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763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763A
KR20160039763A KR1020140132646A KR20140132646A KR20160039763A KR 20160039763 A KR20160039763 A KR 20160039763A KR 1020140132646 A KR1020140132646 A KR 1020140132646A KR 20140132646 A KR20140132646 A KR 20140132646A KR 20160039763 A KR20160039763 A KR 2016003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line
sub
pixel electrod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000B1 (ko
Inventor
김재원
박형준
이성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000B1/ko
Priority to US14/854,621 priority patent/US9818354B2/en
Publication of KR2016003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4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having more than one switching element per pix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0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76Supplementary capacities in pixels having special driving circuits and electrodes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common electrode or ground; Use of additional capacitively coupled compensatio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선, 데이터선, 그리고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인가하는 제1 기준 전압선 및 제2 기준 전압선, 하나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부를 가지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은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공통 전극의 상기 절개부와 중첩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중에서도,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 분자의 장축을 표시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한 수직 배향 방식(vertically aligned mode)의 액정 표시 장치가 대비비가 크고 기준 시야각이 넓어서 각광받고 있다. 여기에서 기준 시야각이란 대비비가 1:10인 시야각 또는 계조간 휘도 반전 한계 각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측면 시인성을 정면 시인성에 가깝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화소를 두 개의 부화소로 분할하고, 어느 한 화소의 전압을 낮춰, 두 개의 부화소의 전압을 다르게 함으로써 투과율을 다르게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처럼, 하나의 화소를 두 개의 부화소로 분할하고, 어느 한 화소의 전압을 낮춰 두 개의 부화소 전압을 다르게 하는 경우, 저계조에서 정면에 비하여 측면의 휘도가 높아져서 저계조 영역에서 정확한 계조 표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전체적인 휘도가 인가되는 화소 전압에 비하여 저하되어, 구동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각 화소 영역에 공통 전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신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두 개의 신호 배선에 의하여, 개구율이 감소할 수 있고, 각 화소 영역에 공통 전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신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두 개의 신호 배선이 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면적이 변화하게 되면, 이에 따라, 화소 전압의 크기도 함께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측면 시인성을 정면 시인성에 가깝게 하면서도, 저계조 영역에서 정확한 계조 표현이 가능하고,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비하여,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신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두 개의 신호 배선에 의하여, 개구율이 감소하는 것과 화소 전압의 크기가 변동되는 것을 모두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인가하는 제1 기준 전압선 및 제2 기준 전압선, 하나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 상기 게이트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제1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게이트선, 상기 제1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게이트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부를 가지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은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공통 전극의 상기 절개부와 중첩한다.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공통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는 상기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보다 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의 크기는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은 통판 부분과 상기 통판 부분으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복수의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전극의 절개부는 상기 통판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의 절개부는 십자형 절개부이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공통 전극의 상기 십자형 절개부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통판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 중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기준 전압선에 인가되는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은 상기 공통 전압에 대해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프레임 별로 극성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인가하는 제1 기준 전압선 및 제2 기준 전압선, 하나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 상기 게이트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제1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게이트선, 상기 제1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게이트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은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은 통판 부분과 상기 통판 부분으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복수의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통판 부분과 중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측면 시인성을 정면 시인성에 가깝게 하면서도, 저계조 영역에서 정확한 계조 표현이 가능하고,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비하여,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신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두 개의 신호 배선에 의하여, 개구율이 감소하는 것과 화소 전압의 크기가 변동되는 것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인접한 복수의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 화소의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 화소의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 배선을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6은 프레임 별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화소 영역의 전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전압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선 및 화소의 배치와 그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인접한 복수의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그리고 제6 화소(PX6)을 포함한다.
신호선(Gi, Dj, Dj+1, Dj+2, Dj+3, Dj+4, Dj+5, C1, C2)은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게이트선(Gi),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j, Dj+1, Dj+2, Dj+3, Dj+4, Dj+5), 그리고 소정의 기준 전압을 전달하는 제1 기준 전압선(C1)과 제2 기준 전압선(C2)을 포함한다.
