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868A -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868A
KR20160041868A KR1020160037016A KR20160037016A KR20160041868A KR 20160041868 A KR20160041868 A KR 20160041868A KR 1020160037016 A KR1020160037016 A KR 1020160037016A KR 20160037016 A KR20160037016 A KR 20160037016A KR 20160041868 A KR20160041868 A KR 20160041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akage
earth leakage
puls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6797B1 (ko
Inventor
선종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7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85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for individual pulses, ripple or noise and other applications where timing or duration is of importance
    • G01R31/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전 신호에 포함된 스위칭 노이즈 또는 고조파(Harmonic) 성분들에 의한 노이즈 성분을,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판별하여 차단 동작을 함으로써, 누전차단기에 인가된 누전 신호의 고정밀 판별이 가능해지고, 누전차단기에 인가된 누전 신호에 대한 차단 동작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누전 신호와 유사한 형태의 노이즈 신호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전차단기{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본 명세서에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단기에 인가된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고조파 포함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누전차단기의 차단 동작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동작하는 종래의 누전차단기는, 영상 변류기(ZCT: Zero Current Transformer)를 통해 누전 신호가 감지 되면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누전 신호는 레벨 판별기에서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기준 전압보다 클 경우 트립(Trip) 발생기에서 트립 신호를 트립부에 전달하게 된다. 트립부는 전원 회로를 차단하여 누전 발생 시 부하와 인체를 보호하게 된다.
종래의 누전차단기는, 노이즈가 없거나 왜곡이 없는 선형 부하에서는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현재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자 및 전기 기기들은 교류(AC)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교류를 직류(DC)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이 변환 과정에서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스위칭 작용에 의해 원래 순수한 교류 신호는 노이즈가 발생되며 신호가 왜곡되게 된다. 즉 스위칭 노이즈와 신호 왜곡에 의한 고조파(Harmonic)성분들은 누전 신호가 발생하지 않아도 교류 신호에 상간 불평형이 발생되어 누전 신호와 유사하게 영상 변류기에 검출되고 레벨만을 비교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기준 전압보다 큰 노이즈나 고조파 성분에 의해 트립 즉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오동작의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누전 신호에 포함된 스위칭 노이즈 또는 고조파(Harmonic) 성분들에 의한 노이즈 성분을,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판별하여 차단 동작을 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선로를 차단시키는 트립 코일, 상기 선로에서 누전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판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판별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트립 코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누전 신호를 검출하는 영상 변류기(ZCT) 및 상기 검출된 누전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누전 신호를 시간에 따라 추종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판별 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판별 신호는, LOW 펄스 및 HIGH 펄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충방전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충방전 회로의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누전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를 기 설정된 제 1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충방전 회로가 충전되도록 하는 제 1 전압 판별기, 상기 출력 신호를 상기 누전 신호 및 기 설정된 제 2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전압 판별기, 상기 비교 결과에 대한 신호에 따라 HIGH 펄스 또는 LOW 펄스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켜, 상기 판별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충방전 회로와 연결되되, 상기 펄스 발생기로부터 상기 HIGH 펄스가 인가됐을 시 개로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가 방전되도록 하고, 상기 LOW 펄스가 인가됐을 시 폐로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가 충전되도록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누전 신호에 대한 추종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에 부귀환(Feedback)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기준 전압은,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 동작 기준인 최소 기준 전압이고, 상기 제 2 기준 전압은, 상기 충방전 회로의 최소 출력 기준인 최소 기준 전압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는, 상기 누전 신호가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와 같아지도록, 상기 충방전 회로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는,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와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감소되도록 하는 상승 신호(Vr)를 발생시키고,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과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되도록 하는 하강 신호(Vf)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펄스 발생기는, 상기 상승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HIGH 펄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하강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LOW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을 상기 기준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트립 코일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누전 신호에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트립 코일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의 크기로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트립 코일의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 신호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트립 코일의 동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누전차단기에 인가된 누전 신호의 고정밀 판별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누전차단기에 인가된 누전 신호에 대한 차단 동작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누전 신호와 유사한 형태의 노이즈 신호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노이즈 신호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누전차단기의 기계적 수명이 늘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노이즈 신호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선로 및 부하의 보호가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에 따라 차단 동작을 함으로써, 누전 상태의 정도에 따른 적절한 차단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전차단기의 차단 동작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신호 추종 및 판별 신호 생성의 구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신호의 추종 형태를 나타낸 파형도 1.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판별 신호의 생성 형태를 나타낸 파형도 1.