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313A -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313A
KR20170036313A KR1020150135323A KR20150135323A KR20170036313A KR 20170036313 A KR20170036313 A KR 20170036313A KR 1020150135323 A KR1020150135323 A KR 1020150135323A KR 20150135323 A KR20150135323 A KR 20150135323A KR 20170036313 A KR20170036313 A KR 2017003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oil
hull structure
module
stru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6313A/ko
Publication of KR2017003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생산시설과 저장탱크를 효과적으로 분담하여 탑재 가능하고, 액화가스 저장용량을 증대하면서 건조비용과 건조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환경 부하에 대해 선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은, 중앙부의 선체를 이루고 터릿 무어링 장치(110)가 설치되어 해저 유정으로부터 오일을 채굴하여 뽑아 올리는 중앙 선체 구조물(10);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복수의 저장 탱크(220)가 마련된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에서 채굴한 오일을 정제 처리하고 종류별로 액화시켜 상기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저장 탱크(220)에 저장하기 위한 처리 시설로서,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상기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거나,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상기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분산 배치되는 채굴오일 처리 설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Ship Form of Floating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가스 생산시설과 저장탱크를 효과적으로 분담하여 탑재 가능하고, 액화가스 저장용량을 증대하면서 건조비용과 건조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환경 부하에 대해 선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해양 구조물로서는, 해상에 정박한 채 해저 유전에서 원유를 채굴하여 저장하고 운반선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unit), 해상에 정박한 채 해저 유전으로부터 원유가스를 채굴하여 전처리, 액화 및 저장하고,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예; LNGC, LPGC, Tanker)에 하역할 수도 있도록 만들어진 FLNG(LNG-FPSO)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상갑판을 기준으로 아래쪽의 선체부(Hull Part)에는 생산한 액화가스(예; LNG, LPG, Condensate)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들이 갖추어지고, 위쪽의 갑판상부(Top side)에는 채굴한 원유가스를 처리하고 액화하기 위한 공정 모듈(processing module), 하역을 위한 하역설비, 작업자가 생활하기 위한 거주구(Living Quarter) 등이 탑재된다.
또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이른바 '터릿 무어링 시스템(turret mooring system)'을 통해 해상에서 오랜 기간을 계류한 채 작업을 수행한다.
터릿 무어링 시스템은, 터릿과 선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터릿을 중심으로 선체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해상 계류 시에는 터릿의 하부와 해저에 박은 앵커를 계류 라인(예; tension leg)으로 연결하여 터릿을 고정함으로써, 선체가 터릿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요컨대, 해상에서 정박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선체가 조류나 파랑 등의 환경 하중을 받는다. 이에 대해 바람, 조류, 또는 파랑의 작용 방향으로 선수가 향하도록 터릿을 중심으로 선체를 선회시키는 이른바 '웨더 베이닝(Weather Vanning)을 수행함으로써 환경 부하에 대해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터릿의 하부로부터는 신축 라이저(flexible riser)가 연장되어 해저 유정에 연결되어 오일을 선체로 뽑아 올린다. 선체로 뽑아 올린 오일은 갑판 상부에 설비된 전처리 장치, 분류장치, 액화장치 등을 통해 LNG, LPG 및 응축물(condensate)로 분류 및 추출하여 생산한 다음, 선체의 저장 탱크에 각각 저장하였다가, 하역 설비를 통해 해상에서 직접 운반선으로 옮겨 싣는다.
