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68299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68299A1
WO2011068299A1 PCT/KR2010/005645 KR2010005645W WO2011068299A1 WO 2011068299 A1 WO2011068299 A1 WO 2011068299A1 KR 2010005645 W KR2010005645 W KR 2010005645W WO 2011068299 A1 WO2011068299 A1 WO 20110682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display
displayed
scree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56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석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10682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682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Definitions

  •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 display screen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creen display.
  • Current display apparatuses such as televisions, monitors, and computers, have a predetermine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n image.
  • Each device has a dedicated display module and operates to output only an image processed by the corresponding device.
  • the display module provided in the television is used to output the broadcast signal processed in the television
  • the display module provided in the computer is used to output the processed video signal in the computer.
  •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constructing a display scre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displaying an image through a display wall, that is, a display wall constituting part or all of a large TV or a wall as described above. Suggest.
  • the present embodiment proposes 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nstructing a display screen so as not to give a viewer a sense of discomfor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video display.
  •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which can be controlled in groups or individually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onfigure the first display screen and to control the display of the reconstructed first display scre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first display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 the display method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including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which are integrally or individually controllable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the display of the first display screen may be reconfigured by moving and displaying the first display screen or by reducing the size of the first display screen.
  • th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as proposed even when any one or several of the sub-display modules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fail, a part of the screen may be missing or content may not be executed.
  • the display of the entire screen can be made effective without.
  •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 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unit of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 5 and 6 illustrate reconstructing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FIG. 7 illustrates reconstruction of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10 to 12 are views for reconfiguring the display screen when a display abnormality occurs in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 the display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express a part of the displayed screen, the entire display image is displayed by reconstructing the display image.
  •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provide a continuity of the screen display by reconfiguring the display scre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screen display, and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110 o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And a controller 130 which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creen display and reconfigures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result.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120 for receiving a command such as manipulation of a display device or setting various functions from a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140 for receiving content from a network server. have.
  • the display unit 11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installed on a wall in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provided to occupy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
  • the display apparatus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installed on one wall or more walls constituting a living room or a room of the home, and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nstalled on a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s of the living room or the room.
  •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isplay wall" or a video wall.
  • th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110 may combine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having a tile shape to form one large screen.
  • the display unit 110 has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111, 112,..., 125 connected to one large display unit 110 so as to provide a single display unit.
  • a screen (video) can be output. That is, the sub display modules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may be controlled in groups or individually.
  • each of the sub display modules may display a screen as a single display unit.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 the display unit 11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as a projector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a wall surface.
  • light including image information is projected onto the wall surface from the projector.
  • the display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figure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 to provide a single or multiple screens to the user.
  •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or image, and for example, display the predetermined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 Such content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content from an external server or another display de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the received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 the content may include not only a broadcast signal but also various cont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through the display 110 by executing a plurality of contents.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store content in the memory unit 150, an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o read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and display the content in the display unit 110. do.
  • the user input unit 120 may be a touch screen on which the touch screen panel is mounted on the display 110 to recognize a gesture such as a user's touch or drag.
  • the user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physical click wheel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or may include a virtual click wheel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 the click wheel is a user interfac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navigation commands based on contact points with the wheel by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or angular displacement of the wheel.
  • the click wheel can be used to provide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tem sele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wheel or the center of the wheel.
  • the controller 130 reconfigures the display screen when an abnormality (failure) occurs in the screen display by the display unit 110, thereby preventing a user from feeling discomfort on the display screen.
  •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screen display
  • the sub display module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110 may be broken and a part of the screen may not be visible.
  • the abnormality of the screen display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case in which the sub display module does not operate normally.
  • the sub display module formed of the touch screen does not operate normally. Even if this is not performed smoothly, it can be said that the display is abnormal. That is, not only a case where a screen is not displayed because the sub display module does not operate, but also a case where normal user input is not performed when the sub display module is used as a user input means.
  • the case where the normal operation is not performed as an interface means with the user is an abnormality of the screen display.
  •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ub display module operates normally.
  • the determina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screen display by the sub display module is normally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of hardware or software.
  •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n output voltage between the power unit and the sub display module or between the power unit and the A / D converter. By detecting, the case where the detected voltage is low can be judged as a failure.
