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270B1 -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 - Google Patents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270B1
KR100961270B1 KR1020100017315A KR20100017315A KR100961270B1 KR 100961270 B1 KR100961270 B1 KR 100961270B1 KR 1020100017315 A KR1020100017315 A KR 1020100017315A KR 20100017315 A KR20100017315 A KR 20100017315A KR 100961270 B1 KR100961270 B1 KR 100961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analysis board
camera
evaluation devic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익
최재남
채봉주
Original Assignee
(주)다트피쉬코리아
박노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트피쉬코리아, 박노익 filed Critical (주)다트피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1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 측정자 후방에 설치되되 자세측정을 위한 기준이 표시되어 있는 자세분석보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자세분석보드(100)는 정 위치의 기준이 표시되어, 상기 정 위치 기준이 수직 하방을 향하는 추(200)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게 하여 정 위치로 설치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중력에 따라 수직 하방을 향하는 추의 성질을 이용하여 자세 평가장치를 정 위치에 세팅함으로써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음에 따라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람의 자세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세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필요할 경우 적절하게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는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A device for analyzing body postures and a method of setting the said device in station keeping}
본 발명은 사람의 자세를 측정하여 자세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를 설치할 때 수평과 수직을 정확하게 맞추어 정 위치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평가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척추가 얼마나 곧고 정상적으로 형성되었는지에 따라 자세가 변하게 된다. 특히나 인간은 성장이 완료되는 18~20세까지 뼈와 근육의 형태가 계속적으로 변하게 되는바, 성장기에 비정상적이고 나쁜 자세는 뼈와 근육의 형성에 영향을 미쳐 이를 관리하지 못할 경우 올바른 자세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좋은 자세와 나쁜 자세를 구분해 보면 머리가 앞으로 빠져나온 경우, 등이 굽은 경우, 배가 앞으로 나오면서 허리가 잘록하게 들어간 경우는 나쁜 자세의 전형적인 특징들이다. 잘못된 자세는 발의 복사뼈에서 지면에 수직선으로 그어 올린 선을 몸의 중심선이라고 가정했을 때 몸이 앞으로 쏠렸거나 뒤로 쏠렸거나 머리가 앞으로 빠져 나오고, 등이 굽고, 허리가 잘록하게 들어간 경우라고 할 수 있다.
근래 운동량은 부족한데 비해 책상이나 컴퓨터에 오랫동안 앉아 있을 수밖에 없는 환경에 따라 나쁜 자세로 인해 목이 앞으로 빠져나오거나 등이 굽어지는 현상이 심해져서 가고 있다. 이는 미성년자나 성인 모두에게 발생하는 문제점인데, 특히나 성장기에 있는 학생, 미성년자들의 경우 나쁜 자세로 인해 척추 측만증이 발생하여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따라서, 올바른 자세를 가지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특히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의 자세를 정기적으로 검사하여 나쁜 자세를 예방함과 아울러 자세가 올바르지 못할 경우 적절하게 대응하여 올바른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자세가 바른지의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평가 장치 또는 그 시스템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세 평가장치는 각 장치를 설치할 때 수직과 수평을 맞추어 설치하여야 정확히 자세를 평가하여 줄 수 있음에도 별도로 수평계를 이용하지 않는 한 정 위치로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자세 평가장치를 사용할 때 정확한 위치에 세팅될 수 있도록 하여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자세를 측정하여 자세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여 올바르지 못한 자세일 경우 적절한 조치를 통해 올바른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평가장치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력에 따라 수직 하방을 향하는 추의 성질을 이용하여 자세 평가장치를 정 위치에 세팅함으로써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력에 따라 수직 하방을 향하는 추의 성질을 이용하여 자세 평가장치를 정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음에 따라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람의 자세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세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필요할 경우 적절하게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 평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분석보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이한 자세분석보드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용 프로그램의 메인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용 프로그램에 자세분석보드가 촬영된 상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 평가장치로 자세를 평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 평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세분석보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이한 자세분석보드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용 프로그램의 메인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용 프로그램에 자세분석보드가 촬영된 상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세평가 장치는 자세측정을 위한 기준선이 표시되어 있는 자세분석보드(100)와, 피 측정자가 서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발판(300), 피 측정자를 촬영하는 카메라(400), 상기 카메라(400)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말(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세분석보드(100)는 종이나 비닐, 천 또는 나무판이나 합성수지 판에 자세측정을 위한 기준이 인쇄되거나 그려져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피 측정자의 후방에 설치된다. 통상의 경우 벽에 걸어서 설치되나, 별도로 구성된 지지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자세분석보드(100)는 1200×1800mm로 형성되는 것이나 그 크기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세분석보드(100)의 전면에는 자세분석보드(100)를 설치할 때 정 위치로 설치할 수 있도록 정 위치 기준이 표시된다. 