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378A - 의료용 체형 측정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체형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378A
KR20160044378A KR1020140139360A KR20140139360A KR20160044378A KR 20160044378 A KR20160044378 A KR 20160044378A KR 1020140139360 A KR1020140139360 A KR 1020140139360A KR 20140139360 A KR20140139360 A KR 20140139360A KR 20160044378 A KR20160044378 A KR 20160044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mirror
mounting frame
measur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붕
Original Assignee
이채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붕 filed Critical 이채붕
Priority to KR102014013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4378A/ko
Publication of KR2016004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61B5/0079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using mirrors, i.e. for self-ex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364Correlation of different images or relation of image positions in respect to the body
    • A61B2090/366Correlation of different images or relation of image positions in respect to the body using projection of images directly on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체형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장착틀과, 장착틀에 의하여 감싸여 전방으로 반사되는 거울과, 상기 거울에 수평 또는 격자형으로 빛을 발광하여 등 간격의 그리드라인을 투사하기 위한 그리드장치를 형성하여 거울로 그리드라인이 투사되도록 함으로써 측정자가 거울 앞에 선 상태에서 자신의 신체 불균형, 즉 좌,우 밸런스 및 기울어짐 등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체형 불균형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체형 측정기{Medical Body meter}
본 발명은 사람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체형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거울을 이용하여 측정자 본인이 자신의 자세 및 신체의 좌,우 밸런스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체형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은 서있는 자세 또는 앉아있는 자세가 좌,우 밸런스가 완전히 대칭인 경우가 없다.
즉, 신체는 미세하게 좌,우의 생김새가 다르고 평소 생활습관이나 자세가 바르지 않고 틀어져 있는 등의 이유로 대부분 신체의 좌,우 밸런스가 불균형하다.
특히, 최근에는 업무 특성상 장시간 앉아서 컴퓨터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모니터를 장시간 보면서 일할 때 좌,우 균형이 틀어진 상태로 오래 작업하다 보면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관절에 무리가 가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한편, 병리학적으로 볼 때 사람은 좌,우 균형이 맞을 때 건강에 가장 이상적이며, 바른 자세는 집중력과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고, 밸런스는 인체의 모든 기능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른 자세는 각종 통증, 질병 등을 예방한다.
특히, 신체 밸런스의 불균형은 척추 측만증과 같은 각종 통증과 질환의 원인이 되며, 신체 밸런스가 불균형인 상태에서 운동을 하면 더 심화될 수 있으므로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치아가 뒤틀린 경우에 장기간 그 상태가 지속되면 신체 전체가 틀어지는 경우도 발생하며, 치과에서 임플란트를 시술하거나, 치아교정을 하는 등 치료목적에 있어서도 자세 교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척추 등의 관절치료를 하는 병,의원을 제외한 치과 등 다른 분야에서는 이러한 체형이나 자세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병,의원에서는 근본적인 치료가 없이 부분적이고 단발적인 치료만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근래에 들어, 체형이나 자세 등에 대한 중요성이 다른 분야에서도 대두되고 있으며, 치과 등의 병원에서는 체형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방법이 치과에서 체형 및 자세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체형 측정 방법은 환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환자 뒤에 격자형의 그리드판을 대고 카메라로 사진촬영을 함으로써 체형 및 자세의 불균형을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렇게 카메라로 촬영하여 측정하는 방식은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
그 이유는 카메라의 구조상 하나의 렌즈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1안 반사식(SLR) 구조이므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피사체, 즉 환자가 카메라 렌즈의 정중앙에 위치시킨 후 촬영을 해야 하는데, 수작업으로 촬영을 하다 보면 카메라의 높낮이나 좌,우 위치가 미세하게 틀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환자 뒤에 설치되는 그리드판의 경우에도 천정에 스크린 방식으로 설치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내려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건물 내벽의 경우 정확한 수평을 이루는 장소를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리드판 자체가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그리드판을 정확하게 수평으로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천정 또는 바닥에 미세한 기울기가 있는 경우 환자의 체형 및 자세 불균형을 제대로 잡아낼 수 없다.