제1 기준 전압선(C1)과 제2 기준 전압선(C2)에는 일정한 크기의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제1 기준 전압선(C1)과 제2 기준 전압선(C2)의 극성은 서로 다르다. 또한,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은 프레임 별로 극성이 변화한다. 예를 들어, 공통 전압의 크기가 약 7.5V인 경우, 제1 기준 전압은 프레임 별로 약 15V 또는 약 0V의 값을 가지고, 제2 기준 전압은 이와 반대로 약 0V 또는 약 15V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은 데이터 전압에 인가되는 최대 값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이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양의 극성을 가지는 경우,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과 공통 전압의 값의 차이는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이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음의 극성을 가지는 경우,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과 공통 전압의 값의 차이와 다를 수도 있다.
제1 화소(PX1)는 게이트선(Gi), 제1 데이터선(Dj), 제1 기준 전압선(C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기준 전압선(C1), 그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Qa), 제2 스위칭 소자(Qc), 제3 스위칭 소자(Qc), 제1 액정 축전기(Clca), 그리고 제2 액정 축전기(Clcb)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각각 게이트선(Gi) 및 제1 데이터선(Dj)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위칭 소자(Qc)는 게이트선(Gi), 제1 기준 전압선(C1) 및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써, 그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1 데이터선(Dj)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는 제1 액정 축전기(Clca) 및 제3 스위칭 소자(Qc)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스위칭 소자(Qb)의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스위칭 소자(Qc) 역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1 기준 전압선(C1)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와 연결되어 있다.
제2 화소(PX2)는 게이트선(Gi), 제2 데이터선(Dj+1), 제2 기준 전압선(C2), 그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Qa), 제2 스위칭 소자(Qc), 제3 스위칭 소자(Qc), 제1 액정 축전기(Clca), 그리고 제2 액정 축전기(Clcb)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각각 게이트선(Gi) 및 제2 데이터선(Dj+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위칭 소자(Qc)는 게이트선(Gi), 제2 기준 전압선(C2) 및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써, 그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2 데이터선(Dj+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는 제1 액정 축전기(Clca) 및 제3 스위칭 소자(Qc)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스위칭 소자(Qb)의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스위칭 소자(Qc) 역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2 기준 전압선(C2)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와 연결되어 있다.
제3 화소(PX3)는 게이트선(Gi), 제3 데이터선(Dj+2), 제1 기준 전압선(C1), 그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Qa), 제2 스위칭 소자(Qc), 제3 스위칭 소자(Qc), 제1 액정 축전기(Clca), 그리고 제2 액정 축전기(Clcb)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각각 게이트선(Gi) 및 제3 데이터선(Dj+2)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위칭 소자(Qc)는 게이트선(Gi), 제1 기준 전압선(C1) 및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써, 그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3 데이터선(Dj+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는 제1 액정 축전기(Clca) 및 제3 스위칭 소자(Qc)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스위칭 소자(Qb)의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스위칭 소자(Qc) 역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1 기준 전압선(C1)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와 연결되어 있다.
제4 화소(PX4)는 게이트선(Gi), 제4 데이터선(Dj+3), 제2 기준 전압선(C2), 그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Qa), 제2 스위칭 소자(Qc), 제3 스위칭 소자(Qc), 제1 액정 축전기(Clca), 그리고 제2 액정 축전기(Clcb)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각각 게이트선(Gi) 및 제4 데이터선(Dj+3)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위칭 소자(Qc)는 게이트선(Gi), 제2 기준 전압선(C2) 및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써, 그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4 데이터선(Dj+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는 제1 액정 축전기(Clca) 및 제3 스위칭 소자(Qc)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스위칭 소자(Qb)의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스위칭 소자(Qc) 역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2 기준 전압선(C2)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와 연결되어 있다.
제5 화소(PX5)는 게이트선(Gi), 제5 데이터선(Dj+4), 제1 기준 전압선(C1), 그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Qa), 제2 스위칭 소자(Qc), 제3 스위칭 소자(Qc), 제1 액정 축전기(Clca), 그리고 제2 액정 축전기(Clcb)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각각 게이트선(Gi) 및 제5 데이터선(Dj+4)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위칭 소자(Qc)는 게이트선(Gi), 제1 기준 전압선(C1) 및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써, 그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5 데이터선(Dj+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는 제1 액정 축전기(Clca) 및 제3 스위칭 소자(Qc)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스위칭 소자(Qb)의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스위칭 소자(Qc) 역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1 기준 전압선(C1)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와 연결되어 있다.
