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471A - Crash cush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Crash cush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471A
KR20160038471A KR1020140131608A KR20140131608A KR20160038471A KR 20160038471 A KR20160038471 A KR 20160038471A KR 1020140131608 A KR1020140131608 A KR 1020140131608A KR 20140131608 A KR20140131608 A KR 20140131608A KR 20160038471 A KR20160038471 A KR 20160038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wire
friction
friction pan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0836B1 (en
Inventor
황용순
김건태
신원현
남경우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836B1/en
Publication of KR2016003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8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rail-connection type shock-absorbing device. The guardrail-connection type shock-absorbing device is installed by being connected to one end of a guardrail (600) and is capable of absorbing a shock from a vehicle collision by rubbing. In the guardrail-connection type shock-absorbing device, multiple supporting frames (100)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be able to move. Frictional panels (20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ing frame (100). The front end of the frictional panel (200) is fixated and connected to one of the supporting frames (100). The rear end of the frictional panel (200)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frame (100) to be relatively moved. At least one of couplers (232) penetrating through guide slots (214) of the frictional panel (200) positioned in the outer side of a part where the frictional panels (200) are overlapped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frame (100) by passing through a coupling through-hole (218) of the frictional panel (200). The coupler (232)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frame (100) by passing through a spacer bar (230) positioned in a furrow unit (212) of the frictional panel (200) positioned inside. The coupler (232)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frame (100) by passing through the spacer bar (230) positioned in the furrow unit (212) of the frictional panel (200). Multiple through-holes (231) through which the couplers penetrate are formed in the spacer bar (23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bove, the guardrail-connection type shock-absorbing device is capable of absorbing the shock by the friction between the frictional panels (200)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frictional panel (200) and the spacer bar (230). An effect of increasing a shock-absorbing capacity is obtained by securing a relatively large frictional area.

Description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Crash cushion apparatus}[0001] Crash cushion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드레일의 단부에 연결하여 설치되어 차량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돌에너지를 마찰력으로 흡수해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하도록 하거나 차량의 방향을 교정하여 본래의 주행차로로 복귀시켜주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 rail-connected shock absor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ardrail-connected shock absorber, which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n end portion of a guardrail to absorb a collision energy generated by a vehicle collision with a frictional force,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driving lane.

충격흡수장치는 도로의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입구 양측, 교각, 톨게이트 입구 양단 등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시설물의 하나이다.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로를 벗어나 시설물에 직접 충돌하여 충돌충격을 그대로 받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충돌에너지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토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hock absorbers are one of the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ed at the junctions of roads, both sides of the entrance of tunnels and underground roads, bridgeheads, both ends of the toll gate entrance. The shock absorber prevents the vehicle from being directly impacted by a collision with a facility by leaving the normal traveling path, and functions to stop the vehicle safely by gradually reducing the collision energy.

이러한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설치되므로 그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소의 공간을 점유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큰 충돌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서 설치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such a shock absorber is installed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runs, it is desirable that the installation space is minimiz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bsorb a relatively large collision impact while occupying a minimum space. However,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 is relatively large in size and requires a large space for installation.

그리고, 충격흡수장치에서는 마찰패널 사이의 마찰과 마찰패널과 스페이서바 사이의 마찰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데, 스페이서바를 사용하여 마찰패널을 지지프레임에 결합함에 있어서 많은 수의 스페이서바를 사용함에 의해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스페이서바의 갯수가 많을 수록 지지프레임에 스페이서바가 결합된 상태가 조금씩 달라 마찰력 발생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충격흡수장치의 동작특성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In the shock absorbing device, the friction between the friction panels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friction panel and the spacer bar absorbs the shock. By using a spacer bar to couple the friction panel to the support frame, a large number of spacer bars are used As the number of the spacer bars increases, the spacer bars are slightly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and the frictional force is not constant. Therefore,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hock absorber may not be constant.

한편, 가드레일은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역할을 하거나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어 차량이 도로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가드레일의 단부에는 차량이 충돌할 경우 차량에 큰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드레일의 단부에도 차량의 충돌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the guard rail serves as a center separator of the road or along the road so as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ad. Such an end portion of the guard rail may cause a serious damage to the vehicle if the vehicle colli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absorbing a collision impact of the vehicle on the end portion of the guard rai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2464호Korean Patent No. 10-091246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8759호Korean Patent No. 10-0668759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 20-0316361호Korean Utility Model No. 20-0316361 미국등록 US 5,775,675US Registration US 5,775,675 미국특허 US 3,982,734U.S. Pat. No. 3,982,73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장치에서 충돌충격을 흡수하는 마찰력을 보다 많이 발생시켜 크기를 소형화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한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ck absorber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a guard rail for absorbing impact, And the shock absorbing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갯수를 상대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atively reduce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er provided at the end portion of the guard rai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면상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안내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단부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인접한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상기 안내슬롯을 관통한 체결구가 상기 인접한 지지프레임에 체결되어 마찰을 제공하는 마찰패널과, 상기 체결구와 마찰패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마찰패널과 마찰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스페이서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 사이에는 앵커볼트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정면충돌시에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양단에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단부턱이 형성되어 측면충돌시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가이드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널은 서로 인접하는 것이 일부가 겹쳐진 상태로 설치되고, 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주에 가드레일빔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가드레일에서 일단부의 가드레일빔이 상기 마찰패널중 가장 후단의 것에 연결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frame, comprising: a support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slots are provided in a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sheet; A friction panel fixed by an additional fastener and having a fastener penetrating through the guide slot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support frame, the fastener being fastened to the adjacent support frame to provide friction; A spacer bar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opposite ends of the support frame and generates frictional force by friction with the friction panel, and an anchor bolt is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at the time of a frontal impact, And a guide base for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at the time of a side collision is provided. Wherein a guard rail beam at one end of the guard rail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riction panel, Lt; / RTI >

상기 지지프레임중 가장 후방의 것은 지면에 고정된 백스톱에 설치되는데, 상기 백스톱은 지면에 고정된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이동장공을 구비한 백스톱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백스톱베이스 상에 프레임지주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지주에 상기 가장 후방의 지지프레임이 고정된다.The backstop includes a backstop base having a moving slot through which an anchor bolt fixed to the ground passes, and a fram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backstop base. And the rearmost support frame is fixed to the frame support.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안내기구가 더 구비된다.And a frame guide mechanism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상기 프레임안내기구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와이어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이드를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설치된다.The frame guiding mechanism guide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using a wire. To this end,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re guides so that the wire passes through the wire guide.

상기 프레임안내기구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와이어의 양단은 지면에 고정된 백스톱 측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분은 상기 지지프레임중 가장 선단의 것의 전방에서 지면에 고정된 와이어고정판에 설치된 와이어드럼에 걸어 감아진다.The frame guiding mechanism guides a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using a wire, wherein both ends of the wire are fixed to the backstop sid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wire is arranged in front of the frontmost one of the support frames on the ground And is wound around a wire drum installed on a fixed wire fixing plate.

상기 프레임안내기구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지면에 고정된 백스톱 측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중 가장 선단의 것의 전방에서 지면에 고정된 와이어고정판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는 다수개가 구비된다.The frame guiding mechanism guides a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using a wire, one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backstop sid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ground at the front of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a plurality of the wires are provided.