  • the output voltage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sub display module is detected, or the state of the image signal provided to the sub display module is detected.
  • the detection may be performed by a user directly setting an output failure for each sub display module.
  • a sub display modul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whether or not the touch screen is broken, as a control algorithm, checks whether a cancel key is input from the user,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input is exceeded, and the value exceeds the threshold.
  • the failure may be determined by a method such as determining a failure of the touch screen, determining a failure from a normal test signal transmitted to the touch screen, or setting a failure of a touch unit for each sub display module.
  • the configuration for checking and determining whether such a screen display is abnormal can be implemented by known technique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reconfiguring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a single sub display module.
  • a screen of contents executed through the sub display module 301 of the T33 region located in 3 columns and 3 rows of the sub display modules is displayed.
  • the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sub display module 301 of the T33 area by the user's designation.
  • the controller 130 reconfigures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screen displayed in the T33 area is displayed through another valid area. do.
  • the controller 130 searches for another sub display module adjacent to the T33 area and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 the sub display module adjacent to the sub display module of the specific area is referred to as an adjacent area or an adjacent area, and the sub display module may be referred to as an area.
  •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re is a valid sub display module adjacent to the sub display module where an abnormality of the screen display has occurred and which can be displayed.
  • the areas adjacent to the T33 area may be areas T22, T23, T24, T32, T33, T34, T42, T43, and T44, except that T23, T32, T34, and T43 are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such as being selected.
  • the controller 130 selects the adjacent area 302 and displays the screen among the sub display modules in the adjacent area 302. Search for a sub display module that can be displayed. That is, the sub display module searches for a sub display module in which a failure has not occurred and no other content is being executed among the sub display modules belonging to the adjacent area 302. For easy searching, information about the sub display module of the failed reg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and the controller 130 searches for an effective region using the information.
  • the controller 130 continuously displays the screen displayed in the T33 area through the effective sub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corresponding content without discomfort.
  • a specific area may be selec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screen is displayed in another area (area other than the adjacent area shown by 302 or 303), an area located as far or as close as possible to the display screen is selected, or The region closest to the region where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may be selected.
  • a valid area does not exist even in the adjacent area 302 selected by the controller 130, that is, when all of the areas in the adjacent area 302 are broken or a screen is displayed due to execution of other content, Enlarge the adjacent area.
  • the adjacent reg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02 is the first adjacent region, the second adjacent region 303 wider than the first adjacent region is selected.
  • a valid area that is, a sub display module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is searched among areas belonging to the second adjacent area 303. As you proceed through these steps, you ensure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continuously in the valid area.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reconfiguring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 the reconstruction of the display screen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screen movement i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 the display screen 400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T32, T33, T42, T43, T52, and T53 regions of the sub display module, and abnormalities of the screen display may occur in the T43 region.
  • abnormalities of the screen display may occur in the T43 region.
  • the controller 130 reconfigures the display screen and first searches for an effective area capable of maintaining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400 through the six sub display modules. That is,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reconfiguration of moving the display screen on the display unit while maintaining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400 is possible.
  • the controller 130 selects an effective area by excluding an area i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due to execution of other content and an area that has failed in the display unit.
  • the controller 130 is formed of a first effective region 401 consisting of T12, T13, T22, T23, T32, and T33 regions, consisting of T31, T32, T41, T42, T51, and T52 regions.
  • a third effective area 403 consisting of two effective areas 402, T52, T53, T62, T63, T72, and T73 areas may be selected.
  • the selected effective area can maintain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400, and selects any one of the first valid area 401 to the third valid area 403, without breaking a portion of the screen. Allow the screen to be displayed.
  • the effective area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area where the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other contents. For example, if a screen for other content is displayed in the T61 area, instead of selecting the adjacent second valid area 402 and the third valid area 403, the screen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valid area 403 can be selected.
  • 5 and 6 illustrate reconstructing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5 and 6 illustrate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s are displayed through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and another example in which a display screen is reconfigured while maintaining a size is disclosed.
