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50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508A
KR20160037508A KR1020140130150A KR20140130150A KR20160037508A KR 20160037508 A KR20160037508 A KR 20160037508A KR 1020140130150 A KR1020140130150 A KR 1020140130150A KR 20140130150 A KR20140130150 A KR 20140130150A KR 20160037508 A KR20160037508 A KR 20160037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area
input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경
차상옥
윤영준
조주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7508A/ko
Priority to US14/859,960 priority patent/US10656790B2/en
Priority to PCT/KR2015/009977 priority patent/WO2016052904A1/en
Publication of KR20160037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화면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은 영역 지정 UI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영역에 집중적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타블렛 PC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크기가 넓어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정보가 넓어진 전체 화면의 곳곳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하지만, 화면의 크기가 넓어짐에 따라 저시력자나 고령자 등 시야각이 좁은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이 중요한 정보를 놓칠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손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 범위에 한계가 있어, 넓은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기존에 사용자의 제스쳐가 입력된 지점에 화면을 확대하는 UI를 제공하는 등의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일차적으로 전체 화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어 상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위치에 정보를 집중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관련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은, 영역 지정 UI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역 지정 UI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그리드를 포함하는 UI이며,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상기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렬될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기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메시지가 포함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팝업 정보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팝업 정보가 포함된 팝업 창을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팝업 창의 크기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상기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리사이징(re-sizing)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실제 위치 및 크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이어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상기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의해 변경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인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메인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키를 포함하는 열에 존재하는 복수의 문자키들을 복수의 키 그룹으로 분류한 서브 키패드를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키 그룹 중 하나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된 키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키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 이외의 디스플레이 화면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키패드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영역 지정 UI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하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역 지정 UI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그리드를 포함하는 UI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상기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렬될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기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메시지가 포함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팝업 정보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팝업 정보가 포함된 팝업 창을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팝업 창의 크기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상기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리사이징(re-sizing)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실제 위치 및 크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이어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상기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의해 변경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인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키를 포함하는 열에 존재하는 복수의 문자키들을 복수의 키 그룹으로 분류한 서브 키패드를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키 그룹 중 하나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된 키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키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 이외의 디스플레이 화면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면, 상기 서브 키패드를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특정 범위의 영역에 정보가 집중되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중요 정보를 놓치지 않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범위의 영역에서의 사용자 인터렉션만을 가지고도, 전체 화면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한 블럭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최소 크기 이하로 설정하고자 할 때 제공되는 피드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GUI 등이 정렬될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리사이징 등 팝업 창의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사이징 되지 않는 경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창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일부가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도면,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확대, 축소에 따라 가이드 UI의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시적인 스크롤 범위 확장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키패드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 이동 반경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키패드를 제거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타블렛 PC, 스마트폰, 스마트 TV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와 명령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이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입력부(110)는 화면을 탭하거나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된 영상 신호 등에 대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설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전자종이(E-paper)(E-paper),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VFD(Vacuum Fluorescne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주로 발광형으로 이루어지나, 반사형 디스플레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영역 지정 UI를 통해 영역 설정 명령을 입력을 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입력된 영역 설정 명령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한다.