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432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432A
KR20130003432A KR1020110064798A KR20110064798A KR20130003432A KR 20130003432 A KR20130003432 A KR 20130003432A KR 1020110064798 A KR1020110064798 A KR 1020110064798A KR 20110064798 A KR20110064798 A KR 20110064798A KR 20130003432 A KR20130003432 A KR 2013000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denser
housing
evaporato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768B1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7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발생시키는 발생기와, 상기 발생기에서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와, 증발된 냉매를 흡수제로 흡수시키는 흡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소음 발생이 없어서 가정에서 조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습기{Drying device}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는 가열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발생시키는 발생기와, 상기 발생기에서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와, 증발된 냉매를 흡수제로 흡수시키는 흡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본체 내부에 냉동사이클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 등이 설치된다. 즉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열되어 저온고압으로 변하는 응축기가 본체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고 또한 이와 대응되는 우측 상부에 응축기을 거친 냉매가스가 도시되지 않은 모세관을 거치면서 저온저압으로 변한 상태에서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또한 증발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실내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설치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제습기는 냉매가스가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를 거치면서 실내공기가 제습되는 것으로서, 즉 순환팬에 의해 강제순환되는 실내공기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순간적으로 냉각되고 이에 포함된 수분이 결로되어 증발기 표면에 달라붙는다. 또한 많이 달라 붙으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제습통에 담수되고 또한 실내공기는 제습되는 과정에서 냉각된다. 이처럼 냉각된 실내공기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실온으로 가열되어 실내로 배출된다. 그러나 압축기에서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14163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음 발생이 없어서 가정에서 조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습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는 가열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발생시키는 발생기와, 상기 발생기에서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와, 증발된 냉매를 흡수제로 흡수시키는 흡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습부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습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는 가열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발생시키는 발생기와, 상기 발생기에서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와, 증발된 냉매를 흡수제로 흡수시키는 흡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소음 발생이 없어서 가정에서 조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제습을 자동으로 할 수 있다.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습도가 높은 장소를 파악하여 제습을 할 수 있어서 제습효과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습부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자동으로 일정공간에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냉각사이클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습기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에는 흡입구(110)와 토출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300)는 가열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발생시키는 발생기(310)와, 상기 발생기(310)에서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0)와, 상기 응축기(320)에서 응축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330)와, 증발된 냉매를 흡수제로 흡수시키는 흡수기(340)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330)와 상기 응축기(320)는 상기 흡입구(110)와 상기 토출구(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330)는 상기 증발기(320)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하우징(100)은 전방에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후방 상부에 토출구(120)가 형성된다.
제습부(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으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300)는 가열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발생시키는 발생기(310)와, 상기 발생기(310)에서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0)와, 상기 응축기(320)에서 응축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330)와, 증발된 냉매를 흡수제(미도시)로 흡수시키는 흡수기(340)를 포함한다.
즉, 제습부(300)는 흡수식 냉동 사이클로 구비된다.
흡수식 냉동 사이클은, 흡수제(리튬브로마이드 또는 암모니아)와 물의 혼합물(희석용액)을 매체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수제를 암모니아로 한다.
나아가, 제습부(300)는 발생기(310)와 응축기(320) 사이에 제1분기관(301)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1분기관(301)은 증발기(330)와 흡수기(340) 사이에 합류된다.
응축기(320)와 증발기(330) 사이에 제2분기관(302)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2분기관(302)은 제1분기관(301)에 합류된다.
제1분기관(301)에서 제2분기관(302)의 합류지점과 흡수기(340) 사이 관에는 외주면에 열교환이 원활하도록 냉각핀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흡수기(340)와 증발기(330) 사이에는 수액조가 형성되어 있다.
암모니아 용액을 가스버너와 같은 가열장치(미도시)를 통해 가열하면 고온 고압의 암모니아가스(냉매:두꺼운 화살표)가 응축기(320)로 유입되어 응축된다. 응축된 암모니아 가스는 증발기(330)로 유입되어 기화된 다음 흡수기(340)에서 상기 흡수제와 반응하여 흡수된 후에 발생기(310)로 유입된다.
제1분기관(301)을 통해서는 물(점선화살표)이 이동을 하여 흡수기(340)로 유입된다.
수소가스(가는 화살표)는 제2분기관(302), 증발기(330), 흡수기(340), 제1분기관(301)의 하류를 순환한다.
