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861A -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 - Google Patents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861A
KR20160036861A KR1020140129004A KR20140129004A KR20160036861A KR 20160036861 A KR20160036861 A KR 20160036861A KR 1020140129004 A KR1020140129004 A KR 1020140129004A KR 20140129004 A KR20140129004 A KR 20140129004A KR 20160036861 A KR20160036861 A KR 2016003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ipe
damper
air discharge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정길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1020140129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6861A/ko
Publication of KR2016003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히 보조 기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댐퍼판을 더 높이 밀어올릴 수 있고, 이에 따라 환풍기 온(ON)에 의한 댐퍼의 개방 동작시 공기 배출관의 개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임펠러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기 배출관과; 상기 공개 배출관 내부를 개폐하는 댐퍼판; 및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관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속도 변화를 일으키는 댐퍼 보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보조 기구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관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위한 유로와;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내경 또는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 및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테이퍼부를 경유한 유체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로 이루어진 풍속 가속기를 포함하며,
상기 풍속 가속기는 상기 댐퍼판의 후방 측에 장착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댐퍼판의 후면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ASSISTANCE DEVICE OF DAMPER AND VENTILA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댐퍼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의 초기 개방 동작을 촉진시키고, 댐퍼의 개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환풍기는 건물의 실내, 예를 들어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덕트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냄새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종래 환풍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 환풍기는 사용자가 환풍기를 온(ON)시키면, 몸체(1)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3)가 구동모터(5)에 의해 회전하며 실내 공기를 몸체(1) 내부로 강제 흡입한 후, 상기 몸체(1)에 연결된 공기 배출관(7)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환풍기에는 도 7과 같이 공기의 실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댐퍼(9)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댐퍼(9)는 전자식 댐퍼와 중력 댐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중력 댐퍼(9)의 경우 환풍기가 구동되지 않을 시에는 자중에 의해 공기 배출관(7) 내부를 밀폐시키고 있다가 환풍기가 배기 동작을 실시하면 임펠러(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밀어올려지며 공기 배출관(7) 내부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환풍기의 배기 동작을 위해서는 중력 댐퍼(9)가 밀어올려지며 공기 배출관 내부(7)가 개방되어야 하는데, 이때 중력 댐퍼(9)를 밀어올리는 인자는 임펠러(3)에 의해 방출되는 공기이고, 중력 댐퍼(9)가 밀어올려지는 정도 즉, 공기 배출관(7)의 개방 면적(K1)은 해당 중력 댐퍼(9)에 충돌하는 공기의 풍속에 의존하게 된다.
그런데, 특히 가정용 환풍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규격의 임펠러에 의하면, 해당 임펠러에 의한 풍속만으로는 중력 댐퍼의 충분한 개방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펠러의 출력 증가 없이 단순히 보조 기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댐퍼판을 더 높이 밀어올릴 수 있고, 이에 따라 환풍기 온(ON)에 의한 댐퍼의 개방 동작시 공기 배출관의 개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기 배출관과; 상기 공기 배출관 내부 또는 상기 공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또 다른 관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개 배출관 내부 또는 상기 관체 내부를 개폐하는 댐퍼판; 및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관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의 속도 변화를 일으키는 댐퍼 보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보조 기구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관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위한 유로와;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내경 또는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 및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테이퍼부를 경유한 유체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로 이루어진 풍속 가속기를 포함하며,
상기 풍속 가속기는 상기 댐퍼판의 후방 측에 장착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댐퍼판의 후면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에 의하면, 댐퍼의 초기 개방 동작을 촉진시킬 수 있고, 특히 댐퍼판을 더 높이 밀어올려 공기 배출관의 개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바, 배기를 위한 유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풍기 성능(단위 시간당 배기 풍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 생산 판매되고 있는 환풍기에 단순히 보조 기구를 추가 장착하기만 하면, 전술한 환풍기 성능 향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바, 그 경제성 및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의 사시도.
도 4 (a), (b) 및 (c)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의 동작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 환풍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공기 배출관에 댐퍼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는 몸체(10), 임펠러(50), 구동모터(60), 공기 배출관(20), 그릴 조립체(13,15), 댐퍼(40), 및 댐퍼 보조 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형 부재와,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박스형 부재에는 플랜지부(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의 일측면(도 1의 경우 하면)은 건물 내부를 향해 개구부 형태로 개방된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건물 외부를 향해 개방된 공기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기 배출구는 공기 흡입구에 대해 90°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용도에 따라 1개 또는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 내부에는 와선형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스크롤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크롤부는 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로 자연스럽게 안내되며 유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구동모터(60)는 몸체(10) 상에 또는 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임펠러(50)를 축회전시키는 구성부로서,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이를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구동모터(60)의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해 임펠러(50)로 전달된다.