  • the display screen may be reconfig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the controller 130 before the controller 130 reduces the size of the first display screen 410 (see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S. 7 to 12), whether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in a single area exists. You can check. For example, when the fourth display screen 440 is displayed through the area T31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screen 410, the controller 130 moves the fourth display screen 440 by moving the fourth display screen 4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ze of the first display screen 410 is maintained and whether the movement is possible.
  • the first display screen 410 can be moved while maintaining the size by moving the fourth display screen 440 displayed in a single area to another place, as shown in FIG.
  • the fourth display screen 440 is moved to be displayed in the T21 region, and the first display screen 410 is reconfigured so that the first display screen 410 is displayed through the T31, T32, T41, T42, T51, and T52 regions.
  • the user can continue to watch the first display screen 410 in the same size, and since the fourth display screen 440 has also been moved to the adjacent area, the fourth display screen ( 440).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reconfiguring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reconfiguring the display screen when it is difficult to move the display screen 400 while maintaining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400 illustrated in FIG. 4.
  • the display screen is reconfigured when there is no display screen displayed as a single area and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movement while maintaining the size.
  •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it is possible to move the display screen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size. However, if another area is broken or another screen is displayed, and it is difficult to move the display screen while maintaining the size, the display screen is reconfigured by changing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40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r positions of areas that can be used for screen display.
  •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400 to the effective area 500 including the T31, T32, T41, and T42 areas. Change the size to fit. Through such a reconstruction of the display screen, the user may see a somewhat reduced screen, but may not feel discomfort such as not part of the screen.
  • FIG. 7 illustrates a method of reconfiguring a display screen by changing its size when a screen is displayed through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plural regions). 8 and 9,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reconfiguring the display screen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display screen.
  • the reconstruction of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prevents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from being reduced below a predetermined range, thereby ensuring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at an appropriate size.
  • a plurality of screens 610, 620, and 63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mong the areas constituting the first display screen 610, T62, T73, T81, T82, T83, and T84 areas.
  • An abnormality in display may occur.
  • a display abnormality may occur in an area T41 that does not belong to the first display screen 610 to the third display screen 630.
  • the controller 130 reduces the size of the screen displayed in the twelve areas (T61, T62, T63, T64, T71, T72, T73, T74, T81, T82, T83, and T84). Can be. However, in FIG. 6, since four or more adjacent effective areas do not exist, instead of reducing the size of the first display screen 610 displayed on the large screen to correspond to one area, other display screens 620 or 630. ), You can check the frequency of use.
  • the controller 130 may reduce the size of another display screen to maintain the minimum size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screen in order to prevent the screen size from being reduc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ratio.
  • the controller 130 may select one of the second display screen 620 and the third display screen 630 having a low use frequency or a low priority.
  • the second display screen 620 may be a picture
  • the third display screen 630 may be a broadcast screen for a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the second display screen 620 May be determined to be lower than the third display screen 630.
  • the controller 130 may reduce the size of the second display screen 620 to secure a space in an area where the first display screen 610 may be moved. That is, the size of the second display screen 620 displayed in six areas (T32, T33, T34, T42, T43, T44, T52, T53, and T54) is determined by four areas (T33, T34, T43, and T44 areas). To zoom out. In this case, areas T53, T54, T63, and T64 become effective areas, and the first display screen 610 may be moved to four effective areas and displayed.
  • the first display screen 610 is continuously enjoyed through the screen of which the horizontal size is reduced to 2/3 and the vertical size is reduced to 1/2 without giving a great discomfort to the user who was watching the first display screen 610. Can be.
  • the reconfiguring of the display screen is per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screen is displayed through a single area, that is, one sub display module, and whether the screen is displayed through a plurality of areas, that is,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Can be.
  • the display screen may be kept in a size maintained, or if the current size is difficult to be reduced, only the display screen is reduced or the size of another adjacent display screen is also reduced. To determine the effective area.
  • 10 to 12 are diagrams for describing reconfiguring a display screen when display abnormalities occur in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 the reconstruction method of the display screen disclosed through FIGS. 10 to 12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understood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FIG. 10 illustrates a case where three contents are executed to display three display screens 810, 820, and 830 on the display unit.
  • a user executes content called masterpiece picture viewing, and a picture is displayed.
