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390A -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390A
KR20160040390A KR1020140133495A KR20140133495A KR20160040390A KR 20160040390 A KR20160040390 A KR 20160040390A KR 1020140133495 A KR1020140133495 A KR 1020140133495A KR 20140133495 A KR20140133495 A KR 20140133495A KR 20160040390 A KR20160040390 A KR 2016004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al matter
information
mail
scan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122B1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드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드,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드
Priority to KR102014013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1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 B07C3/1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G06Q50/6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과, 상기 저울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편물에 기재된 정보를 스캐닝하여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이미지화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우편물의 정보의 이미지에 대해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저울에서 측정한 상기 우편물의 중량과 상기 제어부에서 독출한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MAIL AUTOMATIC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편물에 기재된 정보를 위치에 상관없이 스캐닝이 가능하여 정확하게 우편물에 기재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편물의 중량, 부피 그리고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로 다수의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편서비스는 국민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국가의 대표적인 공공서비스의 하나로서, 현재 그 이용에 있어서 공기업이나 관공서에서 운영하고 있다.
통상의 우편물접수 서비스는 서장형태의 통상우편물이나 일정크기의 소포 우편물을 고객으로부터 받고, 우체국의 취급담당자가 우편물의 중량, 규격에 따른 우편요금을 계산하고, 우편물의 종류에 따라 수령증이 필요한 경우 고객의 정보 즉 발신인의 주소, 우편번호, 성명 등을 담당자가 입력하여 수령증 및 바코드를 출력하여 해당 우편물에 부착한 후, 우편물 저장함에 투입하는 것에 의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우편물접수 서비스는 우편물접수 종료 시간 내에 몰리거나 많은 우편물을 접수시키기 위해서는 그 순서를 기다리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취급담당자가 수령증을 발행한 후에 발신인이 입력정보를 확인하는데 그 입력정보가 잘못 입력된 경우에 수정작업을 하여 수령증을 재발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우편산업은 컴퓨터 및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무인창구장치와 같은 무인 우편접수장치를 구현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선행기술문헌들의 예로 등록특허 제10-1044440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는 우편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계량판과, 상기 계량판에 내장되어 상기 계량판에 올려 놓여진 상기 우편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한 상기 우편물의 무게정보와 그 무게에 대응하는 요금정보 그리고 상기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계량판의 일측에 일정높이로 세워진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계량판에 올려 놓여진 상기 우편물에 기재된 주소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된다.
그러나, 우편물에 기재된 주소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는 계량판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위치로 인해 계량판에 올려놓은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잘 보여지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부에서 정확하게 우편물의 주소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는 계량판에 올려놓은 우편물의 주소정보를 촬영하는데 초점을 일일이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444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우편물에 기재된 정보를 위치에 상관없이 스캐닝이 가능하여 정확하게 우편물에 기재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편물의 중량, 부피 그리고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로 다수의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은,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과, 상기 저울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편물에 기재된 정보를 스캐닝하여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이미지화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우편물의 정보의 이미지에 대해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저울에서 측정한 상기 우편물의 중량과 상기 제어부에서 독출한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울은 상기 스캐너의 중량을 감안하여 영점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은 상기 정보가 기재된 일면이 상기 스캐너를 향하도록 올려지고, 상기 스캐너는 상기 우편물의 상기 일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우편물을 스캐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의 상측에서 상기 우편물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우편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에 의해 얻은 상기 우편물의 투영된 면적과 상기 높이센서부에 의해 얻은 상기 우편물의 높이를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의 부피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높이센서부는, 상기 스캐너의 상면에 대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독출한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인식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하고, 그 확인 내용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인식 오류가 있다는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수정을 요청하고, 그 수정 내용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독출한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누락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누락된 정보를 요청하고, 그 정보 내용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편물의 부피와 상기 저울에서 측정한 상기 우편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의 발송비용을 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의 발송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와, 상기 결제부를 통한 결제 완료시 상기 우편물의 발송비용에 따른 영수증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우편물의 기재된 정보를 인식함에 있어서, 종래의 카메라 촬영 방식에 비해 우편물에 기재된 정보를 어느 위치에 상관없이 스캐닝이 가능하여 정확하게 우편물에 기재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우편물의 중량과 부피 그리고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로 다수의 기능을 처리가 가능하여 사용하는데 간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출력부에 출력된 우편물의 정보에 인식 오류를 수정할 수 있거나 누락된 우편물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더불어, 무인으로 처리가 가능하여 인건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저울, 스캐너 및 높이센서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높이센서부의 높이조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저울, 스캐너 및 높이센서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높이센서부의 높이조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울(102), 스캐너(104), 제어부(106) 및 출력부(108)를 포함한다.