상기 스페이서바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At least two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fasteners pass are formed in the spacer bar.

상기 마찰패널과 연결되는 가드레일빔에는 관통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마찰패널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하는 체결구가 관통하는데, 상기 관통슬롯의 길이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guard rail beam connected to the friction panel is formed with a through slot so that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friction panel to the support frame passes therethrough. The length of the through slo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fastener passes .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직립되게 안착된 제1컬럼과 제2컬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컬럼과 제2컬럼의 일측에는 각각 보조칼럼이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바는 상기 제1컬럼 또는 제2컬럼과 그 일측의 보조컬럼에 체결된다.Wherein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first column and a second column that are erected upright on the paper surface, and each of the first column and the second column has a supplementary column on one side thereof, And an auxiliary column on one side thereof.

상기 마찰패널에는 길이방향으로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골부에는 상기 안내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골부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스페이서바를 마찰패널의 내면으로 안내하는 안내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골부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체결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바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중 하나를 관통한 체결구가 상기 체결통공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에 체결된다.The frictional panel is formed with a crest portion and a crest portion alternatel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rest portion is formed with the guide slot, and at one end of the crest portion, a guide bend portion for guiding the spacer b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iction panel is formed.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pacer, and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pacer bar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상기 마찰패널이 겹쳐진 부분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마찰패널의 안내슬롯을 관통한 체결구중 적어도 하나는 내측에 위치하는 마찰패널의 상기 체결통공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에 체결된다.
At least one of the fasteners passing through the guide slot of the friction panel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riction panel is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friction panel located on the inner side.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in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서는 마찰패널을 겹쳐서 지지프레임에 장착시키는 스페이서바가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구를 사용하도록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바의 갯수를 줄이면서도 마찰패널 사이 그리고 마찰패널과 스페이서바 사이의 마찰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흡수장치의 충격흡수 성능이 커지게 되고, 같은 정도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할 때 충격흡수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so that at least two fasteners are used for the spacer bar in which the friction panels are stacked and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Thus, the friction area between the friction panels and between the friction panels and the spacer bars can be relatively increased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spacer bars. Therefore,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becomes large, and when the standard of absorbing the same degree of shock is taken as a reference, the size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can be minimiz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스페이서바를 사용하고 스페이서바를 관통하여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구가 모두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설치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r ba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used in order to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er, and all the fasteners, which pass through the spacer bar and are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are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device is minimized, and the installation is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프레임의 양단 사이에 앵커볼트를 중심으로 가이드베이스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의 정면충돌시에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고 아울러 측면충돌시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므로 충격흡수장치의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base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about the anchor bolt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at the time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가드레일의 단부에 있는 가드레일빔이 마찰패널의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마찰패널이 상기 가드레일빔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었으므로, 가드레일의 단부에서 차량이 가드레일에 정면충돌하는 경우에 충격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uard rail beam at the end portion of the guard rail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iction panel so that the friction panel is moved along the guard rail beam, The impact energy can be more effectively absorb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헤드커버와 상단커버 등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에 마찰패널이 스페이서바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안내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백스톱과 주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스페이서바가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구조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들에서 가이드베이스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안내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guardrail-connected shock absor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d cover, an upper cover, and the like are remov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friction panel is coupled to a support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spacer ba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frame shown in Fig. 3 taken in another direc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rame guide mechanism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stop and a peripheral structur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pacer bar is fastened to a support fra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operated. FIG.
10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the support frame being guided by a guide base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0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으로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형상이 정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00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orm the skeleton of the guardrail-connected shock absorbing device. The support frame 100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100 is a rectangl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본 실시례에서는 제1에서 제5지지프레임(101,102,103,104,105)이 있다. 이들 제1에서 제5지지프레임(101,102,103,104,105)은 지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 중에서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은 아래에서 설명될 백스톱(400)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1에서 제4 지지프레임(101,102,103,104)은 지면을 따라 이동되게 지면상에 설치된다.The support frame 100 includes first to fifth support frames 101, 102, 103, 104, 105 in this embodiment. These first to fifth support frames 101, 102, 103, 104, and 105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The fifth support frame 105 is installed on the backstop 400 and is fixed to the ground. The first to fourth support frames 101, 102, 103, and 104 are installed on the ground to be moved along the ground.

상기 지지프레임(100)들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면에 안착되는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을 가진다.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은 지면에 직립되게 안착되고 소정의 높이를 가진다.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은 본 실시례에서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된다. 하지만,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의 횡단면 형상은 'H'자 등 다양하게 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s 100 have a first column 111 and a second column 112 that are seated o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first column 111 and the second column 112 are seated upright on the ground and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111 and 112 have a cross-section of a 'C' shape. However,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111 and 112 may be various, such as an 'H' character.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에는 각각 보조컬럼(113)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컬럼(113)은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의 상단 일부구간에 나란히 연장되게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물론, 상기 보조컬럼(113)이 반드시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이 그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같은 기능을 하도록 만들어지면 된다.An auxiliary column 113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column 111 and the second column 112. The auxiliary column 113 is fixed to the first column 111 and the second column 112 so as to extend in parallel to the first column 111 and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lumn 112. Of course, the auxiliary column 113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separat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111 and 11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or perform the same function.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고 다수개의 연결바아(114)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연결바아(114)가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바아(114)중 지면에 가장 가까운 연결바아(114)에는 보조연결바아(114')가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보조연결바아(114')는 상기 연결바아(114)에 직접 결합되거나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연결바아(114')도 상기 연결바아(114)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first column 111 and the second column 112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bars 114. In this embodiment, three connecting bars 114 connect the first column 111 and the second column 112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bar 114 closest to the ground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114 is provided with auxiliary connection bars 114 '. The auxiliary connecting bar 114 'may be coupled directly to the connecting bar 114 o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111 and 112. Of course, the auxiliary connecting bar 11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bar 114.

상기 지지프레임(100)중 일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302)가 관통되어 안내되는 와이어가이드(115,115')이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115,115')는 상기 연결바아(114)중 지면에 가장 가까운 것에 지면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와이어가이드(115,115')는 지면에 가장 가까운 연결바아(114)와 상기 보조연결바아(114')에 고정된다.In some of the support frames 100, there are wire guides 115 and 115 'through which a wire 302 to be described below is guided. The wire guides 115 and 115 'are located nearest to the ground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114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ground. More precisely, the wire guides 115 and 115 'are fixed to the connecting bar 114 closest to the ground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bar 114'.

상기 와이어가이드(115,115')에는 와이어(302)가 관통하도록 와이어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115,115')의 형상은 제1지지프레임(101)에 있는 것과 나머지 제2에서 제4지지프레임(102,103,104)에 있는 것이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제1지지프레임(101)에 있는 것은 U볼트(115')이고, 나머지 지지프레임(102,103,104)들에 있는 것은 와이어클립(115)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에서 제4지지프레임(102,103,104)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4개씩의 와이어클립(115)이 있다. Wire 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wire guides 115 and 115 'so that the wires 302 pass through the wire guides 115 and 115'. The shapes of the wire guides 115 and 115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01 and the second to fourth support frames 102, 103 and 104. That is, what is in the first support frame 101 is the U bolt 115 ', and what is in the remaining support frames 102, 103, 104 is the wire clip 11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are four wire clips 115 in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support frames 102, 103 and 104 as shown in FIG.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 그리고 상기 보조컬럼(113)에는 각각 체결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바(230)를 체결하는 체결구(232)가 체결된다.The coupling holes 116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111 and 112 and the auxiliary column 113, respectively. A fastener (232) for fastening the spacer bar (230) to be described below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16).