제6 화소(PX6)는 게이트선(Gi), 제6 데이터선(Dj+5), 제2 기준 전압선(C2), 그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Qa), 제2 스위칭 소자(Qc), 제3 스위칭 소자(Qc), 제1 액정 축전기(Clca), 그리고 제2 액정 축전기(Clcb)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각각 게이트선(Gi) 및 제6 데이터선(Dj+5)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위칭 소자(Qc)는 게이트선(Gi), 제2 기준 전압선(C2) 및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써, 그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6 데이터선(Dj+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는 제1 액정 축전기(Clca) 및 제3 스위칭 소자(Qc)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스위칭 소자(Qb)의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스위칭 소자(Qc) 역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는 제2 기준 전압선(C2)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와 연결되어 있다.
제1 기준 전압선(C1)과 제2 기준 전압선(C2)은 데이터선(Dj, Dj+1, Dj+2, Dj+3, Dj+4, Dj+5)과 나란하게 뻗어 있으며, 세 개의 데이터선마다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선(Gi)에 게이트 온 신호가 인가되면, 이에 연결된 여섯 개의 화소(PX1, PX2, PX3, PX4, PX5, PX6)의 제1 스위칭 소자(Qa), 제2 스위칭 소자(Qb), 그리고 제3 스위칭 소자(Qc)가 턴 온 된다. 이에 따라, 제1 데이터선(Dj)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턴 온 된 제1 화소(PX1)의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를 통해 각각 제1 화소(PX1)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한 단자에 인가되고, 제2 데이터선(Dj+1)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턴 온 된 제2 화소(PX2)의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를 통해 각각 제2 화소(PX2)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한 단자에 인가되고, 제3 데이터선(Dj+2)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턴 온 된 제3 화소(PX3)의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를 통해 각각 제3 화소(PX3)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한 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제4 데이터선(Dj+3)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턴 온 된 제4 화소(PX4)의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를 통해 각각 제4 화소(PX4)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한 단자에 인가되고, 제5 데이터선(Dj+4)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턴 온 된 제5 화소(PX5)의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를 통해 각각 제5 화소(PX5)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한 단자에 인가되고, 제6 데이터선(Dj+5)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턴 온 된 제6 화소(PX6)의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를 통해 각각 제6 화소(PX6)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한 단자에 인가된다.
이 때, 제1 화소(PX1)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는 동일한 전압으로 충전되고, 제2 화소(PX2)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는 동일한 전압으로 충전되고, 제3 화소(PX3)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는 동일한 전압으로 충전된다. 또한, 제4 화소(PX4)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는 동일한 전압으로 충전되고, 제5 화소(PX5)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는 동일한 전압으로 충전되고, 제6 화소(PX6)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와 제2 액정 축전기(Clcb)는 동일한 전압으로 충전된다.
이와 동시에, 제1 화소(PX1), 제3 화소(PX3), 그리고 제5 화소(PX5)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의 한 단자는 제3 스위칭 소자(Qc)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제3 스위칭 소자(Qc)를 통해, 제1 기준 전압선(C1)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에 의하여 승압된다. 이때, 제1 기준 전압선(C1)에 인가되는 제1 기준 전압은 제1 데이터선(Dj), 제3 데이터선(Dj+2), 그리고 제5 데이터선(Dj+4)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고, 제1 데이터선(Dj), 제3 데이터선(Dj+2), 그리고 제5 데이터선(Dj+4)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제3 스위칭 소자(Qc)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1 기준 전압선(C1)의 전압이 분압되어, 제1 액정 축전기(Clca)에 충전되는 전압은 제1 데이터선(Dj), 제3 데이터선(Dj+2), 그리고 제5 데이터선(Dj+4)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보다 높은 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제2 화소(PX2), 제4 화소(PX4), 그리고 제6 화소(PX6)의 제1 액정 축전기(Clca)의 한 단자는 제3 스위칭 소자(Qc)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제3 스위칭 소자(Qc)를 통해, 제2 기준 전압선(C2)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에 의하여 승압된다. 