도 1 실시예의 경우 구동모터(60)는 몸체(10)의 상면 상에는 설치되고, 이러한 구동모터(60)는 몸체(10)의 상면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7) 내부에 격납되도록 구성하였다.
임펠러(50)는 구동모터(6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몸체(10) 내부로 강제 흡입한 후 공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구성부이다. 임펠러(50)는 다수의 회전날개가 원형으로 배열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는 천장을 타공하여 형성한 개구부(이하, 천장 매립구)를 통해 삽입 고정된 후 천장 내부에 매설된 배기덕트와 연결된다.
한편, 몸체(10)의 공기 흡입구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이 형성된 그릴이 구비될 수 있고, 임펠러(50)의 회전 동작시 실내 공기는 상기 그릴의 공기 유입공을 통해 몸체(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릴 조립체는 몸체(10)의 공기 흡입구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마감하는 구성부로서 그릴 베이스(13)와 그릴 커버(15)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그릴 베이스(13)는 판형 부재로 구성되어 다수 개의 공기 유입공이 망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릴 커버(15)는 그릴의 하면 상에 간극을 두고 결합된다.
따라서, 그릴 조립체는 그릴 베이스(13)와 그릴 커버(15) 간의 간극 조절을 통해 단위 시간당 공기 유입량 즉, 환풍기의 풍량이 조절되게 된다.
임펠러(50)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는 상기 간극과 그릴 베이스(13)의 공기 유입공을 거쳐 몸체(10) 내부로 강제 흡입된 후, 몸체(10)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몸체(10)의 박스형 부재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1)는 몸체(10)를 천장 슬래브에 매립시 천장 밑면에 걸림 동작되어 몸체(10)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함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기능을 한다.
공기 배출관(20)은 중공의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공기 배출구 측에 몸체(10)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일단부는 천장 내부에 매설된 배기덕트와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 흡입구를 통해 몸체(1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공기 배출구, 공기 배출관(20) 및 배기덕트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참고로, 공기 배출관(20)은 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되지 못하도록 성형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몸체(10)에 분리·결합 가능한 구조로 조립될 수 있게 구성된다.
댐퍼(40)는 공기 배출관(20) 내부에 설치되는 댐퍼판(41)을 포함하고, 경사면(45) 및 댐퍼판 회동수단(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40)는 댐퍼판(41)이 경사면(45)에 밀착되며 맞닿음으로써 공기 유동 통로(즉, 공기 배출관 내부)를 폐쇄하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90°미만(바람직하게는 60°내외)의 구배로 몸체(10) 측으로 상향 경사진 구조를 이루며 공기 배출관(20) 내부에 구비된다.
댐퍼판(41)은 공기 배출관(20) 내부에 설치되어 축회전하며 상기 경사면(45)에 밀착되고 이격됨으로써 상기 공기 배출관(20) 내부를 개폐한다. 도 1 및 도 2 실시예의 댐퍼판(41)은 상부 힌지(47)를 통해 공기 배출관(20) 내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환풍기의 오프(OFF) 시 자중에 의해 상기 경사면(45)에 맞닿으며 공기 배출관(20)을 폐쇄하고, 환풍기의 온(ON) 시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기되는 풍압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밀어올려져 경사면(45)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공기 배출관(20)을 개방하게 된다.
댐퍼판(41)은 원형, 타원형, 유(U)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환풍기의 설치 장소 및 설계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 및 도 2 실시예의 댐퍼판(41)은 별도로 마련된 고정구(43)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43)가 공기 배출관(20) 내부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댐퍼판(41)이 공기 배출관(20)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고정구(43)를 생략하고 댐퍼판(41)이 공기 배출관(20) 내부에 직접 힌지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댐퍼 보조 기구(30)는 임펠러(50)에 의해 공기 배출관(20)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 속도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댐퍼판(41)의 초기 개방 동작을 촉진시키고, 댐퍼판(41)의 회동에 의한 공기 배출관(20) 개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 (a), (b) 및 (c)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댐퍼 보조 기구(30)는 풍속 가속기(31), 장착구(39) 및 지지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풍속 가속기(31)는 공기 유입구(32), 유로(33), 테이퍼부(34) 및 공기 토출구(35)로 구성되어 공기 배출관(20) 내에서 댐퍼판(4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특히 풍속 가속기(31)의 공기 토출구(35)는 전술한 댐퍼판(41)의 후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풍속 가속기(31)의 공기 유입구(32)는 임펠러(50)에 의해 몸체(10) 내부로 강제 흡입된 후 공기 배출구를 거쳐 공기 배출관(20)으로 배기되는 실내 공기(이하, 유체)가 테이퍼부(3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에 해당한다.