상기 정 위치 기준은 수직선일 수 있으며, 수직선과 수평선이 교차 된 것일 수도 있고, 상하로 두 점이 일정 간격을 띄워 수직선상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판(300)은 피 측정자가 제 위치에 서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발판(300)의 상면에는 사람의 발 모양을 사방을 향해 미리 형성하여 둠으로써 피 측정자가 앞을 보고 서거나 옆으로 서거나 뒤로 돌아설 경우 정 위치에 서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발판(300)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림파일로 미리 제작하여 두고 필요할 때마다 프린터로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400)는 피 측정자를 촬영하여 단말(500)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피 측정자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통상적으로는 주변에서 널리 볼 수 있는 캠코더나 웹캠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할 때에 상기 카메라(400)를 적절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삼각대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500)은 상기 카메라(400)의 촬영 영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자세를 평가하고 그 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는 장치로서,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자세평가용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전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게 되면 상기 단말(500)에 형성된 모니터를 통해 자세를 분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고, 그 화면 안에 상기 카메라(400)가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세 평가용 전용 프로그램은 그 프로그램을 구동하게 되면 메인 화면에 수직선 또는 수직선과 수평선이 교차하는 등의 방식으로 정 위치 기준이 표시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단말(500)은 측정된 자료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학부모나 가정에서 측정된 자료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세 평가장치는 자세분석보드(100), 발판(300), 카메라(400), 단말(500)이 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판(300)과 카메라(400) 사이의 거리는 2.5~4.5m, 카메라(400)의 높이는 1~1.5m정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자세분석보드(100) 앞에 피촬영자가 서 있는 상태 전체를 적절하게 촬영하기 위한 설치 범위이다. 피촬영자의 키가 작거나 큰 경우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자세 평가장치는 수직 하방을 향하는 추(200)를 이용하여 정 위치로 세팅하게 된다. 이하, 정 위치로 세팅하는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단말(500)을 자세분석 보드(100)가 설치될 위치에서 일정 거리로 떨어진 지점에서 평평한 장소, 예를 들어 책상 위와 같은 장소에 올려두어 수평하게 설치한다. 통상 건물의 바닥은 비교적 수평 하게 형성되어 있는바, 책상을 놓고 그 위에 단말(500)을 설치하면 완전하지는 않지만 비교적 수평 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자세분석보드(100)를 세팅한다. 통상의 경우 상기 자세분석보드(100)는 실내에서 벽면에 설치하게 되는바, 자세분석보드(100)를 벽면에 설치하고 그 상태에서 동일 벽면에 상기 추(200)를 매달아준다. 이때, 수직 하방을 향하는 추와 자세분석보드(100)에 표시된 정 위치 기준(예를 들어, 수직선)을 일치시킴으로써 자세분석보드(100)를 정 위치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세분석보드(100)의 정 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추(200)를 그대로 둔 상태로 상기 자세분석보드(100)와 단말(500) 사이에 카메라(400)를 배치하고 상기 자세분석보드(100)를 촬영하여준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추(200)는 자세분석보드(100)가 항상 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렇게 촬영된 장면은 이미 구동되고 있는 자세평가용 전용 프로그램의 메인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즉, 단말(500)의 모니터 상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촬영된 화면에 나타나 있는 자세분석보드(100)의 정 위치 기준과 단말(500)의 모니터 상에 나타나 있는 기준이 서로 일치되도록 카메라(4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주게 된다. 상기에 따라 카메라(400)의해 촬영되어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자세분석보드(100)의 정 위치 기준과 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500)의 모니터 상에 나타나 있는 기준이 서로 일치되면 카메라(400)가 정 위치로 세팅되는 것이다.
상기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자세평가 장치의 세팅이 완료된다. 따라서, 카메라(400)는 정확한 위치로 세팅되어 자세분석보드(100) 앞에 서 있는 피측정자를 정확하게 촬영하여 단말(500)로 전송하게 되고, 단말(500)에서는 전용 프로그램으로 촬영한 화면을 분석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자세를 분석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세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몇가지 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세 평가장치로 자세를 평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모든 예들은 모니터에 보이는 화면을 기준으로 자세를 평가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어깨기울기/어깨가 좌우 평형을 이루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어깨 끝 지점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차례로 클릭을 하게 되면 입력 값에 따라 어깨 기울기가 자동으로 측정이 이루어 지게 된다.
도 8은 골반기울기/골반의 좌우가 평형을 이루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 측정자로 하여금 골반 뼈 앞쪽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서 있도록 한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용하여 양쪽 엄지손가락이 닿은 부분을 차례로 클릭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마우스의 클릭에 따라 입력된 값에 의해 골반 기울기가 자동으로 측정이 이루어 지게 된다.
도 9는 다리굴곡/다리가 바깥이나 안쪽으로 휘어있는지 또는 틀어져 있는지를 검사하는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 측정자의 발목 중간부분과 무릎뼈 중간을 차례로 마우스로 클릭하게 되면 입력 값에 따라 다리 굴곡이 자동으로 측정된다.
도 10은 척추 휨/척추가 곧지 않고 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 측정자로 하여금 뒤로 돌아서게 하고 그 상태에서 허리를 약간 굽히도록 하면 척추 뼈가 드러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허리의 중간 부분과 뒷목의 중간 부분을 차례로 클릭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마우스의 클릭에 따라 입력된 값에 의해 척추의 휨 정도가 자동으로 측정이 이루어 지게 된다.