이때, 제2 기준 전압선(C2)에 인가되는 제2 기준 전압은 제2 데이터선(Dj+1), 제4 데이터선(Dj+3), 그리고 제6 데이터선(Dj+5)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고, 제2 데이터선(Dj+1), 제4 데이터선(Dj+3), 그리고 제6 데이터선(Dj+5)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제3 스위칭 소자(Qc)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기준 전압선(C2)의 전압이 분압되어, 제1 액정 축전기(Clca)에 충전되는 전압은 제2 데이터선(Dj+1), 제4 데이터선(Dj+3), 그리고 제6 데이터선(Dj+5)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보다 높은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액정 축전기(Clca)에 충전된 전압과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충전된 전압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제1 액정 축전기(Clca)에 충전된 전압과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충전된 전압이 서로 다르므로 제1 부화소와 제2 부화소에서 액정 분자들이 기울어지는 각도가 다르게 되고, 이에 따라 두 부화소의 휘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제1 액정 축전기(Clca)에 충전되는 전압과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충전되는 전압을 적절히 조절하면 측면에서 바라보는 영상이 정면에서 바라보는 영상에 최대한 가깝게 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 화소의 배치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 화소의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 배선을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제1 표시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기판(110) 위에 게이트선(121), 유지 전극선(131), 제1 기준 전압선(131a), 제2 기준 전압선(131b)를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제1 게이트 전극(124a), 제2 게이트 전극(124b) 및 제3 게이트 전극(124c)을 포함한다.
제1 기준 전압선(131a)은 제1 확장부(132a)를 포함하고, 제2 기준 전압선(131b)은 제2 확장부(132b)를 포함한다.
제1 기준 전압선(131a)은 데이터선(171)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1 연결부(133a)를 포함하고, 제2 기준 전압선(131b)은 데이터선(171)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2 연결부(133b)를 포함한다.
화소 열 방향을 따라서, 제1 기준 전압선(131a)의 제1 연결부(133a)와 일렬로 뻗어 있는 제3 연결부(134a)는 제3 확장부(135a)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화소 열 방향을 따라서, 제2 기준 전압선(131b)의 제2 연결부(133b)와 일렬로 뻗어 있는 제4 연결부(134b)는 제4 확장부(135b)를 포함한다.
제1 기준 전압선(131a)의 제1 연결부(133a)와 제3 연결부(134a)의 제3 확장부(135a)는 뒤에서 설명할 제1 연결 다리(196a)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2 기준 전압선(131b)의 제2 연결부(133b)와 제4 연결부(134b)의 제4 확장부(135b)는 뒤에서 설명할 제2 연결 다리(196b)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화소 열 방향으로 따라 인접한 두 개의 화소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133a)와 제3 연결부(134a)는 서로 연결되고, 화소 열 방향으로 따라 인접한 두 개의 화소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133b)와 제4 연결부(134b)는 서로 연결된다.
제1 기준 전압선(131a)과 연결되어 제1 기준 전압을 인가 받는 제1 연결부(133a)와 제3 연결부(134a), 그리고 제2 기준 전압선(131b)과 연결되어 제2 기준 전압을 인가 받는 제2 연결부(133b)와 제4 연결부(134b)는 세 개의 화소마다 하나씩 위치한다.
게이트 도전체(121, 131, 131a, 131b)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154a), 제2 반도체(154b), 그리고 제3 반도체(154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반도체(154a), 제2 반도체(154b), 그리고 제3 반도체(154c)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165a, 163c, 165c)가 위치한다. 반도체(154a, 154b, 154c)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반도체(154a, 154b, 154c)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저항성 접촉 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165a, 163c, 165c)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소스 전극(173a)과 제2 소스 전극(173b)을 포함하는 데이터선(171), 제3 소스 전극(173c), 제1 드레인 전극(175a), 제2 드레인 전극(175b), 그리고 제3 드레인 전극(175c), 제1 기준 전압선(172a) 및 제2 기준 전압선(172b)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제3 드레인 전극(175c)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기준 전압선(172a) 및 제2 기준 전압선(172b)은 데이터선(171)과 나란하게 뻗으며, 세 개의 화소 마다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교대로 배치된다.
