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093A - 천장 팬의 날개 구조 - Google Patents

천장 팬의 날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093A
KR20160041093A KR1020140134051A KR20140134051A KR20160041093A KR 20160041093 A KR20160041093 A KR 20160041093A KR 1020140134051 A KR1020140134051 A KR 1020140134051A KR 20140134051 A KR20140134051 A KR 20140134051A KR 20160041093 A KR20160041093 A KR 20160041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ade tip
ceiling
ceiling fa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준
김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3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093A/ko
Publication of KR2016004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팬이 설치된 하부 지역 뿐 아니라 횡방향으로 찬 기류를 대류시킴으로써 주변 지역도 신속하게 냉방할 수 있게 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이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 팬의 날개 구조 { Blade structure of fan }
본 발명은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팬이 설치된 하부 지역 뿐 아니라 횡방향으로 찬 기류를 대류시킴으로써 주변 지역도 신속하게 냉방할 수 있게 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창고 또는 철도 역사 등에서는 공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천장에 에어컨, 환기팬 등의 공조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환기팬을 설치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환기팬의 아래쪽으로 공기의 대류가 발생하여 전체적인 공간의 공기를 대류하도록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컨으로 냉방하는 경우에는 전체 공간을 냉방하기 위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기 사용량이 증가되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공조장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3832호에는 "환풍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건물의 벽면 및/또는 천정에 매설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된 양 단부를 구비하고, 양 단부가 관통 형성된 케이싱 스크롤과,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그리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케이싱 스크롤이,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정면 및 측면이 차단되고 배면이 개방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정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고, 측면부가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며, 하단의 일정 영역이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 측면과 연결되어 케이싱 스크롤과 일체형을 이루는 전면 지지부와, 전면 지지부의 측면부와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 측면 사이의 이격된 영역으로 개방 형성된 배출구와, 이격된 전면 지지부의 측면부와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 측면 사이를 연결하여 전면 지지부를 고정하는 다수의 연결부, 그리고 전면 지지부의 개방된 배면에 장착되어 전면 지지부의 개방된 배면을 차단시키는 배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환풍기의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 여전히 환풍기의 하부로만 대류가 발생되어 전체 냉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248호에는 "다방향 소풍사능한 날개구조"가 게재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모터 케이스, 상기 모터 케이스에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결합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한 쌍의 베어링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이동부재, 일측은 상기 모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솔레온이드 및 상기 이동부재에 레버를 통해 결합되면 상기 결합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날개부를 회동가능하게 형성하여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지만,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까다롭고, 기존의 팬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38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2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팬이 설치된 하부 지역 뿐 아니라 횡방향으로 찬 기류를 대류시킴으로써 주변 지역도 신속하게 냉방할 수 있게 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팁의 높이는 날개의 두께의 10~150%로 형성하여 횡방향 대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팁 간의 거리는 날개의 스팬의 1~5배가 되도록 설치하여 횡방향 대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팁의 설치각도를 날개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 팁의 전방이 0~45°시계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설치하여 횡방향 대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이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 팁은 날개의 하부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블레이드 팁이 삽입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팁의 하단부 양측에는 고정브라켓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부는 블레이드 팁의 측면에 설치되고, 수평부는 날개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팁의 높이(H)는 날개의 두께(T)의 10~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팁 간의 간격(D)은 날개의 스팬(S)의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 팁의 설치 각도(θ)는 날개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 팁의 전방이 0~45°시계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팬이 설치된 하부 지역 뿐 아니라 횡방향으로 찬 기류를 대류시킴으로써 주변 지역도 신속하게 냉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팁의 높이는 날개의 두께의 10~150%로 형성하여 횡방향 대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팁 간의 거리는 날개의 스팬의 1~5배가 되도록 설치하여 횡방향 대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팁의 설치각도를 날개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 팁의 전방이 0~45°시계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설치하여 횡방향 대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을 도시한 도면.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의 날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따른 다른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의 날개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저장용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의 날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따른 다른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의 날개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팬이 설치된 하부 지역 뿐 아니라 횡방향으로 찬 기류를 대류시킴으로써 주변 지역도 신속하게 냉방할 수 있게 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 팬(100)은 구동부(110)와 구동부(1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부(110)는 날개(120)를 회전시키는 통상의 기술로서, 여기에서는 구동부(11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날개(12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 팁(130)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구동부(110)에 의한 날개(12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대류가 날개(120)의 하부 방향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팁(130)에 의해 횡방향으로 기류를 대류시킴으로써 주변 지역도 신속하게 냉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 팁(130)은 상기 날개(120)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설치홈(122)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하단부에는 양측으로 결합돌부(132)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날개(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합돌부(132)에 대응되도록 "┻"형상으로 설치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트 팁(130)의 결합돌부(132)가 상기 날개(12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서 상기 설치홈(122)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하단부 양측에 별도의 고정브라켓(134)이 설치되어 날개(120)의 상부면에 고정부재(136)에 의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134)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이하, 수직부라고 한다)(134a)은 블레이드 팁(130)의 측면에 고정부재(136a)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수평으로 형성된 부분(이하, 수평부라고 한다.)(134b)은 상기 날개(120)의 상부면에 고정부재(136b)에 의해 고정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의 날개 구조를 가지는 날개(120)는 날개(120)의 상부면에 구비된 블레이드 팁(130)에 의해 구동부(110)에 의해 회전할 때 날개(120)의 상부면에서 날개의 길이방향으로 기류가 형성되어 팬의 측면 방향으로 공기를 대류시킴으로써 천장 팬이 설치된 공간의 팬의 하부 지역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도 신속하게 냉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높이(H)는 상기 날개(120)의 두께(T)의 10~15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높이(H)가 상기 날개(120)의 두께(T)의 10% 미만인 경우에는 블레이트 팁(130)의 높이가 낮아 블레이드 팁(130)에 의한 횡방향 기류의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높이(H)가 상기 날개(120)의 두께(T)의 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 팁(130)이 너무 커지게 되어 일측 블레이드 팁(130)에 의해 발생되는 횡방향 기류가 인접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 팁(130)에 가로 막히게 되어 횡방향 기류가 인접한 블레이드 팁(130)의 사이에서만 대류되어 와류가 발생하여 오히려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블레이드 팁(130)에 의한 횡방향 기류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팁(130) 간의 간격(D)은 날개(120)의 스팬(S)의 1~5배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블레이드 팁(130) 간의 간격(D)이 날개(120)의 스팬(S)보다 짧은 경우에는 블레이드 팁(130)에 의해 발생되는 횡방향 기류가 인접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 팁(130)의 사이에 갇히게 되어 와류가 발생되어 날개(120)의 진동을 유발하여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블레이드 팁(130) 간의 간격(D)이 날개(120)의 스팬(S)의 5배보다 넓은 경우에는 블레이드 팁(130) 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어져 블레이드 팁(130)에 의해 발생된 횡방향 기류의 효과가 미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설치 각도(θ)는 날개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 팁(130)의 전방이 0~45°시계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설치 각도(θ)가 날개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 팁(130)의 전방이 0°미만, 즉 시계 방향으로 기울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블레이드 팁(130)에 의해 발생되는 횡방향 기류가 날개(120)의 바깥쪽이 아닌 안쪽으로 발생되어 횡방향 기류에 의한 효과가 사리지게 되고,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설치 각도(θ)가 날개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 팁(130)의 전방이 45°이상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블레이드 팁(130)에 의해 발생되는 횡방향 기류가 약해지거나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팁(130)은 상기 날개(120)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날개(120)의 하부면에도 설치되어 횡방향 기류의 발생량이 증가하도록 하여 천장 팬이 설치된 공간의 냉방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 팬의 날개 구조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의하면,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110)와, 구동부(1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120)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120)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130)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팬이 설치된 하부 지역 뿐 아니라 횡방향으로 찬 기류를 대류시킴으로써 주변 지역도 신속하게 냉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높이(H)는 날개(120)의 두께(T)의 10~150%로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 팁(130) 간의 간격은(D) 날개(120)의 스팬(S)의 1~5배가 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블레이드 팁(130)의 설치각도(θ)를 날개(120)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 팁(130)의 전방이 0~45°시계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설치하여 횡방향 대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팬이 설치된 하부 지역 뿐 아니라 횡방향으로 찬 기류를 대류시킴으로써 주변 지역도 신속하게 냉방할 수 있게 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110: 구동부 120: 날개
122: 설치홈 130: 블레이드 팁
132: 결합돌부 134: 고정브라켓
134a: 수직부 134b: 수평부
136,136a,136b: 고정부재