또한, 이렇게 체형을 측정하는 방식은 상기 그리드판을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대부분의 방식이 별도의 설치장소를 마련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별도의 장비를 장착한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매우 비싸고, 측정방식 또한 촬영된 결과물을 따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형 및 자세 측정이 간편하고, 측정자가 측정결과를 육안으로 즉시 확인이 가능하며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 설치하여도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체형 측정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입식 또는 좌식 사용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서있는 상태와 앉아있는 상태의 체형 및 자세를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장착틀과, 장착틀에 의하여 감싸여 전방으로 반사되는 거울과, 상기 거울에 수평 또는 격자형으로 빛을 발광하여 등 간격의 그리드라인을 투사하기 위한 그리드장치를 형성하여 거울로 그리드라인이 투사되도록 함으로써 측정자가 자긴의 신체 불균형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체형 측정기에 의하면, 평상시 거울로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체형 측정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또한 체형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자 본인이 육안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거울이 사용되는 여러 장소, 즉 가정에서는 물론, 병원이나 사우나 등 다양한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신체 불균형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본인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세를 바로잡음으로써 신체 불균형을 해소하여 척추 측만증과 같은 각종 통증과 질환을 예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그리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세부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체형측정기의 사용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그리드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용 체형 측정기에 발판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의료용 체형 측정기에 발판과 좌대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장착틀(100)과, 장착틀(100)에 의하여 감싸여 전방으로 반사되는 거울(200)과, 상기 거울(200)에 수평 또는 격자형으로 빛을 발광하여 등 간격의 그리드라인(320)을 투사하기 위한 그리드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착틀(100)은 상,하측과 좌,우 양측에 프레임이 조립되어 사각형틀로 제작되는 것으로, 거울(2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장착틀(100)에는 베젤부(120)가 형성되고 장착틀의 후방에는 뒷판(140)으로 마감되어 그리드장치(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장착틀(100)의 내부에 조립된다.
장착틀(100)의 하부에는 장착틀(100)이 수직상태로 세워 기립할 수 있도록 받침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틀(100)은 목재나 금속 각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속재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함으로써 장착틀(100)의 내측에 다양한 크기의 장착공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장착공간에 그리드장치(300)의 전원인가를 위한 전장부(미도시) 및 후술하는 조명장치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드장치(300)는 거울(200)에 점이나 선, 또는 면의 형태로 빛을 발광하여 그리드라인(320)이 거울의 전방으로 투사되도록 한 것으로, 신체 불균형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자가 거울 앞에 선 상태에서 본인의 신체를 그리드라인(320)과 비교하여 신체의 좌,우 불균형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그리드라인(320)을 투사하기 위한 그리드장치(300)의 구조는, 빛이 발광할 때 직진성을 갖는 레이져를 사용하여 그리드라인(320)을 구현하거나, 또는 거울(200)에 수평 또는 격자형으로 라인을 형성하고 그 라인을 발광시켜 그리드라인(320)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레이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장치(300)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2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장착틀(100)에 형성된 베젤부(120)를 따라서 복수의 레이져(340)를 장착하고, 레이져(340)의 렌즈(345)가 거울(200)의 테두리변(210)에 밀착되게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져(340)에서 발광된 빛으로 그리드라인(320)이 거울(200)의 전방으로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져(340)는 장착틀(100)의 측변에 장착하면 그리드라인(320)이 수평으로 레이져 빛이 발광되는 것이고, 또는 측변과 상변에 모두 레이져(340)를 장착하면 그리드라인(340)이 격자형으로 발광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자가 자신의 신체의 좌,우 불균형 및 기울어진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이져(340)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장착틀(100)의 일측에 장착하여 타측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양측에 번갈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져(340)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거나, 또는 빛을 확산시켜 그리드라인(320)이 더욱 선명하게 투사될 수 있도록 레이져(340)가 장착된 타측 변에는 수광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LED를 이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장치(300)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200)의 후면에 배치된 반사면(220)에 그리드스크래치(225)를 형성하고, 거울(200)의 후방에 조명장치(360)를 장착하여 조명장치(360)에서 발광된 빛이 그리드스크래치를 투사하여 거울의 전면으로 그리드라인(320)이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그리드스크래치(225)는 점, 선, 면의 형태로 거울 뒷면에 무늬를 조각하여 전면으로 그 무늬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그리드라인(320)이 구현된다.