저울(102)은 우편으로 발송되는 우편물(M)의 중량을 측정한다.
우편물(M)은 우편으로 전달되는 서장형태의 우편물(편지)이나 일정크기의 소포 우편물을 통틀어 말한다.
저울(102)은 주로 전자 저울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자 저울은 전자식 장치를 이용하여 저울판 위에 올려놓은 물건의 무게와 가격이 숫자로 표시되는 저울(102)이다.
저울(102)은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우편물(M)이 자력 또는 외력으로 움직여지지 않도록 저울판이 판재 형상과 같이 평평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울(102)은 스캐너(104)의 중량을 감안하여 영점을 설정하는 것으로, 이는 저울(102)에 올려지는 우편물(M)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저울(102)에 측정된 우편물(M)의 중량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우편물(M)의 부피와 함께 우편물(M)의 요금을 산정하는데 기초가 된다.
스캐너(104)는 저울(102)의 상부에 배치되고, 우편물(M)에 기재된 정보를 스캐닝하여 우편물(M)의 정보를 이미지화한다.
스캐너(104)는 저울(102)의 상부에 배치되되, 저울(102)로부터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캐너(104)가 외력으로 인해 움직여지지 않아 스캐너(104)를 통해 이미지화하는 우편물(M)의 정보를 정확하게 스캐닝하기 위함이다.
우편물(M)에 기재된 정보는 매직과 같은 필기용 펜을 이용하여 우편물(M)에 직접 기재하거나 기재된 표지를 우편물(M)에 부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캐너(104)는 스캐너(104)와 함께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 자동차 등에 폭 넓게 사용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CD), CIS(contact image sensor, CIS)로 이루어져 우편물(M)의 정보를 스캔하여 이미지화할 수 있다.
우편물(M)은 정보가 기재된 일면이 스캐너(104)를 향하도록 올려지고, 스캐너(104)는 우편물(M)의 일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우편물(M)을 스캐닝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편물(M)의 복수개의 면 중에서 주소, 우편번호, 이름, 전화번호 등의 우편물(M)의 정보가 기재 또는 표지가 붙여진 우편물(M)의 일면은 스캐너(104)를 향하도록 스캐너(104)의 상부에 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캐너(104)가 우편물(M)과의 접촉되지 않을 경우에 우편물(M)의 정보가 제대로 스캐닝되지 않아 우편물(M)의 정보를 다시 스캐닝해야 하는데 불편함과 소요되는 전력 및 시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스캐너(104)는 스캐너(104)에 올려진 우편물(M)이 어느 위치에 상관없이 스캐너(104)내에만 배치하면 스캐닝이 가능하므로 우편물(M)에 기재되거나 표지에 붙여진 우편물(M)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이 가능하다.
스캐너(104)는 스캐너(104)에 올려진 우편물(M)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높이센서부(110)와 함께 다양한 크기의 우편물(M)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캐너(104)가 저울(102)의 상부에 배치되어 우편물(M)의 붙여진 표지를 스캐닝하여 우편물(M)의 정보를 이미지화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우편물(M)의 붙여진 표지를 스캐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스캐너(104)가 저울(102)에 내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106)는 스캐너(104)로부터 전송받은 우편물(M)의 정보의 이미지에 대해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우편물(M)의 정보를 독출한다. 제어부(106)는 최근 보편화된 기술인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기초하여 우편물(M)의 정보를 독출한다. 문자인식 알고리즘은 스캐너(104)로부터 스캐닝한 문자의 영상을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문자로 변환하는 것이다.
제어부(106)는 우편물(M)의 정보를 독출할 뿐만 아니라 저울(102)의 영점을 조절할 수 있어 저울(102)에 올려지는 우편물(M)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한다.
제어부(106)는 출력부(108)를 통해 우편물(M)의 정보에 인식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한다. 우편물(M)의 정보에 인식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입력부(112)를 통해 사용자가 우편물(M)의 정보에 인식 오류를 수정한다.
위의 내용과 함께, 제어부(106)는 출력부(108)를 통해 우편물(M)의 정보에 누락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한다. 우편물(M)의 정보에 누락된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입력부(112)를 통해 사용자가 우편물(M)의 정보에 누락된 정보를 입력한다.
