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355A - 우수한 피부 침투율을 갖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수한 피부 침투율을 갖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355A
KR20160043355A KR1020140137630A KR20140137630A KR20160043355A KR 20160043355 A KR20160043355 A KR 20160043355A KR 1020140137630 A KR1020140137630 A KR 1020140137630A KR 20140137630 A KR20140137630 A KR 20140137630A KR 20160043355 A KR20160043355 A KR 20160043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skin
active ingredient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978B1 (ko
Inventor
박상현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4013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9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율을 높인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성분 및 가용화상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상 성분은 용매, 폴리올, 유효성분 및 금속 봉쇄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상 성분은 비이온계면활성제, 에탄올 및 방부제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에어로졸 타입의 기포형성 용기에 수용되어 개구부로 토출될 때 미세거품이 발생하여, 피부 자극이 적고,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 및 흡수율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우수한 피부 침투율을 갖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Generating Microfoam With High Skin Permeation Rate}
본 발명은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율을 높인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포는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기체의 액체에 대한 분산체이다. 순수한 액체는 거품 또는 기포를 형성할 수 없으며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액체와 기체의 계면에 용질이 흡착되어 분산된 기체의 안정화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흡착은 흡착된 계면막의 계면에너지가 순수한 액체-기체 계면의 표면 에너지보다 낮을 때 열역학적으로 선호된다. 따라서 순수한 물-공기 표면의 높은 계면장력은 많은 용질들의 계면흡착을 쉽게 하여 기포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탄화수소를 친유기로 갖는 계면활성제는 약 72 mNm-1의 계면장력을 30 mNm-1 정도로 낮추어 기포의 안정화가 가능하며 수용액 상에서의 기포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관찰된다. 반면에 수용액상이 아닌 오일 상에서의 기포는 오일과 공기의 계면장력이 25 ∼ 30 mNm-1 정도로 낮아 일반적인 계면활성제로는 기포를 안정화시키기 어렵다. 기포의 부피, 즉 기포에서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 비율은 일반적으로 50 ∼ 90 % 정도이며, 기포의 크기는 0.1 ∼ 0.3 mm 정도이다.
피부는 크게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화장품과 같은 피부 외용제 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에 있어서, 제1 장벽은 피부의 최외각에 존재하는 각질층임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특히, 각질층이 케라틴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질세포와 각질 세포간을 구성하는 지질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용성 유효 성분은 원활하게 피부에 흡수되지만, 수용성 및 분자량이 큰 활성 성분은 피부를 투과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이 수용성인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은 피부 내로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기능성 화장료의 유효성분에 대한 효과를 제대로 얻지 못한다.
따라서, 대부분이 수용성인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이 피부에 용이하게 침투 및 흡수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화장료 제제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기포력이 우수하고 자극이 낮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유효성분이 피부에 용이하게 침투 및 흡수할 수 있는 미세거품 형태의 화장료 제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상 성분 및 가용화상 성분으로 이루어진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수상 성분은 용매, 폴리올, 유효성분 및 금속 봉쇄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상 성분은 비이온계면활성제, 에탄올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에어로졸 타입의 기포형성 용기에 수용되어 개구부로 토출될 때 미세거품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피피지-26-부테스-26(PPG-26-BUTETH-26),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및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중량%의 용매, 1 내지 20중량%의 폴리올, 0.001 내지 10중량%의 유효성분 및 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금속봉쇄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상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중량%의 비이온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의 에탄올 및 0.01 내지 3중량%의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성분은 연교추출물, 노니열매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탄력 개선효과 또는 미백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으로 거품을 형성시키는 펌프의 작용에 의하여, 화장료 조성물이 미세거품 형상으로 토출되는 용기 특이성을 이용하여 피부에 용이하게 침투하고 흡수될 수 있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포력이 우수하지 않지만 자극이 낮은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기포형성 용기를 이용함으로써 기포력이 우수하고 자극이 낮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노니열매추출물과 연교추출물을 함유시키고 미세거품 형태로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일반 제형과 비교하여 피부 침투율 및 흡수율이 더 우수하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율을 높인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성분 및 가용화상 성분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수상 성분은 용매, 폴리올, 유효성분 및 금속 봉쇄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상 성분은 비이온계면활성제, 에탄올 및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성분은 용매, 폴리올, 유효성분 및 금속이온봉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는 정제수일 수 있다. 용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중량 내지 9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80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개의 폴리올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로 포함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연교추출물(FORSYTHIA SUSPENSA FRUIT EXTRACT) 및 노니열매추출물(MORINDA CITRIFOLIA FRUIT EXTRA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유효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8 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상기 금속봉쇄제는 바람직하게는 디쇼듐이디티에이(EDTA-2Na)일 수 있다. 금속봉쇄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1 중량% 내지 0.1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내지 0.09 중량%범위로 포함된다.
