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304A -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304A
KR20160037304A KR1020140129136A KR20140129136A KR20160037304A KR 20160037304 A KR20160037304 A KR 20160037304A KR 1020140129136 A KR1020140129136 A KR 1020140129136A KR 20140129136 A KR20140129136 A KR 20140129136A KR 20160037304 A KR20160037304 A KR 2016003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omile
skin
composition
flower powd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956B1 (ko
Inventor
김문주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2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9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skin blood flow containing chamomile flower powder}
본 발명은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인간의 아름다움을 나타낼 수 있는 기관이다. 사람들은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 백옥같이 하얗고 생기있는 피부를 소유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우리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또는 출산을 경험하면서 어혈이 쉽게 생기고 혈액순환장애를 겪게 된다. 이로 인해 신진대사능력이 저하되어 피부 탄력이 감소되고 쉽게 거칠어질 뿐 아니라 피부타입이 변하기도 한다.
외적으로도 오존층이 파괴되어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고 환경 오염이 심화되어 자유 라디칼 및 유해 활성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고,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최근 햇볕에 의한 피부 노화는 모세혈관의 감소가 주원인이라는 연구결과가 제기되었다. 특히, 모세혈관이 줄어든 부위가 피부 손상이 심하게 일어난 표피 바로 아래의 진피 위쪽에 집중돼 있어 피부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했다. 더불어 햇볕에 장시간 노출된 피부는 모세혈관의 크기와 숫자가 감소하여 피부에 각종 영양분과 산소를 운반하는 기능이 떨어지고, 피부에 탄력성을 주는 물질들이 재생되지 않아 주름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피부 혈류량 개선은 피부의 원활한 혈류량 개선을 통해 칙칙하고 탄력 없는 피부를 생동력 있고 맑고 투명한 피부로 만들어 주어 외관상 돋보이는 건강한 피부를 만들어 줄 수 있다.
그러나 혈류량 증가 등 혈행 개선 효능을 가진 물질은 극히 제한적이거나 효능을 가진 물질도 많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현재 사용되는 소수의 물질도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고 있어, 피부 적용에 보다 안전한 화장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 존재하는 천연 자원들로부터 독성이 없고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카모마일 꽃 분말이 혈류량 증가 및 혈류 개선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하여, 이를 활용한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977,673호 한국등록특허 제858,6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카모마일(Chamomile)"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풀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저먼 카모마일과 로만 카모마일이 알려져 있다. 카모마일은 불면증, 구강염, 인후염의 소염제, 소화계통에 항염작용과 발한작용, 신경통 류마티스, 강장작용, 습진, 여드름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염증, 방부, 구충, 경련을 가라앉히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카모마일은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 저먼 카모마일(German Chamomile:Matricaria recutica)과 로만 카모마일(Roman Chamomile :Anthemis nobilis), 보데골드 카모마일(Bodegold Chamomile), 다이어스 카모마일(Dyer's Chamomil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모마일 꽃 분말은 카모마일의 종류에 관계없이 카모마일 꽃 유래의 분말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저먼(German) 카모마일 꽃(INCI명: Chamomilla Recutita (Matricaria) Flower), 로만(Roman) 카모마일 꽃(INCI명: Anthemis Nobilis Flower)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먼 카모마일 꽃 유래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혈행” 이란 체내 혈액의 흐름을 말하며, 동맥과 정맥, 모세혈관의 혈류에 생기는 장애를 혈행 장애라 한다. 혈행 장애가 생길 경우, 피부나 근육 등으로 전달되는 혈액의 양이 감소되어 손발이 저리거나 시리고 통증, 어지럼증, 동상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피부가 창백해지거나 피부색깔 및 피부온도의 변화가 생겨 생기가 떨어지고 노폐물 교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피부노화가 급격히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카모마일 꽃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20~40대 여성 25명에게 10분 동안 얼굴 전체에 도포하게 하고 피부 혈류량 및 생기 개선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카모마일 꽃 분말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의 경우 피부 혈류량이 48.39% 증가하였으며, 피부 생기는 76%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을 건강한 성인남녀 25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 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카모마일 꽃 분말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의 경우 피부에 어떠한 자극, 예컨대 홍반이나 부종 등을 보이지 않았으며, 자극도가 0.00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 없이 피부 혈류량 개선 또는 피부 생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로, 상기 카모마일 꽃 분말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중량% 포함될 수 있다. 카모마일 꽃 분말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인 경우, 혈행 개선 효과 및 피부 생기 개선효과가 미약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2중량%를 초과할 경우, 분말의 이물감이 많이 느껴지고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일 구현예로서, 상기 카모마일 꽃 분말은 카모마일 꽃을 열풍건조 후 분쇄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이집트산 유기농 저먼 카모마일 100g을 정제수 1ℓ에 첨가하여 60℃ 이상에서 3시간 가열 후, 100 Mesh portable Filter를 사용하여 자연 낙하로 카모마일 꽃잎만을 걸러내고, 2~3회 정제수로 헹궈준 다음 남겨진 카모마일 꽃잎을 2~5일간 열풍건조 후 분쇄하여 얻은 카모마일 꽃 분말을 사용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카모마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글리세린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린은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카모마일 꽃 분말에 글리세린이 더욱 포함된 실시예 2, 카모마일 추출물이 더욱 포함된 실시예 3, 글리세린 및 카모마일 추출물이 더욱 포함된 실시예 4 조성물 각각에 대하여 피부 혈류량 및 생기 개선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카모마일 꽃 분말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실시예 1 조성물에 비해 혈류량 증가율 및 생기 효과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카모마일 꽃 분말,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혈류량 증가율이 79.35% 증가하고, 피부 생기가 96%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혈행 개선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및 