제어부(106)는 스캐너(104)에 의해 얻은 우편물(M)의 투영된 면적(s)과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높이센서부(110)에 의해 얻은 우편물(M)의 높이(h)를 기초하여 즉, 곱하여 우편물(M)의 부피(v)를 산출한다. 우편물(M)의 부피(v)는 저울(102)에서 측정한 우편물(M)의 중량과 함께 우편물(M)의 요금을 산정하는데 기초가 된다.
제어부(106)는 우편물의 부피(v)와 저울(102)에서 측정한 우편물(M)의 중량에 기초하여 우편물(M)의 발송비용을 산정한다. 우편물(M)의 발송비용은 우편물(M)의 정보와 함께 출력부(108)에 화면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
우편물(M)의 발송비용은 우편물(M)의 중량과 부피(v)와 함께 우편물(M)의 종류에 따라 발송비용이 변동된다. 변동되는 우편물(M)의 발송비용은 우편물(M)의 종류인 빠른 우편인지 또는 등기우편인지 등에 따라 변동된다.
출력부(108)는 저울(102)에서 측정한 우편물(M)의 중량과 제어부(106)에서 독출한 우편물(M)의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108)는 화면으로 출력되거나 음성으로 출력된다. 화면으로 출력되는 출력부(108)는 우편물(M)의 중량, 우편물(M)의 정보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안내하거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출력부(108)는 우편물(M)의 중량, 우편물(M)의 정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음성으로 출력되는 출력부(108)는 화면으로 출력되는 출력부(108)와 같이 저울(102)에서 측정한 우편물(M)의 중량과 제어부(106)에서 인식한 우편물(M)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이 가능하여 시각장애인도 직접 우편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은 음성으로 출력된 우편물(M)의 중량과 우편물(M)의 정보를 청취하여 타인의 도움없이 비장애인만이 처리할 수 있는 우편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출력부(108)는 우편물(M)의 정보에 인식 오류나 우편물(M)의 정보 누락을 사용자가 확인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입력부(112)를 통해 수정이나 입력하여 우편물(M)의 정보를 다시 출력한다.
높이센서부(110)는 스캐너(104)의 상측에서 우편물(M)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우편물(M)의 높이를 측정한다.
높이센서부(110)는 광센서(light sensor), 적외선(infrared sensor) 등으로 이루어져 저울(102) 또는 스캐너(104)의 측면에 배치된다.
높이센서부(110)는 폭보다 길게 형성된 프레임(12)의 일단부에 우편물(M)을 향하도록 내측면에 설치된다. 프레임(12)은 높이센서부(110)가 설치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가 저울(102) 또는 스캐너(104)에 고정된다.
높이센서부(110)는 스캐너(104)의 상면에 대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은 높이센서부(110)가 설치되는 프레임(12)의 다른 실시예로, 프레임(12a, 12b, 12c)은 폭보다 길게 형성된 일단부에 높이센서부(11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레임(12a, 12b, 12c)은 상부프레임(12a), 중부프레임(12b)과 하부프레임(12c)으로 구성되고, 상부프레임(12a)은 상하부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중부프레임(12b)은 상부프레임(12)에 돌출 형성되어 하부프레임(12c)에 삽입되고, 하부프레임(12a)은 저울(102) 또는 스캐너(104)의 측면에 고정된다.
높이센서부(110)는 스캐너(104)로부터 높이조절이 가능하되, 높이센서부(110)가 설치된 프레임(12a, 12b, 12c)을 통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저울(102) 또는 스캐너(104)에 올려지는 다양한 부피의 우편물(M)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높이센서부(110)의 높이조절은 우선 하부프레임(12c)에 구비된 너트와 같은 조절수단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프레임(12c)으로부터 상부프레임(12a)에 돌출 형성된 중부프레임(12c)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고정상태가 해제된 중부프레임(12b)은 하부프레임(12c)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원하는 높이만큼 이동된다. 원하는 높이만큼 이동이 완료된 중부프레임(12b)은 하부프레임(12c)에 구비된 너트와 같은 조절수단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프레임(12c)과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높이센서부(110)는 상부프레임(12a)과 중부프레임(12b) 및 하부프레임(12c)으로 인해 상하부방향으로 원하는 높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높이센서부(110)는 스캐너(104)를 중심으로 양측의 프레임(12)에 설치되거나 일측의 프레임(12)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복수개가 설치되어 우편물(M)의 높이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까지 부여된다.