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30)는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상기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렬될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영역 지정 UI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그리드를 포함하는 UI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기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메시지가 포함된 피드백을 제공한다. 피드백은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일 수 있고, 오디오 출력부(170)를 통해 제공되는 청각적 피드백일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팝업 정보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팝업 정보가 포함된 팝업 창을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팝업 창의 크기가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 제어부(130)는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리사이징(re-sizing)할 수 있다. 만일, 팝업 창의 속성이 리사이징될 수 없는 것으로 설정되어 제공되면, 제어부(130)는 리사이징 하는 대신에 화면의 가로 축 상에서 팝업 창의 위치가 사용자 지정 영역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실제 위치 및 크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이어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의해 변경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가이드 UI가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부분이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UI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를 중심으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도록 하는 외곽선을 일시적으로 보여주는 UI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인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고, 메인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문자키를 포함하는 열에 존재하는 복수의 문자키들을 복수의 키 그룹으로 분류한 서브 키패드를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며, 복수의 키 그룹 중 하나를 터치하면 터치된 키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고,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문자키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 지정 영역 이외의 디스플레이 화면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서브 키패드를 제거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하나의 텍스트가 입력되는 것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서브 키패드를 제거하여 다시 메인 키패드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 지정 영역에 정보를 집중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한된 시각이나 움직임을 갖는 사용자에게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보다 쉽게 인지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40), 카메라부(150), 오디오 입력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10)는 UI 등을 통해 제공되는 버튼을 누르는 입력뿐 아니라, 탭, 더블 탭, 드래그 등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등에 대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다양한 UI, 팝업 창, 어플리케이션, 위젯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only memory)이 포함될 수 있다. 관련 분야에 잘 알려져 있듯이, ROM은 단방향(uni-directionally)으로 CPU에 데이터와 명령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RAM은 일반적으로 양방향(bi-directional)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카메라부(150)는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부(150)는 입력부(110)와 함께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오디오 입력부(160)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음성 신호와 대응되는 음성 신호가 오디오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서 생성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뿐 아니라 분리형일 수 있으며, 분리형 오디오 출력부(170)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40), 카메라부(150), 오디오 입력부(160), 오디오 출력부(17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CPU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영역 지정 UI를 통해 영역 설정 명령을 입력되면, 입력된 영역 설정 명령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하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부(130)의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3a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영역 지정 UI를 통해 영역 설정 명령을 입력받도록 입력부(110)를 제어하고, 입력된 영역 설정 명령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영역 지정 UI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그리드를 포함하는 UI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그리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GUI 등이 정렬될 방식을 설정한다.
그리드를 포함하는 UI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일정 간격에 따라 십자 모양을 배치하여 일정 범위의 영역을 셀 단위로 나누어 표시하는 UI이다. 셀은 그리드를 통해 분할된 일정 범위의 단위 영역을 말한다. 다른 예로, 그리드를 포함하는 UI는 점선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일정 단위 영역으로 나누는 표시하는 UI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영역 지정 UI에서 영역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살펴보면, 그리드가 포함된 영역 지정 UI가 제공된다. 제어부(130)는 그리드에서 원하는 셀을 탭하여 선택하는 방식으로 영역 설정 명령을 입력받도록 입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그리드를 기준으로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셀을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 형태의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사각형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각형 형태의 영역이 계산된 모습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도 3e와 같이, 입력부(110)를 통해 완료 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각형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한다.
다른 예로, 도 3b를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원하는 영역을 드로잉하는 입력을 받도록 입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그리드를 기준으로 입력부(110)를 통해 드로잉한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 형태의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사각형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각형 형태의 영역이 계산된 모습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도 3e와 같이, 입력부(110)를 통해 완료 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각형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한다.
또 다른 예로, 도 3c를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원하는 영역의 시작과 끝을 대각선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받도록 입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드래그한 대각선을 기준으로 그리드에 맞추어 사각형 형태의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사각형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각형 형태의 영역이 계산된 모습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도 3e와 같이, 입력부(110)를 통해 완료 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각형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한다.