도 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모마일 추출물"은 카모마일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모마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카모마일 추출물은 카모마일의 종류에 관계없이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그 예로 저먼 카모마일(German Chamomile:Matricaria recutica)과 로만 카모마일(Roman Chamomile :Anthemis nobilis), 보데골드 카모마일(Bodegold Chamomile), 다이어스 카모마일(Dyer's Chamomil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먼 카모마일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모마일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모마일 추출물은 카모마일 팅쳐 추출물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1차 추출용매 100 중량% 대비 0.2 중량% 내지 2.0 중량%의 건조된 카모마일 꽃을 상기 1차 추출용매에 넣고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침지하여 카모마일 꽃 침지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카모마일 꽃 침지물에 2차 추출용매를 첨가하고 혼합 한 후 여과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카모마일 꽃 팅쳐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먼 카모마일의 팅쳐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팅쳐 추출물(Tincture Extract)"은, 카모마일을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액에 일정시간 침지한 후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제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카모마일을 추출처리시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카모마일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젤 타입 워시오프팩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카모마일, 카모마일 꽃 분말, 혈행 개선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카모마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글리세린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카모마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글리세린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한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글리세린,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카보네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성 오일,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리지 등을 들 수 있다.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카모마일, 카모마일 꽃 분말, 혈행 개선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카모마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글리세린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카모마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글리세린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카모마일 꽃 분말 외에도 혈행 개선 효과에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모세혈관의 확장을 통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우수한 혈류량 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피부에 자극이 없고 독성이 없는바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혈류량을 측정하여 혈류량 증가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생기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카모마일 꽃 분말,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카모마일 꽃 분말(표 1 내 카모마일꽃(가루)로 표시)만을 배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2는 카모마일 꽃 분말 및 글리세린을 배합하여 제조하였고, 실시예 3은 카모마일 꽃 분말 및 카모마일 추출물을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4는 카모마일 꽃 분말,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모두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카모마일 꽃 분말,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이 모두 포함되지 않도록 하여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글리세린만을 배합하였으며, 비교예 3은 카모마일 추출물만을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4는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카모마일 꽃 분말은 이집트산 유기농 저먼(German) 카모마일 100g을 정제수 1ℓ에 첨가하여 60℃ 이상에서 3시간 가열 후 100 Mesh portable Filter를 사용하여 자연 낙하로 카모마일 꽃잎만을 걸러내고, 2~3회 정제수로 헹궈준 다음 남겨진 카모마일 꽃잎을 2~5일간 열풍건조하여 얻은 카모마일 꽃 분말 (㈜내츄럴솔루션)을 사용하였다.
상기 카모마일 추출물은 이집트산 유기농 저먼(German) 카모마일을 추출하여 얻은 Chamomile TinctureTM(LP)(㈜내츄럴솔루션)를 이용하였으며, 글리세린은 ELOGLYN R980 글리세린 벌크(㈜엘지생활건강)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에 따라 수상과 가용화상을 45℃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수상에 가용화상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4,000 내지 5,000rpm으로 2 내지 7분간 교반 후, 후첨 1을 투입하고 4,000 내지 5,000rpm으로 2 내지 7분간 교반한 후 30℃까지 냉각, 탈포한 후 후첨 2를 투입하고 4,000 내지 5,000rpm으로 1 내지 2분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성인남녀 25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 후,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자극도를 평가하기 위한 수식은 하기 수학식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 판정 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Figure pat00003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모마일 꽃 분말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 및 카모마일 꽃 분말,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4의 피부 자극도는 상기 유효성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에도 피부에 대한 자극도는 비교예 1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피부에 대한 자극도가 낮아, 피부에 무해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혈행 개선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혈행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20~40대 여성 25명에게 시험 제품을 10분 동안 얼굴 전체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사용 전과 사용 10분 후, 각 평가 시점에서 Laser Doppler Perfusion Imager (LDPI, PeriScan PIM Ⅱ, Perimed AB,Sweden)를 이용하여 볼 부위의 혈류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상기 Laser Doppler Perfusion Imager는 도플러 이론에 기초하여 미세 조직 혈류량 (blood perfusion)을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단위는 임의의 단위 (AU, arbitrary unit)이다.
측정부위인 볼 부위에 대해 Laser Doppler Perfusion Imager 및 image analysis software(LDPIwin version 2.6)를 이용하여 혈류량을 측정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내외 조명 및 빛을 모두 차단한 공간 내에서 측정조건(해상도, 측정거리 등)을 동일하게 하여 측정하였다.