  • a user executes TV broadcasting content to display an image of news.
  • the third display screen 830 displays a calendar image by the user executing schedule management content.
  • various contents may be provided from a server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 the first display screen 810 is displayed in twelve areas (T11, T12, T13, T14, T21, T22, T23, T24, T31, T32, T33, and T34 areas), and the second display screen. 820 is in 20 areas (T45, T46, T47, T48, T55, T56, T57, T58, T65, T66, T67, T68, T75, T76, T77, T78, T85, T86, T87, and T88 areas).
  • the third display screen 830 is displayed in 16 areas (T71, T72, T73, T74, T81, T82, T83, T84, T91, T92, T93, T94, T101, T102, T103, and T104). It is displayed.
  • the controller 130 of the display apparatus since the controller 130 of the display apparatus displays all of the first to third display screens through a plurality of regions,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each of the display screens can move in a state of maintaining a size. That is, it is checked whether all three display screens are movable without reducing the screen size.
  • prioritie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mong the contents.
  • the first display screen 810 maintains size in 12 adjacent effective areas T15, T16, T17, T18, T25, T26, T27, T28, T35, T36, T37, and T38.
  • the second display screen 820 may maintain the size of 12 adjacent effective areas T32, T33, T34, T42, T43, T44, T52, T53, T54, T62, T63, and T64. Can be moved.
  • the second display screen 820 occupies 20 areas in FIGS. 8 and 9, but since the second display screen 820 is actually displayable in 12 areas, the size is substantially maintained. .
  • the actual size of the display screen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30.
  • the size reduction may be determin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its priority.
  • the horizontal or vertical length may be displayed as a screen which is somewhat reduced in width through nine adjacent effective areas T85, T86, T87, T88, T95, T96, T97, T98, T105, T106, T107, and T108.
  • the controller 130 may use the priority of each content to reconstruct each display screen.
  • the user unit for each content may be databased in the memory unit 150, and the controller 130 may refer to such data when the display screen is reconfigured.
  • the display screen is reconfigured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a continuous screen without discomf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제 1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화면 표시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재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텔레비전, 모니터, 컴퓨터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전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해당 디바이스에서 처리된 영상만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즉, 텔레비전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텔레비전에서 처리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되며, 컴퓨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컴퓨터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된다.
하지만, 최근 연구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와 같이 각각의 디바이스에 종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할당하는 대신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정 또는 회사의 벽면에 설치하여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월'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형 TV나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월'을 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있어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는 영상 표시에 있어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여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제 1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에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여러 개가 고장이 나는 때에도,화면의 일부분이 누락되거나 컨텐츠가 실행되지 않거나 하는 등의 경우가 발생함이 없이 화면 전체의 표시가 유효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는 예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와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과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복수의 표시 화면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해당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가 표현되지 않는 경우에, 표시 영상을 재구성함으로써 영상의 전부가 표시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표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여 화면 표시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한 화면 표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 또는 다양한 기능의 설정 등의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20)와, 네트워크 서버 등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공간에서 벽면에 설치가능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정의 거실이나 방을 구성하는 일 벽면 또는 그 이상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거실이나 방의 벽면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월' 또는 비디오 월'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는 타일(tile) 형태를 갖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어,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111,112,......,125)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부(110)로 연결되어 단일 화면(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프레이부를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되는 대신에, 각각 하나의 단일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들이 단일의 디스플레이부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벽면에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영상 정보가 포함된 빛이 벽면에 투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단일 또는 다수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되는 소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컨텐츠는 방송 신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컨텐츠를 실행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들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부(150)에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컨텐츠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와 같은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이러한 터치 스크린 이외에 물리적 클릭 휠(physical click wheel)을 포함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클릭 휠(virtual click 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릭 휠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휠과의 접촉점 또는 휠의 각 변위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명령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클릭 휠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휠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휠의 중심을 누르는 경우, 하나 이상의 아이템 선택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한 화면 표시에 이상(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 화면에 대한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화면 표시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부(110)를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고장나서 화면의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표시의 이상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정상 동작되지 않아 사용자의 입력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는 경우도 화면 표시의 이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동작하지 않아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용자 입력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정상적인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정상적인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를, 화면 표시의 이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러한 판단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다양한 방법들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한 화면 표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 모듈의 전원부가 고장나서 화면의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어부(130)가 전원부와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 또는 전원부와 A/D 변환부 사이의 출력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검출되는 전압이 낮을 경우가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 모듈의 영상이 깨지거나 영상 출력이 원활하지 않는 등의 고장은,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부로 제공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거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공되는 영상 신호의 상태를 검출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별 출력 고장 여부를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검출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우에 터치 스크린의 고장여부는, 제어 알고리즘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취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입력된 횟수를 카운팅하여 그 값이 임계값을 넘어가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의 고장으로 판단하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전송하는 주기적인 테스트 신호의 정상 여부로부터 고장을 판단하거나, 사용자가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별 터치부 고장 여부를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표시의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판단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들로 실시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화면 표시의 이상(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에 의한 표시 화면의 재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는 단일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컨텡츠가 표시되는 경우가 예시된다.
