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281B1 -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281B1
KR101198281B1 KR1020120069399A KR20120069399A KR101198281B1 KR 101198281 B1 KR101198281 B1 KR 101198281B1 KR 1020120069399 A KR1020120069399 A KR 1020120069399A KR 20120069399 A KR20120069399 A KR 20120069399A KR 101198281 B1 KR101198281 B1 KR 101198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eakage
ground fault
earth leak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근
장영식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배수근
박인철
장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근, 박인철, 장영식 filed Critical 배수근
Priority to KR102012006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해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출력하는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 및, 상기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가 출력한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의 통전 동작을 제어하는 오류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누전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에 따라 출력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통전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미세 노이즈(예: 써지 전류)로 인해 누전 차단기가 동작되는 오류는 방지하고, 큰 노이즈 즉, 실제 누설 전류가 발생된 경우에서는 누전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 전원을 차단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earth leakage for preventing malfunctioning according to noise of leakage breaker}
본 발명은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전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에 따라 출력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통전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미세 노이즈(예: 써지 전류)로 인해 누전 차단기가 동작되는 오류는 방지하고, 큰 노이즈 즉, 실제 누설 전류가 발생된 경우에서는 누전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 전원을 차단하게 하는,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회로의 개폐장치로 사용되는 차단기는 인체의 감전 사고 및 누전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누전차단기(ELB :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와, 합선에 의한 과대전류나 부하(기기,기계)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전류의 과다한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배선용 차단기(NFC No Fuse Breaker)로 구분된다.
이중 누전차단기는 부하측의 누전에 의하여 지각전류가 발생하면 이를 검출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전류 동작형 차단기로서, 영상변류기(ZCT :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를 검출 기구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 누전차단기의 기본 구성은,
전원선의 지락전류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ZCT)와, 상기 영상변류기로부터 검출한 신호값을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와, 검출된 지락전류에 따라 회로의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누전검출부와, 상기 누전검출부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회로의 차단동작을 수행하는 트립 구동부와, 누전차단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누전차단기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원선을 타고 써지가 유입되거나 강한 전자파 간섭 또는 전자파 장해(EMI)에 의해 트립 구동부(50)가 동작하여 부하측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결국, 인체의 감전방지를 위해 누전차단기가 사용되지만 써지 전류 및 순간적인 노이즈 등으로 인해 누전차단기가 오작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누전차단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가정용 및 산업용 장비들이 동작불능 상태를 일으키게 되어 불편을 겪게 되고, 특히 산업용 무인화 장비들이 동작불능 상태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경제적 손실을 함께 불러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누전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에 따라 출력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통전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미세 노이즈(예: 써지 전류)로 인해 누전 차단기가 동작되는 오류는 방지하고, 큰 노이즈 즉, 실제 누설 전류가 발생된 경우에서는 누전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는,
누전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해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출력하는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 및, 상기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가 출력한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의 통전 동작을 제어하는 오류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류 방지부는 상기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가 출력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누전 신호 정류부,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 및, 상기 누전 신호 정류부에서 정류한 DC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DC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전원 차단 신호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로 출력하고, 상기 DC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태 유지하는 전압레벨 비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세 노이즈에 대해서는 반응을 하지 않고 큰 노이즈(예: 누설 전류)에서만 반응할 수 있는 누전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누전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에 따라 출력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통전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미세 노이즈(예: 써지 전류)로 인해 누전 차단기가 동작되는 오류는 방지하고, 큰 노이즈 즉, 실제 누설 전류가 발생된 경우에서는 누전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 전원을 차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미세 노이즈에 대해서는 반응을 하지 않고 큰 노이즈(예: 누설 전류)에서만 반응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누전 검출부(10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에 따라 출력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통전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그렇게 하여, 미세 노이즈로 인해 누전 차단기가 동작되는 오류는 방지하고, 큰 노이즈 즉, 실제 누설 전류가 발생된 경우에서는 누전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장치는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 및 오류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며, 상기 오류 방지부는 누전 신호 정류부(103), 기준 전압 발생부(104), 전압 레벨 비교기(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누전 검출부(101)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해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출력하는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 및, 상기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가 출력한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의 통전 동작을 제어하는 오류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며, 상기 오류 방지부는 누전 신호 정류부(103), 기준 전압 발생부(104), 전압 레벨 비교기(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는 누전 검출부(10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를 판별한 다음,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AC 전압을 출력하는 것이다. 즉, 누전 검출부(101)로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가공된 신호에 따라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를 판별한 다음, 판별된 결과에 따라 크기가 다른 하이(High) 또는 로우(low) 레벨의 AC 전압을 누전 신호 정류부(103)로 출력하는 것이다.
오류 방지부는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가 출력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하고, 그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의 통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류 방지부는 상기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가 출력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누전 신호 정류부(103),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104) 및, 상기 누전 신호 정류부(103)에서 정류한 DC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104)에서 발생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DC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전원 차단 신호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로 출력하고, 상기 DC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태 유지하는 전압레벨 비교기(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이다.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가 누전 검출부(10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를 판별한 다음,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출력한다(S201 ~ S203).
즉, 누전 검출부(101)로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가공된 신호에 따라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를 판별한다.
그런 다음, 판별된 결과에 따라 크기가 다른 하이(High) 또는 로우(low) 레벨의 AC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는 누전 검출부(10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를 판별한 다음,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AC 전압을 출력하는 것이다.
다음, 오류 방지부는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가 출력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한다.
그리고, 그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의 통전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오류 방지부의 누전 신호 정류부(103)는 상기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102)가 출력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한다(S204).
다음, 기준 전압 발생부(104)는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을 발생한다(S205).
그러면, 전압 레벨 비교기(105)는 상기 누전 신호 정류부(103)에서 정류한 DC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104)에서 발생한 기준 전압을 비교한다(S206).
그래서, 상기 DC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전원 차단 신호를 SCR1로 출력한다(S207).
그 결과, 입력된 큰 노이즈(예: 누설 전류)로 인해 SCR이 구동되고,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가 작동되어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반면, 상기 DC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태 유지한다(S208).
즉, 상기 누전 신호 정류부에서 정류한 DC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태 유지한다.
그 결과, 입력된 미세 노이즈로 인해서는 SCR1이 구동되지 않고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는 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누전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에 따라 출력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통전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한다.
그 결과, 미세 노이즈(예: 써지 전류)로 인해 누전 차단기가 동작되는 오류는 방지하고, 큰 노이즈 즉, 실제 누설 전류가 발생된 경우에서는 누전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누전 검출부 102 :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
103 : 누전 신호 정류부 104 : 기준 전압 발생부
105 : 전압 레벨 비교기