입력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입력부(112)는 제어부(106)에서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독출한 우편물(M)의 정보에 인식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출력부(108)를 통해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하고, 그 확인 내용을 입력부(11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입력부(112)는 출력부(108)를 통해 오류가 확인된 우편물(M)의 주소, 우편번호, 이름,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정한다. 입력부(112)는 출력부(108)에 연결된 키보드를 조작하거나 출력부(108)의 감압식 터치 또는 정전식 터치를 조작하여 오류된 우편물(M)의 정보를 수정한다. 입력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우편물(M)의 정보에 인식 오류가 있다는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06)는 출력부(108)를 통해 사용자에게 수정을 요청하고, 그 수정 내용을 입력부(11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입력부(112)는 제어부(106)를 통해 독출한 우편물(M)의 정보에 누락된 정보가 있으면 출력부(108)를 통해 사용자에게 누락된 정보를 요청하고, 그 정보 내용을 입력부(11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입력부(112)는 출력부(108)에 출력된 우편물(M)의 주소, 우편번호, 이름,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락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또한 입력부(112)는 키보드를 조작하거나 출력부(108)의 터치를 조작하여 미출력된 우편물(M)의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우편물(M)의 발송비용을 결제하기 전에 우편물(M)의 정보를 최종적으로 확인을 한다.
입력부(112)는 출력부(108)와 함께 터치패널로, 최근 흔히 사용되는 감압식 터치 또는 정전식 터치 등이 있다.
결제부(114)는 우편물(M)의 발송비용을 결제한다.
결제부(114)는 우편물(M)의 발송비용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신용카드, 교통카드와 같은 비화폐 결제수단을 이용하거나 지폐, 동전과 같은 화폐 결제수단을 이용한다. 비화폐 결제수단은 신용카드와 교통카드는 물론, 핸드폰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을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결제수단에 연동되도록 하여 다양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우편물(M)의 발송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인쇄부(116)는 결제부(114)를 통한 결제 완료시 우편물(M)의 발송비용에 따른 영수증을 인쇄한다. 인쇄부(116)는 우편물(M)의 발송비용에 따른 영수증 뿐만 아니라 바코드도 인쇄한다.
영수증은 저울(102), 스캐너(104), 높이센서부(110)와 함께 우편물(M)의 종류를 통해 산정된 발송비용이 결제부(114)에서 결제되어 인쇄부(116)를 통하여 영수증 용지에 인쇄되어 출력된다. 영수증은 우편물(M)의 중량과 부피와 우편물(M)의 종류 그리고 결제수단 등의 정보가 인쇄되어 있다.
바코드는 출력부(108)를 통해 입력된 정보 또는 결제부(114)를 통해 결제된 발송비용이나 등이 나타낸 것으로, 인쇄부(116)를 통하여 바코드 용지에 인쇄되어 출력된다.
인쇄부(116)를 통해 출력된 바코드는 발송되는 우편물(M)에 붙이는 것으로, 우편물(M)의 종류인 빠른 우편인지 등기우편인지가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영수증과 바코드는 각각의 용지가 롤 타입 형태로 권취되어 있으며, 인쇄시 권취된 용지의 일부가 풀려서 각각 인쇄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의 무인 처리시스템(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저울(102)을 이용하여 발송되는 우편물(M)의 중량을 측정하고(S5), 스캐너(104)를 이용하여 우편물(M)의 정보를 이미지화한다(S10). 그런 다음 스캐너(104)와 연결되는 높이센서부(110)를 이용하여 우편물(M)의 부피(높이)를 감지하고(S15), 그 다음 우편물(M)의 중량, 부피(높이) 및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한다(S20). 사용자는 화면으로 출력된 우편물(M)의 중량, 부피(높이) 및 정보를 확인하되(S25), 우편물(M)의 정보가 정확한지를 확인한다(S30). 만약에 우편물(M)의 정보가 잘못되었거나 누락되었을 경우에 우편물(M)의 중량, 부피(높이) 및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데에서(S20) 사용자가 직접 수정 또는 입력을 한다(S35). 우편물(M)의 정보가 정확하면 우편물(M)의 발송비용을 산정하고(S40), 그리고 산정된 발송비용을 결제한다(S45). 발송비용이 결제되면 영수증과 바코드를 인쇄하고(S50), 인쇄된 바코드를 우편물(M)에 붙인(S55) 후 우편물 수거함에 투입시키면(S60) 우편물의 무인 처리시스템(100)이 종료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본체 12a : 상부프레임
12b : 중부프레임 12c : 하부프레임
100 :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102 : 저울
104 : 스캐너 106 : 제어부
108 : 출력부 110 : 높이센서부
112 : 입력부 114 : 결제부
116 : 인쇄부 M : 우편물

Claims (11)

  1.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과,
    상기 저울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편물에 기재된 정보를 스캐닝하여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이미지화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우편물의 정보의 이미지에 대해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저울에서 측정한 상기 우편물의 중량과 상기 제어부에서 독출한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울은 상기 스캐너의 중량을 감안하여 영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은 상기 정보가 기재된 일면이 상기 스캐너를 향하도록 올려지고, 상기 스캐너는 상기 우편물의 상기 일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우편물을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의 상측에서 상기 우편물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우편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에 의해 얻은 상기 우편물의 투영된 면적과 상기 높이센서부에 의해 얻은 상기 우편물의 높이를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의 부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센서부는, 상기 스캐너의 상면에 대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독출한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인식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하고, 그 확인 내용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인식 오류가 있다는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수정을 요청하고, 그 수정 내용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독출한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누락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누락된 정보를 요청하고, 그 정보 내용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처리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편물의 부피와 상기 저울에서 측정한 상기 우편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의 발송비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의 무인 처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의 발송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와,
    상기 결제부를 통한 결제 완료시 상기 우편물의 발송비용에 따른 영수증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의 무인 처리시스템.
