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946A - 튜브 홀더 및 튜브 홀더를 갖는 튜브 연마 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홀더 및 튜브 홀더를 갖는 튜브 연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946A
KR20160035946A KR1020140127954A KR20140127954A KR20160035946A KR 20160035946 A KR20160035946 A KR 20160035946A KR 1020140127954 A KR1020140127954 A KR 1020140127954A KR 20140127954 A KR20140127954 A KR 20140127954A KR 20160035946 A KR20160035946 A KR 20160035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lit
support
fixing member
contro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954B1 (ko
Inventor
김재구
노승국
박종권
조성학
황경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2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9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xter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연마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튜브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튜브 연마 장치는 튜브을 틸팅운동시키는 틸팅부재, 상기 튜브와 맞닿아 상기 튜브를 가공하는 연삭기, 및 상기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홀더는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이 형성되며 나사가공된 기어부를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기어부와 나사 결합되고 왕복 운동하는 래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튜브 홀더 및 튜브 홀더를 갖는 튜브 연마 장치{TUBE HOLDER AND TUBE GRINDING APPRATUS HAVING THTEROF}
본 발명은 튜브 홀더 및 튜브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를 지지하여 튜브의 선단에 테이퍼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튜브 연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튜브 구조의 튜브는 일반적으로 절단 시에 형성되는 절단부의 형상을 예리하게 형성한다. 그러나 절단부의 형상만으로는 튜브의 선단을 예리하게 형성하는 것에 부족한 점이 많다.
튜브의 선단을 더욱 예리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연삭기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튜브의 선단을 연마하여 날카로운 테이퍼부를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튜브의 직경이 매우 작은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선단을 연마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튜브 연마 장치 및 튜브 연마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튜브 연마 장치는 튜브를 틸팅운동시키는 틸팅부재와, 상기 튜브와 맞닿아 상기 튜브를 가공하는 연삭부재, 및 상기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홀더는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이 형성되며 나사가공된 기어부를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기어부와 나사 결합되고 왕복 운동하는 래크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 홀에는 복수 개의 슬릿이 연결 형성되되 상기 슬릿들은 방사상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들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조절 홀이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들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방향으로 이어진 확장 홈이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에는 상단까지 이어진 제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 홈들은 상기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제어 홈을 향하여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에서 이격된 제2 슬릿 및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 사이에 배치된 제3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릿에는 상기 제1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제3 슬릿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확장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릿에는 상기 제2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제3 슬릿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확장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슬릿에는 상기 제3 슬릿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3 확장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에는 상단까지 이어진 제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 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파지 홀에 상기 슬릿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어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갖고, 상기 튜브 홀더는 상기 제어 홈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 홀을 확장시키는 푸쉬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로드의 하단에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홀더는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중간 지지대과 상기 푸쉬 로드가 설치된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맞닿아 상기 튜브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튜브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튜브를 상기 지지판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대 상에 배치되며 가압판을 이동시키는 이송 베이스와 상기 지지판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 이송 베이스와 상기 가압판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연결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상기 튜브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부재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되며 상기 모터와 연결 설치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 홀더를 회동시키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 홀더는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이 형성되며 나사가공된 기어부를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기어부와 나사 결합되고 왕복 운동하는 래크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 홀에는 복수 개의 슬릿이 연결 형성되되 상기 슬릿들은 방사상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릿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조절 홀이 연결 형성될 ㅅ n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에는 상단까지 이어져 형성된 제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 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슬릿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튜브 홀더는 상기 제어 홈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 홀을 확장시키는 푸쉬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로드는 지지 막대와 지지 막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중간 지지대과 상기 제어 홈에 삽입되는 푸쉬 로드가 설치된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맞닿아 상기 튜브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튜브를 상기 지지판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대 상에 배치되며 가압판을 이동시키는 이송 베이스와 상기 지지판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 이송 베이스와 상기 가압판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연결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상기 튜브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홀더 및 튜브 연마 장치는 튜브를 용이하게 지지하여 튜브의 선단을 예리하게 연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 연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 연마 장치에 의하여 가공된 튜브의 선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지판과 가압판 사이에 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쉬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와 래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 연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튜브 연마 장치(101)는 튜브(10)을 틸팅운동시키는 틸팅부재(20)와 틸팅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튜브(10)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테이지(27),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홀더(30), 및 튜브(10)과 맞닿아 튜브(10)을 가공하는 연삭부재(6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튜브(10)는 바늘과 같이 가늘고 길게 이어진 관으로 이루어지며,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삭부재(60)는 튜브(10)의 선단과 맞닿아 튜브(10)의 선단을 연삭가공한다. 연삭부재(60)는 모터와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튜브(10)의 선단을 가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의 선단은 절단에 의하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튜브 연마 장치(101)는 튜브(10)의 선단에서 내측 부분이 외측보다 더 돌출되도록 선단면을 연마하여 테이퍼부(1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튜브(10)의 내측면 선단에 형성된 에지는 날카롭게 형성된다.
