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304A -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 Google Patents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304A
KR20160036304A KR1020140128356A KR20140128356A KR20160036304A KR 20160036304 A KR20160036304 A KR 20160036304A KR 1020140128356 A KR1020140128356 A KR 1020140128356A KR 20140128356 A KR20140128356 A KR 20140128356A KR 20160036304 A KR20160036304 A KR 20160036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chemical tank
coupler
hull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250B1 (ko
Inventor
전현종
김성엽
유재혁
윤효원
진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2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는, 해상에 부유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원의 생활 공간 및 항해를 위한 조타실이 형성된 거주구,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채굴된 해저 자원을 정제하는 자원 생산 플랫폼,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으로 공급되어 상기 해저 자원을 정제하는데 사용되는 케미컬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미컬 탱크가 안착되도록 상기 거주구와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 사이에 구비되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 및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와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을 연결하는 케미컬 유로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vessel}
본 발명은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부유하며 원유, 가스 등의 해저 자원을 채취하고 정제하여 오일, 천연 가스 등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는 선박 형태의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부유식 액화 가스 생산 저장 설비(LNG Floating Storage Re-gasfication Unit), 해상 석유 시추 설비(offshore oil-drilling platforms) 등의 선박(vessel)을 통칭한다.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는 해상에서 부유한 상태에서 원유, 가스 등의 해저의 자원을 채굴하고, 선체에 구비된 생산 플랫폼을 이용해 채굴된 자원을 정제, 가공한 후, 가공된 자원을 저장한다.
도 1은 종래의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는 선체(2), 거주구(3), 자원 생산 플랫폼(4), 터렛(5)을 구비한다.
거주구(3)에는 선원들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과 설비(1)의 항해를 위한 조타실(3a)이 형성되어 있다.
터렛(5)은 선체(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해저의 자원을 선체로 이송하는 라이저(9)들이 설치된다. 채굴된 해저 자원은 라이저(9)와 터렛(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자원 생산 플랫폼(4)으로 이송된다.
자원 생산 플랫폼(4)에서는 고품질의 원유 또는 천연 가스를 생산하기 위해 해저 자원에 대한 정제, 가공이 이루어진다. 자원 생산 플랫폼(4)에서 정제, 가공된 원유 또는 천연 가스는 선체(2) 내에 구비된 저장 탱크(6, 7)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한편, 자원 생산 플랫폼(4)에서 해저 자원이 정제, 가공 되는 공정에는 각종의 케미컬이 요구된다. 종래의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는 선체(2) 내에 케미컬이 수용되는 케미컬 탱크(8)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저 자원의 정제, 가공에 사용되는 케미컬이 수용되는 케미컬 탱크의 재배치를 통해 원유 또는 천연 가스의 생산 및 저장량을 증가할 수 있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는, 해상에 부유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원의 생활 공간 및 항해를 위한 조타실이 형성된 거주구,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채굴된 해저 자원을 정제하는 자원 생산 플랫폼,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으로 공급되어 상기 해저 자원을 정제하는데 사용되는 케미컬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미컬 탱크가 안착되도록 상기 거주구와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 사이에 구비되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 및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와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을 연결하는 케미컬 유로파이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미컬 탱크는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에 교체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커플러 및 상기 케미컬 탱크에 구비되는 제2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의 결합에 의해 상기 케미컬은 상기 케미컬 탱크로부터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의 결합 해제에 의해 상기 케미컬은 상기 케미컬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와 연결되는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과 연결되는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의 타단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케미컬 탱크로부터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로 유입된 상기 케미컬은 중력에 의해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으로 가변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부유식 생산 설비가 부유하며 상기 해저 자원을 채취 및 정제하는 때에는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가 상기 제1 포지션에 위치하여 상기 케미컬 탱크를 지지하고, 상기 부유식 생산 설비가 항해하는 때에는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가 상기 제2 포지션에 위치하여 상기 조타실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는 상기 선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포지션은 상기 제2 포지션에 대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는 상기 거주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포지션은 상기 거주구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포지션은 상기 거주구와 오버랩 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선체 내에 원유 또는 천연 가스의 저장 공간을 확장하여 원유 또는 천연 가스의 생산 및 저장량이 증대된다.
또한, 케미컬 탱크가 선체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케미컬 탱크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고 케미컬 탱크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의 케미컬 탱크 교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의 케미컬 탱크와 케미컬 유로의 커플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는 해상에서 부유 또는 항해할 수 있는 선체(12)를 포함한다.