Claims (2)

  1. 누전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해 누전 여부와 누전 세기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AC 전압을 출력하는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 및
    상기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가 출력한 AC 전압을 정류한 DC 전압과,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의 통전 동작을 제어하는 오류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방지부는
    상기 누전발생여부 판별신호 출력부가 출력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누전 신호 정류부;
    미세 노이즈와 누전 여부 간의 판별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 및
    상기 누전 신호 정류부에서 정류한 DC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DC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전원 차단 신호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로 출력하고, 상기 DC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태 유지하는 전압레벨 비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KR1020120069399A 2012-06-27 2012-06-27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KR10119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399A KR101198281B1 (ko) 2012-06-27 2012-06-27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399A KR101198281B1 (ko) 2012-06-27 2012-06-27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281B1 true KR101198281B1 (ko) 2012-11-07

Family

ID=4756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399A KR101198281B1 (ko) 2012-06-27 2012-06-27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2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227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유성계전 Ac 및 dc전원 통합 접지 검출 장치
KR20190114080A (ko) 2018-03-29 2019-10-10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노이즈 차단이 보강된 피시비형 영상변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227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유성계전 Ac 및 dc전원 통합 접지 검출 장치
KR101652491B1 (ko) * 2014-08-27 2016-08-30 주식회사유성계전 Ac 및 dc전원 통합 접지 검출 장치
KR20190114080A (ko) 2018-03-29 2019-10-10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노이즈 차단이 보강된 피시비형 영상변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5411B2 (en) Safety device for a photovoltaic system
KR100638635B1 (ko) 누전차단기
KR100870618B1 (ko)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JP2016021856A (ja) 漏電遮断器用漏電判定回路
JP6076499B2 (ja) 電子式回路遮断器
JP6000193B2 (ja) Dcアーク検知装置
KR100827208B1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갖는 누전차단기
JP5651508B2 (ja) 突入電流抑制装置
JP2021514102A (ja) 漏電遮断器
JP6105643B2 (ja) 漏電遮断器
KR101198281B1 (ko) 누전 차단기의 노이즈에 의한 오류 방지용 누전 검출 장치
KR101840288B1 (ko) 누전차단기
KR20180032550A (ko) 지락전류 차단이 가능한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752532B1 (ko) 인버터 제어방법
KR101616797B1 (ko) 누전차단기
KR200441685Y1 (ko)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KR101287727B1 (ko) 접지를 이용한 전기기기와 전자기기의 동작차단기능이 부가된 안전장치
JP4385920B2 (ja) 電圧低下検出装置
KR20170120954A (ko) 태양광 인버터 시스템의 고장 검출장치
JP2016100962A (ja) 地絡検出装置
KR101124832B1 (ko) 파형 왜곡 감시에 따른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70093653A (ko) 지락전류 차단이 가능한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
CN108475917B (zh) 可变速发电系统的过电压保护装置
WO2020110256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電力供給方法
Weiland et al. Control Strategies for a Power Electronic Based Fault Current Limiter (FCL) in No-Fault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