일반적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선박과 유사한 단독의 선형을 갖추고 있는데, 선체부(Hull Part)에는 생산한 액화가스(예; LNG, LPG, Condensate)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들과 함께 엔진, 보일러, 전기 설비 등과 갖은 각종의 기반 설비가 설치되는 기계실을 선체 전, 후에 구비하며, 또 한편으로는 터릿 무어링 시스템을 수용하고 밸러스트 탱크도 배치하여야 한다. 또한 갑판상부(Top side)에는 채굴한 원유가스를 처리하고 액화하기 위한 공정 모듈, 하역설비, 거주구 등을 마련하여야 한다,
하나의 선체부에 소정 규모의 저장 탱크, 기계실, 터릿 무어링 시스템, 밸러스트 탱크를 모두 갖추어야 하고, 갑판상부에 매우 많고 큰 설비들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은, 예를 들어 높이 100여 미터, 폭 70여 미터 또는 그 이상, 길이 500여 미터로 이루어지는 등, 매우 비대한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체가 비대해지는 만큼 건조기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바람, 조류, 또는 파랑과 같은 환경 부하에 대해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022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014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한계를 개선하고 새로운 개념의 선형을 제공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 생산시설과 저장탱크를 효과적으로 분담하여 탑재함으로써 액화가스 저장용량을 증대하면서 건조비용과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환경 부하에 대해 선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중앙부의 선체를 이루고 터릿 무어링 장치(110)가 설치되어 해저 유정으로부터 오일을 채굴하여 뽑아 올리는 중앙 선체 구조물(10);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복수의 저장 탱크(220)가 마련된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에서 채굴한 오일을 정제 처리하고 종류별로 액화시켜 상기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저장 탱크(220)에 저장하기 위한 처리 시설로서,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상기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거나,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상기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분산 배치되는 채굴오일 처리 설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은 바지(barge)형 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있어서, 상기 두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저장 탱크(220)는 멤브레인 형식(membrane type)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있어서, 상기 두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복수의 저장 탱크(220)는, LNG 저장탱크, LPG 저장탱크 및 응축물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있어서, 상기 채굴오일 처리 설비는, 오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모듈(120); 상기 전처리 모듈(120)로부터 이송된 오일로부터 응축물과 가스를 분류 처리하는 메인 공정 모듈(130); 상기 메인 공정 모듈(130)로부터 분류된 가스를 액화하여 LNG 및 LPG로 가공하는 액화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모듈(120), 메인 공정 모듈(130) 및 액화 모듈(210)은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나누어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모듈(120) 및 메인 공정 모듈(130)은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탑재하고, 상기 액화 모듈(210)은 양쪽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각각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에는 발전 플랜트 모듈(140)을 더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에는 기계 모듈(150)을 더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있어서, 상기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상부에는 하역설비(230)를 더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에 의하면, 가운데의 중앙 선체 구조물과, 그것의 좌, 우 양측에 측방 선체 구조물(20)을 구비한 형태로서, 3개의 선체 구조물이 역할을 분담한다, 따라서, 중앙 선체 구조물에는 저장 탱크를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바지형 선체로 구성하는 등, 선체부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저장 탱크를 양쪽의 측방 선체 구조물에 분산하여 구비하므로 저장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 하나의 중앙 선체 구조물과 두 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을 병렬로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무게 중심이 낮아지고 접수면적이 커져서 환경 부하에 대해 횡동요를 줄이는 등, 매우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오일을 생산,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은, 중앙부의 선체를 이루는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중앙 선체 구조물(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을 포함한다. 즉, 가운데에 중앙 선체 구조물(10)을 사이에 두고 좌, 우 양측에 측방 선체 구조물(20)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 형태이다.
이러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은, 3개의 선체 구조물(10, 20, 20)이 역할을 분담한다.
바람직하게, 가운데의 중앙 선체 구조물(10)은 해상 계류와 오일(액체 오일 또는 가스오일)을 채굴하는 역할을 하고, 두 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은 정제하여 생산한 오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 선체 구조물(10)에는 터릿 무어링 장치(110)가 구비되고, 양쪽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는 각각 저장 탱크(220)를 구비한다.
즉, 중앙 선체 구조물(10)에는 저장 탱크(220)를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선체부(Hull part)를 간략화 할 수 있으며, 저장 탱크(220)는 양쪽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분산되므로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 3개의 선체, 즉, 중앙 선체 구조물(10), 두 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 20)이 병렬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므로, 무게 중심이 낮아지고 접수면적이 커져서 환경 부하에 대해 횡동요를 줄이는 등, 매우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오일을 생산, 저장할 수 있다.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설치된 터릿 무어링 장치(110)에 의해 채굴 시 해상에 계류할 수 있다. 터릿 무어링 장치(110)는, 증앙 선체 구조물(10)를 상하로 관통하여 계류용 터릿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터릿으로부터 채굴 파이프를 아래로 내려서 심해 유정으로부터 오일을 채굴한다.
터릿 무어링 장치(110)는,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베어링 등의 지지에 의해 터릿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한 공지의 형태를 가진다. 터릿은 계류 라인에 의해 해저에 고정된다. 계류 라인을 통해 터릿을 해저에 고정한 상태에서 선체는 터릿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 조류 또는 파랑의 작용 방향으로 선수가 향하도록 선회(이를 '웨더 베이닝(Weather Vanning)'이라고 한다)시킬 수 있게 된다. 터릿 무어링 장치(110)를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구비함으로써 계류 및 선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선체 구조물(10)은 오일의 채굴과 해상 계류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이 된다.
