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457A - 분체 수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수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457A
KR20160036457A KR1020150028899A KR20150028899A KR20160036457A KR 20160036457 A KR20160036457 A KR 20160036457A KR 1020150028899 A KR1020150028899 A KR 1020150028899A KR 20150028899 A KR20150028899 A KR 20150028899A KR 20160036457 A KR20160036457 A KR 20160036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pening
powder container
to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타 오바
시게루 이나바
노리히로 다마자와
아유미 노구치
마코토 간노
세이고 시노자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03G15/083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분체 수용 장치는, 분체를 수용하고 일단이 개구하며 횡 배치로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당해 분체를 당해 개구를 향하여 반송하는 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분체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음과 함께 상기 분체의 유출구를 갖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용기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기 분체를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퍼올리는 구조를 갖지 않고, 당해 분체를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분체 수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POWDER ACCOMMOD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체 수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 2004-280064호 공보에는, 토너를 올려서 개구부의 가장자리까지 밀어내는 밀어내기 부분이 형성된 토너 보틀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10-210946호 공보에는, 현상제를 퍼올려서 배출 개구부로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한 현상제 보급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간이한 구조의 분체 수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의하면, 분체를 수용하고 일단이 개구하며 횡 배치로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당해 분체를 당해 개구를 향해서 반송하는 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분체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음과 함께 상기 분체의 유출구를 갖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한 분체 수용 장치이며, 상기 분체 용기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기 분체를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퍼올리는 구조를 갖지 않고, 당해 분체를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인 분체 수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가, 단속을 허용한 하나의,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이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의하면,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분체 용기에 대면하는 방향에 열린 중공의 통 형상부를 갖고, 상기 분체 수용 장치는, 상기 통 형상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분체 용기에 고정되어, 당해 분체 용기와 일체로 회전해서 당해 통 형상부 내의 분체를 회전축을 주회(周回)하는 방향으로 교반하는 교반 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의하면,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덮개 부재를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한 구동력 받이부를 갖고, 당해 구동력 받이부에서 받은 회전 구동력을 상기 분체 용기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의하면, 분체를 수용하고 일단이 개구하며 횡 배치로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당해 분체를 당해 개구를 향해서 반송하는 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분체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음과 함께 상기 분체의 유출구를 갖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한 분체 수용 장치이며,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일단을 향해서 회전축에 대하여 12도 이하의 경사를 가져 직경이 좁혀진 부분을 갖고, 당해 일단에, 당해 일단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비해 직경이 좁혀진 개구를 갖는 분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방안에 의하면,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수용 장치로부터 분체를 취출하며 당해 분체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싱기 분체 수용 장치가, 분체를 수용하고 일단이 개구하며 횡 배치로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당해 분체를 당해 개구를 향해서 반송하는 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분체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음과 함께 상기 분체의 유출구를 갖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용기의 회전에 위해 반송되어 온 상기 분체를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퍼올리는 구조를 갖지 않고, 당해 분체를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방안에 의하면,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수용 장치로부터 분체를 취출하며 당해 분체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분체 수용 장치가, 분체를 수용하고 일단이 개구하며 횡 배치로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당해 분체를 당해 개구를 향해서 반송하는 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분체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음과 함께 상기 분체의 유출구를 갖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일단을 향해서 회전축에 대하여 12도 이하의 경사를 가져 직경이 좁혀진 부분을 갖고, 당해 일단에, 당해 일단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비해 직경이 좁혀진 개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5 방안에 의한 분체 수용 장치와, 상기 제6 및 8 방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분체를 퍼올리는 구조를 갖는 분체 수용 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이하다.
상기 제2 방안에 의한 분체 수용 장치에 의하면,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돌출부 이외의 돌출부를 형성한 토너 보틀에 비해, 구조가 간이하다.
상기 제3 방안에 의한 분체 수용 장치에 의하면, 교반 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분체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4 방안에 의한 분체 수용 장치에 의하면, 분체 용기에 기어를 설치하여 구동할 경우에 비해, 공간 절약화와 구동계의 간이화가 도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외관을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도 1,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에 채용되는 일 실시형태로서의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토너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토너 카트리지의, 플랜지 근방 부분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스캐너(10)와 프린터(20)를 구비하고 있다.
