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573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573B1
KR101636573B1 KR1020090120154A KR20090120154A KR101636573B1 KR 101636573 B1 KR101636573 B1 KR 101636573B1 KR 1020090120154 A KR1020090120154 A KR 1020090120154A KR 20090120154 A KR20090120154 A KR 20090120154A KR 101636573 B1 KR101636573 B1 KR 10163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display
displayed
scree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199A (ko
Inventor
김석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573B1/ko
Priority to PCT/KR2010/005645 priority patent/WO2011068299A1/ko
Publication of KR2011006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제 1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화면 표시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재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텔레비전, 모니터, 컴퓨터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전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해당 디바이스에서 처리된 영상만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즉, 텔레비전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텔레비전에서 처리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되며, 컴퓨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컴퓨터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된다.
하지만, 최근 연구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와 같이 각각의 디바이스에 종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할당하는 대신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정 또는 회사의 벽면에 설치하여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 록 하는 '디스플레이 월'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월'을 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있어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는 영상 표시에 있어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여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제 1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에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여러 개가 고장이 나는 때에도,화면의 일부분이 누락되거나 컨텐츠가 실행되지 않거나 하는 등의 경우가 발생함이 없이 화면 전체의 표시가 유효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 표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여 화면 표시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한 화면 표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 또는 다양한 기능의 설정 등의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20)와, 네트워크 서버 등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공간에서 벽면에 설치가능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정의 거실이나 방을 구성하는 일 벽면 또는 그 이상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거실이나 방의 벽면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월' 또는 비디오 월'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는 타일(tile) 형태를 갖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어,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111,112,......,125)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부(110)로 연결되어 단일 화면(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프레이부를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되는 대신에, 각각 하나의 단일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들이 단일의 디스플레이부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벽면에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영상 정보가 포함된 빛이 벽면에 투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단일 또는 다수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되는 소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컨텐츠는 방송 신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컨텐츠를 실행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들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부(150)에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컨텐츠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와 같은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이러한 터치 스크린 이외에 물리적 클릭 휠(physical click wheel)을 포함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클릭 휠(virtual click 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릭 휠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휠과의 접촉점 또는 휠의 각 변위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명령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클릭 휠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휠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휠의 중심을 누르는 경우, 하나 이상의 아이템 선택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한 화면 표시에 이상(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 화면에 대한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화면 표시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부(110)를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고장나서 화면의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표시의 이상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정상 동작되지 않아 사용자의 입력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는 경우도 화면 표시의 이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동작하지 않아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용자 입력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정상적인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정상적인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를, 화면 표시의 이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러한 판단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다양한 방법들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한 화면 표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 모듈의 전원부가 고장나서 화면의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어부(130)가 전원부와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 또는 전원부와 A/D 변환부 사이의 출력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검출되는 전압이 낮을 경우가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 모듈의 영상이 깨지거나 영상 출력이 원활하지 않는 등의 고장은,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부로 제공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거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공되는 영상 신호의 상태를 검출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별 출력 고장 여부를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검출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우에 터치 스크린의 고장여부는, 제어 알고리즘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취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입력된 횟수를 카운팅하여 그 값이 임계값을 넘어가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의 고장으로 판단하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전송하는 주기적인 테스트 신호의 정상 여부로부터 고장을 판단하거나, 사용자가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별 터치부 고장 여 부를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표시의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판단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들로 실시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화면 표시의 이상(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에 의한 표시 화면의 재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는 단일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컨텡츠가 표시되는 경우가 예시된다.