상기 가용화상성분은 비이온계면활성제, 에탄올 및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계면 흡착을 쉽게 하여 기포를 안정화시키게 되는데, 계면활성제의 종류에는 양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이중에서 기포력이 우수한 계면활성제은 음이온계면활성제 -> 양이온계면활성제 -> 양쪽성계면활성제 -> 비이온계면활성제 순이고, 피부자극은 양이온계면활성제 -> 음이온계면활성제 -> 양쪽성계면활성제 -> 비이온계면활성제 순으로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기포력이 우수하지 않지만 자극이 낮은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비에어로졸 타입의 기포형성 용기에 수용되고 개구부를 통해 도출될 때 미세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에 잘 침투하고 흡수력이 높은 동시에, 피부 자극도 낮다.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피피지-26-부테스-26(PPG-26-BUTETH-26),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및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개의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0.001 중랑% 내지 30 중량% 범위로 포함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상기 에탄올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1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로 포함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상기 방부제는 바람직하게는 페녹시에탄올(PHENOXYEHTNAOL)을 포함할 수 있다. 페녹시 에탄올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내에서 0.01 중량% 내지 3 중량% 범위로 포함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 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상기한 조성의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을 비에어로졸 타입의 기포형성 용기에 수용한다. 상기 용기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이 개구부를 통해 토출될 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미세거품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비에어로졸 타입의 기포 형성 용기는 공지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일본 다이와 캔사(DAIWA CAN CO LTD)의 국제공개특허 WO92/08657에 개시된 용기일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액상의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조성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펌프를 위한 공기용 실린더와 액체 펌프를 위한 액체용 실린더를 동심원상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진 실린더, 상기 액체용 실린더의 저부와 상기 용기 저부를 연통하는 흡액관, 액체용 실린더 내를 상하 이동하는 공기용 피스톤과 액체용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피스톤체, 상기 피스톤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품 분출용 구멍부를 자기는 노즐체, 및 상기 구멍부에 배치되는 다공의 시트체 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 용기에 담고 펌핑하면 액상인 조성물이 실린더로 유입되어 구멍부 부근의 다공의 시트체상을 통과하여 나오게 되는데, 이때 미세거품이 생성되게 된다. 상기 기포 형성 용기는 일반적으로 무스 클렌져라는 제품으로 시중에 상용화되어 있는 제품에 사용되는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극이 적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거품을 형성시킴으로써, 피부 자극을 저감하는 동시에 피부 침투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유효성분은 피부내로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기능성 화장료의 유효성분에 대한 효과를 제대로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시 용기에서 미세거품 형태로 토출하여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수용성인 유효성분이 피부에 용이하게 침투 및 흡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수상 성분 조성물 제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온에서 교반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노니열매 추출물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노니 1 kg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였다. 여기에 건조중량의 1 내지 10배의 70% 저급알코올을 가하였다. 15 내지 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와트만 5번 여과지로 다시 여과한 후,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분말상태의 노니추출물을 얻었다.
연교 추출물은 다음으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연교의 열매 100g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 중량의 1-10배의 70% 저급알코올을 가한다.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분말을 얻었다.
(단위: 중량%)
구분 대 분 류 원 료 조성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1 수상성분 정제수 78.35 72.95 67.45 72.95
2 글리세린 5.0 10.0 15.0 10.0
3 부틸렌글라이콜 5.0 5.0 5.0 5.0
4 노니열매추출물 3.0 3.0 3.0 3.0
5 연교추출물 3.0 3.0 3.0 3.0
6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7 가용화상성분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1 1.0 5.0 1.0
8 에탄올 5.0 5.0 5.0 5.0
9 페녹시에탄올 0.5 0.5 0.5 0.5
Total 100 100 100 100
구체적으로는 수상성분인 1 내지 6을 혼합하고 아지 믹서(AGI MIXER)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충분히 용해시킨 후, 가용화상성분인 7 내지 9를 천천히 투입 후 교반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은 기포형성 용기에 수용하고, 비교예 1의 조성물은 일반 화장품 용기에 수용하였다.