스캐너(10)는, 이 화상 형성 장치(1)의 뼈대인 장치 케이싱(90) 상에 탑재되어 있으며, 프린터(20)는, 장치 케이싱(90) 내에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외관을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프린터(20)는, 거의 횡으로 1열로 배열된 4개의 상형성부(50Y, 50M, 50C, 50K)를 갖는다. 이들 상형성부(50Y, 50M, 50C, 50K)에서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 토너에 의한 토너상이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이들 상형성부(50Y, 50M, 50C, 50K)에 공통된 설명에 대해서는, 토너의 색의 구별을 나타내는 Y, M, C, K의 부호를 생략하고, 상형성부(50)로 표기한다. 상형성부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같다.
각 상형성부(50)에는, 감광체(51)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감광체(51)는, 구동력을 받아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현상에 의해 토너상이 더 형성된다.
각 상형성부(50)에 구비되어 있는 각 감광체(51)의 둘레에는, 대전기(52), 노광기(53), 현상기(54), 1차 전사기(62), 및 클리너(5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1차 전사기(62)는, 감광체(51)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중간 전사 벨트(61)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 놓여 있다. 이 1차 전사기(62)는, 상형성부(50)가 아니라, 후술하는 중간 전사부(60)에 구비되어 있는 요소이다.
대전기(52)는 감광체(5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노광기(53)는,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51)에,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된 노광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51)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54)는, 감광체(5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각 상형성부(50)에 따른 색의 토너로 현상하여, 감광체(51) 상에 토너상을 형성한다.
1차 전사기(62)는, 감광체(5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후술하는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 전사한다.
클리너(55)는, 전사 후의 감광체(51) 상의 잔류 토너 등을 감광체(51) 상에서 제거한다.
4개의 상형성부(50)의 상부에는, 중간 전사부(6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간 전사부(60)에는, 중간 전사 벨트(6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61)는, 구동 롤(63a), 종동 롤(63b), 텐션 롤(63c) 등의 복수의 롤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간 전사 벨트(61)는, 구동 롤(63a)로 구동되어서, 4개의 상형성부(50)에 구비되어 있는 4개의 감광체(51)를 따르는 경로를 포함하는 순환 경로 상을, 화살표 B방향으로 순환 이동한다.
각 감광체(51) 상의 토너상은 1차 전사기(62)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 순차 중첩하도록 전사된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 전사된 토너상은, 그 중간 전사 벨트(61)에 의해, 2차 전사 위치(T2)에 반송된다. 이 2차 전사 위치(T2)에는 2차 전사기(71)가 구비되어 있으며, 중간 전사 벨트(61) 상의 토너상은, 그 2차 전사기(71)의 작용에 의해, 그 2차 전사 위치(T2)로 반송되어 온 용지(P) 상에 전사된다. 용지(P)의 반송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용지(P)에의 토너상의 전사 후의 중간 전사 벨트(61) 상에 잔존하는 토너 등은, 클리너(64)에 의해, 그 중간 전사 벨트(61)로부터 제거된다.
중간 전사부(60)의 상부에는, 각 색의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100)가 구비되어 있다. 현상기(54) 내의 토너가 현상에 의해 소비되면, 대응하는 색의 토너를 수용한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토너가, 도시 생략한 토너 보급로를 통과하여 현상기(54)에 보급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장치 케이싱(9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비워지면 취출되어,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100)가 장착된다.
용지 트레이(21)로부터는, 픽업 롤(24)에 의해 용지(P)가 1매 취출되어, 반송 롤(25)에 의해, 반송로(99) 상을 화살표 C방향으로, 타이밍 조정 롤(26)까지 반송된다. 이 타이밍 조정 롤(26)까지 반송되어 온 용지(P)는, 그 타이밍 조정 롤(26)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1) 상의 토너상이 2차 전사 위치(T2)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맞춰서 2차 전사 위치(T2)에 도달하도록, 그 2차 전사 위치를 향하여 송출된다. 타이밍 조정 롤(26)에 의해 송출된 용지(P)는, 2차 전사 위치(T2)에 있어서, 2차 전사기(71)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1)로부터 토너상의 전사를 받는다. 토너상의 전사를 받은 용지(P)는, 화살표 D방향으로 더 반송되어서 정착기(72)를 통과한다. 용지(P) 상의 토너상은, 이 정착기(72)에 의해 가열 및 가압을 받아서 용지(P) 상에 정착된다. 이에 따라, 용지(P) 상에는, 정착된 토너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이 프린트된다. 정착기(72)에 의해 토너상의 정착을 받은 용지는, 반송 롤(27)에 의해 더 반송되어, 배지 롤(28)에 의해, 배지구(29)로부터 배지 트레이(22) 상으로 송출된다.
