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906A -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 - Google Patents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906A
KR20160039906A KR1020140133206A KR20140133206A KR20160039906A KR 20160039906 A KR20160039906 A KR 20160039906A KR 1020140133206 A KR1020140133206 A KR 1020140133206A KR 20140133206 A KR20140133206 A KR 20140133206A KR 20160039906 A KR20160039906 A KR 20160039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amber
contaminated
sensing mean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887B1 (ko
Inventor
윤정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8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헬리데크의 플로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커퍼, 상기 스커퍼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저장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저장된 유체의 오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챔버의 오염된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유체의 오염 여부에 따라 유체를 상기 탱크 또는 해수면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마련하여 헬리데크로부터 배수되는 유체를 일시 저장하는 챔버와 오염된 유체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탱크가 구비되어 유체의 오염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오염된 유체 및 비오염된 유체를 분리 배출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에 의해 유체의 이송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Drainage of Helicopter Deck and Drai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리데크의 스커퍼(scupper)를 통해 모아진 배수를 바다로 직접 배출하지 않고서 오일 등의 이물질 포함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배출할 수 있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해 에너지 개발의 가속화에 따라 발전하고 있는 해양 프로젝트에서는 많은 승조원이 오랜 기간 동안 먼 바다에서 머물러야 하는 해양 프로젝트용 부유식 구조물 내지 해양플랜트가 사용되고 있다.
헬리콥터는 해양플랜트의 효율적이고도 신속한 운송 수단으로서, 해양플랜트의 헬리콥터 이착륙을 위한 헬리데크를 이용하여 이착륙을 한다.
여기서 헬리데크는 해양플랜트의 거주구역 상부에 위치하여 인원의 접근이 용이하고, 헬리콥터 이착륙에 장애물이 없도록 배치된 것으로서, 해양플랜트에 대한 중요한 접근 수단이자 비상 탈출 구조물인 것이다.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에 해당하는 팬케익(pan cake)과 팬케익을 지지하는 필라(pillar)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팬케익은 플랭크(plank)를 서로 연결하여 바닥판 형상을 이루는 팬케익 상부구조물과 플랭크의 하단에 결합된 H형 빔(beam) 또는 거더(girder)를 갖는 팬케익 하부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필라 구조물의 일측 단부(예: 상부)는 팬케익 하부구조물인 빔 또는 거더에 연결될 수 있고, 필라 구조물의 타측 단부(예: 하부)는 선체에 연결될 수 있다.
헬리콥터에 연료를 공급하는 주유 호스가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될 수 있는 승강구가 상기 헬리데크의 플로어(예: 팬케익) 외곽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구의 테두리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주유 호스를 구름 마찰 상태로 지지하는 보호부가 마련되며, 플로어의 외곽 단부에 별도로 설치된 워터 거터(water gutter)와 팬케익 사이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커퍼(scupper)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워터 거터는 헬리데크의 플로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플로어의 윗면으로부터 흘러 넘친 빗물이나 헬리콥터에서 유출된 기름 등의 유체를 처리하는 수단일 수 있으며, 스커퍼는 팬케익 사이에 설치되어 플로어에 빗물 등의 유체가 남아 있지 않도록 배수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헬리데크에서의 배수는 깨끗한 물(Clean Drain)로 분류되어 별도의 체크 없이 파이프 라인을 따라 바다로 직접 배출되고 있다. 그러나 헬리콥터의 이착륙 및 다양한 상황에 의해 오일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발생되고 있으며, 배수되는 유체에 오일 또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배수됨에 따라 해수를 오염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헬리데크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헬리데크의 플로어(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스커퍼(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다수의 스커퍼(2) 하부에는 서로 다른 길이의 배수관(3)과 이들 배수관(3)의 선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배수관(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연결 배수관(4)의 일단에는 유체가 해수면으로 배수되도록 수직 배수관(5)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헬리데크의 플로어에서 유체가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된 상태로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 등이 정화되지 않고서 곧바로 해수로 배출됨에 따라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배수로 및 안전망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갖는 헬리데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배수로 및 안전망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갖는 헬리데크 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배수로 및 안전망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갖는 헬리데크에는 헬리데크를 구성하는 단위 구조재인 플랭크를 서로 연결하여 만든 팬케익, 상기 팬케익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 배수로, 상기 배수로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 안전망, 상기 팬케익을 지지하도록 상기 팬케익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구조물 및 상기 배수로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망의 외곽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로 및 상기 안전망을 동시에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배수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로의 저부가 결합되는 거셋 플레이트 및 상기 거셋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선박의 