한편, 공기 배출관(20)으로 배기되는 유체는 그 중 일부만 공기 유입구(32)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공기 유입구(32)로 유입되지 않고 공기 배출관(20)을 그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32)의 최대 직경은 공기 배출관(20)은 내경 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풍속 가속기(31)의 유로(33)는 공기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일측(즉, 공기 유입구(32) 측)에서 타측(즉, 댐퍼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통로에 해당한다.
풍속 가속기(31)의 테이퍼부(34)는 유로(33) 내부에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구성부로서, 도 3 및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퍼부(34)는 내부가 비어 있고, 선단이 절단된 원뿔형으로 구성되나, 이 외에 선단이 절단된 삼각뿔과 같은 다면뿔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테이퍼부(34)는 유체의 흐름 방향 즉, 공기 배출구 측에서 댐퍼 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 또는 단면적이 작아지는 구조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풍속 가속기(31)의 유로(33) 역시 공기 배출구 측에서 댐퍼 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 토출구(35)는 공기 유입구(32)로 유입되어 상기 테이퍼부(34)를 경유한 유체를 토출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토출구(35)는 그 선단이 댐퍼판(41)의 후면에 접하거나 또는 댐퍼판(41)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바람직하게는 수㎜ ~ 수십㎜) 이격되게 배치되어, 유체의 토출 방향이 댐퍼판(41)의 후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유체가 공기 토출구(35)로부터 토출된 직후 바로 댐퍼판(41)의 후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유체의 에너지 손실(즉, 풍속 감소)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풍속 가속기(31)는 공기 배출관(2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공기 토출구(35)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공기 배출관(20) 내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댐퍼판(41)을 구비하는 환풍기의 경우, 공기 토출구(35)는 공기 배출관(20)의 수평방향 중심축(C1)보다 하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일정 힘(유체가 댐퍼판에 충돌하며 가해지는 외력)으로 최대의 회전 동작(즉, 댐퍼판의 힌지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기 토출구(35)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댐퍼판(41) 후면의 중심부와 하단부 사이에 충돌할 때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장착구(39)는 공기 배출관(20)에 고정되어 지지대(37)를 매개로 풍속 가속기(31)를 공기 배출관(20) 내부의 정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구(39)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공기 배출관(2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끼워짐으로써 공기 배출관(2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장착구(39)의 외주면에는 그 폭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장요홈(38)이 형성되고, 공기 배출관(20) 내주면 상에 상기 장요홈(38)에 결합되는 바(bar) 모양의 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장착구(39)를 공기 배출관(20) 내부에 삽입시 그 정위치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정위치'란 본 발명의 댐퍼 보조 기구(30)를 공기 배출관(20) 내에 삽입 설치시, 풍속 가속기(31)의 공기 토출구(35)가 공기 배출관(20)의 수평방향 중심축(C1)보다 하측 영역에 배치되는 위치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지지대(37)는 일단부는 풍속 가속기(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장착구(39)에 연결되어 풍속 가속기(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37)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고, 풍속 가속기(31)를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며 일단부는 풍속 가속기(31)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장착구(39)의 내주면 상에 고정됨으로써 풍속 가속기(31)가 장착구(39)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댐퍼가 공기 배출관(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댐퍼는 공기 배출관(20)이 아닌 공기 배출관(20)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배기덕트의 도중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환풍기는 이와 같은 경우도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포함하며, 상기 경우 본 발명의 댐퍼 보조 기구(30) 역시 공기 배출관(20)이 아닌 공기 배출관(20)에 연결되는 배기덕트의 도중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의 동작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환풍기를 온(ON)시키면, 몸체(10)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50)가 회전하며 실내 공기(이하, 유체)를 몸체(10) 내부로 강제 흡입한 후 공기 배출구 측으로 배기하게 된다.