다음으로, 토너 카트리지(10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에 채용되는, 1 실시형태로서의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토너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단, 이 도 5에서는, 토너 보틀을 제외하고 단면(斷面)이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토너 카트리지의 플랜지 근방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토너 카트리지(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보틀(110), 교반 부재(120), 시일 부재(130), 플랜지(140), 다른 하나의 시일 부재(150), 및 커플링(160)을 갖는다. 이 토너 카트리지(10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분체 수용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토너 보틀(110)은, 분체 용기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교반 부재(120)는, 교반 부재의 일례에 상당하고 커플링(160)은 교반 부재의 구동력 받이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플랜지(140)는, 덮개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 토너 카트리지(100)는, 토너 보틀(110) 내에 토너가 수용되어서 도 3에 나타낸 상태로 조립되고, 그 조립된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100)가, 도 1,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 내에 삽입되어서 횡 배치로 설치된다. 또한, 이 토너 카트리지(100)는, 토너 보틀(110)이 비워지면 화살표E의 방향으로 뽑아내져, 새로운 카트리지(100)가 삽입된다.
토너 보틀(110)은,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그 일단에 개구(111)를 갖고, 내부에는 토너가 수용된다. 또한, 다른 한 쪽의 끝에는, 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뽑아낼 때에 파지하는 손잡이(1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토너 보틀(110)의 외주면(110a)에는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 단, 이 나선 형상의 홈(113a)은, 보강 리브(118a)로 단속(斷續)되어 있다. 즉, 이 토너 보틀(110)의 외주면(110a)에는, 단속되면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13a)의 이면은, 토너 보틀(110)의 내주면(110b)에 돌출하고 있다. 즉, 이 토너 보틀(110)의 내주면(110b)에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돌출부(113b)(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단, 이 돌출부(113b)는, 외주면(110a)에 설치되어 있는 보강 리브(118a)의 이면(118b)에 의해 단속되면서 연장되어 있다. 이 토너 보틀(110)은, 후술하도록 하고, 도 3, 도 4에 나타낸 화살표R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토너 보틀(110) 내에는 토너(도시 생략)가 충전되어 있으며, 토너 보틀(110)이 회전하면 그 내주면(110b)의 나선형의 돌출부(113b)에 의해 토너가 개구(111) 측으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보틀(110) 내에 충전되어 있는 토너는, 안식각(安息角)이 35도 이상, 전형적으로는 40도 정도이며, 유동성이 떨어지는 토너이다. 본 실시형태의 토너 보틀(1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111)에 가까운 부분이, 개구(111)를 향하여, 회전축에 대하여 5도 정도의 경사를 가져 직경이 좁혀 있다. 이 경사가 12도 이하이면, 40도 정도의 안식각의 토너라도, 내주면(110b)의 돌출부(113b)에 의해 개구(111)를 향하여 토너를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또한, 이 토너 보틀(110)의 외주면(110a)에는, 그 개구(111)의 근방에, 수나사(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114)에는, 교반 부재(120)의 암나사(122)(도 6 참조)가 나사 고정되고, 토너 보틀(110)에 교반 부재(120)가 고정된다. 따라서, 토너 보틀(110)과 교반 부재(120)는 일체로 회전한다.
이 교반 부재(120)는, 토너 보틀(110)측에 개구한 원통부(121)를 갖고, 그 원통부(12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교반 부재(120)에는, 플랜지(140) 측으로 돌출한 교반 블레이드(12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플랜지(140)에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보틀(110) 측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열린 중공의 통 형상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교반 부재(120)의 교반 블레이드(123)는, 플랜지(140)의 통 형상부(141) 내에 배치된다. 이 교반 블레이드(123)는, 토너 보틀(110)의 개구(111)로부터 플랜지(140) 내로 이동해 온 토너를, 회전축을 주회하는 방향(화살표R의 방향)으로 교반하고, 토너의 응집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교반 블레이드(123)의 선단에는 결합 구멍(124)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140)의, 결합 구멍(124)에 대면하는 위치에는, 통과 구멍(1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과 구멍(142)에는, 이 플랜지(140)의 외측(도 6의 좌측)으로부터 커플링(160)이 삽입되어서 결합 구멍(124)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1)(도 1, 도 2 참조)에 삽입되면, 커플링(160)이 장치 본체 측의 커플링(도시 생략)과 결합한다. 그리고, 이 커플링(160)은, 장치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그 장치 본체측의 커플링을 개재하여 회전 구동된다. 이 커플링(160)은, 교반 부재(120)의 결합 구멍(124)에 끼워 넣어져 있어서, 그 커플링(160)이 회전하면 교반 부재(120)도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교반 부재(120)는 토너 보틀(1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교반 부재(120)가 회전하면 토너 보틀(110)도 일체로 회전한다.