도 4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사각형으로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안 쪽을 잡고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그리드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된 드래그 방향으로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이 종료된 위치가 셀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오른쪽이라면, 제어부(130)는 해당 셀을 포함하는 위치에 사용자 지정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셀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왼쪽에서 드래그가 종료되었다면, 제어부(130)는 해당 셀의 왼쪽 셀까지만 포함하는 위치에 사용자 지정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30)는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30)는 사용자 설정 영역의 최소 크기를 미리 설정하여 놓을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영역의 최소 크기는 상황에 따라 최소한의 정보 전달에 필요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기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메시지가 포함된 피드백을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등 다양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모서리 부분에 음영처리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지정 영역의 크기가 3 X 2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지정 영역의 크기가 3 X 2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없습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모서리에 작은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모서리에 배치된 작은 아이콘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부(110)가 입력받으면, 제어부(130)는 드래그된 방향으로 사용자 지정 영역의 모서리를 이동시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서 핀치(Pinch)/언핀치(Un-Pinch)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서 왼쪽/오른쪽 방향으로 로데이션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기설정된 최소 크기 이하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고자 할 때 제공되는 피드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3 X 2 크기를 사용자 지정 영역의 최소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다만,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최소 크기보다 작게 변경시키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크기가 더 이상 줄어들 수 없다는 시각적 피드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크기를 기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게 변경시킬 수 없다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7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영역의 위치 및 크기가 설정된 이후,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디스플레이될 GUI 등이 정렬될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 화면의 정렬 방식 및 폰트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UI를 통해 정렬 방식 또는 폰트의 사이즈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정령 방식이나 폰트의 사이즈에 따라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서 GUI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팝업 정보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30)는 팝업 정보가 포함된 팝업 창을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 모드에 진입에 대한 팝업 정보를 포함하는 창이 팝업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팝업 창을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팝업 창이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위치에서 발생 되더라도, 제어부(130)는 발생 된 팝업 창을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위치에 고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제어부(130)는 좌측 상단에 정렬되도록 하는 기설정된 정렬 방식에 따라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팝업 창의 크기가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 제어부(130)는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리사이징 할 수 있다. 도 9a를 살펴보면, 팝업 창이 세로 방향으로 사용자 지정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팝업 창에 스크롤 바를 생성하여 팝업 창의 세로 길이를 사용자 지정 영역의 세로 길이와 같도록 리사이징 할 수 있다. 팝업 창을 축소하는 방식 대신에 스크롤 바를 생성하는 방식을 택한 이유는 팝업 창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팝업 창의 축소때문에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에서, 팝업 창을 축소하더라도 정보의 손상 위험이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130)가 팝업 창을 축소하여 사용자 지정 영역의 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를 때, 제어부(130)는 팝업 창을 구성하는 버튼의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팝업 창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도 9b를 살펴보면, 설정 메뉴 팝업 창의 크기가 세로 방향으로 사용자 지정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6 X 1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버튼을 2 X 3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버튼의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제어부(130)는 팝업 창의 버튼을 모두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를 때, 제어부(130)는 팝업 창을 구성하는 복수의 버튼 중 주요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을 제외한 부가적인 버튼들을 삭제하는 것을 통하여 팝업 창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도 9c를 살펴보면, 팝업 창은 '새로 만들기', '열기', '저장', '인쇄' 및 '닫기'와 같은 주요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 뿐만 아니라 '다른 이름으로 저장', '준비', '보내기' 및 '게시'와 같은 부가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주요 기능에 대응하는 버튼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부가 버튼을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부가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을 삭제하는 대신에, 부가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버튼을 새로이 생성하여 주요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부가적인 버튼을 삭제하여도 팝업 창의 크기가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크다면, 제어부(130)는 추가적으로 스크롤 바를 생성하는 방법을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팝업 창의 설정 상태 등에 의해 리사이징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팝업 창의 가로 위치에만 사용자 지정 영역의 정렬 상태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는 팝업 창의 세로 길이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세로 길이보다 길고, 팝업 창의 가로 길이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가로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팝업 창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이 팝업 창의 크기를 리사이징 하지 않고, 가로 위치에만 사용자 지정 영역의 정렬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가운데 정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팝업 창을 가로 방향으로 가운데 정렬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설정된 가로 방향 정렬 방식으로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하면 팝업 창이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을 벗어나게 될 경우, 제어부(130)는 자동으로 인접한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의 에지(edge) 부분에 맞추어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팝업 창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팝업 창의 크기를 확대/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a를 살펴보면, 팝업 창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드래그된 방향으로 팝업 창을 이동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 창이 이동된 후에, 더블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팝업 창의 