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558A -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558A
KR20160038558A KR1020140131789A KR20140131789A KR20160038558A KR 20160038558 A KR20160038558 A KR 20160038558A KR 1020140131789 A KR1020140131789 A KR 1020140131789A KR 20140131789 A KR20140131789 A KR 20140131789A KR 20160038558 A KR20160038558 A KR 20160038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illegal
vehicle numb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석
Original Assignee
김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석 filed Critical 김신석
Priority to KR102014013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8558A/ko
Publication of KR2016003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찰 일력의 추가 증원 없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불법 주정차 및 체납, 도난, 수배차량을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단속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분배 처리부와, 차량번호 인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분배 처리부에서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통해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번호인식 처리부와, 불법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중 상기 번호인식 처리부에서 추출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매칭 처리부와, 상기 매칭 처리부의 검사를 통해 매칭된 차량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App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utomobiled Image based Embedded}
본 발명은 보안용 영상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식의 영상저장 장치 및 차량용 번호인식을 위한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0년 하반기부터 미국에선 경찰들이 범인 체포 등 법 집행과정을 의무적으로 녹화해 5년간 기록을 보관해야 하는 규정이 제정되어 음성 및 영상을 저장하는 매체들 시장이 커지게 되었다. 초기 경찰에 납품된 녹화장치들은 음성위주의 녹화장치였으며 후발로 테이프(tape)방식의 영상 녹화장치가 경찰차에 탑재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프 저장방식은 저장용량제한 및 자료보관부피증가 등의 불편한 사항들을 가지고 있다.
이후, 2005년 하반기부터는 경찰차용 DVR를 개발하여 납품을 하지만 저장 방식이 Wavelet 또는 JPEG 방식의 영상압축형태로 저장됨으로써 영상의 압축률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HDD 기반의 제품으로 제작되었으나 HDD 기반의 제품은 그 부피가 크고, 진동 및 흔들림에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추가로 안정성이 고려된 부가장치 등을 구성함으로 인해, 기기의 부피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개발된 경찰차용 DVR 기기는 일부 차량에만 한정하여 기존 시스템을 대체하여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과 같이 경찰들이 범인 체포 등 법 집행과정을 의무적으로 녹화해 보관해야 하는 규정은 없으나, 앞으로 적용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이와 비슷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영상저장 장치로는 버스 운전자의 신상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버스 내에 설치된 보안용 영상저장 장치가 있으며, 이동식 주차단속 및 과속차량 단속 등에서 보안용 영상저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안용 영상저장 장치들은 영상만을 녹화하여 저장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서, 녹화된 영상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불법차량(불법 주정차, 체납 등) 및 범죄차량(도난차량, 수배차량 등)의 번호판 번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FBI 통계를 따르면 미국에서는 연간 20만대의 차량이 도단당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며 해마다 수만 대의 차량이 도난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 차량은 범죄에 사용되기도 하고 해외로 밀수출되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사회 문제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도난차량 및 범죄차량에 대한 검거율은 현저하게 떨어져 있다. 이는 검문소나 불시 검문 등 배치형태의 검문에 따른 문제점으로 경찰의 업무 증가 및 일반 운전자들의 운전방해 등의 불편한 점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보안용 영상저장 장치에서 녹화되어 추출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번호판의 번호를 검출할 수만 있다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개발 중인 보안용 영상저장 장치 및 번호판 판독 장치가 통합형 시스템으로 개발되지 못함에 따라, 보안용 영상저장 장치에서 추출된 영상과 차량의 번호판 번호를 매칭시키기 위해서 경찰들이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그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저장 장치 및 번호판 판독 장치인 두 장비를 따로 구매해야 하므로 경제적 손실은 물론 이동을 위주로 사용되는 장비인 점을 감안할 때, 차지하는 공간의 증가는 매우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주차관제 시스템에서 적용되고 있는 차량 번호인식에 대한 기술은 고정형 형태의 인식기술로 PC타입의 단일 사진촬영 시스템으로 제작되어, 보안용 영상저장 장치와 같은 DSP 동영상처리기 기반의 주행 중인 차량의 번호인식 기술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어서 차량의 번호판 번호의 정확한 검출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경찰 입력의 추가 증원 없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불법 주정차 및 체납, 도난, 수배차량을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단속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행 또는 정차중인 경찰차에서 주행 중인 도난차량, 수배차량, 체납차량을 실시간으로 단속 가능한 기능을 갖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영상저장 장치와 번호판인식을 통합하여 저가형 경찰차량용 영상저장 및 단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분배처리부와, 차량번호 인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분배 처리부에서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통해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번호인식 처리부와, 불법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적정보를 디지털방식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중 상기 번호인식 처리부에서 추출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매칭 처리부와, 상기 매칭 처리부의 검사를 통해 매칭된 차량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칭 처리부의 검사를 통해 매칭된 차량번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 상기 