LDPI에 의한 혈류량 증가율은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혈류량 분석 결과,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 내지 4 모두 사용 전에 비해 혈류량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이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높은 개선율을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카모마일 꽃 분말,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4의 경우 사용 전에 비해 79.35%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카모마일 꽃 분말만을 포함한 실시예 1의 경우에도 사용 전에 비해 48.39%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카모마일 추출물만을 포함한 비교예 3의 경우 개선율은 18.09%,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포함한 비교예 4의 경우 개선율은 22.58%에 불과하여,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한 경우의 피부 혈행 개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및 도 1).
실험예 3. 피부 생기 효과 분석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혈행 개선을 통한 피부 생기(맑고 투명함)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상기 실험예 2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 후 이어서 설문 조사와 육안적 소견을 종합하여 피부 생기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 체감율은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피부 혈행 개선에 의한 생기 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효과 있음’ 및 ‘약간 효과 있음’의 비율을 살펴보면, 유효성분으로 카모마일 꽃 분말만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76%의 생기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카모마일 꽃 분말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카모마일 꽃 분말 및 카모마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에도 각각 76%, 88%의 생기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개선 효과가 4% 내지 20%에 불과하였으며, 카모마일 추출물만 포함한 비교예 3 및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포함한 비교예 4의 경우 개선 효과가 각각 20%로 나타나,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였을 때의 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카모마일 꽃 분말, 카모마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4의 조성물의 경우 96%에 달하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혈행 개선에 의한 생기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및 도 2).
제조예 1. 본 발명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젤 타입 워시오프팩 제조
하기의 표 5와 같이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Figure pat00008
제조예 2.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에센스 제조
하기의 표 6과 같이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Figure pat00009
제조예 3.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크림 제조
하기의 표 7과 같이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Figure pat00010
제조예 4.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
카모마일 꽃 분말 2%, 유당 54.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49% 및 레시틴 0.01%를 배합기에서 골고루 혼합한 다음 성형기로 성형하여 카모마일 꽃 분말이 포함된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유화제로서 레시틴 0.3중량%를 80℃로 가열한 정제수에 1,120rpm으로 교반하면서 충분히 용해시킨 후에 카모마일 꽃 분말 2.0중량%를 1,120rpm으로 교반하면서 가하여 60℃에서 용해시키고, 액상과당 6.0중량%를 비롯하여 구연산 0.5중량%, 벌꿀 3.0중량%, 안식향산나트륨 0.05중량% 등 나머지 원료를 정제수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총 함량 100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잔량 가하여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카모마일 꽃 분말을 0.0001 내지 2중량% 포함하는 것인,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모마일 꽃 분말은 카모마일 꽃을 열풍건조 후 분쇄하여 얻은 것인,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카모마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글리세린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모마일 추출물은 카모마일 팅쳐 추출물인,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모마일은 저먼 카모마일인, 피부 혈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8.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40129136A 2014-09-26 2014-09-26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230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36A KR102309956B1 (ko) 2014-09-26 2014-09-26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36A KR102309956B1 (ko) 2014-09-26 2014-09-26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304A true KR20160037304A (ko) 2016-04-06
KR102309956B1 KR102309956B1 (ko) 2021-10-08

Family

ID=5579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136A KR102309956B1 (ko) 2014-09-26 2014-09-26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984B1 (ko) 2021-06-08 2021-11-12 (주)나우코스 피부 혈류 개선 효과를 위한 피부 도포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783A (ja) * 2000-12-27 2002-07-10 Kaneb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5068069A (ja) * 2003-08-25 2005-03-17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血流改善作用および心拍数低下作用を有するカモミール抽出エキスとその製造方法
KR100858629B1 (ko) 2007-02-28 2008-09-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편백 추출물, 해송 추출물 및 백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7673B1 (ko) 2008-04-08 2010-08-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783A (ja) * 2000-12-27 2002-07-10 Kaneb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5068069A (ja) * 2003-08-25 2005-03-17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血流改善作用および心拍数低下作用を有するカモミール抽出エキスとその製造方法
KR100858629B1 (ko) 2007-02-28 2008-09-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편백 추출물, 해송 추출물 및 백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7673B1 (ko) 2008-04-08 2010-08-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984B1 (ko) 2021-06-08 2021-11-12 (주)나우코스 피부 혈류 개선 효과를 위한 피부 도포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956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2008156325A (ja) 皮膚外用剤および美白剤
CN105687035B (zh) 一种具有抗氧化、延缓肌肤衰老作用的复合银杏精油
JP2007230977A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i
Saidi et al. Tunisian Clematis flammula essential oil enhances wound healing: GC-MS analysis,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assessment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536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81066B1 (ko) 한방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1914623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JP6124710B2 (ja) ノコギリヤシエキス配合製剤
KR20170071899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016160198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20160037304A (ko)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1016A (ko) 식물 유래의 오일 또는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139077A (zh) 一种芳香植物生发剂及其制备方法
KR2017002536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22628B1 (ko)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증대된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진세노사이드 복합물을 이용한 탈모증상완화 및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5598B1 (ko)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72378A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JP6061754B2 (ja) ノコギリヤシエキス配合製剤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