데이터 도전체(171, 172a, 172b, 173a, 173b, 173c, 175a, 175b, 175c) 위에는 보호막(passivation layer)(180)이 위치한다. 보호막(180)은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막(180)에는 제1 드레인 전극(175a)의 일부를 드러내는 제1 접촉 구멍(185a), 제2 드레인 전극(175b)의 일부를 드러내는 제2 접촉 구멍(185b)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과 보호막(180)에는 제1 기준 전압선(172a)과 제1 기준 전압선(131a)의 제1 확장부(132a), 그리고 제3 소스 전극(173a)을 함께 드러내는 제3 접촉 구멍(186a), 그리고 제2 기준 전압선(172b)과 제2 기준 전압선(131b)의 제2 확장부(132b), 그리고 제3 소스 전극(173a)을 함께 드러내는 제4 접촉 구멍(18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40)과 보호막(180)에는 제3 연결부(134a)의 제3 확장부(135a)를 드러내는 제5 접촉 구멍(187a)과 제4 연결부(134b)의 제4 확장부(135b)를 드러내는 제6 접촉 구멍(187b)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 그리고 제1 연결 다리(196a) 및 제2 연결 다리(196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191a)은 제1 접촉 구멍(185a)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제2 접촉 구멍(185b)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게이트선(1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게이트선(121)을 중심으로 화소 영역의 위와 아래에 위치하여 열 방향으로 이웃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마름모 형태를 가지는 판형 부분(193)과 판형 부분(193)으로부터 서로 다른 네 방향으로 뻗어 나와 있는 복수의 가지 전극(194)을 포함한다. 복수의 가지 전극(194)은 오른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부분,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부분, 오른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부분, 그리고 왼쪽 아래 방향으로 뻗어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처럼, 복수의 가지 전극(194)이 뻗어 있는 방향이 서로 다른 부분에서 액정층(3)의 액정 분자가 기울어지는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액정 분자가 기울어지는 방향이 서로 다른 네 개의 도메인이 액정층(3)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액정 분자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다양하게 하면 액정 표시 장치의 기준 시야각이 커진다.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마름모 형태를 가지는 판형 부분(193)과 판형 부분(193)으로부터 서로 다른 네 방향으로 뻗어 나와 있는 복수의 가지 전극(194)에 의하여 복수의 부영역으로 구분된다.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면적은 상기 제1 부화소 전극(191a)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다른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기준 전압선(131a) 및 제2 기준 전압선(131b)의 연결부(133a, 133b, 134a, 134b)는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판형 부분(193)과 중첩하고,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연결부(133a, 133b, 134a, 134b)가 중첩하는 면적과 제2 부화소 전극(191b)과 연결부(133a, 133b, 134a, 134b)가 중첩하는 면적은 서로 같다.
제1 연결 다리(196a)는 제3 접촉 구멍(186a)과 제5 접촉 구멍(187a) 위에 형성되어, 제1 기준 전압선(131a)의 제1 확장부(132a) 및 제3 소스 전극(173a)을 서로 연결하고, 제1 기준 전압선(131a) 및 제3 연결부(134a)를 서로 연결한다.
제2 연결 다리(196b)는 제4 접촉 구멍(186b)과 제6 접촉 구멍(187b) 위에 형성되어, 제2 기준 전압선(131b)의 제2 확장부(132b) 및 제3 소스 전극(173a)을 서로 연결하고, 제2 기준 전압선(131b) 및 제4 연결부(134b)를 서로 연결한다.
제1 게이트 전극(124a), 제1 반도체(154a),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제1 스위칭 소자(Qa)를 이루고, 제2 게이트 전극(124b), 제2 반도체(154b), 제2 소스 전극(173b)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제2 스위칭 소자(Qb)를 이루고, 제3 게이트 전극(124c), 제3 반도체(154c),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은 제3 스위칭 소자(Qc)를 이룬다.
이제 제2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기판(210) 위에 차광 부재(light blocking member)(220)가 위치한다. 차광 부재(220)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라고도 하며 빛샘을 막아준다. 제2 기판(21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복수의 색필터(230)가 위치한다. 색필터(230) 위에는 덮개막(250)이 위치한다. 덮개막(250)은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색필터(230)로부터 유입되는 용제(solvent)와 같은 유기물에 의한 액정층(3)의 오염을 억제하여 화면 구동 시 초래할 수 있는 잔상과 같은 불량을 방지하며, 생략 가능하다. 덮개막(25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차광 부재(220)와 색필터(230)는 제2 표시판(200)에 위치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차광 부재(220) 및 색필터(230)는 제1 표시판(100)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판(100)의 보호막(180) 대신 색필터(230)가 위치할 수 있다.