교반 부재(120)에는, 그 외주면(120a)에, 주회 방향으로 일주하는 계지 홈(125)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140)에는, 이 계지홈(125)에 끼워 넣어지는 계지 클로(14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계지 클로(146)는, 플랜지(140)를, 회전축 방향(도 6의 좌우 방향)으로는 교반 부재(120)에 고정하면서 회전 방향(도 3,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R방향)으로는 계지 홈(123)과 슬라이딩한다. 이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삽입되면, 플랜지(140)는 그 장치 본체에 대하여 비회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교반 부재(120)는, 플랜지(140)의 계지 클로(146)와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한다.
링 형상의 시일 부재(130)는, 교반 부재(120)와 플랜지(140) 사이에 끼워져 서, 플랜지 부재(140)의 원형의 돌출부(147)에 압궤(壓潰; 눌려 찌브러뜨림)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130)는, 교반 부재(120)와 플랜지(140) 사이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링 형상의 시일 부재(150)는, 플랜지(140)의 통과 구멍(142)을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플랜지(140)의 통과 구멍(142)으로부터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이 플랜지(140)는, 토너 보틀(110)에 대한 덥개로서의 역할을 가짐과 함께, 토너가 유출하는 유출구(143)를 갖는다. 그 유출구(143)의 주위는, 다른 하나의 시일 부재(144)로 덮여 있다. 또한, 그 유출구(143)와 시일 부재(144)는, 셔터(145)로 덮여 있다. 이 셔터(145)는, 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화상 형성 장치(1)에 삽입했을 때에 개방되고, 빼낼 때에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삽입되면, 셔터(145)가 열람과 함께, 또한 플랜지(140)가 비회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장치 본체 측의 커플링(도시 생략)과 이 토너 카트리지(100)의 커플링(160)이 결합한다. 이 커플링(160)은, 장치 본체 측의 모터에 의해 장치 본체 측의 커플링을 개재해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그 회전 구동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100)의 교반 부재(120)와 토너 보틀(110)이 회전한다. 토너 보틀(110)의 회전에 의해 그 토너 보틀(110) 내의 토너가 개구(111) 측으로 반송되고, 그 개구(111)로부터 반출되어서 플랜지(140) 내로 들어간다. 플랜지(140) 내로 들어간 토너는 교반 부재(120)의 교반 블레이드(123)에 의해 교반되면서, 유출구(143)로부터, 이 토너 카트리지(100) 외부로 유출된다.
여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 실시형태로서의 토너 카트리지(100)는, 도 2에 나타낸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를 대표하고 있다. 즉, 이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유출한 토너는 대응하는 현상기(54)에 공급되어, 토너상의 형성에 제공된다.
여기에서, 이 실시형태의 토너 카트리지(100)는, 회전축 상에 마련된 커플링(160)을 개재해서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토너 보틀(110)에 기어를 형성해서 그 기어를 구동하는 구성과 비교해, 토너 카트리지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계의 구성이 간이화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4개의 토너 카트리지(100Y, 100M, 100C, 100K)끼리의 사이에 기어(도 3 참조) 등의 배치 스페이스는 불필요하며,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토너 카트리지(100)의 경우, 토너 보틀(110)은 개구(111)를 향하여 5도 정도 좁혀 있지만, 그 이외에는, 전술한 특허문헌 1, 2와 같이 회전축 방향을 향하여 크게 좁혀진 개구는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그 개구를 향하여 토너를 퍼올리는 구조(퍼올리는 형상이나 부재 등)은 불필요하며, 간이한 구조이며, 더군다나 유동성이 떨어지는 토너의 수용 및 송출에 적합한 토너 카트리지(100)가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보틀(110)의 내주면(110b)에, 단속되면서 연장되어서 토너의 반송을 담당하는 하나의 돌출부(113b)가 형성되어 있지만, 토너의 반송을 담당하는 돌출부(113b)는, 하나일 필요는 없고, 분산 배치된 복수 개의 짧은 돌출부 등이여도 좋다.

