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832A -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 Google Patents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832A
KR20160039832A KR1020140133006A KR20140133006A KR20160039832A KR 20160039832 A KR20160039832 A KR 20160039832A KR 1020140133006 A KR1020140133006 A KR 1020140133006A KR 20140133006 A KR20140133006 A KR 20140133006A KR 20160039832 A KR20160039832 A KR 2016003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opening
elastic spring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051B1 (ko
Inventor
장희정
Original Assignee
장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희정 filed Critical 장희정
Priority to KR1020140133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0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63Harn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은, 복수의 수직지지봉들이 구비된 일정형상의 도어와; 안내레일이 각각 형성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가지는 문틀과; 상기 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구동롤러들과; 상기 도어의 닫힘시에 자동잠금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안내레일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경사돌기와; 상기 경사돌기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잠금홀과; 상기 도어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시에 상기 경사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잠금홀에 삽입되고,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잠금홀에서 이탈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안내레일과는 이격되는 유동롤러와;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들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며, 상단에는 상기 유동롤러가 고정되고, 내부에는 탄성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수축이완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제어봉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DOOR OF A PREFABRICATED HORSE STABLE}
본 발명은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리하게 개폐가 가능하고 자동으로 잠금이 가능한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장이나 경마장에서는 사용될 말(horse)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조립식 패널을 이용하여 임시로 마방을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승마나 경마를 위해서는 마방에서 말을 승마장이나 경마장까지 이동시켜야 하고, 말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의 화물칸에 임시로 조립식 패널을 이용하여 조립식 마방을 조립하여 말을 가두고 있다.
즉, 말을 원래 기르던 장소가 아닌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승마장이나 경마장에서 임시로 말을 가두기 위한 조립식 마방은 일정폭과 길이를 가지는 문짝이나 벽체 형태의 조립식 패널 여러 개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마방은 말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출입문에 대한 종래의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0103호(2012.08.30.)에 개시되어 있다.
즉 출입문 일측의 상하에서 암수 구조의 축핀과 축공을 대응 결합하여 출입문을 회전 개폐하도록 조립하고, 타측에 통상의 잠금수단에 의해 외부에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출입문에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버를 출입문 타측의 외벽 프레임의 고정공에 삽입 또는 분리하는 것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닫이 식 출입문 구조는 열고 닫는 경우에 일정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잠금수단이 별도로 작업자에 의해 체결되도록 되어있어, 작업자가 출입문을 잠그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에는 출입문이 손쉽게 열리기 때문에 조립식 마방에서 말이 이탈되어 도망가게 되고, 이에 따라 사람을 위협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잠금상태에서 출입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 잠금수단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출입문을 열어야 되므로 출입문을 여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0103호(2012.08.3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닫이 구조를 가지며 출입문을 닫음과 동시에 잠금이 실행되는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문의 열고 닫음을 용이하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은, 복수의 수직지지봉들이 구비된 일정형상의 도어와; 안내레일이 각각 형성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가지는 문틀과; 상기 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구동롤러들과; 상기 도어의 닫힘시에 도어의 상부측에 구비된 유동롤러가 상기 문틀에 구비되는 잠금홀에 삽입되도록 하여 자동잠금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자동잠금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안내레일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경사돌기와; 상기 경사돌기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잠금홀과; 상기 도어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시에 상기 경사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잠금홀에 삽입되고,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잠금홀에서 이탈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안내레일과는 이격되는 유동롤러와;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들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며, 상단에는 상기 유동롤러가 고정되고, 내부에는 탄성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수축이완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제어봉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제어봉은 상기 도어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도어프레임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제어봉은, 상기 유동롤러가 상기 경사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이 수축되도록 하고 상기 잠금홀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스프링의 이완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동롤러가 상기 잠금홀에 삽입되도록 하고, 도어의 개방시에는 외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이 수축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동롤러가 상기 잠금홀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닫이 구조를 가지며 출입문을 닫음과 동시에 잠금이 실행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별도의 자물쇠나 잠금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출입문의 열고 닫음을 용이하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방 출입문의 닫힘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출입문의 열린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를 통해 본 구동롤러 및 안내레일의 구조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출입문의 닫힘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개폐제어봉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방 출입문의 닫힘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열린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를 통해 본 구동롤러 및 안내레일의 구조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출입문의 닫힘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개폐제어봉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방 출입문(100)은 도어(110), 문틀(120), 복수의 구동롤러들(112) 및 잠금장치(115,117,125,127)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110)는 일정형상으로 일반적으로 조립식 마방에서 사용되는 도어와 유사한 형상으로 상부쪽은 복수의 수직 지지봉(116)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하부쪽은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쪽은 상부쪽과 같이 복수의 수직지지봉들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0)는 종래의 여닫이 방식과 달리 미닫이 방식의 미닫이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1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일반적인 미닫이 방식의 문과 유사하게, 문틀(120)에 구비된 안내레일(122a)을 따라 이동하도록 일정간격마다 구비되는 복수의 구동롤러(112)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112)는 지지대(11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대(114)는 상기 도어(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연결 또는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문틀(120)은 안내레일(122a)이 각각 형성된 상부프레임(122) 및 하부프레임(124)의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110)의 형상에 맞춰 수직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문틀(120)의 상부프레임(122) 및 하부프레임(124) 각각은 속이 빈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형상의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부프레임(122)의 하부면 및 하부프레임(124)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안내레일(122a)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구동롤러(112)들은 상기 문틀(120)의 상부프레임(122) 및 하부프레임(124)의 내부공간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114)가 상기 개구를 통해 도어(11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안내레일(122a) 및 복수의 구동롤러(112)를 이용하여 미닫이 방식으로 출입문을 개폐하는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일반적인 미닫이 문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잠금장치(115,117,125,127)는 상기 도어(110)의 닫힘시에 자동잠금되는 구성으로, 경사돌기(125), 잠금홀(127), 유동롤러(115), 개폐제어봉(117)을 구비한다.