공통 전극(270)은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각 부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선과 나란한 가로 절개부(71)와 데이터선과 나란한 세로 줄기부(72)를 포함하는 십자형 절개부(271)를 가진다.
공통 전극(270)의 십자형 줄기부(271)눈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판형 부분(193)과 중첩한다.
액정 표시 장치를 위에서 바라볼 때, 공통 전극(270)의 십자형 절개부(271)와 화소 전극(191a, 191b)의 복수의 가지 전극(194)에 의하여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각 부영역은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앞서 설명한 제1 기준 전압선(131a)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133a) 및 제3 연결부(134a), 제2 기준 전압선(131b)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133b) 및 제4 연결부(134b)는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판형 부분(193)과 중첩하고, 공통 전극(270)의 십자형 절개부(271)의 세로 줄기부(72)와 중첩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공통 전극(270)은 그 사이의 액정층(3)과 함께 제1 액정 축전기(Clca)를 이루고, 제2 부화소 전극(191b)과 공통 전극(270)은 그 사이의 액정층(3)과 함께 제2 액정 축전기(Clcb)를 이룬다.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에 인가된 전압과 공통 전극(27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에 의해, 액정층(3)에 전기장이 가해지고, 전기장 세기에 따라 액정층(3)의 액정 분자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액정 분자의 방향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휘도가 달라진다.
도 5를 참고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기준 전압을 인가 받는 제1 연결부(133a) 및 제3 연결부(134a), 그리고 제2 기준 전압을 인가 받는 제2 연결부(133b) 및 제4 연결부(134b)는 세 개의 화소마다 하나씩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전압을 인가 받는 제1 연결부(133a) 및 제3 연결부(134a), 그리고 제2 기준 전압을 인가 받는 제2 연결부(133b) 및 제4 연결부(134b)는 여섯 개의 화소(PX1, PX2, PX3, PX4, PX5, PX6) 중 제3 화소(PX3)와 제6 화소(PX6)에 위치한다.
또한, 제1 기준 전압을 인가 받는 제1 연결부(133a) 및 제3 연결부(134a), 그리고 제2 기준 전압을 인가 받는 제2 연결부(133b) 및 제4 연결부(134b)는 데이터선(171)과 나란하게 뻗으며,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판형 부분(193)과 중첩하고, 공통 전극(270)의 십자형 절개부(271)의 세로 줄기부(72)와 중첩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연결부(133a, 133b, 134a, 134b)가 중첩하는 면적과 제2 부화소 전극(191b)과 연결부(133a, 133b, 134a, 134b)가 중첩하는 면적은 서로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선(171)과 나란하게 뻗어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연결부(133a) 및 제3 연결부(134a), 그리고 제2 연결부(133b) 및 제4 연결부(134b)는 공통 전극(270)의 십자형 절개부(271)의 세로 줄기부(72)와 중첩한다. 따라서, 제1 기준 전압선(131a), 제2 기준 전압선(131b)에 연결되어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연결부(133a) 및 제3 연결부(134a), 그리고 제2 연결부(133b) 및 제4 연결부(134b)에 따른 개구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선(171)과 나란하게 뻗어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연결부(133a) 및 제3 연결부(134a), 그리고 제2 연결부(133b) 및 제4 연결부(134b)는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판형 부분(193)과 중첩함으로써, 연결부(133a, 133b, 134a, 134b)와 화소 전극(191a, 191b)이 제조 공정 중 좌우 방향으로 미스 얼라인(mis-aligned)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부(133a, 133b, 134a, 134b)와 화소 전극(191a, 191b)이 서로 중첩하는 면적의 변화는 크지 않다. 또한,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연결부(133a, 133b, 134a, 134b)가 중첩하는 면적과 제2 부화소 전극(191b)과 연결부(133a, 133b, 134a, 134b)가 중첩하는 면적은 서로 같다.