헬리데크용 드레인 스커퍼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선박의 헬리데크에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헤드, 상기 배수구 헤드와 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배수구 헤드에 설치되어 헬리콥터에 연결된 케이블이 고정되는 고정바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36944호(2013년 12월 13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2014-0000871호(2014년 2월 7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는 플로어에서 유체가 오염된 상태로 정화되지 않고서 곧바로 해수로 배출됨에 따라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헬리데크의 스커퍼(scupper)를 통해 모아진 유체를 바다로 직접 배출하지 않고서 오일 등의 이물질 포함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배출할 수 있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헬리데크로부터 배수된 유체의 오염 정도에 따라 해수로 직접 배출하거나 오염된 유체를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해양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커퍼를 통해 모아진 유체의 오염 정도에 따라 해수로의 직접 배출 뙤는 정화 과정을 거쳐 배출시킬 수 있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은 헬리데크의 플로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커퍼, 상기 스커퍼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저장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저장된 유체의 오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챔버의 오염된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유체의 오염 여부에 따라 유체를 상기 탱크 또는 해수면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챔버의 오염된 유체를 상기 탱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챔버의 비오염된 유체를 해수로 배출시키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챔버에 저장된 유체에 함유된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유체에 함유된 오일을 감지하는 오일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레이저 스캔으로 물의 굴절율과 오일의 굴절율의 차이를 측정하는 오일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는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오염된 유체를 상기 탱크로 이송시키거나 비오염된 유체를 해수로 배출시키는 3방향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방법은 (a) 헬리데크로부터 유체를 챔버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챔버에 저장된 유체의 오염 유무를 감지수단으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오염된 유체를 탱크에 저장하거나 비오염된 유체를 해수면에 직접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감지수단은 유체에 함유된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을 측정하여 오염 유체로 비교·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탱크에 저장된 오염 유체는 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배수방법에 의하면, 헬리데크로부터 배수되는 유체를 일시 저장하는 챔버와 오염된 유체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탱크가 구비되어 유체의 오염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오염된 유체 및 비오염된 유체를 분리 배출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에 의해 유체의 이송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배수방법에 의하면,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유체를 정화시켜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헬리데크의 배수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은 헬리데크의 플로어(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커퍼(10), 상기 스커퍼(10)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저장되는 챔버(20), 상기 챔버(20)에 저장된 유체의 오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30), 상기 감지수단(30)에 의해 상기 챔버(20)의 오염된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40), 상기 감지수단(30)에 의해 감지된 유체의 오염 여부에 따라 유체를 상기 탱크(40) 또는 해수면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헬리데크 배수 시스템은 헬리데크의 플로어에 설치된 스커퍼(10)로부터 유체를 챔버(20)로 수집한 다음 수집된 유체의 오염 유무에 따라 오염된 유체를 별도의 탱크(40)에 저장시키거나 탱크(40)에 저장된 유체를 정화시켜 해수면으로 배출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헬리데크 배수 시스템은 헬리데크의 플로어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스커퍼(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커퍼(10)는 헬리데크의 플로어(1, 도 1 참조)의 하부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됨은 물론 이들 스커퍼(10)의 하부에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배수관(3, 도 1 참조) 및 이들 배수관(3)을 연결하는 연결 배수관(4, 도 1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챔버(20)는 연결 배수관(4)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챔버(20)는 연결 배수관(4)으로 유입된 유체가 일정량 이상 저장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챔버(20)에는 유체에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30)이 설치될 수 있다. 감지수단(30)은 챔버(20) 내부에 설치되거나 챔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이 유체에 함유되었는지를 감지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30)으로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극미량의 유막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결, 부유 쓰레기 등에 의해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고, 비접촉식 또는 실시간으로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오일 감지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감지수단(30)으로는 레이저 스캔 방식으로 물의 굴절율과 오일의 귤절율의 차이를 측정하여 오일의 함유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외선을 이용하여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 환경유해물질은 납(Pb), 수은(Hg), 카드뮴(Cd), 육가크롬의 중금속, 비소, 폴리염화나프탈렌 등을 지칭한다.