상기 제1컬럼(111)과 제2컬럼(112)의 하단부에는 이동슈즈(118)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슈즈(118)는 상기 지지프레임(100:101~104)의 이동방향 선단과 후단에 안내편(119)이 형성되어 지면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편(119)은 약간의 경사를 가진 평판 또는 곡면으로 된 판이다.A moving shoe 118 is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111 and 112. The moving shoes 118 are formed with guide pieces 119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orting frame 100 (101-104) in the moving direction so that they can be easily moved from the ground. The guide piece 119 is a flat plate or a curved plate having a slight inclination.

참고로,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은 사각형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백스톱(400)의 프레임지주(408)에 고정된다.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는 보조컬럼(113)이 제4지지프레임(104)의 보조컬럼(113)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하지만,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도 상기 제1에서 제4지지프레임(101,102,103,104)들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도 상관없다.For reference, the fifth support frame 105 is fixed to the frame support 408 of the backstop 400 in a rectangular shap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auxiliary column 113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auxiliary column 113 of the fourth support frame 104 in the fifth support frame 105. However, the fifth support frame 105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o fourth support frames 101, 102, 103, and 104.

상기 지지프레임(100)들에는 각각 마찰패널(200)이 설치된다. 상기 마찰패널(2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마찰패널(200), 즉 제1에서 제4마찰패널(201,202,203,204)이 있다. 이들 마찰패널들(201,202,203,204)은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The support frames 100 are each provided with a friction panel 200. The construction of the friction panel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is embodiment, there are a total of four friction panels 200, namely first to fourth friction panels 201, 202, 203 and 204. These friction panels 201, 202, 203 and 204 have the same shape.

상기 마찰패널(20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산부(210)와 골부(21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산부(210)와 골부(212)는 교대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산부(210)의 사이에 2개의 골부(212)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The crumbs 210 and the valleys 212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iction panel 200. The crests 210 and the valleys 212 are alternately formed in parallel. In this embodiment, two valleys 212 are formed side by side between three crests 210.

상기 골부(212)에는 안내슬롯(2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슬롯(214)은 상기 마찰패널(200)의 길이방향으로 거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안내슬롯(214)을 따라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바(230)의 체결구(232)가 이동하게 된다.A guide slot 214 is formed in the valley portion 212. The guide slot 214 is formed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iction panel 200. The fastener 232 of the spacer bar 2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moved along the guide slot 214.

상기 마찰패널(200)의 골부(212)의 일단부에는 안내절곡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절곡부(216)는 마찰패널(200)이 이동할 때 스페이서바(230)에 마찰패널(200)의 단부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절곡부(216)는 상기 마찰패널(200)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절곡부(216)의 선단은 상기 스페이서바(230)보다 더 돌출되어 있어 스페이서바(230)가 마찰패널(200)의 내면쪽으로 들어가 밀착되어 상대 이동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A guide bend 21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valley 212 of the friction panel 200. The guide bending portion 216 serves to prevent the end of the friction plate 200 from being caught by the spacer bar 230 when the friction panel 200 moves. The guide bending portion 216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riction panel 200. The tip end of the guide bending portion 216 protrudes more than the spacer bar 230 so that the spacer bar 230 move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riction panel 200 and moves relative to the friction bar 200 to generate a frictional force.

상기 마찰패널(200)의 일단부, 즉 상기 안내절곡부(216)가 형성된 반대쪽의 골부(212)에는 체결통공(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통공(218)에는 스페이서바(230)의 체결구(232)가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체결공(116)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통공(218)을 관통하여 체결구(232)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체결공(116)에 체결됨에 의해 지지프레임(100)과 마찰패널(200)이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A fastening hole 218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riction panel 200, that is, at the opposite valley 212 where the guide bend 216 is formed. The fastening hole 232 of the spacer bar 230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8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16 of the support frame 100. As the fastener 232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116 of the support frame 100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18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friction panel 200 can move together .

상기 지지프레임(100)들에 상기 마찰패널(200)들이 설치되는 것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지지프레임(101)의 양측에 각각 제1마찰패널(201)이 설치된다. 상기 제1마찰패널(201)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01)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101)에 결합된다. 상기 제1마찰패널(201)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01)에 체결되는 것은 체결구(232)를 사용하여서 된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바(230)를 체결구(232)를 사용하여 체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구(232)가 상기 체결통공(218)을 관통하여 제1지지프레임(101)에 체결됨에 의해 제1마찰패널(201)이 제1지지프레임(101)에 직접 체결된다.The mounting of the friction panels 200 on the support frame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a first friction panel 201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01.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01 so as to move integrally with the first support frame 101.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is fasten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01 by using a fastener 232.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asten the spacer bar 2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using the fastening tool 232. 2, the fastening tool 232 is fasten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01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8, so that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is fasten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01. In this case, And is directly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101.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의 양측에는 각각 제2마찰패널(202)이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에 상기 제2마찰패널(202)이 고정되어 이들은 일체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체결구(232)가 상기 제2마찰패널(202)의 체결통공(218)을 관통하여 제2지지프레임(102)에 체결된다. 상기 제2마찰패널(202)은 상기 제1마찰패널(201)의 끝부분과 일부가 겹쳐지는데, 상기 제2마찰패널(202)이 상기 제1마찰패널(201)보다 내측에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에 상기 제2마찰패널(202)을 고정시키는 2개의 체결구(232) 모두가 상기 제1마찰패널(201)의 안내슬롯(214)을 관통하고, 그 중 하나는 제2마찰패널(202)의 체결통공(218)을 관통하고 나머지 하나는 제2마찰패널(202)의 안내슬롯(214)을 관통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제1마찰패널(201)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에 대해서는 상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마찰패널(202)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A second friction panel 202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And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so that they are moved integrally. For this purpose, a fastening tool 232 is fasten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18 of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so that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At this time, all of the two fasteners 232 for fixing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pass through the guide slots 214 of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One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18 of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and the other through the guide slots 214 of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As a result,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moves relative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and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mov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do.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의 양측에는 각각 제3마찰패널(203)이 설치된다. 상기 제3마찰패널(203)들도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에 고정되어 일체로 이동된다. 상기 제3마찰패널(203)은 상기 제2마찰패널(202)의 끝부분과 일부가 겹쳐지는데, 상기 제3마찰패널(203)이 상기 제2마찰패널(202)보다 내측에 있도록 된다. 여기서도, 상기 제3마찰패널(203)을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232)가 상기 제2마찰패널(202)의 안내슬롯(214)을 관통하고, 그 중의 하나는 상기 제3마찰패널(203)의 체결통공(218)을 관통하고 나머지 하나는 제3마찰패널(203)의 안내슬롯(214)을 관통한다.A third friction panel 203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support frame 103. The third friction panels 203 are fixed to the third support frame 103 and are integrally moved.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end of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so that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is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Also in this case, a fastener 232 for fixing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to the third support frame 103 passes through the guide slot 214 of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and one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18 of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and the other passes through the guide slots 214 of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상기 제4지지프레임(104)의 양측에는 각각 제4마찰패널(204)이 설치된다. 상기 제4마찰패널(204)도 상기 제4지지프레임(104)에 고정되어 일체로 이동된다. 상기 제4마찰패널(204)은 상기 제3마찰패널(203)의 끝부분과 일부가 겹쳐지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4마찰패널(204)이 상기 제3마찰패널(203)보다 내측에 있도록 된다. 여기서도 체결구(232)가 제3마찰패널(203)과 제4마찰패널(204)을 관통하는 구성은 위에서와 같다.A fourth friction panel 204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urth support frame 104. The fourth friction panel 204 is also fixed to the fourth support frame 104 and is integrally moved. The fourth friction panel 204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end of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so that the fourth friction panel 204 is located inside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 Here, the fastening tool 232 penetrates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and the fourth friction panel 204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는 상기 제4마찰패널(204)의 후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제4마찰패널(204)의 후단부는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4마찰패널(204)의 안내슬롯(214)을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 고정되는 체결구(232)가 관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4마찰패널(204)이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 체결구(232)에 의해 고정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가드레일(600)의 가드레일빔(606) 일단부도 함께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 연결된다. And the rear end of the fourth friction panel 204 is positioned in the fifth support frame 105. The rear end of the fourth friction panel 204 is installed on the fifth support frame 105 so that it can move relative to the fifth support frame 105. That is, the fastening holes 232 of the guide slots 214 of the fourth friction panel 204 are fixed to the fifth support frame 105. The fourth friction panel 204 is fixed to the fifth support frame 105 by the fastening tool 232 so that one end portion of the guard rail beam 606 of the guard rail 600,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05.