또한, 거울(200)의 후방에는 뒷판(140)에 LED바(362)를 장착하여 거울(200)이 전체적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리드스크래치(225)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빛이 전방으로 투과되어 발산되고 그리드스크래치가 형성되지 않은 반사면(220)에서는 빛이 투과되지 않으므로써 그리드스크래치의 형상에 따라서 그리드라인(320)이 구현된다.
또한, LED를 이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장치(300)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360)의 구조가 장착틀(100)의 측면에 LED바(362)가 장착되고, LED바(362)와 연접하게 도광판(364)을 장착함으로써 LED바(362)에서 발광된 빛이 도광판(364)에 의하여 거울(200)의 후면 전체를 발광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그리드스크래치(225)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빛이 전방으로 투과되어 발산되고 그리드스크래치가 형성되지 않은 반사면(220)에서는 빛이 투과되지 않으므로써 그리드스크래치의 형상에 따라서 그리드라인(320)이 구현된다.
한편, 그리드장치(300)에는 거울기능 또는 체형측정기능으로 전환사용을 위한 스위치(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틀(100)의 전면에는 측정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조명장치(360)를 가동시켜 그리드라인(320)이 발광되도록 하기 위한 근접센서(3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거울 기능으로 사용을 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스위치(380)를 켜서 신체 측정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근접센서(390)에 의하여 측정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그리드장치(300)를 가동시켜 그리드라인(320)이 투사되도록 하고, 측정자의 접근이 없는 경우에는 그리드장치(300)를 가동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전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그리드장치(300)는 근접센서(390)의 신호를 감지하여 자동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에, 타이머를 장착하여 일정시간이 경과 한 이후에는 자동으로 그리드장치(300)의 가동을 중지시켜 그리드라인(320)이 소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착틀(100)과 거울(200)은 그 자체가 기울어지게 장착될 경우 측정자의 신체비율이 잘못 측정될 우려가 있다.
즉, 장착틀(100)과 거울(200)은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고, 측정자 본인은 수평상태로 제대로 서있는 상태에서는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없고 따라서 측정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틀(100)에 거울(200), 더 정확하게는 그리드라인(320)과 측정자의 위치 간에 수평자세를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발판(40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발판(400)에는 측정자가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신체측정이 이루어지도록 발 위치확인을 위한 인쇄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발판(400)은 장착틀(100)에 조립될 때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거울로 사용할 경우에는 발판(4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신체 측정기로 사용할 경우에만 발판을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400)에는 측정자의 앉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좌대(500)를 장착하면 측정자가 서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앉은 상태에서 신체 불균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좌대(500)에는 측정자가 정확하게 전면을 향하여 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엉덩이가 안착될 수 있게 내입부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100: 장착틀 120: 베젤부
140: 뒷판 160: 받침대
200: 거울 210: 테두리변
220: 반사면 225: 그리드스크레치
300: 그리드장치 320: 그리드라인
340: 레이져 345: 렌즈
360: 조명장치 362: LED바
364: 도광판
380: 스위치 390: 근접센서
400: 발판
500: 좌대

Claims (7)

  1.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장착틀(100);
    장착틀(100)에 의하여 감싸여 전방으로 반사되는 거울(200);
    상기 거울(200)에 수평 또는 격자형으로 빛을 발광하여 등 간격의 그리드라인(320)을 투사하기 위한 그리드장치(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료용 체형 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장치(300)는,
    거울(20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베젤부(120)에 복수의 레이져(340)가 장착되고, 상기 레이져(340)의 렌즈(345)가 거울(200)의 테두리변(210)에 밀착되게 조사되어 복수의 레이져(340)에서 발광된 빛으로 그리드라인(320)이 투사되는 의료용 체형 측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장치(300)는,거울(200)의 후면에 배치된 반사면(220)에 그리드스크래치(225)가 형성되고, 거울(200)의 측방 또는 후방에 조명장치(360)가 장착되어 조명장치(360)에서 발광된 빛이 그리드스크래치를 투사하여 거울의 전면으로 그리드라인(320)이 투사되는 의료용 체형 측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360)는 장착틀(100)의 측면에 LED바(362)가 장착되고, LED바(362)와 연접하게 도광판(364)이 장착되어 그리드라인(320)의 투사가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형 측정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장치(300)는