도 11은 상체기울기/등의 굽은 정도를 검사하는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 측정자로 하여금 옆으로 돌아서게 한 상태에서 시선은 정면을 응시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허리 뒷부분과 머리 뒷부분을 차례로 마우스로 클릭하게 되면 입력 값에 따라 상체 기울기가 자동으로 측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자세 측정장치에 따르면, 중력에 따라 수직 하방을 향하는 추의 성질을 이용하여 자세 평가장치를 정 위치에 세팅함으로써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음에 따라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람의 자세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자세분석보드, 200 : 추,
300 : 발판, 400 : 카메라,
500 : 단말.

Claims (5)

  1. 피 측정자 후방에 설치되되 자세측정을 위한 기준이 표시되어 있는 자세분석보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자세분석보드(100)는 정 위치의 기준이 표시되어, 상기 정 위치 기준이 수직 하방을 향하는 추(200)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게 하여 정 위치로 설치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평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평가장치는,
    피 측정자가 서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발판(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평가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평가장치는,
    피 측정자를 촬영하는 카메라(400);
    상기 카메라(400)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말(50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단말(500)에 나타나는 영상을 통해 피 측정자의 자세를 파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평가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500)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에는 정 위치의 기준이 표시되되, 상기 정 위치의 기준이 상기 카메라(400)로 촬영된 상기 자세분석보드(100)에 표시되어 있는 정 위치 기준과 일치되게 함으로써 카메라(400)가 정 위치로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평가장치.
  5. 피 측정자 후방에 설치되는 자세분석보드(100)에 표시되는 정 위치의 기준과, 상기 자세분석보드(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직 하방을 향하는 추(20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게 하여 상기 자세분석보드(100)를 정 위치로 설치하고,
    카메라(400)로 상기 정 위치로 설치된 자세분석보드(100)를 촬영하여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는 단말(500)에 표시되게 하여,
    상기 단말(500)에 표시되어 있는 정 위치 기준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자세분석보드(100)에 표시되어 있는 정 위치 기준을 일치시켜 정 위치로 설치되게 세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평가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
KR1020100017315A 2010-02-25 2010-02-25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 KR100961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315A KR100961270B1 (ko) 2010-02-25 2010-02-25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315A KR100961270B1 (ko) 2010-02-25 2010-02-25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270B1 true KR100961270B1 (ko) 2010-06-03

Family

ID=4236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315A KR100961270B1 (ko) 2010-02-25 2010-02-25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2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945A (ko) 2021-10-08 2023-04-17 에스와이엠헬스케어 주식회사 키오스크 기반의 자세평가 장치
KR20230085361A (ko) 2021-12-07 2023-06-14 에스와이엠헬스케어 주식회사 보상작용 지식 베이스 기반 근골격계 질환 예측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794Y1 (ko) 2004-06-24 2004-10-27 이선미 족적 및 골격계 변위측정 시스템
JP2007312877A (ja) 2006-05-24 2007-12-06 Anima Kk 身体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794Y1 (ko) 2004-06-24 2004-10-27 이선미 족적 및 골격계 변위측정 시스템
JP2007312877A (ja) 2006-05-24 2007-12-06 Anima Kk 身体測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945A (ko) 2021-10-08 2023-04-17 에스와이엠헬스케어 주식회사 키오스크 기반의 자세평가 장치
KR20230085361A (ko) 2021-12-07 2023-06-14 에스와이엠헬스케어 주식회사 보상작용 지식 베이스 기반 근골격계 질환 예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4011B (zh) Image recognition device and image recognition method
KR101448562B1 (ko) 신체 분석 시스템
JP5222191B2 (ja) 靴またはインソールのフィッティング・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5224452A (ja) 姿勢診断設備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183580B1 (ko)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US20130171601A1 (en) Exercise assisting system
US20180153445A1 (en)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KR102165429B1 (ko) 체형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504633B1 (ko) Ar 기반 양방향 cpr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스템
CN109688922A (zh) 用于解剖学对准的系统和方法
KR101570712B1 (ko) 체형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체형 관리 시스템
KR20170062113A (ko) 신체균형측정시스템 및 신체균형측정방법
Hopkins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anding posture measurements using a mobile application
US2017013557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visual acuity
US202101831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coliosis
KR20200006324A (ko)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KR100961270B1 (ko) 자세 평가장치 및 그 장치의 정 위치 세팅방법
KR20220112222A (ko) 이종의 센서가 구비된 균형 훈련 시스템 및 균형 훈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올바른 자세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
KR20060119463A (ko) 족부 및 체형의 변위 측정 장치
CN107049241B (zh) 一种功能检测评估仪
WO2013084031A1 (en) System for motion tracking and comparison
JP6798204B2 (ja) 立位姿勢評価装置
Paušić et al. Types of body posture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boys 10 to 13 years of age
KR20180065429A (ko) 영상인식을 통한 환자의 신장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034388B1 (ko) 자세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