만일 화소 전극(191a, 191b)의 판형 부분(193)이 아니라 가지 전극(194) 또는 화소 전극(191a, 191b)의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경우, 좌우 방향으로 미스 얼라인이 발생할 경우, 연결부(133a, 133b, 134a, 134b)와 화소 전극(191a, 191b)이 서로 중첩하는 면적의 변화가 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선(171)과 나란하게 뻗어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연결부(133a) 및 제3 연결부(134a), 그리고 제2 연결부(133b) 및 제4 연결부(134b)는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판형 부분(193)과 중첩함으로써, 연결부(133a, 133b, 134a, 134b)와 화소 전극(191a, 191b) 사이에 중첩하는 면적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축전 용량의 변화를 방지하여, 화소 전압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별로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의 극성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따라 화소 전압은 변화하지 않는다.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에 대하여 도 6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6은 프레임 별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화소 영역의 전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기준 전압선(131a)에 인가되는 제1 기준 전압(Vc1)은 제1 프레임 동안 약 15V의 값을 가지고, 제2 프레임 동안 약 0V의 값을 가지고, 제3 프레임 동안 약 15V의 값을 가진다. 또한, 제2 기준 전압선(131b)에 인가되는 제2 기준 전압(Vc2)은 제1 프레임 동안 약 0V의 값을 가지고, 제2 프레임 동안 약 15V의 값을 가지고, 제3 프레임 동안 약 0V의 값을 가진다.
이처럼,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기준 전압(Vc1)과 제2 기준 전압(Vc2)이 프레임 별로 극성이 변화하더라도, 각 부화소 전극(191a, 191b)과 제1 기준 전압선(131a) 및 제2 기준 전압선(131b)과 중첩하는 면적은 서로 같기 때문에, 각 부화소 전극(191a, 191b)에 충전되는 전압(Vp)의 크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면,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전압에 따른 투과율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전압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화소 전극을 제1 부화소 전극과 제2 부화소 전극으로 구분한 후, 제2 부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압하여, 제2 부화소 전극의 전압을 입력된 데이터 전압보다 낮게 조절하도록 형성한 경우에서, 제1 부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투과율 변화(H1)와 제2 부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투과율 변화(L1)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화소 전극을 제1 부화소 전극과 제2 부화소 전극으로 구분한 후, 제1 부화소 전극의 전압을 입력된 데이터 전압보다 높게 조절하도록 형성한 경우에서, 제1 부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투과율 변화(H2)와 제2 부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투과율 변화(L2)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데이터선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제1 부화소 전극과 제2 부화소 전극 중 제2 부화소 전극의 전압이 일정한 값만큼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의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예를 들어, 데이터 전압이 약 4V 이하인 경우, 전체 투과율은 제1 부화소 전극(H1)의 투과율에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저계조 영역, 예를 들어, 약 20 그레이(20G) 까지는 투과율의 변화가 거의 없어, 계조 표현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약 20 그레이(20G)부터 약 40 그레이(40G) 영역까지,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투과율 증가율이 커져서, 투과율이 갑자기 상승함으로 인해, 화면이 흰색으로 보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저계조 영역에서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그레이 표현이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계조 영역, 예를 들어, 데이터 전압이 약 6.7V 이상인 경우, 제2 부화소 전극의 전압에 따른 투과율이 감소하게 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투과율은 입력된 데이터 전압에 비하여 낮다. 따라서, 구동 전압에 비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투과율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도 8을 참고하면, 데이터선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제1 부화소 전극과 제2 부화소 전극 중 제1 부화소 전극의 전압이 일정한 값만큼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저계조 영역에서도 인가된 데이터 전압에 따른 투과율 변화가 명확하여, 저계조에서도 그레이 표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계조 영역에서도 인가된 데이터 전압에 따른 투과율의 증가율이 거의 일정하여, 특정 계조에서 투과율이 갑자기 상승함에 따라 화면이 흰색으로 보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계조 영역, 예를 들어, 데이터 전압이 약 6.7V 이상인 경우에도 투과율 감소가 없어,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투과율은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효율이 높아진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측면 시인성을 정면 시인성에 가깝게 하면서도, 저계조 영역에서 정확한 계조 표현이 가능하고,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비하여,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전압과 제2 전압을 전달하는 제1 기준 전압선과 제2 기준 전압선에 의하여, 화소 전압의 크기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기준 전압선과 제2 기준 전압선에 의한 개구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제1 표시판 200: 제2 표시판
121: 게이트선 124a, 124b, 124c: 게이트 전극
131a, 131b: 기준 전압선 133a, 133b, 134a, 134b: 연결부
140: 게이트 절연막 154a, 154b, 154c: 반도체
171: 데이터선 173a, 173b, 173c: 소스 전극
175a, 175b, 175c: 드레인 전극 180: 보호막
191a, 191b: 화소 전극 194: 가지 전극
220: 차광 부재 230: 색필터
270: 공통 전극 271: 절개부

Claims (20)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인가하는 제1 기준 전압선 및 제2 기준 전압선,
    하나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
    상기 게이트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제1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게이트선, 상기 제1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게이트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부를 가지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은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공통 전극의 상기 절개부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공통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는 상기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보다 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의 크기는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의 크기보다 큰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은 통판 부분과 상기 통판 부분으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복수의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전극의 절개부는 상기 통판 부분과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의 절개부는 십자형 절개부이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공통 전극의 상기 십자형 절개부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통판 부분과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 중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기준 전압선에 인가되는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은 상기 공통 전압에 대해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프레임 별로 극성이 변화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3항에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통판 부분과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2항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 중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기준 전압선에 인가되는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은 상기 공통 전압에 대해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프레임 별로 극성이 변화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인가하는 제1 기준 전압선 및 제2 기준 전압선,