실험예 1: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실험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건강한 여성 30명(평균 연령 33.7세)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2는 기포형성 용기에서 개구부로 토출하여 미세거품 형태로 팔 안쪽 피부에 일정량(0.03 g/16 ㎠)을 12주 동안 도포하고, 비교예 1은 일반 액상 조성물 형태로 팔 안쪽 피부에 일정량(0.03 g/16 ㎠)을 12주 동안 도포하였다. 12주 경과 후, 피부탄력측정기 (Cutometer SEM 575, C+KElectronic Co.,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각 군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비교예 1
40.2 32.5
상기 표 2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기포형성용기를 사용하여 미세거품 형태로 도포된 실시예 2의 피부 탄력 개선도가 비교예 1의 일반 액상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미세거품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침투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미백 효과 실험
20∼40세의 특히 피부가 검은 한국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비교예 1로 미백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는 기포형성 용기를 사용하여 미세거품 형태로 피부에 도포하고, 비교예 1은 일반 액상형태로 피부에 도포하였다. 20명의 피검자에게 각각 팔의 안쪽 면을 사용하였다. 측정 장비로는 미놀타(Minolta) CR 300을 사용하였으며 8주 동안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8주에 찍은 L값과 0주에 찍은 L값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있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1
△L 값 0.922 0.562
상기 표 3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기포형성용기를 사용한 실시예 2의 피부 미백효과가 비교예 1의 일반 액상보다 높아 피부 미백 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안전성 시험
피부에 나타나는 1차적인 자극의 객관적인 자극을 조사하기 위해 20~50세 미만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 15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첩포지 챔버 내에 제품을 20ul 씩 적하시킨 후 1시간 동안 휘발성 물질을 휘발 시킨 후 피험자 등에 첩포를 부착하고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30분 후 판독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패치 테스트
비교예 1 미자극 0.13
실시예 2 무자극 0.00
피부 1차 자극에 대한 시험결과 비교예 1에서는 0.13의 미자극이 관찰되었지만, 실시예 2에서는 무자극이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거품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수상 성분 및 가용화상 성분으로 이루어진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수상 성분은 용매, 폴리올, 유효성분 및 금속 봉쇄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상 성분은 비이온계면활성제, 에탄올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에어로졸 타입의 기포형성 용기에 수용되어 개구부로 토출될 때 미세거품이 발생하는 것인,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피피지-26-부테스-26(PPG-26-BUTETH-26),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및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내지 90중량%의 용매, 1 내지 20중량%의 폴리올, 0.001 내지 10중량%의 유효성분 및 0.01 내지 0.1 중량%의 금속봉쇄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상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중량%의 비이온계면활성제, 1 내지 30중량%의 에탄올 및 0.01 내지 3중량%의 방부제를 포함하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연교추출물, 노니열매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탄력 개선효과 또는 미백효과를 갖는 것인,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37630A 2014-10-13 2014-10-13 우수한 피부 침투율을 갖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630A KR101665978B1 (ko) 2014-10-13 2014-10-13 우수한 피부 침투율을 갖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630A KR101665978B1 (ko) 2014-10-13 2014-10-13 우수한 피부 침투율을 갖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355A true KR20160043355A (ko) 2016-04-21
KR101665978B1 KR101665978B1 (ko) 2016-10-13

Family

ID=5591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630A KR101665978B1 (ko) 2014-10-13 2014-10-13 우수한 피부 침투율을 갖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2728A4 (en) * 2019-11-01 2023-12-06 Shiseido Company, Ltd. METHOD OF USING ULTRA FINE BUBB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222A (ja) * 2001-09-20 2003-06-24 L'oreal Sa 起泡性化粧用クリーム
JP2005187359A (ja) * 2003-12-25 2005-07-14 Lion Corp ノンエアゾール型泡吐出容器用毛髪洗浄組成物
KR20130047778A (ko) * 2011-10-25 2013-05-09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222A (ja) * 2001-09-20 2003-06-24 L'oreal Sa 起泡性化粧用クリーム
JP2005187359A (ja) * 2003-12-25 2005-07-14 Lion Corp ノンエアゾール型泡吐出容器用毛髪洗浄組成物
KR20130047778A (ko) * 2011-10-25 2013-05-09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978B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699B1 (ko)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베지클 및 그 제조방법
CN106420610B (zh) 一种离子液体微乳及其应用
KR101762416B1 (ko) 화장료용 마이셀 조성물
CN104606063A (zh) 一种含有化妆品活性成分的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1207B1 (ko) 올레아놀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5570B1 (ko) 산소수와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080708A (zh) 一种温和多效洁面组合物
KR101511148B1 (ko)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665978B1 (ko) 우수한 피부 침투율을 갖는 미세거품 형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2307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68151B1 (ko) 에스터화 레시딘을 이용한 나노리포좀
KR102648442B1 (ko) 향상된 흡수력을 갖는 경피 흡수 마이셀 및 이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 조성물
KR20100067802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85457B1 (ko)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90110B1 (ko) 큐빅입방구조체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0556B1 (ko) 사용 시 유화기능이 부여되는 마스크 팩 조성물
KR20160008282A (ko) 흡수율이 개선된 비타민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2)
KR102200518B1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190576A (zh) 皮肤外用制剂的组合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30109282A (ko) 수용성 카페인 및 그 제조방법
KR100737391B1 (ko) 알로에젤을 함유한 주름개선용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를함유한 화장료
KR20180080058A (ko) 미역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스트
KR20210047203A (ko)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가 있는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