위치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11b를 살펴보면, 팝업 창을 핀치(Pinch)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팝업 창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언핀치(Un-Pinch)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팝업 창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팝업 창이 확대 또는 축소된 후에, 더블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팝업 창의 크기를 원래 크기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드래그, 더블 탭, 핀치, 언핀치 등의 사용자 인터렉션과 상술한 이동, 복귀, 확대, 축소 등의 기능이 고정적으로 매핑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제어부(130)는 팝업 창의 위치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지정 영역에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고,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실제 위치 및 크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가이드 UI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어느 위치 및 크기의 영역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지를 안내하는 UI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 UI는 외곽선이 점선인 박스 모양의 UI일 수 있다. 박스가 배치된 위치 및 크기를 통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어느 부분을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12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일부가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를 중심으로 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와 같은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에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가이드 UI의 크기를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외곽선이 사용자 인터렉션이 유지되는 동안에만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가이드 UI를 통해 사용자 지정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실제 위치와 크기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이어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의해 변경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를 살펴보면,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부분의 화면을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부분의 화면에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도 13b에서, 해당 부분의 화면이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이어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선택된 화면 부분을 드래그 방향에 따라 변경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어부(130)는 가이드 UI의 위치 또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c를 살펴보면,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종료되면, 제어부(130)는 이동된 가이드 UI가 나타내는 부분의 화면을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3d에서 사용자가 화면에서 손가락을 떼어 사용자 인터렉션이 종료되면, 제어부(130)는 가이드 UI가 마지막으로 위치한 부분의 화면을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가이드 UI는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가이드 UI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실제 위치 및 크기를 안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가이드 UI를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동안에만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확대, 축소에 따라 화면의 실제 위치 및 크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UI의 크기 또한 대응하여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서 언핀치(Un-Pinch)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사용자 지정 영역의 화면이 확대된다는 것은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용자 지정 영역에 대응되는 화면의 크기가 축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확대된 것에 대응하여, 제어부(130)는 가이드 UI의 크기를 축소한다. 반대의 경우인 도 14b를 참조하면,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서 핀치(Pinch)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축소된 것에 대응하여, 제어부(130)는 가이드 UI의 크기를 확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일시적으로 스크롤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스크롤 되는 시작점과 끝점을 사용자 지정 영역에 맞춤으로써, 제어부(130)는 리스트의 첫 아이템과 끝 아이템을 사용자 지정 영역의 에지(edge)까지 끌어와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스크롤에서 첫 아이템이나 마지막 아이템의 위치는 화면의 좌/우 끝으로 고정되어 그 이상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시야각에 한계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 스크롤의 끝 부분 아이템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제어부(130)가 스크롤의 끝 부분 아이템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끌어와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a 및 15b는 일시적인 스크롤 범위 확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를 살펴보면, 화면을 위쪽으로 스크롤하는 사용자 명령이 있더라도 리스트의 하단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더 이상 스크롤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5b와 같이 사용자 지정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화면을 위로 스크롤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리스트의 최하단 아이템을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시야각이 좁은 사용자의 경우에도 시야각이 미치는 부분에 사용자 지정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석에만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대하여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인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고, 메인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문자키를 포함하는 열에 존재하는 복수의 문자키들을 복수의 키 그룹으로 분류한 서브 키패드를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며, 복수의 키 그룹 중 하나를 터치하면 터치된 키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고,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문자키를 입력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서브 키패드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텍스트를 입력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메인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도 16a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메인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인 's' 부분이 터치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16b를 살펴보면, 제어부(130)가 터치된 문자키인 's'를 포함하는 열에 존재하는 복수의 문자키들을 복수의 키 그룹(1601, 1603, 1605)으로 분류한 서브 키패드를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키 그룹(1601, 1603, 1605) 중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키인 's'가 포함된 키 그룹(1601)이 터치되면, 도 16c와 같이 터치된 키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1611, 1613, 1615)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문자키(1611, 1613, 1615) 중 하나인 's'를 나타내는 문자키(1613)이 터치되면, 제어부(130)는 터치된 문자키인 's'를 입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브 키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텍스트 입력을 위한 인터렉션의 뎁스가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일부분만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뎁스가 증가하더라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영역에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쪽이 유리하다. 