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신호의 추종 형태를 나타낸 파형도 2.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판별 신호의 생성 형태를 나타낸 파형도 2.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누전차단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계전기, 차단기, 제어기, 개폐기, 전력용 보호기기, 그 외 보호 계전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전차단기(50)는, 트립 코일(10), 검출부(20), 신호 생성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누전차단기(50)는, 전기가 흐르는 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누전차단기(50)는, 과전류 및 누설전류로부터 상기 선로 및 상기 선로에 연결된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과전류는, 과부하 전류 및 단락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누설전류는, 종이, 고무, 운모, 유리 등 절연물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누전차단기(50)는, 상기 누설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선로 및 상기 선로에 연결된 부하를 보호하도록 상기 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트립 코일(10)은, 상기 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트립 코일(10)은, 상기 선로에 연결된 접점이 전자력에 의해 개로되는 트립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트립 코일(10)은, 상기 제어부(40)에서 생성된 트립 신호에 의해 상기 선로를 차단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트립 신호는, 상기 누전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선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트립 코일(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20)는, 상기 선로에서 상기 누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20)는, 상기 선로에서 발생된 상기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한 상기 누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20)는, 상기 선로에서 검출된 상기 누전 신호를 상기 신호 생성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30)는,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판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선로의 누전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 및 주파수의 변화를 추종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판별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트립 코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전차단기(50)는, 상기 트립 코일(10), 상기 검출부(20), 상기 신호 생성부(30) 및 상기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전기가 흐르는 선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립 코일(10)은, 상기 선로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상기 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립 코일(10)은, 상기 누설전류가 발생했을 시 상기 트립 신호에 의해 상기 트립 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20)는, 상기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누전 신호를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20)는, 상기 누전 신호를 검출하는 영상 변류기(ZCT)(21) 및 상기 검출된 누전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전 신호는, 상기 영상 변류기(21)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변류기(21)는, 선로에 흐르는 영상 전류(zero-phase sequence current)를 검출하여 계측에 용이한 크기로 변성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22)는, 상기 검출된 누전 신호를 계측에 용이한 형태로 증폭시키킬 수 있다.
상기 검출된 누전 신호가 상기 증폭기(22)에서 증폭됨으로써, 상기 누전 신호의 추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검출부(20)의 상기 영상 변류기(21)를 통해 검출되고, 상기 증폭기(22)를 통해 증폭된 상기 누전 신호는, 상기 신호 생성부(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30)는,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상기 판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누전 신호를 시간에 따라 추종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판별 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판별 신호는, LOW 펄스 및 HIGH 펄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생성부(30)는, 충방전 회로(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회로(31)는, 상기 신호 생성부(30)에 의해 충방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30)는, 상기 충방전 회로(31)를 포함하되,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충방전 회로(31)의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충방전 회로(31)의 충전 및 방전에 따른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는 원리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회로(31)는, 충전되는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회로(31)는, 방전되는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중인 경우 증가되고,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방전중인 경우 감소되면서,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 및 감소를 반복하면서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게 됨으로써, 상기 판별 신호도 증가 및 감소에 대응되는 두 가지 형태의 신호가 반복되는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30)는, 제 1 전압 판별기(32), 제 2 전압 판별기(33), 펄스 발생기(34) 및 스위치(35)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누전 신호에 대한 추종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 부귀환(Feedback) 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30)는, 상기 누전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를 기 설정된 제 1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되도록 하는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 전압은, 상기 누전차단기(50)의 차단 동작 기준인 최소 기준 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누전차단기(50)가 10[V]의 누전 신호에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기준 전압은 10[V]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32)는, 상기 누전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32)는, 상기 누전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차단기(50)의 최소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되면서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도록 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30)는, 상기 출력 신호를 상기 누전 신호 및 기 설정된 제 2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 전압은, 상기 충방전 회로(31)의 최소 출력 기준인 최소 기준 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충방전 회로(31)의 최소 출력 기준이 5[V]인 경우, 상기 제 2 기준 전압은 5[V]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는,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 및 상기 기 설정된 제 2 기준 전압과 같은 크기가 된 경우,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방전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는,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와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감소되도록 하는 상승 신호(Vr)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는,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32)에 의해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되어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됨으로써,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와 크기가 같아지게 되면,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방전되도록 하여 상기 출력 