튜브(10)의 선단에는 외주면(13)과 내주면(14)을 잇는 테이퍼부(12)가 형성되며 테이퍼부(12)에 의하여 내주면(14)의 선단이 외주면(13)의 선단보다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부(12)는 튜브(10)의 외주를 따라 이어져 형성된다.
틸팅부재(20)는 모터(21)와 모터(21)의 축에 고정되며 모터(21)와 연결 설치된 회전판(22), 회전판(22)에 고정되며, 튜브 홀더(30)를 회동시키는 연결 브라켓(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21)는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진다. 회전판(22)은 모터(21)의 전방에 고정되어 모터(21)와 함께 회전하며, 연결 브라켓(23) 회전판(22)의 일측 측단에 고정되어 회전판(22)과 함께 회전한다.
틸팅부재(20)의 아래에는 튜브(10)를 연삭부재(60)로 접근시키는 이송 스테이지(27)가 연결 설치되는데, 이송 스테이지(27)는 튜브(10)와 연삭부재(60)의 접촉을 제어한다. 이송 스테이지(27)에 의하여 틸팅부재(20)는 연결 브라켓(23)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에 따라 튜브(10)도 폭방향으로 이송되어, 연삭부재(60)에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다.
연결 브라켓(23)은 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송 스테이지에 대하여 세워져 배치된다. 연결 브라켓(23)은 수직 이송부재(33)와 회전판(22)에 고정되어 튜브 홀더(30)와 틸팅부재(20)를 연결하며, 튜브 홀더(30)를 모터(21)가 회전하는 원주 방향으로 이송한다.
수직 이송부재(33)에는 수직이송 베이스(34)가 연결 설치되는데, 수직이송 베이스(34)는 수직 이송부재(33)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수직이송 베이스(34)는 수직 이송부재(3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가공을 제어한다. 수직이송 베이스(34)의 바닥에는 지지 브라켓(25)이 설치되는데, 지지 브라켓(25)은 수직이송 베이스(34)와 지지부재(3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수직이송 배이스(34)가 이동할 때 지지부재(32)도 수직이송 베이스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튜브 홀더(30)는 튜브(10)가 삽입되는 파지 홀(35a)이 형성되며 나사가공된 기어부(38)를 갖는 고정부재(35)와 기어부(38)와 나사 결합되는 래크 돌기(31a)를 갖고 왕복 운동하는 래크부재(31), 고정부재(35)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 및 지지부재(32) 상에 설치되어 튜브(10)를 지지부재(32)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36)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고정부재(35)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의 중앙에는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35a)이 형성된다. 파지 홀(35a)은 고정부재(35)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튜브(10)는 고정부재(35)의 아래까지 이어질 수 있다. 파지 홀(35a)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안내 홈(35c)이 형성된다. 안내 홈(35c)은 튜브(10)가 파지 홀(35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파지 홀(35a)에는 복수 개의 슬릿(35d)이 연결 형성되는데 슬릿들(35d)은 방사상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슬릿들(35d)의 외측 단부에는 조절 홀(35e)이 연결 형성되며, 조절 홀(35e)의 직경은 슬릿(35d)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한편, 고정부재(35)의 외면에는 상단까지 이어져 형성된 제어 홈(35b)이 형성되며 제어 홈(35b)은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또한 제어 홈(35b)은 슬릿(35d)을 매개로 파지 홀(35a)과 연결된다.