선체(12)의 일측에는 선체(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렛(15)이 구비된다. 터렛(15)은 롤링 베어링 또는 마찰 베어링 등을 통해 선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가 해저 자원을 채굴하는 때에, 선체(12)는 조류 및 바람의 영향 하에서 터렛(1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해상에서 부유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렛(15)이 선체(12)의 선수 부분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터렛(15)은 선체(12)의 중앙 또는 선미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선체(12)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터렛(15)은 복수의 라이저(19)를 지지한다. 복수의 라이저(19)는 해저의 자원 채굴 지점으로부터 채굴된 자원이 터렛(15) 측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한편, 선체(12)의 메인 데크 상에는 자원 생산 플랫폼(14)이 구비된다.
자원 생산 플랫폼(14)은 해저로부터 라이저(19) 및 터렛(1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이송된 해저 자원을 정제, 가공하여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고품질의 원유 또는 천연 가스를 생산한다.
선체(12) 내부에는 자원 생산 플랫폼(14)에서 정제, 가공된 원유 또는 천연 가스를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 탱크(16)들이 구비된다.
한편, 선체(12)의 메인 데크 상에는 거주구(13)가 구비된다. 거주구(13)는 일예로서, 선체(12)의 선미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거주구(13)에는 선원들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과 설비(100)의 항해를 위한 조타실(1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구(13)와 자원 생산 플랫폼(14) 사이에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30)가 구비된다. 거주구(13)가 선체(12)의 선미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30)가 거주구(13)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는 거주구(13)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는 별도의 지지구조를 이용해 거주구(13)와 자원 생산 플랫폼(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는 자원 생산 플랫폼(14)에서 해저 자원을 정제 및 가공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케미컬이 저장된 복수의 케미컬 탱크(20)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케미컬 탱크(20)는 교체 가능한 구조로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 안착될 수 있다.
케미컬 탱크(20)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조타실(13a)의 전방 시야를 가릴 수 있다. 그러나,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는 해저 자원을 채굴하는 때에는 항해하지 않고, 거의 제자리에서 부유하므로 케미컬 탱크(20)에 의해 조타실(13a)의 전방 시야가 가려지더라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가 해상에서 일정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항해가 필요한 경우에는 케미컬 탱크(20)를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로부터 제거하여 조타실(13a)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는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일단에 연결된다.
케미컬 유로 파이프(40)는 케미컬 탱크(20) 내의 케미컬을 자원 생산 플랫폼(14)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타단은 자원 생산 플랫폼(14)의 케미컬 펌프(14a)와 연결된다.
케미컬 펌프(14a)는 케미컬 유로 파이프(40)를 통해 이동한 케미컬을 자원 생산 플랫폼(14) 내의 정제 및/또는 가공 처리 장치로 공급한다.
케미컬 유로 파이프(4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가 신장되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미컬 탱크(20)와 연결되는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일단은 케미컬 펌프(14a)와 연결되는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타단 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케미컬 탱크(20)가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와 연결되는 경우에 케미컬 탱크(20) 내부의 케미컬은 중력에 의해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선체(12)의 메인 데크 상에는 크레인(17)이 구비된다.
크레인(17)은 메인 데크 상에서 고중량의 물체를 이동시키거나,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에 접근한 수송선과 설비(100) 간의 물자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17)은 케미컬 탱크(20)를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 안착시키거나,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서 제거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의 케미컬 탱크 교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에서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 안착되는 케미컬 탱크(21, 22, 23)는 별도의 수송선(101)에 의해 수송될 수 있다.
수송선(101)이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로 접근하면,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의 크레인(17)은 수송선(101)으로부터 케미컬이 충전된 케미컬 탱크(21)를 운반하여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에서 케미컬을 소진한 케미컬 탱크(22)는 크레인(17)에 의해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서 제거되어 수송선(101)으로 운반된다.
도 3은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의 크레인(17)을 이용해 케미컬 탱크(21, 22, 23)의 운반하는 과정을 도시하였으나, 케미컬 탱크(21, 22, 23)는 수송선(101)에 구비된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해 운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의 케미컬 탱크와 케미컬 유로의 커플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케미컬 탱크(20)는 교체 가능한 구조로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 케미컬 탱크(20)와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연결 및 분리의 용이성이 필요하다.
도 4에는 케미컬 탱크(20)와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커플링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일단에는 제1 커플러(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케미컬 탱크(20)는 외부로 노출된 제2 커플러(20a)가 구비된다.