KR1020140133495A 2014-10-02 2014-10-02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KR10165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95A KR101655122B1 (ko) 2014-10-02 2014-10-02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95A KR101655122B1 (ko) 2014-10-02 2014-10-02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390A true KR20160040390A (ko) 2016-04-14
KR101655122B1 KR101655122B1 (ko) 2016-09-23

Family

ID=5580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495A KR101655122B1 (ko) 2014-10-02 2014-10-02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922A (ko) * 2019-08-06 2021-02-17 주식회사 센서리움 물류 운임비용 책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829A (ko) * 2004-11-24 2006-05-29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우편정보 자동획득 시스템
KR20100081263A (ko) * 2009-07-27 2010-07-14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우편물 자동 처리장치
KR101044440B1 (ko) 2009-06-02 2011-06-27 손호순 문자인식이 가능한 우편용 저울장치
KR20120040500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포스트큐브 무인우편창구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829A (ko) * 2004-11-24 2006-05-29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우편정보 자동획득 시스템
KR101044440B1 (ko) 2009-06-02 2011-06-27 손호순 문자인식이 가능한 우편용 저울장치
KR20100081263A (ko) * 2009-07-27 2010-07-14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우편물 자동 처리장치
KR20120040500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포스트큐브 무인우편창구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922A (ko) * 2019-08-06 2021-02-17 주식회사 센서리움 물류 운임비용 책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122B1 (ko)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923B1 (ko) 무인우편창구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55122B1 (ko) 우편물 무인 처리시스템
EP2455907A1 (en) Dimensional rating of a mail piece using a touch screen on a mail kiosk
US20220392095A1 (en) Package measuring apparatus, package accepting system, package measu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052933B1 (ko) 우편물 자동 처리장치
US8970899B2 (en) System for accepting mail matter, including a labeler attaching a label containing a registered barcode to mail matter
US20140149307A1 (en) Apparatus and server for on-line accepting postal matter and methods for the same
KR101044440B1 (ko) 문자인식이 가능한 우편용 저울장치
CN107909745A (zh) 邮政智能自助收寄终端及其服务系统
JP6699872B2 (ja) 荷物計測装置、荷物受付システム、荷物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766878A (zh) 一种实用的自助寄件设备
JP7484614B2 (ja) 寸法測定システム
KR100629842B1 (ko) 우편정보 자동획득 시스템
CN110660173A (zh) 一种实用的低成本的自助寄件柜
CN207123908U (zh) 快递表单打印自助服务系统
KR100372039B1 (ko) 바코드가 인쇄된 원서의 무인 접수 시스템
JP2022052782A (ja) 寸法測定システム
KR100919045B1 (ko) 우편물 자동 처리장치
JP7472738B2 (ja) 設置調整システム
CN212724079U (zh) 自助寄件终端以及基于该自助寄件终端的控制系统
KR20010106280A (ko) 바코드가 인쇄된 원서의 무인 접수 시스템
WO2005024730A1 (en) An automated multi-function desk for use in a post office
JP2005250838A (ja) 配送受付システム
KR101609602B1 (ko) 무인 우편물 수납함
KR101335685B1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우편물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