기어부(38)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35)를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기어부(38)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부(38)는 제어 홈(35b)에 삽입되는 돌기(38a)를 갖는다.
튜브 홀더(30)는 제어 홈(35b)에 삽입되어 파지 홀(35a)을 확장시키는 푸쉬 로드(37)를 포함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로드(37)는 지지 막대(37a)와 지지 막대(37a)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돌출부(37b)를 갖는다.
이에 따라 푸쉬 로드(37) 하강시켜서 제어 홈(35b)에 삽입하면 파지 홀(35a)이 확장되어 파지 홀(35a)에 튜브(10)를 삽입할 수 있으며, 푸쉬 로드(37)를 제어 홈(35b)에서 이탈시키면 파지 홀(35a)이 축소하여 튜브(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 홀(35a)에 슬릿(35d)과 조절 홀(35e)이 연결 형성되므로 파지 홀(35a)이 보다 용이하게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32)는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수직 프레임(32a)과 고정부재(35)가 안착되는 중간 지지대(32c)와 푸쉬 로드(37)가 설치된 상부 지지대(32d), 튜브(10)의 외주면과 맞닿아 튜브(10)를 지지하는 지지판(32b), 및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어 튜브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32e)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32a)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중간 지지대(32c)와 상부 지지대(32d), 및 하부 지지대(32e)를 고정한다. 중간 지지대(32c)에는 고정부재(35)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고정부재(35)는 중간 지지대(32c)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지지대(32c)에 하나의 고정부재(35)가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중간 지지대(32c)에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중간 지지대(32c)에 복수 개의 고정부재(35)가 설치되면 복수 개의 튜브(10)를 한번에 가공할 수 있다. 중간 지지대(32c)에 복수개의 고정부재(35)가 설치될 경우 고정부재(35)는 연삭부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다.
또한 상부 지지대(32d)에는 푸쉬 로드(37)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푸쉬 로드(37)는 상부 지지대(32d)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지지판(32b)은 상부 지지대(32d)에서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튜브(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튜브(10)를 지지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2b)에는 튜브(1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홈(321)이 형성되고, 홈(321)은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하부 지지대(32e)는 중간 지지대(32c)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튜브(10)의 하단과 맞닿아 튜브(10)를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32e)는 수직 프레임(32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하부 지지대(32e)가 이동함에 따라 튜브(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래크부재(31)는 기어부와 나사 결합되고 왕복 운동한다. 래크부재(31)는 수직이송 베이스(34) 상에 배치되며 돌출된 래크 돌기(31a)를 갖는다. 래크 돌기(31a)의 선단에는 기어부(38)와 결합되는 나사산(311)이 형성된다. 래크부재(31)는 수직이송 베이스(34)에 대하여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바, 래크 돌기(31a)가 왕복 운동하면 기어부(38)가 고정부재(35)와 함께 회전하면서 튜브(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가압부재(36)는 상부 지지대(32d) 상에 배치된 이송 베이스(36a)과 이송 베이스(36a)에 고정되며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가압판(36b), 및 이송 베이스(36a)와 가압판(36b)을 연결하는 연결 막대들(36c)을 포함한다.
이송 베이스(36a)는 상부 지지대(32d) 상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송 베이스(36a)와 지지판(32b) 사이에 푸쉬 로드(37)가 배치된다. 이송 베이스(36a)는 가압판(36b)을 지지판(32b)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가압판(36b)은 지지판(32b)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이송 베이스(36a)와 가압판(36b) 사이에 지지판(32b)이 배치된다. 또한 가압판(36b)과 지지판(32b) 사이에는 튜브(10)가 위치한다. 가압판(36b)이 지지판(32b)으로 이동하면 튜브(10)를 가압판(36b)과 지지판(32b) 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10)의 상부는 가압판(31bb)과 지지판(32b)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래크 돌기(31a)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연삭부재(60)에 의하여 가공될 수 있다.