예를 들면,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3열 3행에 위치하는 T33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301)을 통하여 실행되는 컨텐츠의 화면이 표시된다. 해당 컨텐츠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하여 T33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301)을 통하여 화면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T33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301)을 통한 화면 표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T33영역에서 표시되던 화면을 다른 유효 영역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표시 화면을 재구성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T33 영역과 인접하면서 화면표시가 가능한 다른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탐색한다. 이하에서는, 특정 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접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리켜 인접한 영역 또는 인접 영역이라 하고,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역으로 명칭될 수 있으니, 이 점 참조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화면 표시의 이상이 발생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하면서 유효한(화면 표시가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경우, 상기 T33 영역에 인접한 영역으로는 T22, T23, T24, T32, T33, T34, T42, T43, T44 영역들이 될 수 있으며, 다만, 실시예에 따라 T23, T32, T34, T43이 인접한 영역으로 선정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단일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한 화면 표시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인접 영역(302)을 선정하고, 그 인접 영역(302) 내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화면 표시가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탐색한다. 즉, 해당 인접 영역(302) 내에 속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고장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다른 컨텐츠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탐색한다. 용이한 탐색을 위하여, 고장난 영역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유효 영역을 탐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탐색결과에 따라 유효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T33 영역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화감 없이 해당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접 영역에 속하는 영역들 중에서 유효 영역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특정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영역(302 또는 303으로 도시되는 인접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표시 화면과 가능한 한 먼 곳 또는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영역이 선택되도록 하거나, 화면 표시의 이상이 발생된 영역에 가장 가까운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130)가 선정한 인접 영역(302) 내에도 유효한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인접 영역(302) 내의 영역들이 모두 고장이거나 다른 컨텐츠의 실행으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때에는, 그 인접 영역을 확대시킨다. 즉, 도면부호 302로 도시되는 인접 영역을 제 1 인접 영역이라고 한다면, 상기 제 1 인접 영역 보다 넓은 제 2 인접 영역(303)을 선정한다. 그리고, 제 2 인접 영역(303)에 속하는 영역들 중에서 유효한 영역 즉, 화면 표시가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탐색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진행하면서, 유효한 영역에서 화면이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가 예시된다. 이러한 경우의 표시 화면의 재구성은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화면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표시 화면(400)이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T32, T33, T42, T43, T52 및 T53 영역을 통하여 표시되고, 그 중에 T43 영역에서 화면 표시의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일부가 표시되지 않은 화면이 제공될 여지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며, 먼저, 6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통한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할 수 있는 유효 영역을 탐색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해당 표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이동시키는 재구성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에서 고장난 영역과, 다른 컨텐츠의 실행으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들을 제외시켜, 유효 영역을 선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T12, T13, T22, T23, T32 및 T33 영역들로 이루어진 제 1 유효 영역(401), T31, T32, T41, T42, T51 및 T52 영역들로 이루어진 제 2 유효 영역(402), T52, T53, T62, T63, T72 및 T73 영역들로 이루어진 제 3 유효 영역(403)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선정되는 유효 영역은 해당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유효 영역(401) 내지 제 3 유효 영역(403)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 일부의 깨짐 현상 없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유효 영역이 여러 개 선택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컨텐츠의 실행에 따라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의 위치를 고려하여 유효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61영역에 다른 컨텐츠에 대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라면, 인접한 제 2 유효 영역(402) 및 제 3 유효 영역(403)을 선택하는 대신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제 1 유효 영역(40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과 도 6에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가 예시되며, 표시 화면이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재구성되는 다른 예가 개시된다.