따라서, 증발기(330)와 흡수기(340) 사이에서는 암모니아와 수소의 혼합가스가 이동된다.
이러한 흡수식 냉동 사이클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2-0050507호 및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9-0047163호 등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증발기(330)와 응축기(320)는 흡입구(110)와 토출구(120) 사이에 배치되고, 응축기(330)는 증발기(320)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흡입구(11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330)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320)를 통과한 후 토출구(120)를 통해 토출된다.
상세하게는, 공기는 증발기(3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습기가 제거되고, 응축기(3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토출된다.
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흡입 및 토출되도록 송풍팬(미도시)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330) 상류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필터(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500)로 인해 증발기(33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어서, 이하 서술되는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게 되어 저장부(400)에 물이 저장되는 동안 부패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고, 공기 청정기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습기는 압축기가 구비되지 않아서 소음 발생이 없게 된다. 따라서, 제습기를 가정에서 조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습기는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하우징(10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습을 자동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RF제어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바퀴(210)와 바퀴(210)를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20)는 충전지 등으로 구비되어, 제습기는 무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20)에 충전된 양을 감지하는 충전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감지부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바퀴(210)를 일정주기로 구동하여, 실내의 각 부분의 습도를 상기 습도센서가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는 습도가 높은 장소를 파악하여 습도가 높은 장소로 이동하여 제습을 할 수 있어서 제습효과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습부(300)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400)를 포함하며, 저장부(400)에는 저장부(40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400)는 증발기(330)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수위센서에서 수위가 고수위인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서, 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4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저장부(400)에 형성된 배수구(미도시)와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일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수위가 고수위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를 열어서 저장부(400)의 물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을 자동으로 일정공간(지정된 장소)에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10 : 흡입구
120 : 토출구 210 : 바퀴
220 : 전원공급부 310 : 발생기
320 : 응축기 330 : 증발기
340 : 흡수기 400 : 저장부
500 : 필터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는 가열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를 발생시키는 발생기와, 상기 발생기에서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와, 증발된 냉매를 흡수제로 흡수시키는 흡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3. 제 2항에 있어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습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습기.
KR1020110064798A 2011-06-30 2011-06-30 제습기 KR101376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98A KR101376768B1 (ko) 2011-06-30 2011-06-30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98A KR101376768B1 (ko) 2011-06-30 2011-06-30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32A true KR20130003432A (ko) 2013-01-09
KR101376768B1 KR101376768B1 (ko) 2014-03-21

Family

ID=4783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798A KR101376768B1 (ko) 2011-06-30 2011-06-30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332A (ko) 2014-10-08 2016-04-19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공기 청정기
CN108826494A (zh) * 2018-06-29 2018-11-16 池州市浮子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家用除湿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2227A (ja) 1995-09-29 1997-06-10 Rinnai Corp 吸収式冷凍装置を用いた空調機
KR200410801Y1 (ko) 2005-12-30 2006-03-08 비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의 자동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332A (ko) 2014-10-08 2016-04-19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공기 청정기
CN108826494A (zh) * 2018-06-29 2018-11-16 池州市浮子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家用除湿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768B1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470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04853942B (zh) 车辆用空调装置
JP4676520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1193377B1 (ko) 조습장치
CN103727622B (zh) 恒温恒湿空调器及其控制方法
US20150184873A1 (en) Solar dehumidifying and cooling system
JPH07178289A (ja) 衣類乾燥機
KR20160069333A (ko)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한 응축식 의류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3827590B (zh) 调湿装置
CN105890048A (zh) 除湿装置
CN105276679A (zh) 双变频恒湿除湿机及除湿方法
KR101376768B1 (ko) 제습기
CN205747186U (zh) 空气处理系统
CN102353103A (zh) 一种溶液除湿空调器
EP3457038A1 (en) Temperature and humidity weak-relevance control unit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use method
KR20130074944A (ko) 제습 장치
JP4077251B2 (ja) 除湿機
JP2007229645A (ja) 除湿機
JP2005344987A (ja) 除湿乾燥装置
CN204043063U (zh) 双变频恒湿除湿机
KR102647362B1 (ko) 응축기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JP2004028482A (ja) 除湿機
JP2012225529A (ja) 調湿装置
KR101126890B1 (ko) 건조기겸 냉?난방장치
CN106931712A (zh) 制冷设备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