연결 막대들(36c)은 이송 베이스와 가압판을 연결하며, 지지판(32b)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송 베이스(36a)는 연결 막대들(36c)을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가압판(36b)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 홀더는 고정부재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 홀더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재(7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70)의 중앙에는 튜브(10)가 삽입되는 파지 홀(71)이 형성된다. 파지 홀(71)은 고정부재(7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튜브(10)는 고정부재(70)의 아래까지 이어질 수 있다. 파지 홀(71)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안내 홈(73)이 형성된다. 안내 홈(73)은 튜브(10)가 파지 홀(7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파지 홀(71)에는 복수 개의 슬릿(74)이 연결 형성되는데 슬릿들(74)은 파지 홀(71)에서 외측으로 이어져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슬릿(74)은 고정부재에는 제1 슬릿(74a)과 제1 슬릿(74a)에서 이격된 제2 슬릿(74b) 및 제1 슬릿(74a)과 제2 슬릿(74b) 사이에 배치된 제3 슬릿(74c)을 포함한다. 또한 슬릿(74)은 제어 홈(72)과 연결된 제4 슬릿(74d)을 더 포함하며, 제1 슬릿(74a)이 제어 홈(72)에서 가장 멀리 배치된다.
제1 슬릿(74a)에는 제1 슬릿(74a)의 단부에서 상기 제3 슬릿(74c)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확장 홈(75a)이 형성되고, 제2 슬릿(74b)에는 제2 슬릿(74b)의 단부에서 제3 슬릿(74c)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확장 홈(75b)이 형성된다. 제1 확장 홈(75a)과 제2 확장 홈(75b)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3 슬릿(74c)에는 제3 슬릿(74c)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3 확장 홈(75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슬릿에서 확장 홈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 보다 쉽게 파지 홀(71)을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35)의 외면에는 상단까지 이어져 형성된 제어 홈(72)이 형성되며 제어 홈(72)은 고정부재(7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또한 제어 홈(72)은 제4 슬릿(74d)을 매개로 파지 홀(71)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푸쉬 로드(37) 하강시켜서 제어 홈(72)에 삽입하면 파지 홀(71)이 확장되어 파지 홀(71)에 튜브(10)를 안내 홈(73)을 따라 삽입할 수 있으며, 푸쉬 로드(37)를 제어 홈(72)에서 이탈시키면 파지 홀(71)이 축소되어 튜브(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튜브 홀더는 고정부재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 홀더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재(8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80)의 중앙에는 튜브(10)가 삽입되는 파지 홀(81)이 형성된다. 파지 홀(81)은 고정부재(8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튜브(10)는 고정부재(80)의 아래까지 이어질 수 있다. 파지 홀(81)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안내 홈(83)이 형성된다. 안내 홈(83)은 튜브(10)가 파지 홀(8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파지 홀(81)에는 복수 개의 슬릿(84)이 연결 형성되는데 슬릿들(84)은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슬릿(84)의 외측 단부에는 고정부재(80)의 둘레방향으로 이어진 확장 홈(85)이 형성되는데, 확장 홈(85)은 제어 홈을 향하여 이어져 형성된다. 확장 홈(85)은 슬릿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된다.