Claims (7)

  1.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팁이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팁은 날개의 하부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블레이드 팁이 삽입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팁의 하단부 양측에는 고정브라켓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부는 블레이드 팁의 측면에 설치되고, 수평부는 날개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팁의 높이(H)는 날개의 두께(T)의 10~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팁 간의 간격(D)은 날개의 스팬(S)의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팁의 설치 각도(θ)는 날개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 팁의 전방이 0~45°시계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의 날개 구조.
KR1020140134051A 2014-10-06 2014-10-06 천장 팬의 날개 구조 KR20160041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51A KR20160041093A (ko) 2014-10-06 2014-10-06 천장 팬의 날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51A KR20160041093A (ko) 2014-10-06 2014-10-06 천장 팬의 날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093A true KR20160041093A (ko) 2016-04-18

Family

ID=5591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051A KR20160041093A (ko) 2014-10-06 2014-10-06 천장 팬의 날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10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9089A (zh) * 2018-07-12 2020-02-1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送风控制方法与空调器
KR20200098794A (ko) * 2019-02-12 2020-08-21 박경구 천장 팬의 블레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9089A (zh) * 2018-07-12 2020-02-1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送风控制方法与空调器
CN110779089B (zh) * 2018-07-12 2021-11-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送风控制方法与空调器
KR20200098794A (ko) * 2019-02-12 2020-08-21 박경구 천장 팬의 블레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8486B2 (ja) 空気調和機のダクト型室内機
CN203940543U (zh) 风机及室外机
US9702588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5403084B2 (ja) 室内機
JP6311427B2 (ja) 空気調和装置
JP6213275B2 (ja) 送風機
JP2015055182A (ja) ファン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KR101841253B1 (ko) 댐퍼 부착형 송풍기
JP2008180457A (ja) 空気調和機
US9618216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6429204B2 (ja) 空気調和機
WO2019016982A1 (ja) 空気調和機
EP2792886A2 (en) Turbofan
KR20160041093A (ko) 천장 팬의 날개 구조
JP2007205268A (ja) 遠心ファン
CN110506164B (zh) 螺旋桨式风扇及空调装置用室外机
JP2014178072A (ja) 空気調和機
JP201011260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1662288B1 (ko) 덕트 환기장치
JP2008138957A (ja) 風向変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節装置
KR101501640B1 (ko) 실링팬
JP201603815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80062890A (ko) 공기 조화기
JP6340694B2 (ja) 送風装置
JP2015169403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3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21

Effective date: 2017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