이에 비해, 양쪽의 측방 선체 구조물(20)들은 각각 내부에 복수의 저장 탱크(220)를 구비하여 중앙 선체 구조물(10)로부터 채굴하여 정제한 오일(예; LNG, LPG, Condensate)을 저장한다.
중앙 선체 구조물(10)은 저장 탱크가 없으므로, 바닥이 넓고 평평한 바지(Barge)형 구조물 또는 바지선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중앙 선체 구조물(10)을 바지형 구조물로 구성하면 FLNG 에 비해 제작 단가와 건조 비용이 대폭적으로 줄어든다.
또한,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은, 저장 탱크(220)를 제공하는 선체이므로 일반적인 액화가스 운반선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액화가스 운반선은 일반적으로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탱크의 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구형(球形)의 탱크를 선체의 상부에 설치하는 모스 타입(Moss type)이고, 나머지 하나는 선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탱크를 배치하는 멤브레인 타입(Membrane type)이다.
바람직하게,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저장 탱크(220)는 멤브레인 형식으로 구성한다.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저장 탱크(220)를 멤브레인 형식으로 구성하면, 저장 탱크(220)가 선체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선체 상면을 대략 평평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선체 상부에 다른 설비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다.
하나의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은, 그 경계를 하나의 격벽으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처음부터 단일체의 구조물로 건조할 수 있다.
또는,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측방 선체 구조물(20)을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옆으로 이어 붙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방 선체 구조물(20)은 이미 제조된 액화가스 운반선의 선체 또는 폐선을 가져다가 개조하여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이어 붙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면 건조비용과 건조기간을 더욱 더 줄일 수 있다.
중앙 선체 구조물(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12)를 갖추어 저장 탱크(220)의 오일 저장량에 따라 무게 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측방 선체 구조물(20)에도 밸러스트 탱크를 갖출 수 있다.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구비되는 저장 탱크(220)는, LNG 저장탱크, LPG 저장탱크 및 응축물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장 탱크는 일반적인 FLNG에서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중앙 선체 구조물(10)에서 채굴한 오일을 처리하고 종류별로 액화시켜 상기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저장 탱크(220)에 저장하기 위한 채굴오일 처리설비(또는 오일 정제 설비)를 구비한다.
채굴오일 처리설비는, 오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모듈(120), 전처리 모듈(120)로부터 이송된 오일로부터 응축물과 가스를 분류 처리하는 메인 공정 모듈(130), 메인 공정 모듈(130)로부터 분류된 가스를 액화하여 LNG 및 LPG로 가공하는 액화 모듈(210)을 포함한다. 전처리 모듈(120), 메인 공정 모듈(130) 및 액화 모듈(210)은 일반적인 FLNG에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채굴오일 처리설비는,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 중 어느 한쪽에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오일 처리 시설은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분산시켜 탑재할 수 있다.
즉, 전처리 모듈(120), 메인 공정 모듈(130) 및 액화 모듈(210)을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나누어 탑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처리 모듈(120) 및 메인 공정 모듈(130)은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탑재한다. 액화 모듈(210)은 양쪽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각각 탑재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120) 및 메인 공정 모듈(130)을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탑재하면, 가까이에 있는 터릿 무어링 장치(110)와 연결이 단순하게 되며, 그로써 터릿 무어링 장치(110) 측으로부터 뽑아 올려진 오일의 이동 경로가 짧아진다.
액화 모듈(210)은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탑재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처럼 양쪽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각각 탑재하면, 생산한 오일을 각각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저장탱크(220)로 쉽게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선체 구조물(10)에는 발전 플랜트 모듈(140)을 더 탑재할 수 있으며, 그와 함께 기계 모듈(150)을 더 탑재할 수 있다. 발전 플랜트 모듈(140)은 전력 생산을 위한 모듈이다. 기계 모듈(150)에는 각종의 모터, 펌프, 청수 제조 설비 등, 해양 구조물의 운용과 선원의 생활에 필요한 장치들이 탑재된다.
또한,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상부에는 하역설비(230)를 더 탑재할 수 있다. 하역 설비(230)는 일반적인 FLNG에 갖추어지는 하역설비들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탑재할 수 있다. 하역 설비(230)는, 저장 탱크(22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액화가스 운반선으로 하역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는 기존의 FLNG의 하역 설비와 같다. 하역설비(230)는, 액화가스 운반선이 측방 계류(side by side mooring)한 상태에서 옮겨싣기 위해 선체(110)의 측면 쪽으로 설치한 하역설비를 갖추거나(도 1 참조), 액화가스 운반선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종향 계류(tandem mooring)한 상태에서 옮겨싣기 위해 선미 또는 선수 측에 설치한 하역설비를 갖추거나, 또는 위의 두 가지의 하역설비를 모두 갖출 수 있다.