한편, 고정부재(35)의 외면에는 상단까지 이어져 형성된 제어 홈(82)이 형성되며 제어 홈(82)은 고정부재(8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또한 제어 홈(82)은 슬릿(84)을 매개로 파지 홀(81)과 연결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1: 튜브 연마 장치 10: 튜브
12: 테이퍼부 13: 외주면
14: 내주면 20: 틸팅부재
21: 모터 22: 회전판
23: 연결 브라켓 25: 지지 브라켓
27: 이송 스테이지 30: 튜브 홀더
31: 래크부재 311: 나사산
31a: 래크 31b: 가압부
31ba: 이송 베이스 31bb: 가압판
31bc: 연결 막대 31c: 돌출부
32: 지지부재 321: 홈
32a: 수직 프레임 32b: 지지판
32c: 중간 지지대 32d: 상부 지지대
32e: 하부 지지대 33: 수직 이송부재
34: 수직이송 베이스 35, 70, 80: 고정부재
35a, 71, 81: 파지 홀 35b, 72, 82: 제어 홈
35c, 73, 83: 안내 홈 35d, 74, 84: 슬릿
35e: 조절 홀 36: 가압부재
36a: 이송 베이스 36b: 가압판
36c: 연결 막대 38: 기어부
38a: 돌기 37: 푸쉬 로드
37a: 지지 막대 37b: 돌출부
60: 연삭부재 74a: 제1 슬릿
74b: 제2 슬릿 74c: 제3 슬릿
74d: 제4 슬릿 75a: 제1 확장 홈
75b: 제2 확장 홈 75c: 제3 확장 홈
85: 확장 홈

Claims (23)

  1. 튜브를 틸팅운동시키는 틸팅부재;
    상기 튜브와 맞닿아 상기 튜브를 가공하는 연삭부재; 및
    상기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홀더는,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이 형성되며 나사가공된 기어부를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기어부와 나사 결합되고 왕복 운동하는 래크부재를 포함하는 튜브 연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 홀에는 복수 개의 슬릿이 연결 형성되되 상기 슬릿들은 방사상으로 이어진 튜브 연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조절 홀이 연결 형성된 튜브 연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방향으로 이어진 확장 홈이 연결 형성된 튜브 연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에는 상단까지 이어진 제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 홈들은 상기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제어 홈을 향하여 이어져 형성된 튜브 연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에서 이격된 제2 슬릿 및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 사이에 배치된 제3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릿에는 상기 제1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제3 슬릿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확장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릿에는 상기 제2 슬릿의 단부에서 상기 제3 슬릿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확장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슬릿에는 상기 제3 슬릿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3 확장 홈이 형성된 튜브 연마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에는 상단까지 이어진 제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 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파지 홀에 상기 슬릿을 매개로 연결된 튜브 연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된 튜브 연마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어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갖고,
    상기 튜브 홀더는 상기 제어 홈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 홀을 확장시키는 푸쉬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로드의 하단에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튜브 연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홀더는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중간 지지대과 상기 푸쉬 로드가 설치된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맞닿아 상기 튜브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튜브 연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튜브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튜브 연마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튜브를 상기 지지판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대 상에 배치되며 가압판을 이동시키는 이송 베이스와
    상기 지지판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 이송 베이스와 상기 가압판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연결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상기 튜브가 배치된 튜브 연마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중간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를 고정하는 수직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하부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기 튜브의 하단과 맞닿는 튜브 연마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재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되며 상기 모터와 연결 설치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 홀더를 회동시키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튜브 연마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홀의 상단에는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안내 홈이 형성된 튜브 연마 장치.