예를 들어, 4개의 컨텐츠가 실행되어, 각각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 1 표시 화면(410) 내지 제 4 표시 화면(44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에, 제 1 표시 화면(410)의 T43 영역에서 화면 표시 이상이 발생되면,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앞선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영역 중에서, 제 1 표시 화면(410)의 사이즈(표시영역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나, 복수의 표시 화면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상기 T43 영역 이외에 T61 영역과 T62 영역에서도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재구성되는 것은 어려워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의 사이즈를 축소(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다른 실시예 참조)하기 이전에, 단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화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과 인접한 영역 T31 영역을 통하여 제 4 표시 화면(44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4 표시 화면(440)을 이동시킴으로써 제 1 표시 화면(410)의 사이즈 유지 및 그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단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4 표시 화면(440)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표시 화면(410)을 그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시킬 수 있다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4 표시 화면(440)이 T21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이 T31, T32, T41, T42, T51 및 T52 영역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표시 화면의 재구성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410)을 동일한 사이즈로 계속하여 감상할 수 있으며, 제 4 표시 화면(440) 역시 인접한 영역으로 이동되었으므로 큰 위화감을 갖지 않은채 제 4 표시 화면(440)을 감상할 수 있다.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표시 화면(400)을 이동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단일 영역으로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존재하지 않아, 사이즈를 유지한채 그 이동이 수행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실시예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에,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다른 영역도 고장이거나 다른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관계로,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표시 화면을 이동시키는 어려운 경우에는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표시 화면을 재구성한다.
예를 들면, T11, T23, T51, T63 영역들에서도 화면 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라면, 해당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화면 표시가 가능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의 개수 또는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변경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T31, T32, T41 및 T42 영역이 유효 영역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 화면(400)의 사이즈를 상기 T31, T32, T41 및 T42 영역으로 이루어진 유효 영역(500)의 크기에 맞게 변경한다. 이러한 표시 화면의 재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다소 축소된 화면을 보게 되지만, 화면의 일부가 보이지 않는 등의 위화감은 느끼지 않을 것이다.
도 8과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라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통해서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복수의 영역)을 통하여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에, 그 사이즈를 변경하여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도 8과 도 9를 통해서는, 해당 표시 화면 뿐만 아니라 다른 표시 화면도 함께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제 5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의 재구성은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소정 범위 이하로 축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적절한 사이즈로 해당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복수 개의 화면(610,620,630)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제 1 표시 화면(610)을 구성하는 영역 들 중 T62, T73, T81, T82, T83 및 T84 영역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표시 화면(610) 내지 제 3 표시 화면(630)에 속하지 않는 T41 영역에도 표시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130)는 12개의 영역(T61, T62, T63, T64, T71, T72, T73, T74, T81, T82, T83, T84)으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서 그 사이즈를 축소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도 6에서는 인접한 4개 이상의 유효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대화면으로 표시되는 제 1 표시 화면(610)을 1개 영역에 대응되도록 그 사이즈를 축소하는 대신에, 다른 표시 화면(620 또는 630)에 대한 사용 빈도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표시 화면(610)을 보는 중에,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약 1/12로 축소되어 버리면, 일부 화면이 보이지 않는 경우보다 더 위화감을 느끼게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일정 비율 이상으로 화면 사이즈가 축소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다른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해당 표시 화면에 대한 최소한의 사이즈를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30)는 제 2 표시 화면(620)과 제 3 표시 화면(630) 중에서 그 사용 빈도수가 낮거나 우선 순위가 낮은 것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표시 화면(620)은 사진이 될 수 있고, 제 3 표시 화면(630)은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한 방송 화면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제 2 표시 화면(620)의 사진 이미지를 변경한 이력이 없거나, 방송 채널을 변경하여 제 3 표시 화면(630)의 영상이 수시로 바뀌는 때에는, 상기 제 2 표시 화면(620)의 사용 빈도수가 제 3 표시 화면(630)에 비해 낮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제 2 표시 화면(620)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제 1 표시 화면(610)이 이동될 수 있는 영역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6개의 영역(T32, T33, T34, T42, T43, T44, T52, T53 및 T54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620)의 사이즈를 4개의 영역(T33, T34, T43 및 T44 영역)으로 축소시킨다. 이 경우, T53, T54, T63 및 T64 영역이 유효 영역으로 되고, 상기 제 1 표시 화면(610)은 4개의 유효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표시 화면(610)을 시청하던 사용자에게 큰 위화감을 주지 않고서, 가로 사이즈가 2/3, 세로 사이즈가 1/2로 축소된 화면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제 1 표시 화면(610)을 즐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데 있어서는, 단일 영역 즉,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인지 여부와, 복수 영역 즉,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영역을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경우는, 해당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현재 사이즈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 해당 표시 화면만을 축소시킬 것인지 인접한 다른 표시 화면의 사이즈도 함께 축소시켜 유효 영역을 확보할 것인지 등이 결정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복수의 표시 화면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해당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하여 개시되는 표시 화면의 재구성 방법은, 전술한 여러 실시예와 일부 중복되는 내용도 있으니, 앞선 실시예와 함께 이해하여도 무방하다.