차량번호에 따른 차량의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를 결합하는 영상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결합부는 상기 GPS 모듈을 통해 측정된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불법차량의 차적정보는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불법차량의 차량번호별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불법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DB와,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및 상기 번호인식 처리부에서 추출된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차량번호 정보 DB와, 불법차량의 차량번호별로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차적정보 DB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녹화영상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방법은 불법 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적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수단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이거나 정차중인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번호판 영역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차량번호에 상기 추출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검색되면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경찰 인력의 추가 증원 없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불법 주정차 및 체납, 도난, 수배차량을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단속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경찰이 단속 대상 차량의 위험도 및 불법 사항을 미리 인지하여 적절하게 대응토록 할 수 있어 경찰안전은 물론 교통경찰 업무의 효율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도난차량, 수배차량 및 채납 차량의 검거율 향상으로 인한 국가적 손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범죄 및 사고 발생 시에 빠르고 정확한 사고 진상 규명을 통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모바일 영상저장장치와 번호판 인식을 통합하여 저가형 경찰차량용 영상저장 및 단속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미국 경찰차량에 보급이 가능한 블루오션 시장을 개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의 블록도로서, 카메라(100), 영상분배 처리부(200), 번호인식 처리부(300), 매칭 처리부(400), 영상 결합부(500), 저장부(600), GPS 모듈(700), 표시부(800)로 구성되며, 아울러 송수신부(9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영상분배 처리부(200)는 카메라(1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영상분배 처리부(200)는 번호판을 최대 33msec 이내에 판독할 수 있는 번호판 판독알고리즘을 탑재한 전용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0)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현장영상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와, 번호판 인식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처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0)라 적어도 2개 이상인 경우는 상기 영상 분배 처리부는 복수의 영상을 동시 처리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번호인식 처리부(300)는 차량번호 인식프로그램을 구비하며, 구비된 차량번호 인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분배 처리부(200)에서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통해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이때, 차량번호 인식프로그램은 영상분배 처리부(200)에서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에서 문자부분을 분리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들을 조합하여 문자정보를 최종적으로 인식한다.
매칭 처리부(400)는 저장부(600)에 저장된 도난차량, 수배차량, 체납차량 등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중 상기 번호인식 처리부(300)에서 추출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매칭 처리부(400)의 검사를 통해 저장부(600)에 저장된 차량번호에서 일치되는 차량번호가 검사되면, GPS 모듈(700)을 통해 측정된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함께 검출하여 영상 결합부(500)에 출력한다.
영상 결합부(500)는 상기 매칭 처리부(400)에서 입력되는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와, 영상분배 처리부(200)에서 입력되는 카메라(1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 그리고 상기 차량번호에 따른 차량의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를 결합하여 표시부(800)에 표시한다. 아울러 상기 영상 결합부(500)는 필요에 따라서 음성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함께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영상분배 처리부(200), 번호인식 처리부(300) 및 영상 결합부(500)는 번호판을 최대 33msec 이내에 판독할 수 있는 번호판 판독알고리즘을 탑재한 전용 DSP 보드와 추출한 번호판 영상 및 주위 동영상 압축 및 복원을 할 수 있는 임베디드 기반의 보드를 통합한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600)는 디지털 방식의 영상 저장 장치로서, 메모리 카드(CF, SD, MS, MMC, SMC), USB 메모리 및 광 기록매체(CD, DVD) 등 휴대 가능한 메모리 수단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불법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DB(612),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및 번호인식 처리부(300)에서 추출된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차량번호 정보 DB(614), 불법차량의 차량번호별로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차적정보 DB(616)로 구성된 보안정보 데이터베이스(DB)(610)와, 상기 영상 결합부(500)에서 생성된 결합영상을 저장하는 녹화영상 데이터베이스(DB)(620)로 구성된다. 이때, 녹화영상 데이터베이스(620)는 압축률이 우수한 MPEG-4방식을 채용하여, 이미지당 2~3 KB의 작은 크기의 디지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800)는 도 3과 같이 상기 영상 결합부(500)에서 결합된 영상을 기반으로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제공창(820)과, 카메라(1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제공창(810)과, 상기 차량번호에 따른 차량의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를 표시하는 차적 정보창(8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 제공창(810)은 저장부(620)내의 녹화영상 DB(620)에 저장된 녹화영상이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부(800)를 터치패드로 구성함으로써 되감기, 재생, 빠른 재생, 일시정지, 정지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평상시에는 카메라(100)로 촬영되어 녹화영상 DB(620)에 저장되는 녹화영상을 실시간으로 재생한다.