도 17a 및 도 17b는 'SPAM'이라는 단어를 타이핑할 경우에 사용자 조작 이동 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의 경우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 영역에 걸쳐 사용자의 인터렉션이 필요한 것에 비하여, 도 17b와 같이 사용자 지정 영역에 서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보다 적은 영역에서의 이동만으로 같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서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 지정 영역 이외의 디스플레이 화면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서브 키패드를 제거한다. 도 18a을 참조하면, 메인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제어부(130)는 서브 키패드를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메인 키패드에서 입력하기를 원하는 문자키가 아닌 다른 열의 문자키를 입력한 경우에, 서브 키패드를 제거하고 메인 키패드로 돌아갈 필요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18b와 같이, 서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에, 사용자 지정 영역 이외의 디스플레이 화면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된 서브 키패드를 제거하고 다시 메인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c에서는 다시 메인 키패드만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키 부분을 다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이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기술하였으나, 제어부(130)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 재생화면, 설정 메뉴와 같은 디바이스 제어 화면 등 다양한 종류의 화면을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집중되어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한된 시각을 가지고도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한된 움직임만으로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역 지정 UI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한다(S1910). 영역 지정 UI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그리드를 포함하는 UI일 수 있다. 다만, 영역 지정 UI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표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 UI 등 다양한 형태의 U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지정 UI가 그리드를 포함하는 UI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리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GUI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가 정렬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영역의 설정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이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S1920). 예를 들어, 팝업 정보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정보가 포함된 팝업 창을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실제 위치 및 크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이어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의해 변경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이드 UI가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이드 UI에 의해 안내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메인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된 문자키를 포함하는 열에 존재하는 복수의 문자키들을 복수의 키 그룹으로 분류한 서브 키패드를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복수의 키 그룹 중 하나를 터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된 키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된 문자키를 입력한다. 만일 잘못된 키 입력으로 원하지 않는 서브 키패드가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러한 서브 키패드를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 지정 영역 이외의 디스플레이 화면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키패드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역 지정 UI에 포함된 그리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S2010). 설정 방법에는 그리드로 나뉜 셀을 탭하여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 화면에 드로잉하는 입력을 하여 선택하는 방법, 대각선으로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보 전달에 필요한 최소 영역의 크기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기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20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메시지가 포함된 피드백을 제공한다(S2030).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이들을 조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영역의 설정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벤트 유형에 따라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S2040). 도 1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벤트 유형 이외에도, 스크롤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 지정 영역에 일시적으로 스크롤 범위를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우선 사용자 지정 영역을 설정한다(S2110). 일 예로, 그리드를 포함하는 영역 지정 U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 지정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 이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렬될 방식을 설정한다(S21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서 가로, 세로 위치를 정렬하는 방식 및 폰트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정렬 방식 설정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가적인 UI를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 지정 영역이 설정된 후에 팝업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정보가 포함된 팝업 창을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창의 크기가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것인지 판단한다(S2130). 만일 팝업 창의 크기가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크다면(S213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창의 크기를 리사이징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S2140). 예를 들어, 팝업 창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등에 따라, 리사이징 할 수 없도록 팝업 창의 크기가 고정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리사이징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S214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에 맞추어 팝업 창의 크기를 리사이징한다(S2150). 예를 들어, 팝업 창의 세로 길이가 사용자 지정 영역의 세로 길이보다 길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로 방향 스크롤 바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팝업 창을 리사이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팝업 창의 크기가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작거나(S2130-N) 리사이징을 할 수 없다면(S214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창의 크기를 유지한다(S216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에 리사이징된 또는 크기가 유지된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한다(S2170). 사용자 지정 영역에 정보를 집중시키는 이유 중 하나는 정보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만일,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내용이 잘 보이지 않는다면, 가독성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서 팝업 창에 포함된 팝업 정보의 내용이 잘 보이는지를 판단한다(S2180). 만일, 정보의 가독성이 떨어진다면(S218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아 사용자 지정 영역 안의 화면을 재조정할 수 있다(S219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을 확대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나, 화면을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도록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표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 지정 영역에 정보를 집중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한된 시각이나 움직임을 갖는 사용자에게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보다 쉽게 인지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저장부