  16.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이 형성되며 나사가공된 기어부를 갖는 고정부재;
    상기 기어부와 나사 결합되고 왕복 운동하는 래크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파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 홀에는 복수 개의 슬릿이 연결 형성되되 상기 슬릿들은 방사상으로 이어져 형성된 튜브 홀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조절 홀이 연결 형성된 튜브 홀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에는 상단까지 이어져 형성된 제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 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슬릿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튜브 홀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홀더는 상기 제어 홈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 홀을 확장시키는 푸쉬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로드는 지지 막대와 지지 막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돌출부를 갖는 튜브 홀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중간 지지대과 상기 제어 홈에 삽입되는 푸쉬 로드가 설치된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맞닿아 상기 튜브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튜브 홀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중간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를 고정하는 수직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하부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기 튜브의 하단과 맞닿는 튜브 홀더.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튜브를 상기 지지판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대 상에 배치되며 가압판을 이동시키는 이송 베이스와
    상기 지지판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 이송 베이스와 상기 가압판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연결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상기 튜브가 배치된 튜브 홀더.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홀의 상단에는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안내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
KR1020140127954A 2014-09-24 2014-09-24 튜브 홀더 및 튜브 홀더를 갖는 튜브 연마 장치 KR101698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54A KR101698954B1 (ko) 2014-09-24 2014-09-24 튜브 홀더 및 튜브 홀더를 갖는 튜브 연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54A KR101698954B1 (ko) 2014-09-24 2014-09-24 튜브 홀더 및 튜브 홀더를 갖는 튜브 연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46A true KR20160035946A (ko) 2016-04-01
KR101698954B1 KR101698954B1 (ko) 2017-01-23

Family

ID=5579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954A KR101698954B1 (ko) 2014-09-24 2014-09-24 튜브 홀더 및 튜브 홀더를 갖는 튜브 연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9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8625A (zh) * 2018-07-23 2018-12-21 徐州云泰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汽车注塑件的夹持抛光机构
CN110355431A (zh) * 2018-04-10 2019-10-22 广州市艺强电器有限公司 一种顶针螺旋槽自动研磨装置
CN111775004A (zh) * 2020-07-02 2020-10-16 合肥尚伍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弯管连接件外壁抛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5344A (ja) * 2001-10-11 2005-02-24 オムニソニクス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線接触コレットを有する、迅速アタッチメント手段およびデタッチメント手段を備える、超音波プローブデバイス
KR101125625B1 (ko) * 2011-05-19 2012-03-27 주식회사 금호엔티시 엔진밸브의 펠렛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5344A (ja) * 2001-10-11 2005-02-24 オムニソニクス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線接触コレットを有する、迅速アタッチメント手段およびデタッチメント手段を備える、超音波プローブデバイス
KR101125625B1 (ko) * 2011-05-19 2012-03-27 주식회사 금호엔티시 엔진밸브의 펠렛 가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5431A (zh) * 2018-04-10 2019-10-22 广州市艺强电器有限公司 一种顶针螺旋槽自动研磨装置
CN110355431B (zh) * 2018-04-10 2024-04-26 广州市艺强电器有限公司 一种顶针螺旋槽自动研磨装置
CN109048625A (zh) * 2018-07-23 2018-12-21 徐州云泰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汽车注塑件的夹持抛光机构
CN111775004A (zh) * 2020-07-02 2020-10-16 合肥尚伍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弯管连接件外壁抛光装置
CN111775004B (zh) * 2020-07-02 2022-03-29 湖南中建重机有限责任公司 一种弯管连接件外壁抛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954B1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954B1 (ko) 튜브 홀더 및 튜브 홀더를 갖는 튜브 연마 장치
JP6292958B2 (ja) 研削装置
KR20160079483A (ko) 수직회전과 수평회전이 가능한 클램핑지그
KR20120083427A (ko) 바늘 팁의 근위부에 홀, 슬롯 및/또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938506A (zh) 一种适合复杂形状天然原玉加工的快速装夹夹具
CN215035781U (zh) 一种打孔机的送料支撑装置
KR20160076259A (ko) 공작기계
KR101740729B1 (ko) 선반용 칩 배출장치
CN106694925A (zh) 一种机床用卡盘
CN109421093A (zh) 一种定位管材切割装置
JP7397369B2 (ja) ファイバーケーブル切断装置
CN217942643U (zh) 一种用于数控车床加工的夹具
KR102115039B1 (ko) 터렛 공구대 장치
JP2012000721A (ja) ワークレスト
KR20150137685A (ko) 내경면 연마장치
KR930007112B1 (ko) 초정밀 연삭기
CN108555493A (zh) 一种圆管加工设备
JP5823181B2 (ja) 研削盤
CN104400118A (zh) 圆钢切割锯床
KR101662503B1 (ko)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드릴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다축 가공장치
CN203917493U (zh) 一种精密细长轴加工校直治具
CN208788006U (zh) 叶片铣度面工具
CN104175182A (zh) 一种双磨轮和双调整轮无心磨床
CN217069322U (zh) 一种管状金属的喷涂设备
KR101409484B1 (ko) 팁 연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팁 연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