예를 들면,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3열 3행에 위치하는 T33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301)을 통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의 화면이 표시된다. 해당 컨텐츠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하여 T33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301)을 통하여 화면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T33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301)을 통한 화면 표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T33영역에서 표시되던 화면을 다른 유효 영역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표시 화면을 재구성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T33 영역과 인접하면서 화면표시가 가능한 다른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탐색한다. 이하에서는, 특정 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접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리켜 인접한 영역 또는 인접 영역이라 하고, 서 브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역으로 명칭될 수 있으니, 이 점 참조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화면 표시의 이상이 발생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하면서 유효한(화면 표시가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경우, 상기 T33 영역에 인접한 영역으로는 T22, T23, T24, T32, T33, T34, T42, T43, T44 영역들이 될 수 있으며, 다만, 실시예에 따라 T23, T32, T34, T43이 인접한 영역으로 선정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단일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한 화면 표시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인접 영역(302)을 선정하고, 그 인접 영역(302) 내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화면 표시가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탐색한다. 즉, 해당 인접 영역(302) 내에 속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고장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다른 컨텐츠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탐색한다. 용이한 탐색을 위하여, 고장난 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유효 영역을 탐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탐색결과에 따라 유효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T33 영역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화감 없이 해당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접 영역에 속하는 영역들 중에서 유효 영역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특정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영역(302 또는 303으로 도시되는 인접 영역 이외 의 영역)에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표시 화면과 가능한 한 먼 곳 또는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영역이 선택되도록 하거나, 화면 표시의 이상이 발생된 영역에 가장 가까운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130)가 선정한 인접 영역(302) 내에도 유효한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인접 영역(302) 내의 영역들이 모두 고장이거나 다른 컨텐츠의 실행으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때에는, 그 인접 영역을 확대시킨다. 즉, 도면부호 302로 도시되는 인접 영역을 제 1 인접 영역이라고 한다면, 상기 제 1 인접 영역 보다 넓은 제 2 인접 영역(303)을 선정한다. 그리고, 제 2 인접 영역(303)에 속하는 영역들 중에서 유효한 영역 즉, 화면 표시가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탐색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진행하면서, 유효한 영역에서 화면이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가 예시된다. 이러한 경우의 표시 화면의 재구성은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화면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표시 화면(400)이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T32, T33, T42, T43, T52 및 T53 영역을 통하여 표시되고, 그 중에 T43 영역에서 화면 표시의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일부가 표시되지 않은 화면이 제공될 여지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며, 먼저, 6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통한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할 수 있는 유효 영역을 탐색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해당 표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이동시키는 재구성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에서 고장난 영역과, 다른 컨텐츠의 실행으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들을 제외시켜, 유효 영역을 선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T12, T13, T22, T23, T32 및 T33 영역들로 이루어진 제 1 유효 영역(401), T31, T32, T41, T42, T51 및 T52 영역들로 이루어진 제 2 유효 영역(402), T52, T53, T62, T63, T72 및 T73 영역들로 이루어진 제 3 유효 영역(403)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선정되는 유효 영역은 해당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유효 영역(401) 내지 제 3 유효 영역(403)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 일부의 깨짐 현상 없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유효 영역이 여러 개 선택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컨텐츠의 실행에 따라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의 위치를 고려하여 유효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61영역에 다른 컨텐츠에 대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라면, 인접한 제 2 유효 영역(402) 및 제 3 유효 영역(403)을 선택하는 대신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제 1 유효 영역(40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과 도 6에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가 예시되며, 표시 화면이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재구성되는 다른 예가 개시된다.
예를 들어, 4개의 컨텐츠가 실행되어, 각각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 1 표시 화면(410) 내지 제 4 표시 화면(44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에, 제 1 표시 화면(410)의 T43 영역에서 화면 표시 이상이 발생되면,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제 1 표시 화면(410)의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가능한 유효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나, 복수의 표시 화면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상기 T43 영역 이외에 T61 영역과 T62 영역에서도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재구성되는 것은 어려워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의 사이즈를 축소(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다른 실시예 참조)하기 이전에, 단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화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과 인접한 영역 T31 영역을 통하여 제 4 표시 화면(44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4 표시 화면(440)을 이동시킴으로써 제 1 표시 화면(410)의 사이즈 유지 및 그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단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4 표시 화면(440)이 이동됨으로 써, 제 1 표시 화면(410)이 그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될 수 있다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4 표시 화면(440)이 T21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이 T31, T32, T41, T42, T51 및 T52 영역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표시 화면의 재구성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을 동일한 사이즈로 계속하여 감상할 수 있으며, 제 4 표시 화면(440) 역시 인접한 영역으로 이동되었으므로 큰 위화감을 갖지 않은채 제 4 표시 화면(440)을 감상할 수 있다.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표시 화면(400)을 이동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단일 영역으로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존재하지 않아, 사이즈를 유지한채 그 이동이 수행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실시예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에,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다른 영역도 고장이거나 다른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관계로,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표시 화면을 이동시키는 어려운 경우에는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표시 화면을 재구성한다.
예를 들면, T11, T23, T51, T63 영역들에서도 화면 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라면, 해당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화면 표시가 가능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의 개수 또는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변경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T31, T32, T41 및 T42 영역이 유효 영역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상기 T31, T32, T41 및 T42 영역으로 이루어진 유효 영역(500)의 크기에 맞게 변경한다. 이러한 표시 화면의 재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다소 축소된 화면을 보게 되지만, 화면의 일부가 보이지 않는 등의 위화감은 느끼지 않을 것이다.
