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332A - 다기능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332A
KR20160042332A KR1020140136025A KR20140136025A KR20160042332A KR 20160042332 A KR20160042332 A KR 20160042332A KR 1020140136025 A KR1020140136025 A KR 1020140136025A KR 20140136025 A KR20140136025 A KR 20140136025A KR 20160042332 A KR20160042332 A KR 2016004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unit
main body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233B1 (ko
Inventor
서영주
원량진
박진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2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내부공간을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습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유닛을 포함하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기능 공기 청정기{Multi-function air cleaner}
본 발명은 다기능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냉방, 난방, 제습, 가습 및 공기정화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계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 중에서 제습기, 가습기 및 공기청정기와 같이 공기를 처리하여 실내를 쾌적하게 하는 제품들은 실내 공기를 장치 내부로 흡입한 후 외부로 토출한다.
한편, 최근에는 제습, 가습 및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제습, 가습 및 공기 청정이 이루어진 공기가 하나의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유동되므로, 가습 및 제습 기능의 독립적인 구동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3432호
제습기능과 가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별도로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습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외부전원과의 직접 연결을 위한 외부전원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전원연결부에 접속되는 접속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 시 상기 제1 하우징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연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저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양측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팬이 설치될 수 있다.
제습기능만을 수행하거나 가습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습기능과 가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의 제1,2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의 제1,2 하우징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의 제1,2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의 제1,2 하우징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일예로서, 본체(120) 및 가습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20)는 제1 하우징(140), 필터부(150), 제습부(160) 및 조작패널(17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4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유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141)와 토출구(142)가 제1 하우징(140)에 형성된다. 유입구(141)는 제1 하우징(140)의 전면에 형성되며 토출구(142)는 제1 하우징(14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공기는 제1 하우징(140)의 전면에 형성된 유입구(141)로 유입된 후 제1 하우징(140)의 상면에 형성되는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40)에는 상기 가습유닛(13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원연결부(143)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부(143)는 가습유닛(130)의 조립 시 가습유닛(1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14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40)에는 상기 가습유닛(130)의 제어를 위한 신호연결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40)의 배면 측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145)이 설치될 수 있으며, 송풍팬(145)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습부(160)로부터 발생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4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40)에는 외부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전원연결부재(147)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150)는 제1 하우징(14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일예로서, 필터부(150)는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걸러내어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링 수단의 결합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부(150)는 일예로서 프리필터, 전처리필터, 기능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조합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50)는 일예로서 제1 하우징(140)의 유입구(141)에 인접 배치되도록 제1 하우징(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된 공기를 정화한 후 후단의 제습부(160)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제습부(160)는 필터부(150)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제1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습부(160)는 증발기(162)와 응축기(16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4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62)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면서 공기 중에 함유된 수증기가 물로 응축된다. 이후 응축기(161)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데워진다. 이후 제1 하우징(140)의 토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제습부(160)는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16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압축기(163)는 파이프(164)를 통해 증발기(162)와 응축기(16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162)에 의해 응축된 물은 제1 하우징(140)의 저수조(146)에 저장된다.
조작패널(170)은 제1 하우징(14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는 송풍팬(145) 및 제습부(1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가습유닛(130)은 본체(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습유닛(130)은 제1 하우징(1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2 하우징(132)과, 제2 하우징(132)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습필터(1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32)의 저면 양측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32a,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132)에 설치되는 팬(135)의 구동에 의해 공기유입구(132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2 하우징(132)의 전면에 형성되는 토출구(132b)로 토출된다.
한편, 가습필터(134)는 공기유입구(132a)에 인접 배치되도록 제2 하우징(132)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32)의 내부에는 가습필터(134)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32)에는 외부전원과의 직접 연결을 위한 외부전원 연결부재(13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습유닛(130)이 본체(1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외부전원 연결부재(136)를 통해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가습유닛(130) 단독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32)에는 제1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전원연결부(143)에 접속되는 접속부재(13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32)에는 제1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신호연결부(144)에 접속되는 신호단자(13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습유닛(130)이 본체(120)에 설치되는 경우 접속부재(137)를 통해 본체(1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신호단자(138)에 의해 제어부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32)에는 제1 하우징(140)에 결합 시 제1 하우징(140)의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하는 공기가 통과되는 연결통로(132c)가 형성된다. 한편, 연결통로(132c)는 제2 하우징(132)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지 않으며, 제1 하우징(140)의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2 하우징(13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연결통로(132c)를 통과하여 직접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습유닛(130)을 통해 가습과 제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가습 또는 제습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체(120)에 가습유닛(130)을 결합하는 경우 가습과 제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20)로부터 가습유닛(130)을 분리한 후 본체(120)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제습만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가습유닛(130)에 구비되는 외부전원 연결부재(136)를 통해 가습유닛(130)만을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가습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20)의 송풍팬(145)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는 본체(120)의 제1 하우징(14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4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먼저 필터부(150)에 의해 정화되고, 이후 제습부(160)로 공급된다.
제습부(160)로 공급된 공기는 냉각되어 공기 중에 함유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제습이 이루어진다. 이후 공기는 데워진 후 토출구(142)를 통해 제1 하우징(140)으로부터 토출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4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제2 하우징(132)의 연결통로(132c)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외부로 토출된다.
즉, 제1 하우징(14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 하우징(132)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2 하우징(132)의 외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통로(132c)를 통과하여 직접 외부로 토출된다.
본체(120)의 제어부에 연결된 가습유닛(130)은 제어부에 의해 구동된다. 즉, 본체(120)의 제어부에 의해 가습유닛(130)의 팬(135)이 구동된다. 이때, 제2 하우징(132)의 저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132a)를 통해 공기가 제2 하우징(132)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3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가습필터(134)를 통과한 후 제2 하우징(132)의 토출구(132b)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본체(120)로 유입되어 제습이 이루어진 공기와 가습유닛(130)을 통과하여 가습이 이루어진 공기가 별도의 공기 유동 경로를 거쳐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다기능 공기 청정기
120 : 본체
130 : 가습유닛
140 : 제1 하우징
150 : 필터부
160 : 제습부
170 : 조작패널