신호가 감소되도록 하는 상기 상승 신호(Vr)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는,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과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되도록 하는 하강 신호(Vf)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는, 상기 상승 신호(Vr)에 의해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방전되어 상기 출력 신호가 감소됨으로써,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과 크기가 같아지게 되면,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되도록 하여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되도록 하는 상기 하강 신호(Vf)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30)는,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의 비교 결과에 대한 신호에 따라 HIGH 펄스 또는 LOW 펄스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켜, 상기 판별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상기 펄스 발생기(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스 발생기(34)는,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서 생성된 신호에 따라 상기 HIGH 펄스 또는 상기 LOW 펄스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HIGH 펄스 및 상기 LOW 펄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판별 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펄스 발생기(34)는,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서 상기 상승 신호(Vr)가 발생된 경우, 상기 HIGH 펄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하강 신호(Vf)가 발생된 경우, 상기 LOW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펄스 발생기(34)는,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와 같아지게 되어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서 상기 상승 신호(Vr)가 발생된 경우,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는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되어 상기 누전 신호와 같아지게 됨을 나타내는 상기 HIGH 펄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과 같아지게 되어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서 상기 하강 신호(Vf)가 발생된 경우,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는 상기 출력 신호가 감소되어 상기 제 2 기준 전압과 같아지게 됨을 나타내는 상기 LOW 펄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HIGH 펄스 및 상기 LOW 펄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판별 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30)는, 상기 충방전 회로(31)와 연결되되, 상기 펄스 발생기(34)로부터 상기 HIGH 펄스가 인가됐을 시 개로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방전되도록 하고, 상기 LOW 펄스가 인가됐을 시 폐로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되도록 하는 상기 스위치(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35)는,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되어 상기 누전 신호와 같아지게 됨을 나타내는 상기 HIGH 펄스가 발생되면,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방전되도록 개로되어 상기 출력 신호가 감소되도록 하고, 상기 출력 신호가 감소되어 상기 제 2 기준 전압과 같아지게 됨을 나타내는 상기 LOW 펄스가 발생되면,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되도록 폐로되어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판별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누전 신호의 상기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트립 코일(10)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됨으로써,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노이즈가 포함된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누전 신호의 상기 노이즈 포함 여부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수 누전 신호는, 종래의 누전차단기에서 누전차단의 동작 근거가 되는 누전 신호의 형태일 수 있고, 즉, 상기 기준 신호는, 종래의 누전차단기가 누전차단 동작하게 되는 형태의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판별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을 상기 기준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순수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상기 기준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은 상기 순수 누전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을 나타내므로,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노이즈가 포함된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기준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과 상기 판별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면 상기 누전 신호의 상기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트립 코일(10)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는 것은, 상기 누전 신호가 상기 순수 누전 신호임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누전 신호에 대하여 상기 선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트립 코일(10)이 동작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누전 신호에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트립 코일(10)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 것은, 상기 누전 신호에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어 상기 누전 신호가 상기 순수 누전 신호가 아님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판별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누전 신호에 대하여 상기 선로가 차단되지 않도록 상기 트립 코일(10)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판별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의 크기로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트립 코일(10)의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되었으므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판별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의 크기를 통해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트립 코일(10)의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를 판단하여,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 신호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트립 코일(10)의 동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 신호의 크기보다 큰 경우는, 상기 누전 신호가 상기 순수 누전 신호보다 크기가 크다는 것으로서, 상기 누전 신호가 상기 순수 누전 신호에 비해 더 위험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순수 누전 신호에 대한 차단 동작 시간보다 더 빨리 차단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트립 코일(10)의 동작 시간을 단축시키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순수 누전 신호에 대한 차단 동작 시간이 0.1[s]인 경우,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 신호의 크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트립 코일(10)이 상기 순수 누전 신호에 대한 차단 동작 시간인 0.1[s]보다 더 빠르게 동작되도록 상기 트립 코일(10)의 동작 시간을 0.1[s] 이하로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되, 도 6 내지 도 9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누전 신호 추종 및 판별 신호 생성의 구체적인 흐름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신호 추종 및 판별 신호 생성의 구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신호의 추종 형태를 나타낸 파형도 1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판별 신호의 생성 형태를 나타낸 파형도 1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신호의 추종 형태를 나타낸 파형도 2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에 따른 판별 신호의 생성 형태를 나타낸 파형도 2이다.