    거울기능 또는 체형측정기능으로 전환사용을 위한 스위치(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장착틀(100)의 전면에는 측정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조명장치(360)를 가동시켜 그리드라인(320)이 발광되도록 하기 위한 근접센서(3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형 측정기.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틀(100)에는 측정자의 위치를 설정하고 수평자세를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발판(40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형 측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400)에는 측정자의 앉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좌대(50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형 측정기.
KR1020140139360A 2014-10-15 2014-10-15 의료용 체형 측정기 KR20160044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360A KR20160044378A (ko) 2014-10-15 2014-10-15 의료용 체형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360A KR20160044378A (ko) 2014-10-15 2014-10-15 의료용 체형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378A true KR20160044378A (ko) 2016-04-25

Family

ID=5591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360A KR20160044378A (ko) 2014-10-15 2014-10-15 의료용 체형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43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650B1 (ko) * 2018-04-09 2019-07-16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슈미트해머용 광학식 측점 표시 장치
KR20220055896A (ko) 2020-10-27 2022-05-04 이현준 격자 구조를 활용한 신체 사이즈 및 모양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650B1 (ko) * 2018-04-09 2019-07-16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슈미트해머용 광학식 측점 표시 장치
KR20220055896A (ko) 2020-10-27 2022-05-04 이현준 격자 구조를 활용한 신체 사이즈 및 모양 측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50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б основных показателях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изма живого существа
US9907518B2 (en) X-ray imaging guiding system for positioning a patient
JP6299981B2 (ja) 歯科ハンドピース用ドリルの3次元空間的角度の補正装置及び補正方法
Matin et al. Visually perceived eye level and perceived elevation of objects: Linearly additive influences from visual field pitch and from gravity
JP5236647B2 (ja) 患者身体への電極配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3556664B2 (ja) 治療のための適正位置に患者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
CA2950090C (en) Novel dental scanner device and system and methods of use
KR20120119523A (ko) 혈관 위치 탐지용 장치
US20160175610A1 (en) Dermal reflectance sensor method and stystem forcalculating uv light and vitamin d absorption
KR20160044378A (ko) 의료용 체형 측정기
KR20120080449A (ko) 구강 내외 겸용 x-선 촬영 장치
JP5340644B2 (ja) 腹部周囲径測定装置
WO2021110108A1 (zh) 一种视力检测装置
JP2015216953A (ja) 運動能力測定用椅子
WO2004037085A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size and shape of a foot
KR102198092B1 (ko) 신장 측정 장치
CN216148021U (zh) 一种眼科检测仪
KR20230101827A (ko) 치과 치료 시스템용 양방향 미러 디스플레이
KR20150130674A (ko)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RU195219U1 (ru) Плантоскоп
JP3493191B2 (ja) レーザビーム頚椎弧測定装置
KR20220051772A (ko) 체온 측정 겸용 손 세정제 분사 장치
FR2781997A1 (fr) Dispositif destine a mesurer des differences de poids et de dimensions d'un cote et de l'autre d'un corps humain afin de mettre en evidence un desequilibre
CN114081435A (zh) 自主视力检测装置
RU2601854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объема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методом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ой подсвет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