즉, 감지수단(30)은 오일뿐만 아니라 환경유해물질을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탱크(40)에는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유체가 저장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탱크(40)에는 챔버(20)에 저장된 유체에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 등이 함유된 경우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 탱크(40)에 저장된 유체는 별도로 마련되는 정화장치 등에 의해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챔버(20)에는 유체의 오염 유무에 따라 오염이 안 된 유체를 해수면으로 직접 배출시키거나 오염된 유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밸브(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60)는 챔버(2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해수면으로 곧바로 배출됨은 물론 오염된 유체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탱크(40)로 선택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3방향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60)의 동작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은 헬리데크의 플로어에 유체가 쌓이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스커퍼(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커퍼(10)는 다수의 배수관(3) 및 연결 배수관(4) 등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갖는 챔버(20)와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챔버(20)에는 플로어에서 유입된 유체가 오염 되었는지 또는 청정한 물로 이루어진 유체인지 여부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는 감지수단(3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30)은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비접촉식 또는 실시간으로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오일 감지기 또는 레이저 스캔 방식으로 물의 굴절율과 오일의 귤절율의 차이를 측정하여 오일의 함유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3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50)로 전송되며, 제어부(50)에서는 챔버(20)에 저장된 유체의 오염 유무에 따라 밸브(6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60)는 감지수단(30)에서 감지된 챔버(20)의 유체가 오염된 경우에는 오염된 유체를 탱크(40)로 이송시키며, 감지수단(30)에서 감지된 유체가 오염 안 된 경우에는 챔버(2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해수면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오염된 유체는 탱크(40)로 이송된 다음 정화장치 등에 의해 오일을 제거하거나 환경유해물질을 제거한 다음 해수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챔버(20)와 탱크(40) 사이에는 챔버(20)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해수면으로 직접 배출되게 하거나 탱크(40)로 이송시킬 수 있는 밸브(6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0)는 유체의 오염 유무에 따라 밸브(60)를 탱크(4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개폐하거나 해수면으로 직접 배출되도록 개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방법은 (a) 헬리데크로부터 유체를 챔버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챔버에 저장된 유체의 오염 유무를 감지수단으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오염된 유체를 탱크에 저장하거나 비오염된 유체를 해수면에 직접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리데크의 배수방법은 헬리데크의 플로어로부터 빗물 등이 스커퍼(10)로 모이게 되고, 스커퍼(10)로 집수된 유체는 챔버(20)로 이동되어 저장된다(S10).
이와 같이 플로어로부터 이동된 유체는 챔버(20)에 저장되며, 챔버(20)에 유체가 저장됨에 따라 감지수단(30)에 의해 유체의 오염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S20).
상기 감지수단(30)에 의해 감지된 유체가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에 의해 오염 되지 않은 경우이면, 제어부(50)에서는 유체가 해수면으로 배출되도록 밸브(60)를 개방하게 된다(S30).
제어부(50)는 감지수단(30)의 감지에 따라 유체에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이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면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며, 설정치 미만으로 감지되면 오염되지 않은 유체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에서는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이 3ppm 이상이면 오염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3ppm 미만이면 오염되지 않은 유체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들 오염 여부의 판단은 5~10ppm과 같이 다른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감지수단(30)에 의해 감지된 유체가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된 경우이면, 제어부(50)에서는 유체가 탱크(40)로 이송되도록 밸브(60)를 개방시키게 된다.
즉, 밸브(60)는 3방향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오염이 안 된 경우에 유체가 해수면으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며, 유체가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경우에는 유체가 탱크(40)에 이송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60)의 개폐에 따라 오염된 유체는 탱크(40)로 이송되어 저장된다(S40).
이렇게 탱크(40)에 저장된 유체는 오일을 제거하는 물질 또는 환경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물질의 투입 또는 별도로 마련된 정화장치(미도시) 등에 의해 정화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50).
