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674A -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674A
KR20150130674A KR1020140057535A KR20140057535A KR20150130674A KR 20150130674 A KR20150130674 A KR 20150130674A KR 1020140057535 A KR1020140057535 A KR 1020140057535A KR 20140057535 A KR20140057535 A KR 20140057535A KR 20150130674 A KR20150130674 A KR 20150130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balance
general
frame
analy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이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일 filed Critical 이상일
Priority to KR102014005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674A/ko
Publication of KR2015013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은, 피측정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프레임과 측정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일반 체형 분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general body analysis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하고 상세한 일반 체형 분석 결과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신체는 평소 습관(예를 들어, 잘못된 자세)이나 질환 등에 따라 전, 후, 좌, 우 밸런스가 맞지 않아 신체 불균형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장시간 책상에 앉아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운전을 할 때 잘못된 자세로 오랜 기간 앉아 있으면 신체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오른쪽 다리에 질환(또는 통증)이 있어 장시간 왼쪽 다리에 더 많은 힘을 주고 다니면 좌우 신체 밸런스가 맞지 않아 신체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신체 불균형을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체형(또는 자세)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신체 밸런스 및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장비가 개발되었으며, 주로 피트니스 센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체형 측정 장비는 단순히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을 측정하고 생체 임피던스 등을 통해 체지방을 측정한 후,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였으나, 측정 데이터 자체에 한계가 있어 사용자의 체형이나 사용자의 자세 등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데이터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체형 측정 장비는 잘못된 자세에 대한 결과만을 제시할 수 있을 뿐 잘못된 자세의 원인까지 규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기존의 관련 장비는 고가의 설비들로 일반인들이 구비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큰 상황으로 실제로 필요한 분들에게 보급할 수 있는 관련 장비나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리고, 기존의 관련 설비나 시스템은 확인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손실비용이 발생하므로 결과를 바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 체형 형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세하고 정확한 신체 분석 결과 데이터 및 자세 불균형의 원인을 제시할 수 있는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은, 피측정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측정 프레임; 및 상기 피측정자의 밸런스를 촬영한 영
상을 통해 전, 후, 좌, 우 밸런스 체형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반 체형 분석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피측정자가 필요로 하는 신체의 기본 데이터를 측정프레임에서 모두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하나의 측정기구로 조정하면서 측정할 수 있다. 즉, 신체의 각 부분(예를 들어, 팔의 길이, 다리의 인심, 가슴 부분의 길이 등) 별로 그 형태, 크기, 길이 등 체형 분석 결과 데이터 및 피측정자의 전, 후, 좌, 우 기울기와 같은 자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상세한 일반 체형 분석 결과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족궁의 높낮이도 육안으로 확인하고, 좌우 체중 밸런스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영상으로도 좌우를 비교하여 퍼센트로도 분석할 수 있다.
피측정자의 체형 및 자세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 촬영된 발바닥의 영상 및 실시간 분석을 통해 그 원인을 찾아내어 이를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에서 피측정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에서 자세 분석 결과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 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이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에서 피측정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100)은 피측정자(140)의 신체 치수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측정 프레임부(102), 체형 측정자(110), 인심 측정자(120), 밸런스 측정부(130)를 포함한다.
측정 프레임(102)에는 중앙 프레임(102-4) 측면에 측정자가 표시된다. 이때, 측정자는 피측정자(140)의 뒷면 수직 프레임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중앙 프레임(102-4)에 붙여서 표시된다. 이 경우, 측정자가 표시된 측정 프레임(102)은 피측정자(140)의 기준 좌표계(즉, 절대 좌표계)로서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피측정자(140)에게 측정자가 기준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피측정자(140)의 각 신체 부분의 크기에 대한 절대 값을 알 수 있게 된다.