상기 경사돌기(125)는 상기 상부프레임(122)의 일측(예를 들면, 도어(110)을 열고 닫을때 손잡이가 배치되는 위치)에, 상기 안내레일(122a)에서(또는 안내레일(122a)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면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즉 상기 경사돌기(125)는 상기 상부프레임(122)의 개구가 형성된 하면에 금속판을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홀(127)은 상기 경사돌기(125)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동롤러(115)가 삽입되어 상기 도어(110)가 잠금상태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잠금홀(127)은 상기 유동롤러(115)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동롤러(115)는 상기 도어(110)의 일측(상기 잠금홀(127)에 대응되는 위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10)의 닫힘시에 상기 경사돌기(115)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잠금홀(127)에 삽입되고, 도어(110)의 개방시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홀(127)에서 이탈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동롤러(115)는 상기 안내레일(122a) 및 상기 상부프레임(122)과는 이격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 개폐제어봉(117)은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116)들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며, 상단에는 상기 유동롤러(115)가 고정되고, 내부에는 탄성스프링(117b)이 장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117b)의 수축이완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 개폐제어봉(117)은 상기 도어(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도어의 상단프레임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10)의 상단도어프레임을 관통하여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단부가 상기 유동롤러(115)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제어봉(11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분에는 상기 유동롤러(115)가 연결되고, 하단부분은 속이 빈 중공형 구조를 가지며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제어봉(117)의 개구로는 상기 탄성스프링(117b)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10)에 하단이 고정된 지지봉(117a)의 상단부분이 삽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제어봉(117)은 상기 지지봉(117a)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탄성스프링(117b)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개폐제어봉(117)은, 상기 도어(110)의 닫힘시에는 상기 유동롤러(115)가 상기 경사돌기(125)의 경사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개폐제어봉(117)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스프링(117b)이 수축되도록 하고, 상기 유동롤러(115)가 상기 잠금홀(127)에 도달하는 경우에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117b)의 이완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동롤러(115)가 상기 잠금홀(127)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다라 도어(110)가 닫힘과 동시에 잠기도록 구성된다.
이후 도어(110)의 개방시에는 외부에서 상기 개폐제어봉(117)에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117b)이 수축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동롤러(115)가 상기 잠금홀(127)에서 이탈하고, 외부의 수평(좌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유동롤러(115)가 상기 경사돌기(125)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탄성스프링(117b)의 이완에 의해 상기 개폐제어봉(117)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도 4를 통해 도어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도어(110)는 개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어(110)의 프레임 또는 상기 개폐제어봉(117)을 잡은 상태에서 도어(110)를 우측으로 밀게되면, 도어(110)는 복수의 구동롤러(112)이 상기 안내레일(122a)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롤러(115)는 문틀(122)과는 이격된 상태로 있다가, 상기 경사돌기(125)에 다다르게 되면, 경사돌기(125)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롤러(115)가 상기 잠금홀(127)에 도달하게 되면,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홀(127) 내부로 상기 유동롤러(115)가 삽입되면서 상기 도어(110)가 닫히게 되고 동시에 잠기게 된다.