이와 같이 유체의 오염물질인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이 정화된 유체는 해수면으로 배출됨에 따라 해수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스커퍼 20: 챔버
30: 감지수단 40: 탱크
50: 제어부 60: 밸브

Claims (9)

  1. 헬리데크의 플로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커퍼,
    상기 스커퍼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저장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저장된 유체의 오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챔버의 오염된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유체의 오염 여부에 따라 유체를 상기 탱크 또는 해수면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챔버의 오염된 유체를 상기 탱크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챔버의 비오염된 유체를 해수로 배출시키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챔버에 저장된 유체에 함유된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유체에 함유된 오일을 감지하는 오일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레이저 스캔으로 물의 굴절율과 오일의 굴절율의 차이를 측정하는 오일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오염된 유체를 상기 탱크로 이송시키거나 비오염된 유체를 해수로 배출시키는 3방향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7. (a) 헬리데크로부터 유체를 챔버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챔버에 저장된 유체의 오염 유무를 감지수단으로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오염된 유체를 탱크에 저장하거나 비오염된 유체를 해수면에 직접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의 배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감지수단은 유체에 함유된 오일 또는 환경유해물질을 측정하여 오염 유체로 비교·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의 배수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탱크에 저장된 오염 유체는 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의 배수방법.
KR1020140133206A 2014-10-02 2014-10-02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 KR10222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206A KR102227887B1 (ko) 2014-10-02 2014-10-02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206A KR102227887B1 (ko) 2014-10-02 2014-10-02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906A true KR20160039906A (ko) 2016-04-12
KR102227887B1 KR102227887B1 (ko) 2021-03-29

Family

ID=5580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206A KR102227887B1 (ko) 2014-10-02 2014-10-02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74B1 (ko) * 2022-10-07 2023-07-17 (주)세성 공압 펌프를 구비한 가스측정 셀을 구비한 ndir 가스측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555A (ko) * 2007-12-06 2009-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빗물 처리 시스템
KR20120103181A (ko) * 2011-03-10 2012-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오수 처리시스템
KR20130136944A (ko) 2013-07-12 2013-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로 및 안전망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갖는 헬리데크
KR20140000871U (ko) 2012-07-26 2014-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555A (ko) * 2007-12-06 2009-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빗물 처리 시스템
KR20120103181A (ko) * 2011-03-10 2012-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오수 처리시스템
KR20140000871U (ko) 2012-07-26 2014-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구조가 형성된 헬리콥터 데크
KR20130136944A (ko) 2013-07-12 2013-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로 및 안전망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갖는 헬리데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74B1 (ko) * 2022-10-07 2023-07-17 (주)세성 공압 펌프를 구비한 가스측정 셀을 구비한 ndir 가스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887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0049C (en) Submerged clarifier launder
US106339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bsea separation of produced water
KR101413302B1 (ko) 선박용 일체형 유수분리기
US8864985B2 (en) Oil decanting system
KR102227887B1 (ko)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
US86969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icking up particles from the surface of a water system
CA3041578A1 (en) Oil monitoring system
KR101953808B1 (ko) 유수 분리장치
CN103523858B (zh) 船用外甲板落水舱油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101470743B1 (ko) 기름포집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346237B1 (ko) 선박 오수 처리시스템
US626790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on offshore structures
US10571447B2 (en) Fluid flow separation chamber for separating hydrocarbons from a fluid, method, and system of using the same
KR101276127B1 (ko) 해양구조물 용 기름 제거 장치
KR102051650B1 (ko) 슬러지 탱크 내 빌지 자동 제거 장치
KR100464640B1 (ko) 처리액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오염물질 분리장치
KR200489759Y1 (ko) 선박용 빌지해트
US11298636B2 (en) Oil monitoring system
CN206664885U (zh) 人工智能水上漏油监测收集船
KR101555339B1 (ko)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Knapp 16 DEVELOPMENT OF AS TANDARD SAMPLING SYSTEM FOR THE DETECTION OF VOLATILE COMBUSTIBLE MATERIALS IN INDUSTRIAL DISCHARGES TO PUBLIC SEWERAGE SYSTEMS
EP2578287B1 (en) Automatic closure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hadier et al. Development of a Standard Sampling System for the Detection of Volatile Combustible Materials in Industrial Discharges to Public Sewerage Systems
FI119295B (fi) Menetelmä öljyn imeyttämiseksi vesistöjen pinnalta ja imeytyslaite
Stone ACSA's jet fuel pollution solution: storm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