다음으로 상기 마찰패널(200)들이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고 지지프레임(100)과 결합되어 차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바(230)와 체결구(232)를 사용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iction panels 200 are install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can be coupled with the support frame 100 and moved in tur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pacer bar 230 and a fastener 232.

상기 스페이서바(23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일측 외면이 상기 마찰패널(200)의 골부(212)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스페이서바아(230)는 상기 골부(212)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므로 상기 골부(212)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일면에 가진다.The spacer bar 230 has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al shape and has one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valley 212 of the friction panel 200. Since the spacer bar 230 moves along the valley 212, the spacer bar 2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shape of the valley 212 on one surface.

상기 스페이서바(230)에는 관통공(231)이 2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1)은 상기 체결구(232)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231)이 상기 스페이서바(230)의 이동방향으로 열을 지어 2개 이상이 상기 스페이서바(230)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바(230)에 관통공(231)이 2개 이상 형성하려면 상기 스페이서바(230)의 길이가 일정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스페이서바(230)와 마찰패널(200)의 표면이 밀착되는 면적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At least two through holes 231 are formed in the spacer bar 230. The through hole 231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fastener 232 penetrates. At least two through holes 231 are formed in the spacer bar 230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pacer bar 230. In order to form two or more through holes 231 in the spacer bar 230, the length of the spacer bar 230 must be greater than a certain length. This means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spacer bar 230 and the surface of the friction panel 200 is increased.

상기 스페이서바(230)의 관통공(231)을 체결구(232)가 관통한다. 상기 체결구(232)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볼트와 너트가 서로 체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볼트는 머리부가 상기 스페이서바(230)쪽에 있고 상기 너트는 예를 들면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컬럼(111,112)의 내측 또는 보조컬럼(113)의 내측에서 상기 볼트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 fastening tool 232 penetrates the through hole 231 of the spacer bar 230. The fastener 232 is composed of a bolt and a nut. In the drawing, the bolt and the nut are shown as being fastened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However, the bolt has a head portion on the spacer bar 230 side and the nut is fastened to the bolt, for example, inside the columns 111, 112 of the support frame 100 or inside the auxiliary column 113. Such a configuration is well shown in Fig.

다음으로, 프레임안내기구(300)를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안내기구(3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들의 이동궤적이 직선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차량의 정면충돌시 정해진 직선궤적을 따라 지지프레임(100)들이 이동하도록 하여 충격흡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고, 또한 차량이 측면충돌시 충격흡수장치가 옆으로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량의 방향을 본래의 주행차로로 복귀시키도록 한다. Next, the frame guide mechanism 300 will be described. The frame guide mechanism 300 allow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support frames 100 to be straight. That is, the support frames 100 are moved along the predetermined straight path when the vehicle is in the frontal collision, so that the shock absorption is smoothly performed. Further, while the vehicle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bent sideways, To the original driving lane.

상기 프레임안내기구(300)에는 와이어(302)가 있다. 상기 와이어(302)는 예를 들면 강선을 여러가닥 꼬아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와이어(302)는 본 실시례에서는 한줄로 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백스톱(400)에 양단이 고정된다.The frame guide mechanism 300 includes a wire 302. The wire 302 is made, for example,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rands of a steel wire. The wire 302 is one line in this embodiment,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backstop 4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와이어(320)가 충격흡수장치의 선단쪽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지면에 와이어고정판(304)이 앵커볼트(30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고정판(304)에는 와이어드럼(30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드럼(308)은 원기둥형상으로 된 것으로 그 외면에 상기 와이어(320)가 감아져서 와이어(302)의 연장방향이 반대로 되는 것이다. 즉, 일단이 백스톱(400)측에 고정된 와이어(302)가 상기 와이어드럼(308)을 둘러 다시 백스톱(400)쪽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백스톱(400)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드럼(308)의 상단에는 안내판(310)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판(310)은 충격흡수장치 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A structure for fixing the wire 320 at the tip end side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will be described. The wire fixing plate 304 is fixed to the ground by the anchor bolts 306. A wire drum 308 protrudes from the wire fixing plate 304. The wire drum 308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wire 320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drum 308 so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302 is reversed. That is, the wire 302 fixed to the backstop 400 is extended around the wire drum 308 toward the backstop 40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ackstop 400 side. A guide plate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wire drum 308. The guide plate 310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end of the shock absorber.

상기 와이어(302)의 양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백스톱(400)측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백스톱베이스(402)에 장착편(312)이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장착편(312)을 관통하여서는 2개의 아이볼트(314)가 설치되고, 상기 아이볼트(314)에 상기 와이어(302)의 양단부에 있는 연결고리(316)가 걸어져서 와이어(302)의 양단부가 백스톱(400)측에 고정된다.Both ends of the wire 302 are fixed to the backstop 400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o this end, the mounting piece 312 is installed upright on the backstop base 40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wo eyebolts 314 are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mounting piece 312. A connection ring 316 at both ends of the wire 302 is hooked to the eye bolt 314 so that both ends Is fixed to the backstop 400 side.