도 5에 도시된 흐름과 같이, 상기 누전차단기(50)는, 상기 영상 변류기(ZCT)(21)를 통해 상기 선로에서 누전 신호(Vin)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변류기(ZCT)(21)에서 검출된 상기 누전 신호(Vin)는, 상기 증폭기(22)를 통해 증폭되어(Vamp)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3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32)는,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와 상기 충방전 회로(31)의 상기 출력 신호(Vch)의 크기를 상기 누전차단기(50)의 최소 기준 전압인 상기 제 1 기준 전압(Vref_A)의 크기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가 상기 제 1 기준 전압(Vref_A)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32)는, 상기 출력 신호(Vch)의 크기가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의 크기와 같아지도록,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가 상기 제 1 기준 전압(Vref_A)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32)는,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충전되도록 상기 스위치(35)를 폐로시킬 수 있다.
이 후, 상기 출력 신호(Vch)는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 부귀환되어,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서 상기 출력 신호(Vch)의 크기가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 및 상기 충방전 회로(31)의 최소 출력 전압인 상기 제 2 기준 전압(Vref_B)의 크기와 비교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파형과 같이,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는, 부귀환된 상기 출력 신호(Vch)의 크기를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 및 상기 제 2 기준 전압(Vref_B)의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출력 신호(Vch)가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과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방전되도록 하여 상기 출력 신호(Vch)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Vch)가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과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는,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방전되도록 상기 스위치(35)를 개로시키고, 상기 펄스 발생기(34)가 상기 HIGH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상승 신호(Vr)를 발생시켜, 상기 펄스 발생기(34)가 이에 따라 상기 HIGH 펄스를 발생시키게 되어, 상기 판별 신호(PWM)에 상기 HIGH 펄스가 추가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출력 신호(Vch)는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 다시 부귀환되어,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서 상기 출력 신호(Vch)의 크기가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 및 상기 제 2 기준 전압(Vref-B)의 크기와 비교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는, 상기 다시 부귀환된 상기 출력 신호(Vch)의 크기를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 및 상기 제 2 기준 전압(Vref_B)의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출력 신호(Vch)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Vref_B)과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다시 충전되도록 하여 상기 출력 신호(Vch)가 다시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Vch)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Vref_B)과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는, 상기 충방전 회로(31)가 다시 충전되도록 상기 스위치(35)를 폐로시키고, 상기 펄스 발생기(34)가 상기 LOW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강 신호(Vf)를 발생시켜, 상기 펄스 발생기(34)가 이에 따라 상기 LOW 펄스를 발생시키게 되어, 상기 판별 신호(PWM)에 상기 LOW 펄스가 추가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출력 신호(Vch)는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33)에 또다시 부귀환되어, 상기 증폭된 누전 신호(Vamp)의 추종이 완료될 때까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생성된 상기 판별 신호(PWM)는, 도 7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형태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별 신호(PWM)는, 상기 상승 신호(Vr)가 발생되었을 시, 상기 HIGH 펄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강 신호(Vf)가 발생되었을 시에는 상기 LOW 펄스로 이루어진 형태의 PWM 신호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기 판별 신호(PWM)는, 상기 순수 누전 신호를 추종한 형태의 파형으로서, 이러한 파형은 상기 기준 신호의 형태와 같을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신호는 도 7에 도시된 상기 판별 신호(PWM)와 같은 파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기 판별 신호(PWM)가 상기 누전차단기(50)의 상기 누전 신호의 상기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인 상기 기준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파형은 상기 노이즈가 포함된 경우의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추종의 결과로 생성된 파형은 도 9에 도시된 PWM 파형과 같을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PWM 파형이 상기 누전차단기(50)에서 판별하고자 하는 대상인 상기 판별 신호가 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판별 신호는 순수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상기 기준 신호의 파형 형태를 나타내며, 도 9에 도시된 판별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와 비교되는 판별 대상인 상기 판별 