먼저, 도 10에는, 3개의 컨텐츠들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 상에 3개의 표시 화면(810,820,830)이 나타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화면(810)에는 사용자가 명작 그림 감상이라는 컨텐츠를 실행하여, 그림이 표시되고 있으며, 제 2 표시 화면(820)에는 사용자가 TV 방송 컨텐츠를 실행하여 뉴스에 대한 영상이 표시되고 있으며, 제 3 표시 화면(830)에는 사용자가 일정 관리 컨텐츠를 실행하여 달력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다. 다양한 컨텐츠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표시 화면(810)은 12개 영역(T11, T12, T13, T14, T21, T22, T23, T24, T31, T32, T33 및 T34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으며, 제 2 표시 화면(820)은 20개 영역(T45, T46, T47, T48, T55, T56, T57, T58, T65, T66, T67, T68, T75, T76, T77, T78, T85, T86, T87 및 T88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으며, 제 3 표시 화면(830)은 16개 영역(T71, T72, T73, T74, T81, T82, T83, T84, T91, T92, T93, T94, T101, T102, T103 및 T104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다.
만약,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2 영역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제 1 표시 화면(810)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게 되고, T47 영역과 T76 영역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제 2 표시 화면(820)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T72 영역과 T93 영역에서 표시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제 3 표시 화면(830)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 1 내지 제 3 표시 화면(810~830) 전부를 원활히 시청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30)는 제 1 표시 화면 내지 제 3 표시 화면 모두가 복수 영역을 통하여 표시되는 것이므로, 각각의 표시 화면들이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3개의 표시 화면 모두가 화면 사이즈를 축소하지 않은채 이동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러 컨텐츠의 실행으로, 3개의 표시 화면 모두가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되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컨텐츠들간에 사용 빈도수등에 따른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 화면(810)은 12개의 인접한 유효 영역인 T15, T16, T17, T18, T25, T26, T27, T28, T35, T36, T37 및 T38 영역으로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될 수 있으며, 제 2 표시 화면(820)은 12개의 인접한 유효 영역인 T32, T33, T34, T42, T43, T44, T52, T53, T54, T62, T63 및 T64 영역으로 사이즈를 유지한 채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표시 화면(820)은 도 8과 도 9에서 20개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상기 제 2 표시 화면(820)은 12개의 영역으로 표시가능한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그 사이즈는 유지된 것이다. 이러한 실질적인 표시 화면의 사이즈는 상기 제어부(130)의 판단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 3 표시 화면(830)은 16개의 인접한 유효 영역이 없으므로, 그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 화면의 이동과 함께 사이즈 축소가 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9개의 인접한 유효 영역인 T85, T86, T87, T88, T95, T96, T97, T98, T105, T106, T107 및 T108 영역을 통하여 가로 또는 세로 길이가 다소 축소된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복수 영역을 차지하는 표시 화면들이 복수개 표시되고, 그들 내에 표시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각 표시 화면의 재구성에 각 컨텐츠의 우선 순위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150)에는 각 컨텐츠들에 대한 사용자 이용도가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 화면의 재구성시에 이러한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복수의 컨텐츠 실행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화면 표시의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라도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 없이 연속적인 화면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Claims (18)

  1.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제 1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단일의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와 복수의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되는지 여부에 따라 표시 화면의 재구성을 다르게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단일의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모듈들을 인접 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인접 영역에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유효 영역으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복수의 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유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유효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유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유효 영역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상기 유효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2 표시 화면이 더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 화면을 이동시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사이즈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유효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유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유효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 화면이 기설정된 최소 사이즈 이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표시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화면도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표시 화면들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표시 화면을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표시 화면에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이동에 