다음으로, 충격흡수를 위한 구성에서 후방에 설치되는 백스톱(400)을 설명한다. 상기 백스톱(400)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마찰패널(200) 등이 이동되어 올 때 상기 스페이서바(230)들과 마찰패널(200) 사이에서 마찰에 의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backstop 400 installed in the rear in the configuration for shock absorption will be described. The backstop 400 is fixed to the ground and shock absorption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pacer bars 230 and the friction panel 200 is performed when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friction panel 200 are moved .

상기 백스톱(400)에는 백스톱베이스(402)가 구비된다. 상기 백스톱베이스(402)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지면에 안착된다. 상기 백스톱베이스(402)에는 이동장공(404)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장공(404)을 관통한 앵커볼트(406)가 지면에 고정되어 백스톱베이스(402)가 지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이동장공(404)은 상기 지지프레임(100)들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장변방향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장공(404)내에서 고정된 앵커볼트(406)에 대하여 와이어(302)에 인장력이 작용되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백스톱베이스(402), 즉 백스톱(400)이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백스톱(400)이 이동되면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The backstop 400 is provided with a backstop base 402. The backstop base 402 is made of a metal plate and is seated on the ground. A moving slot 404 is formed in the backstop base 402 and an anchor bolt 406 penetrating the moving slot 404 is fixed to the ground so that the backstop base 402 is mounted o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movable slots 404 are formed in the long side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frames 100 are moved. Accordingly, the backstop base 402, that is, the backstop 400 can be relatively moved while a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302 with respect to the anchor bolt 406 fixed within the moving slot 404. As described above, the backstop 400 is moved and absorbs the impact of the vehicle.

상기 백스톱베이스(402) 상에는 직립되게 프레임지주(408)와 지지판(410)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지주(408)는 본 실시례에서 H형강이 사용되어 상기 백스톱베이스(402)에 직립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410)은 상기 프레임지주(408)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도 6에서는 지지판(410)을 제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지지판(410)은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다.A frame support 408 and a support plate 410 are installed upright on the backstop base 402.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post 408 is H-shaped and used to stand upright on the backstop base 402. The support plate 4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support 408 to fix the fifth support frame 105. 6, the support plate 410 is removed, and the support plate 410 can be seen in FIGS. 1 and 2. FIG.

상기 프레임지주(408)와 지지판(410)에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은 실질적으로 상기 이동장공(404)의 존재에 따른 상기 백스톱베이스(402)의 이동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The fifth support frame 105 is fixed to the frame support 408 and the support plate 410. Accordingly, the fifth support frame 105 is movable rearward substantially by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backstop base 402 in accordance with the existence of the movable slots 404.

한편,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커버(500)가 설치된다. 상기 헤드커버(500)는 그 횡단면이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최초에 차량이 충돌하는 부분이 된다.1, a head cover 500 is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100. [ The cross section of the head cover 500 is formed in an arch shape, and is a portion where the vehicle collides first.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의 상부는 상단커버(502)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상단커버(502)는 본 실시례에서는 4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에서 제4지지프레임(101,102,103,104)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상단커버(502)도 상기 마찰패널(200)과 같이 앞에 있는 것의 뒤쪽 일부가 뒤쪽에 있는 것의 선단에 겹쳐지게 위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함에 차량에 의한 충돌이 있었을 때 상기 마찰패널(200)들과 같이 상기 상단커버(502)들로 차례로 이동하고 최후에는 차례로 겹쳐져 있게 된다. 상기 상단커버(502)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내부에 이물이나 쓰레기가 투기되거나 겨울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단커버(502)를 두는 것이 좋다.1, the upper portion of the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ielded by the upper cover 502. [ The upper cover 502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frames 101, 102, 103, and 104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502 is also overlaid on top of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such as the friction panel 200, on the back side. When the crane is hit by the vehicle, the crane moves sequentially to the upper covers 502 like the friction panels 200, and the crane is sequentially overlapped at the end. The top cover 502 is not necessarily provided, but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top cover 502 in order to prevent foreign objects or trash from being dumped into the inside or accumulation of snow in winter.

한편, 가이드베이스(504)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베이스(504)는 그 기하학적 중심을 관통하여 앵커볼트(506)가 지면에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이스(504)의 양단에는 단부턱(505)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베이스(504)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베이스(504)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대응되는 위치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베이스(504)의 설치목적은 차량의 측면충돌시 충격흡수장치가 휘어지는 것을 보조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즉, 차량의 측면충돌시 충격흡수장치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1차적으로 프레임안내기구(300)가 방지하도록 하고 가이드베이스(504)에 의해 보조적으로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guide base 504 is provided. The guide base 504 passes through the geometric center thereof and the anchor bolt 506 can be fixed to the ground and rotated. At both ends of the guide base 504, an end step 505 is formed to protrude.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base 504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support frames 103, and the guide base 504 may be installed at all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frame 100. The purpose of installing the guide base 504 is to additionally prevent the shock absorbing device from being bent when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frame guide mechanism 300 primarily prevents the shock absorbing device from being excessively ben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guide base 504 prevents the auxiliary shock from being curved.

그리고, 상기 가이드베이스(504)는 지지프레임(100)들이 이동할 때, 정해진 궤적을 벗어났을 경우에 정해진 궤적으로 이동하도록 보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에 잘 도시되어 있다. 차량의 충돌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0) 들이 이동하는데, 정해진 궤적을 벗어나서 지지프레임(100)이 가이드베이스(504)로 접근하는 것이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다.The guide base 504 serves to correc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00 to a predetermined trajectory when the guide frame 504 is out of a predetermined trajectory. Such a state is well illustrated in FIG. The support frame 100 moves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approach of the support frame 100 to the guide base 504 out of the predetermined locus is shown in Fig. 10 (a).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일측이 상기 가이드베이스(504)의 일측 단부턱(505)에 닿게 되면 상기 가이드베이스(504)는 상기 앵커볼트(506)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도 10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00)이 원래의 궤적으로 어느 정도 안내되어, 즉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00 touches one side end step 505 of the guide base 504, the guide base 504 rotates about the anchor bolt 506, And is guid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Therefore, the support frame 100 is guided to some extent by the original locus, that is, as shown in Fig. 10 (c), it is corrected and moved backward.

상기 백스톱(400)에 설치된 제5지지프레임(105)에는 가드레일(600)이 연결된다. 상기 가드레일(600)은 지주(602)가 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지주(602)에 장착브라켓(604)을 통해 가드레일빔(606)이 장착된다. 상기 가드레일빔(606)은 그 양단이 각각 지주(60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가드레일빔(606)의 구성은 상기 마찰패널(200)과 유사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가드레일빔(606)에도 산부와 골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주(602)의 양단에 가드레일빔(606)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즉 가드레일빔(606)은 지주(602)를 중심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A guard rail 600 is connected to a fifth support frame 105 provided on the backstop 400. The guard rails 60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ts 602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ground and a guard rail beam 606 is mounted to the posts 602 through a mounting bracket 604. [ The guard rail beams 606 are fixed to the struts 602 at both ends thereof. The guard rail beams 606 are form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friction panel 200. The guard rail beam 606 also has a mountain portion and a valley portion. In this embodiment, guardrail beams 606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truts 602, respectively. That is, the guard rail beams 606 are arranged side by side about the struts 602.