신호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PWM 파형은, 상기 순수 누전 신호를 추종한 형태로 생성된 파형과는 펄스의 주기 및 폭이 다른 형태로서, 이를 상기 기준 신호의 주기 및 폭과 비교하면, 상기 누전 신호의 상기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이러한 과정으로 생성된 상기 판별 신호(PWM)는, 상기 제어부(40)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판별 신호(PWM)의 주기 및 펄스 폭을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상기 기준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누전 신호(Vin)에 대한 상기 노이즈 포함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판별 신호(PWM)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트립 코일(10)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판별 신호(PWM)가 상기 기준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누전 신호(Vin)에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트립 코일(10)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누전 신호(Vin)에 대한 상기 누전차단기(50)이 차단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판별 신호(PWM)의 주기 및 펄스 폭의 크기로 상기 누전 신호(Vin)의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누전 신호(Vin)의 크기에 따라 상기 트립 코일(10)의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누전 신호(Vin)의 크기가 상기 기준 신호의 크기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트립 코일(10)의 동작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상기 선로의 보호가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들은, 누전 신호를 검출하여 동작하는 누전차단기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들은, 기계식 및 디지털 방식을 포함한 전자식 계전기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들은, 계전기를 포함한 누전차단기, 개폐기, 제어기 및 전력용 보호기기 등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들은, 계전기 및 차단기를 포함한 수변전 설비 및 수변전 시스템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들은, 계전기 및 차단기를 포함한 수용가의 보호 계전 시스템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의 실시 예들은, 누전 신호의 추종 방법 및 판별 신호의 생성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각 실시 예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누전차단기에 인가된 누전 신호의 고정밀 판별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누전차단기에 인가된 누전 신호에 대한 차단 동작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누전 신호와 유사한 형태의 노이즈 신호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노이즈 신호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누전차단기의 기계적 수명이 늘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를 통해 누전 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노이즈 신호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선로 및 부하의 보호가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누전차단기는,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생성된 판별 신호에 따라 차단 동작을 함으로써, 누전 상태의 정도에 따른 적절한 차단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트립 코일 20: 검출부
21: 영상 변류기(ZCT) 22: 증폭기
30: 신호 생성부 31: 충방전 회로
32: 제 1 전압 판별기 33: 제 2 전압 판별기
34: 펄스 발생기 35: 스위치
40: 제어부 50: 누전차단기

Claims (10)

  1.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 동작하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선로를 차단시키는 트립 코일;
    상기 선로에서 누전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하여 판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판별 신호를 기 설정된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누전 신호가 노이즈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트립 코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 신호는,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 대상에 해당하는 누전에 대한 신호, 또는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상기 노이즈에 대한 신호 중 하나이고,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누전 신호를 시간에 따라 추종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 신호의 주기 및 펄스 폭의 크기로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트립 코일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되,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 신호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트립 코일의 동작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누전 신호를 검출하는 영상 변류기(ZCT) 및 상기 검출된 누전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신호는,
    LOW 펄스 및 HIGH 펄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충방전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판별 신호는,
    상기 충방전 회로의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를 추종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누전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를 기 설정된 제 1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충방전 회로가 충전되도록 하는 제 1 전압 판별기;
    상기 출력 신호를 상기 누전 신호 및 기 설정된 제 2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전압 판별기;