Claims (7)

  1. 내부공간을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습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유닛;
    을 포함하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외부전원과의 직접 연결을 위한 외부전원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전원연결부에 접속되는 접속부재가 형성되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 시 상기 제1 하우징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저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양측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팬이 설치되는 다기능 공기 청정기.
KR1020140136025A 2014-10-08 2014-10-08 다기능 공기 청정기 KR102345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025A KR102345233B1 (ko) 2014-10-08 2014-10-08 다기능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025A KR102345233B1 (ko) 2014-10-08 2014-10-08 다기능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332A true KR20160042332A (ko) 2016-04-19
KR102345233B1 KR102345233B1 (ko) 2021-12-31

Family

ID=5591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025A KR102345233B1 (ko) 2014-10-08 2014-10-08 다기능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2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3299A (zh) * 2018-07-13 2018-10-02 江苏黑森林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净化器的新风机模块
KR20190036492A (ko) * 2017-09-26 2019-04-04 (주)신아전자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JP2019060587A (ja) * 2017-09-01 2019-04-18 山東栄安電子科技有限公司Shandong Rongan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環境制御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380A (ko) * 1995-09-25 1997-04-28 이우용 다기능 공기조화장치
KR20050014521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15004Y1 (ko) * 2006-02-13 2006-04-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실내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20060056926A (ko) * 2006-05-02 2006-05-25 백세정 유아용 복합기
KR100804306B1 (ko) * 2007-05-04 2008-02-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및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청정기
KR20090104387A (ko) * 2008-03-31 2009-10-06 폰 시스템주식회사 광고용 표시장치 장착형 공기 청정기
KR20120036142A (ko) * 2010-10-07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20130003432A (ko) 2011-06-30 2013-01-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제습기
KR20130029691A (ko) * 2011-09-15 2013-03-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제습 복합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380A (ko) * 1995-09-25 1997-04-28 이우용 다기능 공기조화장치
KR20050014521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15004Y1 (ko) * 2006-02-13 2006-04-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실내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20060056926A (ko) * 2006-05-02 2006-05-25 백세정 유아용 복합기
KR100804306B1 (ko) * 2007-05-04 2008-02-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및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청정기
KR20090104387A (ko) * 2008-03-31 2009-10-06 폰 시스템주식회사 광고용 표시장치 장착형 공기 청정기
KR20120036142A (ko) * 2010-10-07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20130003432A (ko) 2011-06-30 2013-01-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제습기
KR20130029691A (ko) * 2011-09-15 2013-03-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제습 복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0587A (ja) * 2017-09-01 2019-04-18 山東栄安電子科技有限公司Shandong Rongan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環境制御装置
KR20190036492A (ko) * 2017-09-26 2019-04-04 (주)신아전자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CN108613299A (zh) * 2018-07-13 2018-10-02 江苏黑森林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净化器的新风机模块
CN108613299B (zh) * 2018-07-13 2023-10-20 江苏黑森林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净化器的新风机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233B1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007B1 (ko) 공기 청정기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US9440240B2 (en) Combined ionic air filter and humidifier apparatus
US10948205B2 (en) Humidification module for an air treatment apparatus
JP4392310B2 (ja) 送風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N105202627A (zh) 空调器室内机
KR102345233B1 (ko) 다기능 공기 청정기
KR20150032989A (ko) 온풍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KR20000056578A (ko) 공기 조화기
KR101957240B1 (ko) 공기조화기
KR20110061084A (ko) 제습형 공기청정기
KR101856979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001334A (ko) 선택적으로 가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
CN212431075U (zh) 空调器室内机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JP2010121882A (ja) 空気調和機
KR100764733B1 (ko) 단독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패키지 에어컨
CN107143918A (zh) 一种多功能分体落地式空调室内机
KR102238949B1 (ko)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KR200341017Y1 (ko) 결로 제거 기능을 갖는 산소 농축기
KR20160134970A (ko) 공기청정기
KR102237454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공기처리기
CN113685904A (zh) 空调器室内机
KR101876223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