측방 선체 구조물(20)에는 선원들이 거주하기 위한 거주구(240)를 탑재할 수 있다. 거주구(240)는 필요에 따라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탑재할 수도 있다. 이것은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규모, 공간적 여유 및 타 설비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하거나, 각 구조물(10, 20, 20)마다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중앙 선체 구조물(10)에는 오일 체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압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플래어 타워(160)를 구비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중앙 선체 구조물
12: 밸러스트 탱크
20: 측방 선체 구조물
110: 터릿 무어링 장치
120: 전처리 모듈
130: 메인 공정 모듈
140: 발전 플랜트 모듈
150: 기계 모듈
160: 플래어 타워
210: 액화 모듈
220: 저장 탱크
230: 하역 설비
240: 거주구

Claims (10)

  1. 중앙부의 선체를 이루고 터릿 무어링 장치(110)가 설치되어 해저 유정으로부터 오일을 채굴하여 뽑아 올리는 중앙 선체 구조물(10);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복수의 저장 탱크(220)가 마련된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 및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에서 채굴한 오일을 정제 처리하고 종류별로 액화시켜 상기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저장 탱크(220)에 저장하기 위한 처리 시설로서,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상기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거나,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상기 2개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분산 배치되는 채굴오일 처리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은 바지형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저장 탱크(220)는 멤브레인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복수의 저장 탱크(220)는, LNG 저장탱크, LPG 저장탱크 및 응축물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굴오일 처리 설비는,
    오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모듈(120);
    상기 전처리 모듈(120)로부터 이송된 오일로부터 응축물과 가스를 분류 처리하는 메인 공정 모듈(130); 및
    상기 메인 공정 모듈(130)로부터 분류된 가스를 액화하여 LNG 및 LPG로 가공하는 액화 모듈(2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모듈(120), 메인 공정 모듈(130) 및 액화 모듈(210)은 중앙 선체 구조물(10)과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나누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모듈(120) 및 메인 공정 모듈(130)은 중앙 선체 구조물(10)에 탑재되고,
    상기 액화 모듈(210)은 양쪽의 측방 선체 구조물(20)에 각각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에는 발전 플랜트 모듈(140)이 더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선체 구조물(10)에는 기계 모듈(150)이 더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선체 구조물(20)의 상부에는 하역설비(230)가 더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KR1020150135323A 2015-09-24 2015-09-24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KR20170036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323A KR20170036313A (ko) 2015-09-24 2015-09-24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323A KR20170036313A (ko) 2015-09-24 2015-09-24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13A true KR20170036313A (ko) 2017-04-03

Family

ID=5858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323A KR20170036313A (ko) 2015-09-24 2015-09-24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63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055B1 (ko) * 2018-05-16 2019-10-1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499A (ko) 2010-06-29 2012-0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20002218A (ko) 2010-06-30 2012-0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499A (ko) 2010-06-29 2012-0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20002218A (ko) 2010-06-30 2012-0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055B1 (ko) * 2018-05-16 2019-10-1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199B1 (ko) 천연 가스의 부유식 부둣가 액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545980B2 (en) Ultra large marine floating system
US9933119B2 (en) Floating LNG plant
US10183730B2 (en) Twin-hull offshore structure comprising an interconnecting central deck
CN104608880B (zh) 一种大型浮式液化天然气生产储卸装置
JP2016520468A5 (ko)
SG171756A1 (en) Device for floating production of lng and method for converting a lng-carrier to such a device
CN104890820A (zh) 一种适应恶劣海况的浮式液化天然气生产储卸装置
KR20170095206A (ko)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JP2023523500A (ja) 風力海洋水生成設備及びそのような設備を製造する方法
CA2474026A1 (en) Multi hull barge
AU2007233572B2 (en) LNG production facility
KR20170036313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형
WO2018087730A1 (en) A box shaped bilge keel
US20240025517A1 (en) Offshore energy generation system
Newport A Historical Review of Disconnectable Moorings for Ship Shaped Floating Production Units
KR101778809B1 (ko) 부유식 가스 처리 설비
CN217422917U (zh) 一种浮式近岸或离岸co2液化存储转运系统
Crook Stranded gas pickup.
KR20160128663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의 lng 하역 방법
KR20180040254A (ko) 생산물 운반선 측방 계류를 위한 선체 구조를 가지는 수리용 부선거
KR20130003786A (ko) 반잠수식 lng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