이후 도 4의 (d)와 같이 닫힘 및 잠금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어(110)를 개방하고자 하면, 작업자가 상기 개폐제어봉(117)을 잡고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탄성스프링(117b)이 수축하면서 상기 개폐제어봉(117)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롤러(115)가 상기 잠금홀(127)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평방향(좌측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롤러(115)가 상기 경사돌기(125)의 경사면을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가 개방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닫이 구조를 가지며 출입문을 닫음과 동시에 잠금이 실행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별도의 자물쇠나 잠금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출입문의 열고 닫음을 용이하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도어 120 : 문틀
112 : 구동롤러 115 : 유동롤러
117 ; 개폐제어봉

Claims (4)

  1.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에 있어서:
    복수의 수직지지봉들이 구비된 일정형상의 도어와;
    안내레일이 각각 형성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가지는 문틀과;
    상기 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구동롤러들과;
    상기 도어의 닫힘시에 도어의 상부측에 구비된 유동롤러가 상기 문틀에 구비되는 잠금홀에 삽입되도록 하여 자동잠금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안내레일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경사돌기와;
    상기 경사돌기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잠금홀과;
    상기 도어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시에 상기 경사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잠금홀에 삽입되고,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잠금홀에서 이탈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안내레일과는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유동롤러와;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들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며, 상단에는 상기 유동롤러가 고정되고, 내부에는 탄성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수축이완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제어봉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제어봉은 상기 도어의 상단에 구비되는 도어의 상단프레임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제어봉은, 도어의 닫힘시에는, 상기 유동롤러가 상기 경사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이 수축되도록 하고 상기 잠금홀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스프링의 이완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동롤러가 상기 잠금홀에 삽입되도록 하고, 도어의 개방시에는 외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이 수축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동롤러가 상기 잠금홀에서 이탈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KR1020140133006A 2014-10-02 2014-10-02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KR10164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006A KR101642051B1 (ko) 2014-10-02 2014-10-02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006A KR101642051B1 (ko) 2014-10-02 2014-10-02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832A true KR20160039832A (ko) 2016-04-12
KR101642051B1 KR101642051B1 (ko) 2016-07-22

Family

ID=5580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006A KR101642051B1 (ko) 2014-10-02 2014-10-02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407B1 (ko) * 2018-01-31 2019-03-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의 역진입 방지 및 다개체 진입 방지용 게이트
KR20210071782A (ko)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앤호스 마방의 환기를 위한 창호의 시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53U (ko) 2019-03-20 2020-10-05 장희정 말 먹이통 거치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926B1 (ko) * 2000-12-21 2003-12-24 김삼홍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KR200448809Y1 (ko) * 2009-10-16 2010-05-24 김용수 마구간 문
JP3161387U (ja) * 2010-05-18 2010-07-29 坪井 信行 引き戸の制動装置
JP2010270454A (ja) * 2009-05-19 2010-12-02 Jakuetsu Kankyo Jigyo:Kk 引戸装置
KR101180103B1 (ko) 2011-11-18 2012-09-14 씨아이에스에이치 (주) 이동 조립식 마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926B1 (ko) * 2000-12-21 2003-12-24 김삼홍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JP2010270454A (ja) * 2009-05-19 2010-12-02 Jakuetsu Kankyo Jigyo:Kk 引戸装置
KR200448809Y1 (ko) * 2009-10-16 2010-05-24 김용수 마구간 문
JP3161387U (ja) * 2010-05-18 2010-07-29 坪井 信行 引き戸の制動装置
KR101180103B1 (ko) 2011-11-18 2012-09-14 씨아이에스에이치 (주) 이동 조립식 마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407B1 (ko) * 2018-01-31 2019-03-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의 역진입 방지 및 다개체 진입 방지용 게이트
KR20210071782A (ko)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앤호스 마방의 환기를 위한 창호의 시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051B1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584288U (zh) 可变宽度安全门装置
KR101642051B1 (ko)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KR20170054590A (ko) 댐퍼 내장형 3연동 도어
CN102317561B (zh) 移动体的移动装置
US20190031468A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CA3088482A1 (en) Means for securing against operating errors for leaves of a window or door that can be slid together
KR101755219B1 (ko) 무인 택배 보관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의 수동 개방장치
KR101020615B1 (ko) 안전도어 및 안전바 동시 잠금장치
KR101774542B1 (ko)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DE102015211980B4 (de)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 ein- oder mehrteiliges Tor
KR101579956B1 (ko) 물탱크용 맨홀
ES2930277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bloqueo para una hoja corredera
US11390491B2 (en) Device for unlocking a landing door
DE102017208711A1 (de) Sektionaltor, umfassend eine Tür und eine passive mechanische Sicherheitsvorrichtung, welche darauf abzielt, das Öffnen der Tür in geöffneter Position des Torflügels eines solchen Tors zu verhindern und/oder zu begrenzen.
EP3918158B1 (en) Clos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and window and door
KR200483169Y1 (ko)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JP6480232B2 (ja) 網戸付きサッシ
KR20080003141U (ko) 방충겸용 방범문의 프레임 유격 조절 구조
KR20130136665A (ko) 폴딩도어용 경첩
KR102668807B1 (ko) 방충망인출용이장치
CN104790862B (zh) 一种具有先启机构的自动开关锁及开关门的多扇门
KR20210002729U (ko) 도어 부분 개폐 장치
RU180737U1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KR101195923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US1420969A (en) Ca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