140: 카메라부 150: 오디오 입력부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제어부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영역 지정 UI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지정 UI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그리드를 포함하는 UI이며,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상기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렬될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기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메시지가 포함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팝업 정보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팝업 정보가 포함된 팝업 창을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팝업 창의 크기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상기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실제 위치 및 크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이어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상기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의해 변경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인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메인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키를 포함하는 열에 존재하는 복수의 문자키들을 복수의 키 그룹으로 분류한 서브 키패드를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 그룹 중 하나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된 키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키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 이외의 디스플레이 화면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키패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0.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영역 지정 UI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영역을 사용자 지정 영역으로 설정하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에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지정 UI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그리드를 포함하는 UI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내부에 상기 GUI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렬될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기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메시지가 포함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팝업 정보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팝업 정보가 포함된 팝업 창을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팝업 창의 크기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영역 안에 상기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실제 위치 및 크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이어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상기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의해 변경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위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인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키를 포함하는 열에 존재하는 복수의 문자키들을 복수의 키 그룹으로 분류한 서브 키패드를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키 그룹 중 하나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된 키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문자키 중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키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 이외의 디스플레이 화면 부분을 탭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면, 상기 서브 키패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30150A 2014-09-29 2014-09-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KR20160037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50A KR20160037508A (ko) 2014-09-29 2014-09-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US14/859,960 US10656790B2 (en) 2014-09-29 2015-09-2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in display apparatus
PCT/KR2015/009977 WO2016052904A1 (en) 2014-09-29 2015-09-23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in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50A KR20160037508A (ko) 2014-09-29 2014-09-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508A true KR20160037508A (ko) 2016-04-06

Family

ID=5558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150A KR20160037508A (ko) 2014-09-29 2014-09-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56790B2 (ko)
KR (1) KR20160037508A (ko)
WO (1) WO2016052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508A (ko) * 2014-09-29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US10444977B2 (en) * 2014-12-05 2019-10-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ellphone manager
CN107407987B (zh) * 2015-03-02 2020-04-28 夏普株式会社 信息输出系统、控制方法以及存储有控制程序的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USD780788S1 (en) * 2015-03-06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7827S1 (en) * 2017-03-20 2019-05-07 MTL Ventures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7826S1 (en) * 2017-03-20 2019-05-07 MTL Ventures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664190B (zh) * 2018-04-18 2019-07-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页面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US20240152227A1 (en) * 2021-02-03 2024-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interface controls sel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0187B2 (en) * 2004-07-30 2010-07-20 Apple Inc. Visual expander
US7469381B2 (en) *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JP2001188639A (ja) * 1999-12-28 2001-07-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拡大および縮小領域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20075331A1 (en) * 2000-02-14 2002-06-20 Julian Orbanes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data objects in virtual space
US20020085035A1 (en) * 2000-02-14 2002-07-04 Julian Orbane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custom formats for viewing information in virtual space
US20080060009A1 (en) * 2000-12-22 2008-03-06 Hillcrest Laboratories, Inc. Client/server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JP4732029B2 (ja) * 2005-06-29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イアウト決定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およびレイアウト決定プログラム
US7626599B2 (en) * 2005-07-12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map in computer display magnification
WO2008057785A2 (en) * 2006-11-08 2008-05-15 Cubic Design Studios Llc Asymmetric shuffle keyboard
US20100045705A1 (en) * 2006-03-30 2010-02-25 Roel Vertegaal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US8077153B2 (en) * 2006-04-19 2011-12-13 Microsoft Corporation Precise selection techniques for multi-touch screens
US7907117B2 (en) * 2006-08-08 2011-03-15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controller for visual displays