    상기 비교 결과에 대한 신호에 따라 HIGH 펄스 또는 LOW 펄스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켜, 상기 판별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펄스 발생기; 및
    상기 충방전 회로와 연결되되, 상기 펄스 발생기로부터 상기 HIGH 펄스가 인가됐을 시 개로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가 방전되도록 하고, 상기 LOW 펄스가 인가됐을 시 폐로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가 충전되도록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누전 신호에 대한 추종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에 부귀환(Feedback)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전압은,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 동작 기준인 최소 기준 전압이고,
    상기 제 2 기준 전압은,
    상기 충방전 회로의 최소 출력 기준인 최소 기준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 판별기는,
    상기 누전 신호가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의 크기와 같아지도록, 상기 충방전 회로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 판별기는,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누전 신호와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감소되도록 하는 상승 신호(Vr)를 발생시키고,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과 같아지게 된 경우,
    상기 출력 신호가 증가되도록 하는 하강 신호(Vf)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기는,
    상기 상승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HIGH 펄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하강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LOW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KR1020160037016A 2016-03-28 2016-03-28 누전차단기 KR10161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16A KR101616797B1 (ko) 2016-03-28 2016-03-28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16A KR101616797B1 (ko) 2016-03-28 2016-03-28 누전차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964A Division KR20150081943A (ko) 2014-01-07 2014-01-07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68A true KR20160041868A (ko) 2016-04-18
KR101616797B1 KR101616797B1 (ko) 2016-04-29

Family

ID=5591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016A KR101616797B1 (ko) 2016-03-28 2016-03-28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7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66A1 (ko) * 2020-07-09 2022-01-13 엘에스일렉트릭 (주) 누전 차단기 및 그 누전 차단기의 제어 방법
USD1030809S1 (en) 2019-08-08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805B1 (ko) 2018-03-28 2019-09-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045A (ja) * 1991-06-28 1993-01-22 Toshiba Corp 漏電遮断器
KR20010088890A (ko) * 2001-02-15 2001-09-29 유인기 누설전류차단기의 서지 오동작 방지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045A (ja) * 1991-06-28 1993-01-22 Toshiba Corp 漏電遮断器
KR20010088890A (ko) * 2001-02-15 2001-09-29 유인기 누설전류차단기의 서지 오동작 방지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30809S1 (en) 2019-08-08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22010066A1 (ko) * 2020-07-09 2022-01-13 엘에스일렉트릭 (주) 누전 차단기 및 그 누전 차단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797B1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624B1 (ko) 누전 차단기용 누전 결정 회로
EP2207246B1 (en) Earth leakage detection circuit
CN107533096B (zh) 检测能量存储和/或生成系统中的接地故障的系统
US109356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round fault detection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JP6000193B2 (ja) Dcアーク検知装置
EP2811605B1 (en) Detecting circuit for circuit breaker
KR20150081943A (ko) 누전차단기
KR20130017611A (ko) 아크 펄스 타이밍을 이용한 아크 결함 검출 장치
US11307265B2 (e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JP5651508B2 (ja) 突入電流抑制装置
KR20150128124A (ko) 과전류 계전기
KR101616797B1 (ko) 누전차단기
CA2910749C (en) Method of tripping a circuit interrupter in a back fed configuration
RU25461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й защиты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бор,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7023196B2 (en) High level arc fault detector
JP5511599B2 (ja) 転流式遮断装置
KR20090096844A (ko) 누전차단기의 제어장치
US20130120892A1 (e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CN101179187A (zh) 用电安全保护开关及其控制方法
KR101464246B1 (ko) Zct를 이용한 아크 검출 차단기
KR101566387B1 (ko) 순간 전압 강하 보상에서 피드포워드 보상장치
KR101198281B1 (ko)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WO2019099636A1 (en) Ground fault current interrupter circuit
JP2004220859A (ja) 漏電検出装置
KR20160087581A (ko) 역률 한도를 이용한 누전 차단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