제1 커플러(41)는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와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제2 커플러(20a)는 케미컬 탱크(20) 내에 형성된 케미컬 충진 공간(미도시)와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제1 커플러(41)는 수형 커플러이고 제2 커플러(20a)는 암형 커플러로서, 제1 커플러(41)와 제2 커플러(20a)는 상호 간에 결합/해제가 가능한 퀵 커플러이다.
제1 커플러(41)를 제2 커플러(20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케미컬 탱크(20) 내부의 케미컬 충진 공간과 케미컬 유로 파이프(40)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케미컬 탱크(20)에 수용된 케미컬이 케미컬 유로 파이프(40)를 통해 자원 생산 플랫폼(14)의 케미컬 펌프(14a)로 이동한다.
또한, 제1 커플러(41)와 제2 커플러(20a)의 결합을 해제하면, 제1 커플러(41)는 케미컬 탱크(20)에 수용된 케미컬은 케미컬 탱크(20)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제1 커플러(41)가 구비된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일단은 케미컬 탱크(20)와 언제라도 연결될 수 있도록 케미컬 탱크 안착부(30) 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에는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일측을 홀딩하는 홀딩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홀딩부(31)는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일측 일부를 수용하며, 제1 커플러(41)를 포함하는 케미컬 유로 파이프(40)의 일단이 홀딩부(3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홀(32)이 형성된다.
제1 커플러(41)가 홀딩부(3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홀(32)의 직경은 제1 커플러(4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100)의 구성에 의해, 케미컬 탱크(20)를 선체(12)의 외부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선체(12) 내부에 정제, 가공된 원유 또는 천연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16)의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원유 또는 천연 가스의 생산 및 저장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케미컬 탱크(20)가 선체(12)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케미컬 탱크(20)의 교체가 용이해지고 케미컬 탱크(20)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200)는 승강 가능한 구조의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의 하부에는 승강부(50)가 구비된다. 승강부(50)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를 제1 포지션(도 5)와 제2 포지션(도 6)으로 가변하여 위치시킨다.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200)가 해상에 부유하며 해저 자원을 채굴하여 정제 및 가공하는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컬 탱크 안착부(30)가 제1 포지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200)가 항해하는 중에는 조타실(13a)의 사시야 확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50)가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를 하강시켜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를 제2 포지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케미컬 유로 파이프(40)는 유연하거나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케미컬 탱크 안착부(30)가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하더라도, 케미컬 유로 파이프(40)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와 케미컬 펌프(14a) 사이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300)는 회동 가능한 구조의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는 거주구(13)의 외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를 제1 포지션(실선)과 제2 포지션(점선)으로 가변하여 위치시키는 회동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구동부는, 신장/수축되며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를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기어, 체인 등의 구조를 이용해 케미컬 탱크 안착부(30)를 회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200)가 해상에 부유하며 해저 자원을 채굴하여 정제 및 가공하는 때에는, 도 7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컬 탱크 안착부(30)가 제1 포지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200)가 항해하는 중에는 조타실(13a)의 사시야 확보를 위해, 도 7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컬 탱크 안착부(30)가 회동하여 거주구(13)의 외벽에 오버랩 되며 제2 포지션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케미컬 유로 파이프(40)는 유연하거나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케미컬 탱크 안착부(30)가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하더라도, 케미컬 유로 파이프(40)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와 케미컬 펌프(14a) 사이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200, 300)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30)의 위치가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가변 되도록 구성되므로,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200, 300)가 항해하는 경우에 조타실(13a)의 사시야 확보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 선체 13: 거주구
13a: 조타실 14: 자원 생산 플랫폼
14a: 케미컬 펌프 15: 터렛
16: 저장 탱크 17: 크레인
19: 라이저 20, 21, 22, 23: 케미컬 탱크
20a: 제2 커플러 30: 케미컬 탱크 안착부
31: 홀딩부 32: 개구홀
40: 케미컬 유로 파이프 41: 제1 커플러
50: 승강부 100, 200, 300: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101: 수송선

Claims (7)

  1. 해상에 부유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원의 생활 공간 및 항해를 위한 조타실이 형성된 거주구;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채굴된 해저 자원을 정제하는 자원 생산 플랫폼;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으로 공급되어 상기 해저 자원을 정제하는데 사용되는 케미컬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미컬 탱크가 안착되도록 상기 거주구와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 사이에 구비되는 케미컬 탱크 안착부 및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와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을 연결하는 케미컬 유로파이프를 포함하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 탱크는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에 교체 가능하게 안착되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커플러 및