Claims (7)

  1. 분체를 수용하고 일단(一端)이 개구하며 횡 배치로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당해 분체를 당해 개구를 향하여 반송하는 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분체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음과 함께 상기 분체의 유출구를 갖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용기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기 분체를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퍼올리는 구조를 갖지 않고, 당해 분체를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인 분체 수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단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인 분체 수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분체 용기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열린 중공(中空)의 통 형상부를 갖고,
    상기 통 형상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분체 용기에 고정되고, 당해 분체 용기와 일체로 회전해서 당해 통 형상부 내의 분체를 회전축을 주회(周回)하는 방향으로 교반하는 교반 부재를 더 구비한 분체 수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가, 상기 덮개 부재를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한 구동력 받이부를 갖고, 당해 구동력 받이부에서 받은 회전 구동력을 상기 분체 용기에 전달하는 것인 분체 수용 장치.
  5. 분체를 수용하고 일단이 개구하며 횡 배치로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당해 분체를 당해 개구를 향하여 반송하는 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분체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음과 함께 상기 분체의 유출구를 갖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일단을 향하여 회전축에 대하여 12도 이하의 경사를 가져 직경이 좁혀진 부분을 갖고, 당해 일단의 상기 개구는, 당해 일단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비해 직경이 좁혀져 있는 분체 수용 용기.
  6.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수용 장치로부터 분체를 취출하며 당해 분체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분체 수용 장치가,
    분체를 수용하고 일단이 개구하며 횡 배치로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당해 분체를 당해 개구를 향하여 반송하는 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분체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음과 함께 상기 분체의 유출구를 갖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용기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기 분체를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퍼올리는 구조를 갖지 않고, 당해 분체를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7.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수용 장치로부터 분체를 취출하며 당해 분체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분체 수용 장치가,
    분체를 수용하고 일단이 개구하며 횡 배치로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당해 분체를 당해 개구를 향해서 반송하는 돌출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분체 용기와,
    상기 개구를 덮음과 함께 상기 분체의 유출구를 갖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일단을 향하여 회전축에 대하여 12도 이하의 경사를 가져 직경이 좁혀진 부분을 갖고, 당해 일단에, 당해 일단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비해 직경이 좁혀진 개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0028899A 2014-09-25 2015-03-02 분체 수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600364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4943 2014-09-25
JPJP-P-2014-194943 2014-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57A true KR20160036457A (ko) 2016-04-04

Family

ID=5558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899A KR20160036457A (ko) 2014-09-25 2015-03-02 분체 수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91825A1 (ko)
JP (1) JP2016066051A (ko)
KR (1) KR20160036457A (ko)
CN (1) CN105988331A (ko)
AU (1) AU2015200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2421B2 (en) * 2014-09-25 2016-09-13 Fuji Xerox Co., Ltd. Rotatable powder storage container
JP6774166B2 (ja) * 2015-03-18 2020-10-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収容容器
JP6657653B2 (ja) * 2015-08-17 2020-03-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65597B2 (ja) * 2016-03-08 2020-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24953B2 (ja) * 2016-04-07 2019-06-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69581B2 (ja) * 2016-04-07 2019-09-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272362B (zh) * 2016-04-07 2021-01-15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调色剂容器及图像形成装置
USD828868S1 (en) 2016-05-23 2018-09-18 Fuji Xerox Co., Ltd. Toner cartridge
JP6930078B2 (ja) * 2016-09-15 2021-09-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192318B2 (ja) * 2018-09-03 2022-12-2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部材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3917814B (zh) * 2021-11-01 2024-08-09 广州众诺微电子有限公司 粉盒及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349A (en) * 1994-09-28 1996-06-18 Minolta Co., Ltd. Developer container for stably replenishing developer to developing device
JPH10213959A (ja) * 1997-01-30 1998-08-11 Konica Corp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04631A (ja) * 2008-02-26 2009-09-10 Sharp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トナー補給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2011227354A (ja) * 2010-04-22 2011-11-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220874B2 (ja) * 2011-01-13 2013-06-26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083954B2 (ja) * 2011-06-06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6091270B2 (ja) * 2013-03-19 2017-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00942A1 (en) 2016-04-07
JP2016066051A (ja) 2016-04-28
US20160091825A1 (en) 2016-03-31
CN105988331A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6457A (ko) 분체 수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9395650B2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268260B2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411267B2 (en) Developer stor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9134651B1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82661B1 (ko) 분체 수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6402822B2 (ja) 現像剤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EP2960722B1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960721B1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RU2658104C1 (ru) Кассета с красителем и содержащий ее аппарат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CN109661619B (zh) 粉末容器,处理卡盒和图像形成设备
JP6332241B2 (ja) 粉体収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8017749A (ja)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US20170090348A1 (en) Develop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US9256160B2 (en) Developer storage container having rotary cylinder portion inside a main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6504359B2 (ja) 粉体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9892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