도 8과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통해서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복수의 영역)을 통하여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에, 그 사이즈를 변경하여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도 8과 도 9를 통해서는, 해당 표시 화면 뿐만 아니라 다른 표시 화면도 함께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제 5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의 재구성은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소정 범위 이하로 축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적절한 사이즈로 해당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복수 개의 화면(610,620,630)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제 1 표시 화면(610)을 구성하는 영역 들 중 T62, T73, T81, T82, T83 및 T84 영역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표시 화면(610) 내지 제 3 표시 화면(630)에 속하지 않는 T41 영역에도 표시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130)는 12개의 영역(T61, T62, T63, T64, T71, T72, T73, T74, T81, T82, T83, T84)으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서 그 사이즈를 축소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도 6에서는 인접한 4개 이상의 유효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대화면으로 표시되는 제 1 표시 화면(610)을 1개 영역에 대응되도록 그 사이즈를 축소하는 대신에, 다른 표시 화면(620 또는 630)에 대한 사용 빈도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표시 화면(610)을 보는 중에,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약 1/12로 축소되어 버리면, 일부 화면이 보이지 않는 경우보다 더 위화감을 느끼게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일정 비율 이상으로 화면 사이즈가 축소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다른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해당 표시 화면에 대한 최소한의 사이즈를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30)는 제 2 표시 화면(620)과 제 3 표시 화면(630) 중에서 그 사용 빈도수가 낮거나 우선 순위가 낮은 것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표시 화면(620)은 사진이 될 수 있고, 제 3 표시 화면(630)은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한 방송 화면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제 2 표시 화면(620)의 사진 이미지를 변경한 이력이 없거나, 방송 채널을 변경하여 제 3 표시 화면(630)의 영상이 수시로 바뀌는 때에는, 상기 제 2 표시 화면(620)의 사용 빈도수가 제 3 표시 화면(630)에 비해 낮은 것으로 판단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제 2 표시 화면(620)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제 1 표시 화면(610)이 이동될 수 있는 영역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6개의 영역(T32, T33, T34, T42, T43, T44, T52, T53 및 T54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620)의 사이즈를 4개의 영역(T33, T34, T43 및 T44 영역)으로 축소시킨다. 이 경우, T53, T54, T63 및 T64 영역이 유효 영역으로 되고, 상기 제 1 표시 화면(610)은 4개의 유효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표시 화면(610)을 시청하던 사용자에게 큰 위화감을 주지 않고서, 가로 사이즈가 2/3, 세로 사이즈가 1/2로 축소된 화면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제 1 표시 화면(610)을 즐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데 있어서는, 단일 영역 즉,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인지 여부와, 복수 영역 즉,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영역을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경우는,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현재 사이즈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 해당 표시 화면만을 축소시킬 것인지 인접한 다른 표시 화면의 사이즈도 함께 축소시켜 유효 영역을 확보할 것인지 등이 결정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복수의 표시 화면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해당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하여 개시되는 표시 화면의 재구성 방법은, 전술한 여 러 실시예와 일부 중복되는 내용도 있으니, 앞선 실시예와 함께 이해하여도 무방하다.
먼저, 도 10에는, 3개의 컨텐츠들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 상에 3개의 표시 화면(810,820,830)이 나타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화면(810)에는 사용자가 명작 그림 감상이라는 컨텐츠를 실행하여, 그림이 표시되고 있으며, 제 2 표시 화면(820)에는 사용자가 TV 방송 컨텐츠를 실행하여 뉴스에 대한 영상이 표시되고 있으며, 제 3 표시 화면(830)에는 사용자가 일정 관리 컨텐츠를 실행하여 달력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다. 다양한 컨텐츠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표시 화면(810)은 12개 영역(T11, T12, T13, T14, T21, T22, T23, T24, T31, T32, T33 및 T34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으며, 제 2 표시 화면(820)은 20개 영역(T45, T46, T47, T48, T55, T56, T57, T58, T65, T66, T67, T68, T75, T76, T77, T78, T85, T86, T87 및 T88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으며, 제 3 표시 화면(830)은 16개 영역(T71, T72, T73, T74, T81, T82, T83, T84, T91, T92, T93, T94, T101, T102, T103 및 T104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다.