    하나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
    상기 게이트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제1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게이트선, 상기 제1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게이트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은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은 통판 부분과 상기 통판 부분으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복수의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통판 부분과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공통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는 상기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보다 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의 크기는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의 크기보다 큰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은 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공통 전극의 상기 절개부는 상기 통판 부분과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의 절개부는 십자형 절개부이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공통 전극의 상기 십자형 절개부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 중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기준 전압선에 인가되는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은 상기 공통 전압에 대해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프레임 별로 극성이 변화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1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은 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공통 전극의 상기 절개부는 상기 통판 부분과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의 절개부는 십자형 절개부이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공통 전극의 상기 십자형 절개부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1항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선 중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기준 전압선에 인가되는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은 상기 공통 전압에 대해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프레임 별로 극성이 변화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40132646A 2014-10-01 2014-10-01 액정 표시 장치 KR10222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646A KR102223000B1 (ko) 2014-10-01 2014-10-01 액정 표시 장치
US14/854,621 US9818354B2 (en) 2014-10-01 2015-09-15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connector overlapping common electrode cuto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646A KR102223000B1 (ko) 2014-10-01 2014-10-01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763A true KR20160039763A (ko) 2016-04-12
KR102223000B1 KR102223000B1 (ko) 2021-03-04

Family

ID=5563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646A KR102223000B1 (ko) 2014-10-01 2014-10-01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18354B2 (ko)
KR (1) KR102223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9419B2 (en) 2019-07-25 2021-08-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875B1 (ko) * 2015-09-01 2022-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285A (ko) * 2012-03-07 2013-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00459A (ko) * 2012-06-22 2014-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40113035A (ko) * 2013-03-15 2014-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7278B2 (ja) 2004-09-29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60128564A (ko) 2005-06-11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3714B1 (ko) 2005-12-0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80475A (ko)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00202A (ko) 2006-06-2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KR20080040478A (ko) 2006-11-03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5049101B2 (ja) 2006-12-21 2012-10-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101595817B1 (ko) 2008-08-22 2016-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00024140A (ko) 2008-08-25 2010-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944482B1 (ko) * 2012-01-18 2019-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구동 방법
US9256106B2 (en) * 2012-02-07 2016-02-09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285A (ko) * 2012-03-07 2013-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00459A (ko) * 2012-06-22 2014-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40113035A (ko) * 2013-03-15 2014-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9419B2 (en) 2019-07-25 2021-08-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98964A1 (en) 2016-04-07
KR102223000B1 (ko) 2021-03-04
US9818354B2 (en)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60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91371B1 (ko) 액정 표시 장치
US75117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66459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60187743A1 (en) Pixel structure of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96649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shielding electrode
US955761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reduced image quality deterioration and an improved viewing angl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0887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61177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69412A (ko) 액정 표시 장치
US84325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side visibility
KR10216431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69087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7926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39763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4224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8900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12721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71772A (ko) 표시 장치
US97862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35372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67301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12001975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7335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60092151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