    상기 케미컬 탱크에 구비되는 제2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의 결합에 의해 상기 케미컬은 상기 케미컬 탱크로부터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의 결합 해제에 의해 상기 케미컬은 상기 케미컬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와 연결되는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자원 생산 플랫폼과 연결되는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의 타단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케미컬 탱크로부터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로 유입된 상기 케미컬은 중력에 의해 상기 케미컬 유로 파이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으로 가변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부유식 생산 설비가 부유하며 상기 해저 자원을 채취 및 정제하는 때에는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가 상기 제1 포지션에 위치하여 상기 케미컬 탱크를 지지하고,
    상기 부유식 생산 설비가 항해하는 때에는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가 상기 제2 포지션에 위치하여 상기 조타실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는 상기 선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포지션은 상기 제2 포지션에 대해 상부에 위치하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 탱크 안착부는 상기 거주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포지션은 상기 거주구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포지션은 상기 거주구와 오버랩 되도록 위치하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KR1020140128356A 2014-09-25 2014-09-25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KR101652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356A KR101652250B1 (ko) 2014-09-25 2014-09-25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356A KR101652250B1 (ko) 2014-09-25 2014-09-25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304A true KR20160036304A (ko) 2016-04-04
KR101652250B1 KR101652250B1 (ko) 2016-08-30

Family

ID=5579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356A KR101652250B1 (ko) 2014-09-25 2014-09-25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2409A (zh) * 2017-11-30 2018-05-29 中海油能源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兼具修井功能的动力定位型浮式生产储油设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451Y1 (ko) * 1979-12-26 1984-11-24 닛뽄 고오깡 가부시기가이샤 상갑판위에 복수개의 액상 화학제품 수납용 탱크를 구비한 운반선
JP2005014698A (ja) * 2003-06-25 2005-01-20 Fujio Fujimoto 原油及び清水輸送用タンカー
KR101291260B1 (ko) * 2010-08-30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451Y1 (ko) * 1979-12-26 1984-11-24 닛뽄 고오깡 가부시기가이샤 상갑판위에 복수개의 액상 화학제품 수납용 탱크를 구비한 운반선
JP2005014698A (ja) * 2003-06-25 2005-01-20 Fujio Fujimoto 原油及び清水輸送用タンカー
KR101291260B1 (ko) * 2010-08-30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2409A (zh) * 2017-11-30 2018-05-29 中海油能源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兼具修井功能的动力定位型浮式生产储油设施
CN108082409B (zh) * 2017-11-30 2023-09-19 中海油能源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兼具修井功能的动力定位型浮式生产储油设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250B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5949C1 (ru)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к плавающему судну или от него
US9458700B2 (en) Use of underground gas storage to provide a flow assurance buffer between interlinked processing units
CN1906087A (zh) 海底低温流体传输系统
US20160272290A1 (en) Underwater vehicle for transporting fluids such as for example natural gas, oil or water, and process for using said vehicle
JPS593626B2 (ja) セミサブマ−ジブルホウシキニヨルアブラノ カイヨウクツサクニ オケル サイユ チヨゾウホウホウナラビニ ソノ タメノ サイユ チヨゾウユニツト ステ−シヨン
NO20130964A1 (no) Dypvanns produksjonssystem
CA3058041C (en) Vessel hull for use as a hu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and/or processing plant
KR101259630B1 (ko) 액상 화물 하역 장치
CN104229074B (zh) 用于无转塔的可分离随气候摆动fpso的可分离生产坞
NO333956B1 (no) En slangetrommelstasjon
AU2012266353B2 (en) Submarine
CN105636864A (zh) 船舶
KR101652250B1 (ko)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
EP2841334B1 (en) Method for dry-docking a floating unit
WO2021235941A1 (en) Shuttle loading system
EP3261922B1 (en) Water intake system and float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system
ITMI20131753A1 (it) Procedimento per trasportare fluidi di estrazione quali per esempio gas naturale, petrolio o acqua, e veicolo sommergibile per attuare tale metodo.
KR101580976B1 (ko) 채광선
KR101516288B1 (ko) 해저 구조체 내부의 기름 분리 선박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9535B1 (ko) 적하역 배관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조선
KR20170127836A (ko) 해저 광물 채굴용 리프팅 장치
US20220388610A1 (en) Operation of an Unmanned Productive Platform
KR101524431B1 (ko) 선박
KR20170067358A (ko) 액화가스 이송 장치 및 액화가스 이송 방법
KR20140006635A (ko) 복합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