만약,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2 영역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제 1 표시 화면(810)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게 되고, T47 영역과 T76 영역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제 2 표시 화면(820)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T72 영역과 T93 영역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제 3 표시 화면(830)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 1 내지 제 3 표시 화면(810~830) 전부를 원활히 시청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30)는 제 1 표시 화면 내지 제 3 표시 화면 모두가 복수 영역을 통하여 표시되는 것이므로, 각각의 표시 화면들이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3개의 표시 화면 모두가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러 컨텐츠의 실행으로, 3개의 표시 화면 모두가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되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컨텐츠들간에 사용 빈도수등에 따른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 화면(810)은 12개의 인접한 유효 영역인 T15, T16, T17, T18, T25, T26, T27, T28, T35, T36, T37 및 T38 영역으로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될 수 있으며, 제 2 표시 화면(820)은 12개의 인접한 유효 영역인 T32, T33, T34, T42, T43, T44, T52, T53, T54, T62, T63 및 T64 영역으로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표시 화면(820)은 도 8과 도 9에서 20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상기 제 2 표시 화면(820)은 12개의 영역으로 표시가능한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그 사이즈는 유지된 것이다. 이러한 실질적인 표시 화면의 사이즈는 상기 제어부(130)의 판단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 3 표시 화면(830)은 16개의 인접한 유효 영역이 없으므로, 그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 화면의 이동과 함께 사이즈 축소가 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9 개의 인접한 유효 영역인 T85, T86, T87, T88, T95, T96, T97, T98, T105, T106, T107 및 T108 영역을 통하여 가로 또는 세로 길이가 다소 축소된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복수 영역을 차지하는 표시 화면들이 복수개 표시되고, 그들 내에 표시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각 표시 화면의 재구성에 각 컨텐츠의 우선 순위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150)에는 각 컨텐츠들에 대한 사용자 이용도가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 화면의 재구성시에 이러한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복수의 컨텐츠 실행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화면 표시의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라도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 없이 연속적인 화면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는 예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와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과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복수의 표시 화면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해당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7)

  1.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제 1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단일의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와 복수의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에 따라 표시 화면의 재구성을 다르게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단일의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모듈들을 인접 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인접 영역에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유효 영역으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복수의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유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유효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유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유효 영역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상기 유효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2 표시 화면이 더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 화면을 이동시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유효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유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유효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기설정된 최소 사이즈 이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표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화면도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표시 화면들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표시 화면을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이동에 따라 확보되는 영역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을 축소시키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축소에 따라 확보되는 영역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이동에 따라 확보되는 영역에 사이즈가 축소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을 축소시키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축소에 따라 확보되는 영역에 사이즈가 축소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 이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제 2 표시 화면과 제 3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표시 화면과 제 3 표시 화면 중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 표시 화면을 이동시키거나 축소시키고, 우선 순위가 낮은 표시 화면의 이동 또는 축소에 의하여 확보되는 영역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화면과 제 3 표시 화면의 우선 순위 판단은, 컨텐츠별 우선 순위가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90120154A 2009-12-04 2009-12-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36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154A KR101636573B1 (ko) 2009-12-04 2009-12-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CT/KR2010/005645 WO2011068299A1 (ko) 2009-12-04 2010-08-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154A KR101636573B1 (ko) 2009-12-04 2009-12-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99A KR20110063199A (ko) 2011-06-10
KR101636573B1 true KR101636573B1 (ko) 2016-07-05

Family

ID=4411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154A KR101636573B1 (ko) 2009-12-04 2009-12-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6573B1 (ko)
WO (1) WO2011068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508A (ko) 2014-09-29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CN110827731A (zh) * 2019-11-29 2020-02-21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故障灯板的定位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9294B1 (en) * 1998-07-20 2001-06-19 Hewlett-Packard Company 3D graphics in a single logical sreen display using multiple computer systems
US20040201621A1 (en) * 2001-10-10 2004-10-14 Stevens Bruce W. Presentation program and method
KR100642505B1 (ko) * 2004-09-10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9000334A1 (en) * 2007-06-27 2008-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posite display
KR101411313B1 (ko) * 2007-10-29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Tv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99A (ko) 2011-06-10
WO2011068299A1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0947B1 (en) Airplane cabin panoramic view system
US10043318B2 (en) Display synchronized image warping
EP3507646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06281B2 (en) Multi-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97032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erial system control
US1032886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synthetic image and changing synthetic image
CN103902061B (zh) 空中鼠标的光标显示方法、设备及系统
US20210185294A1 (en) Split rendering between a head-mounted display (hmd) and a host computer
US20150002642A1 (en) Vehicle visibility improvement system
KR20150102013A (ko) 자동 입체 프리젠테이션을 회전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
US9648099B2 (en)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135848B2 (en) Display device
CN103064645A (zh) 显示方法和电子设备
KR1016365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050116968A1 (en) Multi-capability display
US1100994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foveated images
CN113474749B (zh) 屏幕显示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13938730A (zh) 显示设备的投影组件校正方法和显示设备
US2011020025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825324B2 (ja) 画像表示装置が表示する分割画面に画像の割り当てを行う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15184668A (ja) 画像出力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モジュール、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14089327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
US8902186B2 (en) Touch display apparatus and touch position mapping method thereof
US9628745B2 (en) Screen splitting system and method
US20210118393A1 (en) Low power display refresh during semi-active work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