한편, 송수신부(900)는 저장부(600)에 저장되는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 등의 불법차량의 차적정보를 경찰청 서버 또는 경찰센터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또한 상기 영상 결합부(500)에서 생성되어 저장된 녹화영상을 경찰청 서버 또는 경찰센터 서버로 전송한다. 이처럼, 상기 송수신부(9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경찰청 서버 또는 경찰센터 서버와 원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설비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저장부(600)인 메모리 카드(CF, SD, MS, MMC, SMC), USB 메모리 및 광 기록매체(CD, DVD) 등과 같은 이동 및 휴대 가능한 저장매체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송수신부(900)가 메모리 카드(CF, SD, MS, MMC, SMC), USB 메모리 및 광 기록매체(CD, DVD) 등과 같은 이동 및 휴대 가능한 저장매체를 장착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인 경우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는 휴대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경찰청 서버 또는 경찰센터 서버에서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불법 내용 및 운전자 정보 등 불법차량의 차적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송수신부(900)에 삽입하여 연결시킴으로써 해당 정보를 휴대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 저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경찰청 서버 또는 경찰센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도난차량, 수배차량, 체납차량 등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 등 차적정보를 저장부(60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600)에 상기 정보들을 저장하는 방법은 2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로, 송수신부(900)가 원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설비인 경우, 상기 송수신부(9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찰청 서버 또는 경찰센터 서버에 불법차량의 차적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경찰청 서버 또는 경찰센터 서버는 상기 요청한 송수신부(900)로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된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렇게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부(900)로 수신되는 정보는 저장부(600)에 저장된다.
둘째로, 송수신부(900)가 메모리 카드(CF, SD, MS, MMC, SMC), USB 메모리, 광 기록매체(CD, DVD) 등과 같은 이동 및 휴대 가능한 저장매체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포트, 드라이버)인 경우, 사용자는 경찰청 서버 또는 경찰센터 서버에 구비된 연결 인터페이스(포트, 드라이버)에 상기 저장매체를 삽입하여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된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 등의 차적정보를 상기 저장매체로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이렇게 해당 정보가 다운로드된 저장매체를 송수신부(900)에 삽입하여 연결시켜 저장매체에 저장된 불법차량의 차적정보를 저장부(600)에 저장한다. 참고로 상기 저장부(600)는 별도의 저장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를 업로드하여 다시 저장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저장매체를 상기 불법차량의 차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600)로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저장부(600)에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가 저장된 후에, 경찰차 등 이동수단에 탑재된 카메라(100)를 이용하여 주행 중이거나 정차중인 차량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영상과 함께 음성신호도 함께 입력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는 음성신호에 따른 내용은 생략하고 있지만,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영상분배 처리부(200)를 통해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처리되는 번호판 영역의 인식은 여러 가지 방법들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로서, 차량 영상에서 수평 및 수직 에지 영상을 검지하고 에지로 나타나는 직사각형을 후보 영역으로 설정하여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는 수평/수직 에지 방식과, 번호판 영역의 명암도 변화를 이용한 방식과, 기준 원형 집합을 차량 영상에 적용하여 번호판 영역을 찾는 템플릿을 이용한 방식과, RGB 및 HIS 색상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과, 허프 변환을 이용하여 수직 직선군과 수평 직선군을 탐색하여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는 허프 변환을 이용한 방식과, 투영에 의해 추출되기 어려운 기울어진 번호판의 추출이 가능한 run-length를 이용한 방식 등이 있다. 아울러, 보다 정확한 번호판 영역의 검출을 위해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검출된 번호판 영역에 기울기 보정, 음영 및 잡음 제거 등의 전처리를 추가로 수행한다.
이처럼 상기 영상분배 처리부(200)는 위와 같은 종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게 된다. 이는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번호인식 처리부(300)내에 구비된 차량번호 인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번호판 영역 영상에서 문자부분을 분리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들을 조합하여 문자정보를 최종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차량번호를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된 불법차량의 차량번호와 비교 검색하여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검색되면 GPS 모듈(700)을 통해 측정된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와 함께 영상 결합부(500)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영상 결합부(500)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과 함께, 상기 검색된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 그리고 상기 차량번호에 따른 차량의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를 결합한다. 그리고 결합된 영상은 저장부(60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GPS 모듈(700)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경우는 불법주차 단속을 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즉, 불법주차 단속의 경우 최초 불법주차 차량이 발견되면, 일정시간이 지나도록 동일한 위치에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 1차로 딱지를 발급하고, 딱지 발급시간으로부터 다시 일정시간이 지나도록 동일한 위치에 계속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는 견인조치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GPS 모듈(700)을 통해 현재 불법 주차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동일한 위치에 일정시간 계속 주차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영상 결합부(500)에서 결합되어 저장된 영상 및 차량번호, 위치정보,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들은 실시간으로 표시부(800)에 표시되게 된다.