US8176438B2 (en) * 2008-09-26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interaction for a screen magnifier
US8704775B2 (en) * 2008-11-11 2014-04-22 Adobe Systems Incorporated Biometric adjustments for touchscreens
JP5343692B2 (ja) * 2009-05-12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40463B1 (ko) * 2009-05-19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15811A (ko) * 2009-08-10 201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문자 표시 방법 및 장치
US8832585B2 (en) * 2009-09-25 2014-09-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KR101636573B1 (ko) 2009-12-04 201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10197156A1 (en) * 2010-02-09 2011-08-11 Dynavox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ve zoom frame interface
US9891820B2 (en) * 2010-04-23 2018-02-13 Handscape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 keyboard from a touchpad of a computerized device
US20160364138A1 (en) * 2010-04-23 2016-12-15 Handscape Inc., A Delaware Corporation Front touchscreen and back touchpad operated user interface employing semi-persistent button groups
KR20110121926A (ko) * 2010-05-03 201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투명 팝업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020865A1 (ko) * 2010-08-13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370317B2 (ja) 2010-08-31 2013-12-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操作パネルの表示制御方法
WO2012034044A2 (en) * 2010-09-11 2012-03-15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Relationship based presence indicating in virtual area contexts
US9104308B2 (en) * 2010-12-17 2015-08-11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ulti-touch finger registration and its applications
AU2011202838B2 (en) 2010-12-21 2014-04-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US8717381B2 (en) * 2011-01-11 2014-05-06 Apple Inc. Gesture mapping for image filter input parameters
US20120274589A1 (en) * 2011-04-28 2012-11-01 De Angelo Michael J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interaction with a computer display or computer visualization or object
CN102855079B (zh) * 2011-05-24 2016-06-08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US8922639B2 (en) * 2011-09-27 2014-12-30 Olympus Corporation Microscope system
US8850310B2 (en) * 2011-10-11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Data entry suggestion lists for designated document data entry areas based on data from other document data entry areas
CA2856209C (en) * 2011-11-09 2020-04-07 Blackberry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101972924B1 (ko) * 2011-11-11 2019-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에서 부분 영역의 터치를 이용한 전체 영역 지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159078B2 (ja) * 2011-11-28 2017-07-05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50768B2 (en) * 2012-02-13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US9552067B2 (en) * 2012-06-22 2017-01-24 Apple Inc. Gesture interpretation in navigable zoom mode
US20140013271A1 (en) * 2012-07-05 2014-01-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ioritization of multitasking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interface
KR20140035183A (ko) 2012-09-13 2014-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40108979A1 (en) * 2012-10-17 2014-04-17 Perceptive Pixel, Inc. Controlling Virtual Objects
KR101430642B1 (ko) 2012-10-19 2014-08-18 주식회사 오비고 북마크 화면 구성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448642B2 (en) * 2013-02-07 2016-09-20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keyboard layouts for a touch screen display
JP2015032101A (ja) * 2013-08-01 2015-02-16 株式会社東芝 情報端末装置
US9251124B2 (en) * 2013-09-09 2016-02-02 Andrea STEINFL Modular responsive screen grid, authoring and displaying system
KR102205283B1 (ko) * 2014-02-12 202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47416B2 (en) * 2014-02-13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AU2015280257B2 (en) * 2014-06-24 2017-08-24 Apple Inc. Character recognition on a computing device
US10152227B2 (en) * 2014-08-26 2018-1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ree form user-designed single-handed touchscreen keyboard
KR20160026141A (ko) * 2014-08-29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60062571A1 (en) *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KR102264444B1 (ko) * 2014-09-04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160037508A (ko) * 2014-09-29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US10275436B2 (en) * 2015-06-01 2019-04-30 Apple Inc. Zoom enhancements to facilitate the use of touch scree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92047A1 (en) 2016-03-31
WO2016052904A1 (en) 2016-04-07
US10656790B2 (en)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75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US8549429B2 (en) Multi-window management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2503440B1 (en)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EP3889748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application windows
US10489051B2 (en) Handwriting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01099B2 (en) Dedicated on-screen closed caption display
AU20132229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 size adjustment on a screen
US201301520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zooming method thereof
WO2016041425A1 (zh) 输入法虚拟键盘的调整方法和输入法装置
US20160162139A1 (en)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N105683895A (zh) 提供用户交互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KR201200714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07462A1 (zh) 一种信息输入方法、装置及智能终端
KR102075433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1257B1 (ko)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5009554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EP34542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bject
JP2014021787A (ja) 文字列選択装置、文字列選択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40143148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P3278203B1 (en) Enhancement to text selection controls
JP2009098990A (ja) 表示装置
CN109656435B (zh) 显示控制装置及记录介质
WO2024088187A1 (zh) 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015501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KR20140131070A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