따라 확보되는 영역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을 축소시키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축소에 따라 확보되는 영역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을 축소하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축소 및 이동에 의하여 확보되는 영역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이동에 따라 확보되는 영역에 사이즈가 축소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2 표시 화면을 축소시키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축소에 따라 확보되는 영역에 사이즈가 축소된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면 이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제 2 표시 화면과 제 3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표시 화면과 제 3 표시 화면 중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 표시 화면을 이동시키거나 축소시키고, 우선 순위가 낮은 표시 화면의 이동 또는 축소에 의하여 확보되는 영역에 상기 제 1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화면과 제 3 표시 화면의 우선 순위 판단은, 컨텐츠별 우선 순위가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PCT/KR2010/005645 2009-12-04 2010-08-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1106829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154 2009-12-04
KR1020090120154A KR101636573B1 (ko) 2009-12-04 2009-12-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8299A1 true WO2011068299A1 (ko) 2011-06-09

Family

ID=4411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5645 WO2011068299A1 (ko) 2009-12-04 2010-08-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6573B1 (ko)
WO (1) WO20110682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904A1 (en) * 2014-09-29 2016-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in display apparatus
CN110827731A (zh) * 2019-11-29 2020-02-21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故障灯板的定位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9294B1 (en) * 1998-07-20 2001-06-19 Hewlett-Packard Company 3D graphics in a single logical sreen display using multiple computer systems
US20040201621A1 (en) * 2001-10-10 2004-10-14 Stevens Bruce W. Presentation program and method
KR20090122222A (ko) * 2007-06-27 2009-11-26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복합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505B1 (ko) * 2004-09-10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11313B1 (ko) * 2007-10-29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Tv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9294B1 (en) * 1998-07-20 2001-06-19 Hewlett-Packard Company 3D graphics in a single logical sreen display using multiple computer systems
US20040201621A1 (en) * 2001-10-10 2004-10-14 Stevens Bruce W. Presentation program and method
KR20090122222A (ko) * 2007-06-27 2009-11-26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복합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904A1 (en) * 2014-09-29 2016-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in display apparatus
US10656790B2 (en) 2014-09-29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in display apparatus
CN110827731A (zh) * 2019-11-29 2020-02-21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故障灯板的定位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99A (ko) 2011-06-10
KR101636573B1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9314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05068A1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method thereof
WO20182220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ndow control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WO2013073890A1 (en)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under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9199139A1 (ko)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홀 영역을 우회하는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307390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event-handling view on split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3005993A2 (en) Method of dynamically changing content displayed in a vehicular head unit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EP345926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WO2015046676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5046677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5178535A1 (en) Wearable device displaying thumbnail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40698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ebpage in terminal device by using cloud server
WO20180887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5789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EP33148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 screen display on mobile device
WO2013191488A1 (en)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WO2020213834A1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들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106829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19168387A1 (en)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s
CN103377021A (zh) 屏幕组合显示系统及方法
WO2018139706A1 (en) Image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rendering efficiency in real-time and method thereof
WO2015064854A1 (ko) 멀티앵글영상서비스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WO2019107955A1 (ko) 분산 트랜스코딩의 시간 단축을 위한 최적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3180348A1 (ko) 화면 가상화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동 시스템 및 방법
WO2018066804A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347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347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