상기 가드레일빔(606)중에 상기 가드레일(600)의 일단부에 있는 것에는 관통슬롯(608)이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슬롯(606)의 길이는 상기 스페이서바(230)를 관통하는 체결구(232)가 위치되는 영역의 길이에 상기 백스톱베이스(402)가 상기 이동장공(404)의 존재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길이를 합한 값정도 이다. 이와 같이 되면, 충격흡수장치에 차량이 충돌하여 충격흡수장치가 동작되더라도 가드레일(600)의 가드레일빔(606)이 이동되지 않도록 된다.In the guard rail beam 606, one end of the guard rail 600 is provided with a through slot 608 extending over a predetermined length. The length of the penetrating slot 606 can be shifted by the presence of the moving slot 404 in the length of the region where the fastener 232 passing through the spacer bar 230 is located It is about the sum of the lengths. The guard rail beam 606 of the guard rail 600 is prevented from moving even i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er and the shock absorber is operated.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에는 10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앞의 실시례와 다른 구성 위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given a reference numeral of 1000 units, and the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본 실시례에서도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100:1101,1102,1103,1104,1105)이 있고, 이들의 양단에 다수개의 마찰패널(1200:1201,1202,1203,1204)들이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지지프레임(1100)의 선단에는 헤드커버(15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찰패널(1200:1201,1202,1203,1204)의 상단에는 상단커버(1502)가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re ar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100 (1101, 1102, 1103, 1104, 1105), and a plurality of friction panels 1200 (1201, 1202, 1203, 1204) A head cover 1500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0 and an upper cover 150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riction panels 1200 (1201, 1202, 1203, and 1204).

본 실시례에서는 프레임안내기구(1300)가 앞의 실시례와는 상이하다. 여기서는 2개의 와이어(1302)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구성에 지지프레임(1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2개의 와이어(1302)가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고, 백스톱(1400) 측은 앞의 실시례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백스톱(1400) 측에 연결되어 고정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rame guide mechanism 1300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Here, two wires 1302 are used. That is, two wires 130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100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8, and the backstop 1400 side is connected to the backstop 1400 side as shown in the previous embodiment. 1400 side.

여기서는 와이어고정판(1304)이 앵커볼트(1306)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고정판(1304) 상에 장착편(1308) 쌍이 직립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착편(1308)에는 걸이축(1310)이 설치되고 상기 걸이축(1310)에 상기 와이어(1302)의 단부에 있는 연결고리(1312)가 걸어지는 것이다.A wire fixing plate 1304 is fixed to the ground by an anchor bolt 1306 and a pair of mounting pieces 1308 are installed upright on the wire fixing plate 1304. [ The hooking shaft 1310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piece 1308 and the hooking ring 1312 at the end of the wire 1302 is hooked on the hooking shaft 1310.

본 실시례의 경우 상기 프레임안내기구(1300)를 구성하는 2개의 와이어(1302)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별도로 사용되므로 프레임안내기구(1300)를 2개 사용하는 것과 같다.In this embodiment, two wires 1302 constituting the frame guide mechanism 1300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re used separately, and therefore, two frame guide mechanisms 1300 are used.

한편, 상기 제4마찰패널(1204)은 백스톱(1400)에 설치된 제5지지프레임(1105)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5지지프레임(1105)에 가드레일(1600)의 가드레일빔(1606)과 함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드레일빔(1606)에는 관통슬롯(1608)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1608)의 길이는 상기 백스톱(1400)이 이동장공(1404)의 존재에 의해 이동하는 걸이에 상기 체결구(1232)가 관통하는 영역에 필요한 길이를 합한 값으로 된다.The fourth friction panel 1204 is movably installed on a fifth support frame 1105 installed on the backstop 1400. The fourth friction panel 1204 is attached to the fifth support frame 1105 by a guard rail beam Lt; RTI ID = 0.0 > 1606 < / RTI > For this purpose, the guard rail beam 1606 is formed with a through slot 1608. [ The length of the penetrating slot 1608 is a sum of the length required for the area through which the fastener 1232 passes through the hook where the backstop 1400 moves due to the presence of the moving slot 1404.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guard rail-connected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충격에 의해 상기 마찰패널(200)들이 상기 지지프레임(100)들과 함께 이동하면서 마찰패널(200) 사이의 마찰과 마찰패널(200)과 스페이서바(230)와의 마찰에 의해 충격흡수가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panels 200 move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s 100 by the impact of the vehicle, and friction between the friction panels 200 and friction between the friction panel 200 and the spacer bars 230 Shock absorption is achieved.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장치가 동작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9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충돌차량이 상기 헤드커버(500)에 충돌하면 충돌충격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01)에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01)은 상기 제1마찰패널(201)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마찰패널(201)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이 이동하지 않는다는 동작조건 하에서 상기 제2마찰패널(202)과 제1마찰패널(201)이 서로 마찰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에 결합구(232)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스페이서바(230)와 제1마찰패널(201)이 서로 마찰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마찰에 의해 충돌충격이 흡수된다.When the impact vehicle collides with the head cover 500, a crash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01.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frame 101 moves backward together with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 When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moves backwar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and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are frictioned with each other under the operating condition that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does not move And the spacer bar 230 fasten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by the coupling part 232 and the first friction panel 201 generate friction with each other. The impact is absorbed by such friction.

상기 제1지지프레임(101)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에 인접하게 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중에서는 위와 같은 동작이 발생하고, 그 이후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01)과 제2지지프레임(102)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에는 제2마찰패널(201)이 고정되어 함께 이동하므로,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에 고정되어 있는 제3마찰패널(203)과 서로 마찰되고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에 결합구(232)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스페이서바(230)와 제2마찰패널(202)이 서로 마찰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above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support frame 101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Thereafter, the first support frame 10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102) are moved together. Since the second friction panel 201 is fixe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the third friction panel 201 is frictionally engaged with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fixed to the third support frame 103, The spacer bar 230 and the second friction panel 202 fastened to the frame 103 by the coupling hole 232 generate friction with each other.

상기 제2지지프레임(102)이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에 인접하게 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나면, 상기 제1, 제2 및 제3 지지프레임(101,102,103)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에 고정된 제3마찰패널(203)이 제4지지프레임(104)에 고정되어 있는 제4마찰패널(204)과 마찰된다. 또한, 제4지지프레임(104)에 결합구(232)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스페이서바(230)와 제3마찰패널(203)이 서로 마찰을 발생시켜 충격을 흡수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frames 101, 102, 103 move together when the second support frame 102 moves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third support frame 103. A third friction panel 203 fixed to the third support frame 103 is fixed to the fourth support frame 104 while the third support frame 103 is moving, Friction. In addition, the spacer bar 230 and the third friction panel 203 fastened to the fourth support frame 104 by the coupling hole 232 generate friction with each other to absorb the shock.

