 배치된 각 구획부(120)에 전부 공기통로부(130)에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연통동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N개의 공기주머니(110)가 구비된 경우, 상기 공기통로부(130)는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배치되는 N-1개의 구획부(12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공기압박 커프 110,110a,110b,110c,110d...공기주머니
111,111a,111b,111c,111d...공기구획공간
112...주입구 120,120a,120b,120c...구획부
121...확장부 130...공기통로부
140...주입관 150...공기주입제어모듈

Claims (7)

  1. 기밀이 유지되는 공기구획공간(111)이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연이어 배치되는 공기주머니(110);
    인접된 두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라인형태로 배치되며, 각 공기주머니(110)에 상기 공기구획공간(111)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겉감과 안감이 밀착되게 접착되어 이루어진 구획부(120);
    상기 공기주머니(110)의 일측에 배치된 주입구(112)와 주입관(140)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구획공간(111)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주머니(110)의 팽창동작과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주입제어모듈(150); 및
    상기 구획부(120)에 배치되며, 인접된 두 공기주머니(110)의 각 공기구획공간(111)을 상호 연통시켜 상기 주입구(112)를 통해 주입된 공기를 연통된 다른 공기주머니(110)의 공기구획공간(111)으로 주입하는 공기통로부(130);를 포함하는 공기압박 커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20)는,
    상기 겉감과 안감이 라인형태로 고주파 융착되어 형성되되, 전체 라인 상에서 일부가 단선된 형태로 고주파 융착되어 단선된 부위에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형성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박 커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20)는,
    단선되어 상기 공기통로부(130)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양 단부에 융착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확장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공기압력에 의해 확장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박 커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연통된 복수 개의 공기주머니(110) 중 하나의 공기주머니(110)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고, 나머지 공기주머니(110)는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로부터 공기를 직접 주입받는 공기주머니(110)로부터 상기 공기통로부(130)를 통해 공기가 전달되어 팽창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박 커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부(130)에 의해 연통된 복수 개의 공기주머니(110) 중 하나의 공기주머니(110)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되,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의 구동제어에 의해 각 공기주머니(110)가 순차적으로 팽창동작하여 피부(1)를 압박하는 공기압박방향의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공기주머니(110)가 공기주입제어모듈(15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박 커프.
  6. 제 5항에 있어서,
    세 개 이상의 공기주머니(110)가 구비되고,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의 구획부(120)에는 상기 공기통로부(130)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공기압박방향의 반대방향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공기주머니(110)에만 상기 공기주입제어모듈(150)이 연결된 경우,
    상기 공기압박방향으로 갈수록 각 구획부(120)에 배치되는 공기통로부(130)는 배치수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연통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박 커프.
  7. 제 1항에 있어서,
    N개의 공기주머니(110)로 공기압박 커프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공기통로부(130)는 각 공기주머니(110) 사이에 배치되는 N-1개의 구획부(120)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박 커프.
KR1020140141087A 2014-10-17 2014-10-17 공기압박 커프 KR10164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87A KR101644242B1 (ko) 2014-10-17 2014-10-17 공기압박 커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87A KR101644242B1 (ko) 2014-10-17 2014-10-17 공기압박 커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092A Division KR101644292B1 (ko) 2016-05-20 2016-05-20 공기압박 커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056A true KR20160046056A (ko) 2016-04-28
KR101644242B1 KR101644242B1 (ko) 2016-08-11

Family

ID=5591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087A KR101644242B1 (ko) 2014-10-17 2014-10-17 공기압박 커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41A1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메디칼파크 구인두기도기
CN115123665A (zh) * 2022-01-05 2022-09-30 亚比斯包材工场股份有限公司 具有不同收缩率的缓冲包装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533U (ja) * 1991-11-14 1993-09-24 株式会社ベステック エアーマッサージ器
KR19990014026A (ko) * 1997-07-30 1999-02-25 다카타 모토유키 공압맛사지기용 압박구
JP2002165851A (ja) * 2000-11-20 2002-06-11 Mego Afek Industrial Measuring Instruments 圧縮スリーブ
JP2002248144A (ja) * 2001-02-26 2002-09-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トレッチマット
KR20110000107U (ko) 2009-06-30 2011-01-06 (주)대성마리프 광범위 치료용 공기압박 커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533U (ja) * 1991-11-14 1993-09-24 株式会社ベステック エアーマッサージ器
KR19990014026A (ko) * 1997-07-30 1999-02-25 다카타 모토유키 공압맛사지기용 압박구
JP2002165851A (ja) * 2000-11-20 2002-06-11 Mego Afek Industrial Measuring Instruments 圧縮スリーブ
JP2002248144A (ja) * 2001-02-26 2002-09-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トレッチマット
KR20110000107U (ko) 2009-06-30 2011-01-06 (주)대성마리프 광범위 치료용 공기압박 커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41A1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메디칼파크 구인두기도기
CN115123665A (zh) * 2022-01-05 2022-09-30 亚比斯包材工场股份有限公司 具有不同收缩率的缓冲包装结构
CN115123665B (zh) * 2022-01-05 2023-11-21 亚比斯包材工场股份有限公司 具有不同收缩率的缓冲包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242B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292B1 (ko) 공기압박 커프
CN102046118B (zh) 具有可膨胀的囊的伤口敷料及制造方法
CN103705992B (zh) 加压装置泵送
US4183102A (en) Inflatable prosthetic device for lining a body duct
US10369074B2 (en) Massage system for a vehicle seat
JP5139405B2 (ja) ポンプ用バルブ本体
US8419666B2 (en) Compression sleeve
JP6211285B2 (ja) 止血器具
KR101644242B1 (ko) 공기압박 커프
WO2007017876A3 (en) Tip propelled device for motion through a passage
JP2009544917A5 (ko)
US6196260B1 (en) Flow control valve
JP2014033829A (ja) 流路形成部材および血圧測定装置
CN103538795A (zh) 具多个内分隔气室的货柜用扁平缓冲气袋
KR101624046B1 (ko) 공기압박 커프
CN103371897A (zh) 床垫装置
US6378552B1 (en) Dual speed flow control valve
CN206526251U (zh) 气动按摩护腰带
EP3930593A1 (en) Hemostasis devices with folded balloon assemblies
KR101198418B1 (ko) 빔매트리스 및 그의 유체공급방법
JP7133204B2 (ja) ポンプ
CN113543731B (zh) 具有折叠球囊组件的止血装置
CN220025033U (zh) 充放气阀及具有该充放气阀的血压计
CN114419990B (zh) 贴合装置及贴合方法
JP6078842B2 (ja) ポンプユニット及び流体の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