상기 표시부(800)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카메라(100)가 탑재된 경찰차 등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하면서 주행 중이거나 정차중인 차량의 영상을 단순한 촬영만으로도 도난, 범죄, 단속을 필요로 하는 불법차량의 실시간 검출은 물론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교통경찰 업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차량, 수배차량 및 체납차량의 검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카메라 200 : 영상분배처리부 300 : 번호인식처리부
400 : 매칭처리부 500 : 영상결합부 600 : 저장부
610 : 보안정보DB 612 : 위치정보 DB 614 : 차량번호정보DB
616 : 차적정보DB 620 : 녹화영상DB 700 : GPS모듈
800 : 표시부 810 : 영상제공장치 820 : 정보제공창
830 : 차적정보창 900 : 송수신부

Claims (6)

  1.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분배처리부와,
    차량번호 인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분배 처리부에서 인식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통해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번호인식 처리부와,
    불법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적정보를 디지털방식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중 상기 번호인식 처리부에서 추출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매칭 처리부와,
    상기 매칭 처리부의 검사를 통해 매칭된 차량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처리부의 검사를 통해 매칭된 차량번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 상기 차량번호에 따른 차량의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를 결합하는 영상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결합부는 상기 GPS 모듈을 통해 측정된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불법차량의 차적정보는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불법차량의 차량번호별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5. 제 1 항 및 제 2 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불법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DB와,
    불법차량의 차량번호 및 상기 번호인식 처리부에서 추출된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차량번호 정보 DB와,
    불법차량의 차량번호별로 불법내용 및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차적정보 DB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녹화영상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6. 불법 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적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수단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이거나 정차중인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영상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번호판 영역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차량번호에 상기 추출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검색되면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방법.
KR1020140131789A 2014-09-30 2014-09-30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KR20160038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789A KR20160038558A (ko) 2014-09-30 2014-09-30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789A KR20160038558A (ko) 2014-09-30 2014-09-30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558A true KR20160038558A (ko) 2016-04-07

Family

ID=5578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789A KR20160038558A (ko) 2014-09-30 2014-09-30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85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2867A (zh) * 2017-11-08 2018-03-30 泰华智慧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进行初次入城车辆分析的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2867A (zh) * 2017-11-08 2018-03-30 泰华智慧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进行初次入城车辆分析的方法及系统
CN107862867B (zh) * 2017-11-08 2019-08-27 泰华智慧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进行初次入城车辆分析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37450U (zh) 多功能行车记录仪
KR101709521B1 (ko) 무인 스마트카를 이용한 공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20061079A (ja) 交通違反車両識別システム、サーバ、及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KR101057882B1 (ko) 휴대용 불법단속 및 교통위반단속 시스템
KR101428011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차량 인식정보 통합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73554A (ko)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0948382B1 (ko) 방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92473B1 (ko) 사용자 기반 상황 인지형 씨씨티비 통합관제시스템
CN105046966A (zh) 即停即离区域的违章停车行为自动检测系统和方法
KR102029128B1 (ko) 운전자간 블랙박스 사고영상을 상호교환하기 위한 iot 플랫폼 및 그 구현 방법
KR101621822B1 (ko) 하이브리드 이미지 전송 기반의 방범겸용 차량번호 인식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및 제공 방법
CN111696364A (zh) 一种路侧停车管理方法
KR101525151B1 (ko)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066081B1 (ko) 차량 탑재형 스마트 정보 판독 시스템 및 방법
CN111798667A (zh) 非机动车的监控方法、监控服务器及监控系统、存储介质
KR101494514B1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 탐지 시스템
JP2006202000A (ja) 車両監視方法及び特定文字パターン認識装置及び車両監視システム
KR20100033331A (ko)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045300B1 (ko)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차량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9247B1 (ko) 차량단속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3894B1 (ko) 수배차량의 추적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8558A (ko) 임베디드 기반의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KR102032828B1 (ko) 사건 사고 차량 정보 수집을 위한 지능형 블랙박스 영상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395803B1 (ko)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단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