상기 제3지지프레임(103)이 상기 제4지지프레임(104)에 인접하게 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나면, 상기 제1에서 제4지지프레임(101,102,103,104)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4지지프레임(104)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4지지프레임(104)에 고정된 제4마찰패널(204)은 제5지지프레임(104)에 체결구(232)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스페이서바(230)와 마찰을 발생시키게 된다.When the third support frame 103 moves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fourth support frame 104, the first to fourth support frames 101, 102, 103, 104 move together. As the fourth support frame 104 moves, the fourth friction panel 204 fixed to the fourth support frame 104 is fixed to the fifth support frame 104 by a spacer (not shown) Thereby causing friction with the bar 230.

상기 제1에서 제4지지프레임(101,102,103,104)이 이동하여 상기 제4지지프레임(104)이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 인접하게 되면 이들 상기 제1에서 제4지지프레임(101,102,103,104)은 정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이 상기 백스톱(4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When the first to fourth support frames 101, 102, 103, and 104 move and the fourth support frame 104 is adjacent to the fifth support frame 105, the first to fourth support frames 101, 102, 103, do. This is because the fifth support frame 105 is fixed to the backstop 400.

그리고,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 다시 말해 상기 백스톱(400)은 상기 백스톱베이스(402)에 형성된 이동장공(404)의 길이만큼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충돌충격이 상기 상기 제1에서 제4지지프레임(101,102,103,104)이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킨 후에도 남아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백스톱(400)이 상기 이동장공(404)의 범위 내에서 이동되면서 지면과 백스톱베이스(402)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장공(404)의 범위 내에서 백스톱베이스(402)가 이동할 때는 상기 가드레일(600)에는 상기 가드레일빔(606)의 관통슬롯(608)을 따라 상기 제5지지프레임(105)에 체결된 체결구(232)가 이동하게 된다.The fifth support frame 105, that is, the backstop 400 may be moved backward by the length of the movable slot 404 formed in the backstop base 402. That is, when the collision impact of the vehicle remains after the first to fourth support frames 101, 102, 103, 104 are moved adjacent to the fifth support frame 105, The fri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backstop base 402 is generated. When the backstop base 402 moves within the range of the movable slit 404, the guard rail 600 is guided to the fifth support frame 105 along the through slot 608 of the guard rail beam 606 The fastened fastener 232 is moved.

이와 같이 하여 최종적으로 동작이 완료된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s finally completed in this way is shown in Fig.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100)들이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안내기구(300)에 의해 지지프레임(100)의 이동이 안내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있는 와이어가이드(115,115')에 의해 지지프레임(100)이 와이어(302)를 따라 정해진 궤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지지프레임(100)의 이동이 안내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frames 100 move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00 is guided by the frame guide mechanism 300. That is, the support frame 100 is moved along the wire 302 by the wire guides 115 and 115 'in the support frame 10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00.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베이스(504)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이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정면충돌시에 지지프레임(100)이 정확하게 일직선상을 따라 이동하지 않을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506)를 중심으로 가이드베이스(504)가 회전하면서 지지프레임(100)이 정위치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앵커볼트(506)를 중심으로 가이드베이스(504)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는 하나의 지지프레임(100)이 지나간 이후에 다른 지지프레임(1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지지프레임(100)이 일정 이상 궤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ase 504 serves to prevent the support frame 100 from devia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frame 100 does not move along a straight line at the time of a frontal collision, the guide base 504 rotates around the anchor bolt 506 as shown in FIG. 10, ) Can be guided along the correct pos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guide base 504 is rotatable around the anchor bolt 506 can prevent the support frame 100 from moving after one support frame 100 has passed, (100)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a locus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차량이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해 측면충돌시에는 상기 가이드베이스(504)가 충격흡수장치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만약, 상기 가이드베이스(504)가 없을 경우에는 충돌장치의 변형에 의해 차량이 제대로 안내되지 못하면서 차량의 후미가 백스톱에 충돌하면서 탑승자를 제대로 보호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베이스(504)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이 측면충돌에 의해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장치가 제 위치를 유지하여 차량이 원래의 차선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side collides with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ase 504 prevents the shock absorber from being excessively deformed. If there is no guide base 504, The rear end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ackstop and the occupant can not be properly protected. That is, since the guide base 504 is provided, the support frame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fixed position due to the side collision, so that the collision device can maintain its position and the vehicle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lane. hav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이 5개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 갯수는 상관없다. 즉,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와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지지프레임(100)이 다양한 갯수로 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five support frames 100 are us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support frames 100 is not limited. That is, the supporting frame 100 may have various numbers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and the required specifications.

상기 마찰패널(200)의 경우 반드시 산부(210)와 골부(212)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산부(210)와 골부(212)가 있음으로 해서 상대적인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될 수 있다.The friction panel 2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the hill 210 and the hill 212. The hill 210 and the hill 212 may be used to guide the relative movement.

그리고, 상기 마찰패널(200)에는 반드시 상기 안내절곡부(216)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내절곡부(216) 없이도 상기 스페이서바(230)와의 연동 또는 마찰이 가능하다.
Further, the friction panel 2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he guide bending portion 216. It is possible to interlock or friction with the spacer bar 230 without the guide bending portion 216. [

100: 지지프레임 101: 제1지지프레임
102: 제2지지프레임 103: 제3지지프레임
104: 제4지지프레임 105: 제5지지프레임
111: 제1컬럼 112: 제2컬럼
113: 보조칼럼 114: 연결바아
114': 보조연결바아 115, 115': 와이어가이드
116: 체결공 118: 이동슈즈
119: 안내편 200: 마찰패널
201: 제1마찰패널 202: 제2마찰패널
203: 제3마찰패널 204: 제4마찰패널
210: 산부 212: 골부
214: 안내슬롯 216: 안내절곡부
218: 체결통공 230: 스페이서바
232: 체결구 300: 프레임안내기구
302: 와이어 304: 와이어고정판
306: 앵커볼트 308: 와이어드럼
310: 안내판 312: 장착편
314: 아이볼트 316: 연결고리
400: 백스톱 402: 백스톱베이스
404: 이동장공 406: 앵커볼트
408: 프레임지주 410: 지지판
500: 헤드커버 502: 상단커버
504: 가이드베이스 505: 단부턱
506: 앵커볼트 600: 가드레일
602: 지주 604: 장착브라켓
606: 가드레일빔 608: 관통슬릿
100: support frame 101: first support frame
102: second support frame 103: third support frame
104: fourth support frame 105: fifth support frame
111: first column 112: second column
113: auxiliary column 114: connecting bar
114 ': auxiliary connecting bar 115, 115': wire guide
116: fastening ball 118: movable shoes
119: Guide 200: Friction panel
201: first friction panel 202: second friction panel
203: third friction panel 204: fourth friction panel
210: mountain part 212: valley
214: guide slot 216: guide bend
218: fastening hole 230: spacer bar
232: fastener 300: frame guide
302: wire 304: wire fixing plate
306: Anchor bolt 308: Wire drum
310: guide plate 312: mounting piece
314: Eye Bolt 316: Link Ring
400: Backstop 402: Backstop base
404: Movable elongated hole 406: Anchor bolt
408: frame support 410: support plate
500: Head cover 502: Top cover
504: guide base 505: end chin
506: Anchor bolt 600: Guard rail
602: support 604: mounting bracket
606: guard rail beam 608: through slit

Claims (11)