측정 프레임(102)은 상단 프레임(102-1), 상단 프레임(102-1)의 일단에서 하부로 형성되는 제1 측면 프레임(102-2), 상단 프레임(102-1)의 타단에서 하부로 형성되는 제2 측면 프레임(102-3), 및 상단 프레임(102-1)의 중앙부에서 연결하며 형성되는 중앙 프레임(10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자는 예를 들어, 중앙 프레임(102-4)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단 프레임(102-1)은 제1 측면 프레임(102-2) 및 제2 측면 프레임(102-3)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면 프레임(102-2) 및 제2 측면 프레임(102-3)은 하단 프레임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프레임(102)은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측정 프레임(102)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경우, 피측정자(140)는 측정 프레임(102)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피측정자(140)를 측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피측정자(140)가 하단 프레임에 형성되는 밸런스 측정부(130) 상에 서있는 상태에서 피측정자(140)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피측정자(140)는 측정 프레임(102)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피측정자(140)를 측정한 경우, 피측정자(140)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되며, 그로 인해 피측정자(140)의 신체 크기를 절대 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한 별도의 보정 처리 없이 측정자에 표시된 치수를 확인함으로써 바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측정 프레임(102)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측정 프레임(10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측정 프레임(102)은 피측정자(140)를 측정한 상태에서 피측정자(140)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표시되기만 하면 되므로, 측정 프레임(102)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개수 및 형상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앙 프레임(102-4)는 상단 프레임(102-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앙 프레임(102-4)는 피측정자(140)의 상부에 위치한 측정 프레임(102)에 형성될 수 있다. 중앙 프레임(102-4)는 피측정자(140)의 체형을 분석하는 경우, 피측정자(140)가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피측정자(140)의 측정 자세를 교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체형 분석은 피측정자(140)가 직립해 있는 상태를 이용하여 신체의 각 부분의 형태, 크기, 길이를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피측정자(140)의 신체를 팔의 길이, 다리의 인심, 가슴 부분의 길이, 신장 등으로 구분하여 각 신체 부분 별로 체형의 치수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신장은 신장측정자(150)을 정수리 부위에 접촉함으로서 측정할 수 있고, 체형 측정자(110)을 측면 프레임(102-2)에서 분리하여 체형 측정자 조정기구(111)를 조정하여 어깨 폭과 팔의 길이 등을 측정할 수 있고, 고정된 인심 측정 기준대 삽입구(121)에 삽입된 인심 측정 기준대(120) 상면을 기준으로 인후부까지 측정하여 상체 길이도 측정할 수 있다.
다리의 인심은 발바닥을 기준으로 사타구니까지 길이를 측정하는데 인심 측정 기준대(120)를 인심 측정 기준대 삽입구(1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타구니까지 올려서 인심 측정 기준대 삽입구(121)를 중앙 프레임(102-4)에 고정하고 중앙 프레임(102-4)에 부착된 측정자를 확인하여 측정할 수 있다.
피측정자(140)가 측정 프레임(102) 내에서 똑바로 서있지 않고 머리를 앞으로 내밀거나 머리를 뒤로 젖히고 있는 경우 또는 피측정자(140)가 정면을 바라보지 않고 옆으로 삐딱하게 서있는 경우 등과 같이 피측정자(140)의 측정 자세가 올바르지 않으면, 피측정자(14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140)의 체형을 분석할 때 정확한 체형 분석 결과 데이터가 나오지 못하게 된다.
중앙 프레임(102-4)는 피측정자(140)의 정수리 부분이 상단 프레임(102-1)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피측정자(140)의 정수리 부분이 중앙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피측정자(140)의 양 어깨가 상단 프레임(102-1)의 하부에서 수평기준자(160)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지 등을 확인하여 피측정자(140)가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육안으로 확인하여 "머리가 앞으로 나와 있습니다. 머리를 똑바로 세워주세요"라는 자세 교정 사항을 육성으로 알려주어 피측정자(140)가 올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세 교정 사항을 육성으로 피측정자(140)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램프를 통해 인지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밸런스 측정부(130)는 피측정자(140)의 밸런스를 측정한다. 밸런스 측정부(130)는 하단 프레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 측정부(130)는 피측정자(140)가 밸런스 측정부(30) 상에 올라 선 상태에서 피측정자(140)의 무게 중심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피측정자(140)의 밸런스를 측정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측정부(130)에는 피측정자(140)가 정확한 위치에 밸런스 측정부(130)를 밟고 설 수 있도록 밸런스 측정부 좌우 기준대(133), 밸런스 측정부 전후 기준대(134)를 구성하여 표시될 수 있다. 밸런스 측정부(130)의 측면에는 조명장치(131)를 구성하여 확실한 발자국의 상태가 표현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밸런스 측정 반사경(132)을 구성하여 촬영을 통한 영상으로 양쪽 발바닥 족적의 면적을 비교하여 밸런스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하부에는 압력 센서(또는 무게 센서)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밸런스 측정부(130)는 피측정자(140)가 밸런스 측정부 좌우 기준대(133), 밸런스 측정부 전후 기준대(134)를 기준으로 밟고 섰을 때, 피측정자(140)의 좌,
우, 앞, 뒤의 무게 중심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밸런스 측정부(130)는 피측정자(140)의 밸런스 측정 데이터를 신체 분석표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체 분석표는 피측정자(140)의 왼발 앞 부분, 왼발 뒷 부분, 오른발 앞 부분, 오른발 뒷 부분에서 각각 측정되는 압력 수치를 이용하여 압력 중심(Center of Pressure), 압력 중심의 편향 정도, 압력 중심의 변화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102 : 측정 프레임