이때, 해당 유체가 공기 배출구 측에 도달하게 되면, 적어도 일부는 공기 배출관(20)에 설치되어 있는 풍속 가속기(31)의 공기 유입구(32)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공기 유입구(32)로 유입되지 않고 지지대(37) 사이의 빈 공간(도4(a)의 '70' 참조)을 통해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공기 유입구(32)를 통해 풍속 가속기(31)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는 일방향으로 내경 또는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34)를 거치면서 유체의 높은 압력을 속도로 바꾸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즉, 유체는 공기 유입구(32) 측에서 공기 토출구(35) 측로 이동할수록 속력(즉, 풍속)이 점차 증가되고, 이에 따라 임펠러(50)가 만들어낸 풍속보다 가속된 유체가 공기 토출구(35)를 통해 방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테이퍼부(34)를 경유하며 풍속이 증가된 유체는 공기 토출구(3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 직후 댐퍼판(41) 후면에 충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댐퍼판(41)에 가해지는 외력은 댐퍼판(41)의 초기 개방 동작을 촉진시키고, 이후에는 댐퍼판(41)을 더 높이 밀어올려 공기 배출관(20)의 개방 면적(K2)을 종래 개방 면적(도7의 'K1') 대비 더 증대시킴으로써 단위 시간당 배기 풍량이 늘어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공기 유입구(32)로 유입되지 않고 지지대(37) 사이의 빈 공간(도4(a)의 '70' 참조)을 통과하는 유체는 풍속 변화 등의 작용 없이 그대로 공기 배출관(20)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몸체 13: 그릴 베이스
15: 그릴 커버 20: 공기 배출관
30: 댐퍼 보조 기구 31: 풍속 가속기
32: 공기 유입구 33: 풍속 가속기의 유로
34: 테이퍼부 35: 공기 토출구
37: 지지대 39: 장착구
40: 댐퍼 41: 댐퍼판
43: 고정구 50: 임펠러
60: 구동모터

Claims (9)

  1.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기 배출관; 상기 공기 배출관 내부 또는 상기 공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또 다른 관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개 배출관 내부 또는 상기 관체 내부를 개폐하는 댐퍼판; 및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관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의 속도 변화를 일으키는 댐퍼 보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보조 기구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관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위한 유로;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내경 또는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 및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테이퍼부를 경유한 유체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로 이루어진 풍속 가속기를 포함하며,
    상기 풍속 가속기는 상기 댐퍼판의 후방 측에 장착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댐퍼판의 후면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구; 및
    일단부는 상기 풍속 가속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착구에 연결되어, 상기 풍속 가속기가 상기 댐퍼판의 후방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공기 배출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끼워짐으로써 상기 공기 배출관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풍속 가속기를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며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의 최대 직경은 상기 공기 배출관은 내경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관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그대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가속기는 상기 공기 배출관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내부가 비어 있고 선단이 절단된 원뿔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의 외면에는 그 폭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장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관 내주면 상에 상기 장요홈에 결합되는 바(bar) 모양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환풍기.
  7. 임펠러를 구비하는 환풍기의 공기 배출관 측에 설치되는 댐퍼판의 개방 동작을 보조하는 기구로서,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관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위한 유로;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내경 또는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 및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테이퍼부를 경유한 유체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로 이루어진 풍속 가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풍속 가속기는 상기 댐퍼판의 후방 측에 장착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댐퍼판의 후면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보조 기구.
  8. 제7 항에 있어서,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공기 배출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끼워짐으로써 상기 공기 배출관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구; 및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풍속 가속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착구에 연결되며, 상기 풍속 가속기를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며 구비되어 상기 풍속 가속기가 상기 댐퍼판의 후방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보조 기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의 최대 직경은 상기 공기 배출관은 내경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관 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그대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보조 기구.
KR1020140129004A 2014-09-26 2014-09-26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 KR20160036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004A KR20160036861A (ko) 2014-09-26 2014-09-26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004A KR20160036861A (ko) 2014-09-26 2014-09-26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861A true KR20160036861A (ko) 2016-04-05

Family

ID=5580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004A KR20160036861A (ko) 2014-09-26 2014-09-26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68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5574A (en) * 2021-03-30 2022-10-12 Elta Group Ltd Air Pump, Modular Positive Input Ventilation Apparatus and Positive Input Ventil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5574A (en) * 2021-03-30 2022-10-12 Elta Group Ltd Air Pump, Modular Positive Input Ventilation Apparatus and Positive Input Ventil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6828B1 (en) Ventilation fan
JP5442166B2 (ja) 細隙ノズル組立体により空気を吹き込むための装置
US9802145B2 (en) Air purifier
KR101967772B1 (ko) 환풍장치
KR102379800B1 (ko) 공기청정기
US9683579B2 (en) Circulator
BR122012001788A2 (pt) Secador de cabelo silencioso e silencioso para secador de cabelo
EP3704385B1 (en) Fan
KR20170066025A (ko) 공기조화장치
US11692734B2 (en) Extraction hood
KR20160036861A (ko) 댐퍼 보조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환풍기
KR101238922B1 (ko) 터보 블로어
KR102197205B1 (ko) 환풍장치
KR102358787B1 (ko) 욕실용 환풍기
KR101529223B1 (ko)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EP2472121B1 (en) Centrifugal exhaust fan for bathrooms
JP3854566B2 (ja) 低騒音型室内送風機
KR20080094255A (ko) 관류 송풍기
KR100627978B1 (ko) 공동주택 및 일반건축물용 화장실 팬 구조
WO2019106991A1 (ja) 排水ポンプ
KR102633618B1 (ko) 환풍기
KR102163367B1 (ko) 환풍장치
KR102673350B1 (ko) 배기덕트장치
JP7320246B2 (ja) 送風装置
KR100994162B1 (ko) 냄새 역류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