지면상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안내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단부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인접한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상기 안내슬롯을 관통한 체결구가 상기 인접한 지지프레임에 체결되어 마찰을 제공하는 마찰패널과,
상기 체결구와 마찰패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마찰패널과 마찰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스페이서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 사이에는 앵커볼트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정면충돌시에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양단에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단부턱이 형성되어 측면충돌시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가이드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널은 서로 인접하는 것이 일부가 겹쳐진 상태로 설치되고, 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주에 가드레일빔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가드레일에서 일단부의 가드레일빔이 상기 마찰패널중 가장 후단의 것에 연결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A suppor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paced-apart support frames,
The guide slo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the guide slot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by the fastening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slot is fastened to the adjacent support frame through the guide slot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support frame, A friction panel provided,
A spacer bar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fastener and the friction panel and rubs against the friction panel to generate frictional force,
The support frame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at the time of a frontal collision and an end step to support the support frame at both ends, And a guide base
Wherein a guard rail beam having one end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friction panel and a guard rail beam at one end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guard rail, Shock-absorbing device connected with guardrail conn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중 가장 후방의 것은 지면에 고정된 백스톱에 설치되는데, 상기 백스톱은 지면에 고정된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이동장공을 구비한 백스톱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백스톱베이스 상에 프레임지주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지주에 상기 가장 후방의 지지프레임이 고정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The backsto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kmost one of the support frames is provided on a backstop fixed to the ground, the backstop having a backstop base having a moving slot through which anchor bolts fixed on the ground penetrate, And the rear most supporting frame is fixed to the frame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안내기구가 더 구비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2.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rame guide mechanism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안내기구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와이어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이드를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frame guiding mechanism guide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using a wire. To this end,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re guides, Connection type shock absor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안내기구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와이어의 양단은 지면에 고정된 백스톱 측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분은 상기 지지프레임중 가장 선단의 것의 전방에서 지면에 고정된 와이어고정판에 설치된 와이어드럼에 걸어 감아지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rame guiding mechanism uses a wire to guid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wherein both ends of the wire are fixed to a backstop side fixed to the ground, A guard rail connection type shock absorber which is wound around a wire drum installed on a wire fixing plate fixed to the ground on the front side of the wire rac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안내기구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지면에 고정된 백스톱 측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중 가장 선단의 것의 전방에서 지면에 고정된 와이어고정판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는 다수개가 구비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rame guiding mechanism guides a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using a wire, one end of the wire is fixed to a backstop sid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a distal end Wherein the wire is fixed to a wire fixing plate fixed to the ground on the front side of the wire fixing plate, and the wi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r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바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2.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fasteners pass are formed in the spacer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널과 연결되는 가드레일빔에는 관통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마찰패널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하는 체결구가 관통하는데, 상기 관통슬롯의 길이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영역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guardrail beam connected to the friction panel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to penetrate the friction panel to the support frame, the length of the through- Of the guard rail-connected shock absorb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직립되게 안착된 제1컬럼과 제2컬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컬럼과 제2컬럼의 일측에는 각각 보조칼럼이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바는 상기 제1컬럼 또는 제2컬럼과 그 일측의 보조컬럼에 체결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frame comprises a first column and a second column that are mounted upright on a paper surfac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has a supplementary column on one side thereof, A guard rail connection type shock absorber which is fastened to one column or a second column and an auxiliary column on one side thereof.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널에는 길이방향으로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골부에는 상기 안내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골부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스페이서바를 마찰패널의 내면으로 안내하는 안내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골부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체결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바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중 하나를 관통한 체결구가 상기 체결통공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10. The friction pane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friction panel is formed by alternately extending a crest portion and a valle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guide slot is formed in the valley portion, and the spacer bar And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trough, so that a fastening hole passing through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pacer bar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A shock absorbing device connected to a guardrai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널이 겹쳐진 부분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마찰패널의 안내슬롯을 관통한 체결구중 적어도 하나는 내측에 위치하는 마찰패널의 상기 체결통공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가드레일 연결형 충격흡수장치. 11. The friction plat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asteners passing through the guide slot of the friction panel located at the outer side 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riction panel is a guide rail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friction panel located inside, Connection type shock absorber.
KR1020140131608A 2014-09-30 2014-09-30 Crash cushion apparatus KR101670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608A KR101670836B1 (en) 2014-09-30 2014-09-30 Crash cush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608A KR101670836B1 (en) 2014-09-30 2014-09-30 Crash cush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71A true KR20160038471A (en) 2016-04-07
KR101670836B1 KR101670836B1 (en) 2016-10-31

Family

ID=5578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608A KR101670836B1 (en) 2014-09-30 2014-09-30 Crash cush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83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0226A (en) * 2016-09-09 2017-01-11 长沙理工大学 Highway anti-collision pad with guide function
CN106638395A (en) * 2016-11-22 2017-05-10 长沙理工大学 Guardrail terminal
KR102118206B1 (en) * 2019-08-23 2020-06-02 주식회사 정원로드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CN113958193A (en) * 2021-11-22 2022-01-21 深圳市正道公路工程有限公司 Guardrail capable of avoiding anchor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88Y1 (en) * 2004-05-03 2004-07-30 신현수 Winder used to a car crush preventing device
KR100837202B1 (en) * 2007-07-05 2008-06-12 구자화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way or highway
KR101022533B1 (en) * 2010-09-13 2011-03-16 신도산업 주식회사 Wide crash cushion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0226A (en) * 2016-09-09 2017-01-11 长沙理工大学 Highway anti-collision pad with guide function
CN106638395A (en) * 2016-11-22 2017-05-10 长沙理工大学 Guardrail terminal
KR102118206B1 (en) * 2019-08-23 2020-06-02 주식회사 정원로드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CN113958193A (en) * 2021-11-22 2022-01-21 深圳市正道公路工程有限公司 Guardrail capable of avoiding anch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836B1 (en) 201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447B1 (en) Guardrail end terminal
KR101448982B1 (en) Crash cushion apparatus
US4838523A (en) Energy absorbing guard rail terminal
JP3759259B2 (en) Highway collision buffer and its components
KR101670836B1 (en) Crash cushion apparatus
KR100707914B1 (en) Sliding stopper device of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KR100869344B1 (en) Shock absorption apparatus at road
KR101683330B1 (en) Vehicle crash attenuator apparatus
US20070252124A1 (en) Guardrail System
KR20150098393A (en) Shock energy absorber
CS198371B1 (en) Railing
US10214867B2 (en) Terminal for road crash barrier
KR101683851B1 (en) Guardrail device having a terminal part impact absorbing function
WO2014138730A1 (en) High speed raceway barrier
KR102057125B1 (en) Crash-Cushion
RU2312948C1 (en) Initial barricade part
KR20120025822A (en) Guardrail that easily absorbs impact
JP4349753B2 (en) Guard fence end shock absorber
KR101273410B1 (en) Apparatus for absorbing an impact for vehicles
JP6345959B2 (en) Shock absorbing fence
KR20190074116A (en)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KR101337567B1 (en) Shock absorbing guardrail
KR100970934B1 (en) Vehicle protection fence
KR20150111764A (en)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for crash barrier
KR101259931B1 (en) Guardrail e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