102-1 : 상단 프레임
102-2 : 제1 측면 프레임
102-3 : 제2 측면 프레임
102-4 : 중앙 프레임 및 측정자
110 : 체형 측정자
111 : 체형 측정자 조절기구
120 : 인심 측정 기준대
121 : 인심 측정 기준대 삽입구
130 : 밸런스 측정부
131 : 밸런스 측정부 조명기구
132 : 밸런스 측정 반사경
133 : 밸런스 측정부 좌우 기준대
134 : 밸런스 측정부 전후 기준대
140 : 피측정자
150 : 신장측정기
160 : 수평기준자

Claims (5)

  1. 피측정자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프레임; 및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과 인심과 상체길이 및 어깨폭 등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구;
    피측정자의 전, 후, 좌, 우 밸런스를 확인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통한 영상으로 자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반 체형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은,
    상기 피측정자의 밸런스를 2차원 촬영 영상을 통해 상기 피측정자의 2차원 영상 모델을 형성하고,
    상기 2차원 영상 모델을 분석하여 상기 체형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은,
    하나의 측정 기구로 조정하여 스포츠 및 자전거 피팅을 위해 필요한 인심, 상체길이, 어깨 폭, 팔 길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은,
    상기 피측정자가 측정프레임부에 올라가면 조명기구에서 투과되는 빛에 의하여 형성된 전, 후, 좌, 우 밸런스의 상태를 거울에 비친 상태를 촬영한 2차원 영상 모델을 분석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발바닥의 형태, 크기, 표면적을 통한 밸런스를 포함하는 체형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은,
    상기 밸런스 측정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피측정자의 좌, 우, 앞, 뒤의 압력 수치를 피측정자의 압력 중심, 상기 압력 중심의 편향 정도 및 압력 중심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KR1020140057535A 2014-05-14 2014-05-14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KR20150130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35A KR20150130674A (ko) 2014-05-14 2014-05-14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35A KR20150130674A (ko) 2014-05-14 2014-05-14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74A true KR20150130674A (ko) 2015-11-24

Family

ID=5484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35A KR20150130674A (ko) 2014-05-14 2014-05-14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6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5816A (zh) * 2015-12-04 2016-04-0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测量肩宽的方法及系统
US11978105B2 (en) 2018-04-04 2024-05-07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ing item information for try-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5816A (zh) * 2015-12-04 2016-04-0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测量肩宽的方法及系统
US11978105B2 (en) 2018-04-04 2024-05-07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ing item information for try-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562B1 (ko) 신체 분석 시스템
US10699403B2 (en)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ically determine garment fit
Kouchi Anthropometric methods for apparel design: Body measurement devices and techniques
US8152744B2 (en) Shoe or insole fitting navigation system
US20180153445A1 (en)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RU26286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 обработки показаний измерений живых существ
ES2907228T3 (es) Sistema de imágenes ultrasónicas tridimensionales
Bragança et al. A comparison of manual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ith Kinect-based scanned measurements in terms of precision and reliability
US20160278683A1 (en) Standing position evaluation apparatus, standing position evalu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opkins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anding posture measurements using a mobile application
KR20160000781A (ko) 자세 검출 및 자세 교정 정보 출력 장치와 그 방법
KR20190122594A (ko) 카메라 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비엠아이, 바디, 및 기타 물체
Bragança et al. Current state of the art and enduring issues in anthropometric data collection
KR20230035019A (ko) 3d센서를 이용한 스캐너 시스템
KR200418913Y1 (ko) 3차원 인체 스캐닝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30674A (ko) 일반 체형 분석 시스템
KR101839106B1 (ko) 체형분석시스템
JP2021180904A (ja) 測定装置
KR101124144B1 (ko) 척추변형 측정시스템
JP2018038679A (ja) 立位姿勢評価装置
Delgado-Garcia et al. Accuracy and reliability of a low-cost methodology to assess 3D body posture based on commercial cameras and Excel templates
KR20130083416A (ko) 부피 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체중계
KR20150130665A (ko) 스포츠 피팅을 위한 체형 분석 시스템
KR20190085794A (ko) 바른자세관리를 위한 자세분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KR100961270B1 (ko)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